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주의 (국제 관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성주의(국제 관계)는 국제 관계의 사회적 구성을 강조하는 이론으로, 니컬러스 오누프에 의해 용어가 만들어졌다. 1980년대 후반부터 국제 관계의 주요 학파로 자리 잡았으며, 초기에는 규범의 중요성을, 후기에는 규범이 중요하고 그렇지 않은 상황을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알렉산더 웬트는 사회적 구성주의의 대표적인 옹호자이며, 마사 핀모어는 국제 규범 구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구성주의는 여러 갈래로 나뉘며,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의 유물론적 관점에 대한 비판을 제기한다. 정체성과 이익, 규범 등이 사회적으로 구성된다고 보며, 현실주의, 자유주의와 비교하여 연구가 진행된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안보, 국제 정치 경제 등이 있으며, 비판과 함께 감정 선택 이론과의 비교도 이루어진다.
니컬러스 오누프는 국제 관계의 사회적으로 구성된 특성을 강조하는 이론을 설명하기 위해 '구성주의'라는 용어를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108]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 이후, 구성주의는 국제 관계의 주요 학파 중 하나가 되었다.
니컬러스 오누프는 국제 관계의 사회적으로 구성된 특성을 강조하는 이론을 설명하기 위해 '구성주의'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08]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 이후, 구성주의는 국제 관계의 주요 학파 중 하나가 되었다.
2. 발전
초기 구성주의 연구는 국제 정치에서 '규범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립하는 데 집중했다.[129] 피터 카첸슈타인이 편집한 책 ''국가 안보의 문화(Culture of National Security)''는 현실주의자들이 지배적이었던 안보 연구 분야에서 구성주의적 통찰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저명하고 신진 구성주의자들의 작품을 엮었다.[129]
국제 정치에서 규범의 중요성을 확립한 후, 후기 구성주의는 일부 규범이 중요하고 다른 규범이 중요하지 않은 상황을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129] 구성주의 연구의 범위는 규범 기업가, 국제 기구 및 법률, 인식 공동체, 담론, 논쟁 및 설득, 사회적 구성을 위한 메커니즘과 과정으로서의 구조적 구성 등으로 확장되었다.[129]
알렉산더 웬트는 국제 관계 분야에서 사회 구성주의의 가장 저명한 옹호자이다.[109] 웬트는 1992년 논문 "무정부는 국가가 만드는 것이다: 권력 정치의 사회적 구성"에서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 제도주의가 공유하는 결함, 즉 (조잡한) 형태의 유물론에 대한 헌신에 도전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3] 그는 "권력 정치"와 같은 핵심 현실주의 개념조차도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즉, 본질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며, 따라서 인간의 실천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 했다. 이를 통해 웬트는 국제 관계 학자들이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광범위한 문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웬트는 자신의 주요 저서인 ''국제 정치의 사회 이론''(1999)에서 이러한 아이디어를 더욱 발전시켰다. 웬트의 뒤를 이어, 마사 피네모어는 1996년 저서 ''국제 사회에서의 국가 이익''에서 "국제 규범 구조가 세계 정치에서 중요하다는 구성주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최초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실증적 논거""를 제시했다.[110]
구성주의에는 여러 갈래가 있다.[111][112] 한편으로 널리 받아들여지는 방법론과 인식론을 사용하는 캐서린 시킹크, 피터 카첸슈타인, 엘리자베스 키어, 마사 피네모어, 알렉산더 웬트와 같은 "관습적"[113][114] 구성주의 학자들이 있다. 이들의 연구는 주류 정보검색 커뮤니티 내에서 받아들여지고 현실주의자, 자유주의자, 제도 주의자 및 구성주의자 사이에서 활발한 학술 토론을 일으켰다. 이들 학자들은 인과적 설명과 구성적 설명 중심의 연구가 적절하다고 주장한다.[119] 웬트는 이러한 형태의 구성주의를 "얇은" 구성주의라고 부른다.[116] 반면에, 담론과 언어학을 보다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비실증주의적 방법론과 인식론을 채택하는 "비판적" 급진적 구성주의자들도 있다.[113] 구성주의의 얇은 버전과 두꺼운 버전 모두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가 세계 정치에서 사회 구성에 충분하지 않은 관심을 기울이는 데 동의한다.[116]
3. 이론
초기 구성주의 연구는 국제 정치에서 ''규범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립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129] 피터 카첸슈타인이 편집한 책 ''국가 안보의 문화(Culture of National Security)''는 보안 연구 분야에서 구성주의적 통찰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저명하고 신흥 구성주의자들의 작품을 담고 있다. 이 책은 현실주의자들이 지배적이었던 국제관계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129]
