연신내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신내역은 1985년 서울 지하철 3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서울 지하철 6호선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 2024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개통 예정으로 3개 노선이 지나는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불광천의 옛 이름에서 유래된 역명은 3호선은 섬식, 6호선은 측식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3호선과 6호선 간 환승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의 역 - 대곡역 (고양)
대곡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일산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GTX-A노선 환승역으로, 1996년 개통 이후 지속적인 노선 확충을 통해 교통 허브로 성장하였으나 복잡한 환승 구조로 편의성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의 역 - 운정중앙역
- 서울 은평구의 전철역 - 응암역
응암역은 2000년 개통된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으로,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역촌동과 신사동에 걸쳐 있으며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한다. - 서울 은평구의 전철역 - 구산역
구산역은 2000년 12월 15일 개통된 서울 지하철 6호선 역으로,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주변에 학교, 주민센터, 시장 등이 위치한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연신내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운영 정보 | |
역사 | |
노선 정보 | |
통계 | |
2015년 승차 인원 | 54,554명 |
2015년 승하차 인원 | 105,727명 |
역 구조 | |
기타 정보 | |
3호선 역 번호 | 321 |
6호선 역 번호 | 614 |
3호선 전철화 구간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3.5 km (지축역 기점) |
3호선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22.7km (대화역 기점) |
6호선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4.2km (응암역 기점) |
추가 정보 (GTX-A) | |
노선 | (GTX-A) |
역 번호 | X106 |
개업일 | 2024년 12월 28일 |
승강장 구조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영업 거리 | 운정중앙역 기점 32.9 km |
이전역 | 대곡 |
이전역 거리 | 9.9 km |
다음역 | 서울 |
다음역 거리 | 9.4 km |
이미지 | |
![]() | |
![]() | |
![]() | |
![]() | |
![]() | |
![]() |
2. 역사
1983년 9월 13일 '연신내역'(延新內驛)으로 역명이 결정[5]되었고, 1985년 7월 12일 서울 지하철 3호선 구파발~독립문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2000년 12월 15일 서울 지하철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고, 2001년 5월 1일 한자 역명(延新內)이 삭제되었다.[6] 2024년 12월 28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이 개통되면 3개 노선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7]
2. 1. 연혁
- 1983년 9월 13일: '''연신내역'''(延新內驛)으로 역명 결정[5]
- 1985년 7월 12일: 서울 지하철 3호선 구파발~독립문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2000년 12월 15일: 서울 지하철 6호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 2001년 5월 1일: 한자 역명(延新內) 삭제[6]
- 2005년 1월 1일: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가 서울메트로로 개칭
- 2017년 5월 31일: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의 역이 됨
- 2021년 7월~2024년 12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공사로 6번, 7번 출구 폐쇄
- 2024년 12월 28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개통과 동시에 3개 노선의 환승역이 될 예정[3]
2. 2. 역명 유래
연신내의 유래는 불광천의 옛 이름인 연서천(延曙川)을 토착어로 바꾼 것이다.6호선 개통 초기인 2000년에는 역명판에 '연신내(延新內)'라고 한자로 표기되어 있었지만, 이는 어림짐작으로 붙인 글자이며 원래 '연신내'에 한자 표기는 없으므로 2001년에 삭제되었다. 참고로 이 역의 중국어 표기는 '延新川'이다.
3. 역 구조
3호선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며, 6호선 승강장은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이다. 두 노선 역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7개가 있다.
서울교통공사 설립 이전에는 서울 지하철 3호선이 역 전체를 관리했다. 개찰구는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6호선)가 공용하였으며, 서울 지하철 3호선의 개찰구를 사용했다. 개찰구는 총 5곳이 있다.
6호선은 곡선 승강장으로 특정 지역으로 분류되며,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간격이 매우 넓으므로 주의해야 한다.[1]
3. 1. 3호선 승강장
- - 3호선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있으며,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이다. 6호선으로 환승하려면 승강장 중앙에 있는 계단(2곳)을 통해 개찰구 층을 거쳐야 한다. 안전을 위해 스크린도어 (풀스크린 타입)가 설치되어 있다.
3. 2. 6호선 승강장
- - 6호선 연신내역은 측식 승강장 구조이며, 열차 진행 방향 기준으로 오른쪽 문이 열린다. 모든 열차는 응암, 공덕 방면으로 운행한다. 안전을 위해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과 개찰구층 사이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3호선으로 환승하려면 개찰구층을 거쳐야 한다.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없다.
6호선은 곡선 승강장으로 특정 지역으로 분류되며,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간격이 매우 넓으므로 주의해야 한다.[1]

3. 3.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승강장
3. 4. 환승
3호선에서 6호선으로, 또는 6호선에서 3호선으로 환승할 때(독바위역에서 출발하는 승객만 해당) 연신내역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4. 역 주변
5. 이용객 변동
서울 지하철 3호선과 6호선의 환승역인 연신내역은 2009년까지는 3호선 개찰구를 통해 두 노선 이용객이 모두 집계되었다. 2010년부터는 서울도시철도공사가 6호선 승차량을 파악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별도 집계를 시작했다.[9] 그러나 여전히 서울교통공사가 역 전체 운영 및 게이트 운영을 담당하기 때문에 모든 이용객은 3호선 이용객으로 집계된다.[8]
다음은 2010년 이후 6호선의 연도별 1일 평균 이용객(승차, 하차, 승하차) 추이를 나타낸 표이다.
연도 | -- 6호선 승차 (명/일) | -- 6호선 하차 (명/일) | -- 6호선 승하차 (명/일) |
---|---|---|---|
2010년 | 11,803 | 10,741 | 22,543 |
2011년 | 12,029 | 11,145 | 23,173 |
2012년 | 12,367 | 11,608 | 23,975 |
2013년 | 12,499 | 11,764 | 24,263 |
2014년 | 12,713 | 11,946 | 24,659 |
2015년 | 12,329 | 11,633 | 23,962 |
5. 1. 3호선
서울교통공사가 역 전체 운영 및 게이트 운영을 담당하기 때문에 모든 이용객이 3호선 이용객으로 집계된다.[8] 2010년 2월부터 집계된 6호선의 이용객 수는 서울도시철도공사에서 승차량 파악을 위하여 자체적으로 집계한 것이다.
과거 3호선과 6호선 모두 서울 지하철 3호선 개찰구를 사용했기 때문에, 2009년까지의 승하차 인원은 모두 3호선으로 집계되었다. 그러나 이용 현황 파악을 위해 2010년부터 서울교통공사 (6호선)의 승하차 인원도 집계하기 시작했다. 단, 서울메트로 (당시 서울메트로)의 위탁 관리였기 때문에, 본 역을 통한 서울교통공사의 수입은 0이었다.
최근 연도별 1일 평균 이용객 추이는 다음과 같다.
5. 2. 6호선
6호선 승강장은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지만, 3호선과의 환승 편의를 위해 3호선 서울교통공사 역무실에서 6호선 이용객 수까지 집계한다. 2010년부터 6호선의 이용객 수를 별도로 집계하고 있는데, 이는 서울도시철도공사가 승차량을 파악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집계한 것이다.[9]다음은 6호선의 연도별 1일 평균 이용객(승차, 하차, 승하차) 추이를 나타낸 표이다.
연도 | 승차 (명/일) | 하차 (명/일) | 승하차 (명/일) |
---|---|---|---|
2010년 | 11,803 | 10,741 | 22,543 |
2011년 | 12,029 | 11,145 | 23,173 |
2012년 | 12,367 | 11,608 | 23,975 |
2013년 | 12,499 | 11,764 | 24,263 |
2014년 | 12,713 | 11,946 | 24,659 |
2015년 | 12,329 | 11,633 | 23,962 |
6. 인접한 역
대곡 (X103)
서울역 (X106)
구파발 (320)
불광 (322)
독바위 (613)
구산 (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