국제 정치에서 규범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립한 후, 구성주의의 후기 연구는 일부 규범이 중요하고 다른 규범이 중요하지 않은 상황을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129] 구성주의 연구 범위는 규범 기업가, 국제 기구 및 법률, 인식 공동체, 연설, 논쟁 및 설득, 사회적 구성을 위한 메커니즘과 과정으로서의 구조적 구성 등으로 확장되었다.[129]
알렉산더 웬트는 국제 관계 분야에서 사회 구성주의의 가장 저명한 옹호자이다.[109] 웬트는 그의 중심 저작인
구성주의에는 여러 갈래가 있다.[111][112] 널리 받아들여지는 방법론과 인식론을 사용하는 캐스린 시킹크, 피터 카첸슈타인, 엘리자베스 키어, 마사 핀모어, 알렉산더 웬트와 같은 "관습적"[113][114] 구성주의 학자들은 주류 정보검색 커뮤니티 내에서 받아들여지고 현실주의자, 자유주의자, 제도 주의자 및 구성주의자 사이에서 활발한 학술 토론을 일으켰다. 이들은 인과적 설명과 구성적 설명 중심의 연구가 적절하다고 주장한다.[119] 웬트는 이러한 형태의 구성주의를 "얇은" 구성주의라고 부른다.[116] 반면에, 담론과 언어학을 보다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비실증주의적 방법론과 인식론을 채택하는 "비판적" 급진적 구성주의자들도 있다.[113] 얇은 구성주의와 두꺼운 구성주의 모두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가 세계 정치에서 사회 구성에 충분하지 않은 관심을 기울이는 데 동의한다.[116] 전통적인 구성주의자들이 계급 요소를 체계적으로 경시하거나 생략하도록 하는 비판적 구성주의의 또 다른 강력한 가닥이 있다.[115]
구성주의는 주로 국제 관계의 핵심 측면이 신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의 가정과 달리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방식을 보여주려고 한다. 사회적 실천과 상호작용의 지속적인 과정에 의해 형태를 부여받는다는 것이다. 웬트는 구성주의의 두 가지 기본 신조로 "인간 결합의 구조는 물질적 힘보다는 공유된 아이디어에 의해 주로 결정되며, 목적적 행위자의 정체성과 이해는 자연이 부여한 것이 아니라 이러한 공유된 아이디어에 의해 구성된다"는 점을 든다.[116] 구성주의자들은 국제정치가 물질적 요인과 관념적 요인 모두에 의해 특징지어진다고 믿는다.[119]
구성주의의 핵심은 아이디어가 중요하고 개체가 (주어진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개념이다.[116][119][117][118] 구성주의 연구는 현상에 대한 인과적 설명과 사물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에 대한 분석에 초점을 맞춘다.[119] 국가 안보 연구에서 강조점은 문화와 정체성이 안보 정책 및 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다. 최소한의 예측 가능성과 순서를 보장하기 위해 정체성(ID)이 필요하다. 구성주의적 담론의 대상은 최근 국제관계학계의 인식론, 지식 사회학, 행위자/구조 관계, 사회적 사실의 존재론적 지위에 대한 논쟁, 그리고 근본적인 요인으로 볼 수 있다.[120]
국제 관계가 권력 정치뿐만 아니라 사상의 영향을 받는다는 개념은 스스로를 ''구성주의 이론가''라고 표현하는 작가들이 공유하는 관점이다. 국제정치의 근본적인 구조는 엄격하게 물질적이라기보다는 사회적이다. 이는 ''사회 구성'' 주의자들이 국가들 사이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본질 변화가 더 큰 국제 안보를 향한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하도록 이끈다.[121]
3. 1. 현실주의와의 비교
알렉산더 웬트에 따르면, 구성주의의 핵심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 조직의 구조는 물질적 힘보다는 공유된 관념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둘째, 합목적적인 주체의 정체성과 이익은 자연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공유된 관념에 의해 구성된다.[116]
구성주의는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의 가정과는 달리, 국제 관계의 핵심적인 측면이 사회적으로 구성된다고 본다. 즉, 사회적 실천과 상호작용의 지속적인 과정을 통해 그 형태가 주어진다는 것이다.
구성주의 형성 기간 동안 신현실주의는 국제 관계의 지배적인 담론이었다. 따라서 구성주의 초기 이론 작업의 대부분은 신현실주의의 기본적인 가정에 도전했다. 신현실주의자들은 국제 정치의 중요한 내용 대부분이 국제 시스템의 구조에 의해 설명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국제 시스템이 무정부 상태라는 사실, 즉 어떤 포괄적인 권위도 없이 형식적으로 평등한 단위(국가)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에 의해 국제 정치가 결정된다고 본다. 신현실주의자들은 이러한 무정부 상태가 국가로 하여금 안보를 위해 스스로에게 의존하는 '자조' 등의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강요한다고 주장한다.[122][123]
웬트를 비롯한 구성주의자들은 신현실주의자들이 "구조"에 부여하는 인과적 힘이 실제로는 "주어진" 것이 아니라, 사회적 실천에 의해 구조가 구성되는 방식에 달려 있다고 비판한다. 웬트는 시스템 내 행위자들의 정체성과 이익의 본질, 그리고 사회 제도(무정부 상태 포함)가 그러한 행위자들에게 갖는 의미에 대한 추정에서 벗어나면, 신현실주의의 "구조"는 거의 드러내는 것이 없다고 주장한다. 그는 "두 국가가 친구가 될지 적이 될지, 서로의 주권을 인정할지, 왕조적 관계를 가질지, 수정주의 세력이 될지 현상 유지 세력이 될지 등을 예측하지 못한다."라고 말한다.[125]
웬트는 더 나아가 무정부 상태가 국가를 제약하는 방식은 국가가 무정부 상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자신의 정체성과 이익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달려 있기 때문에, 무정부 상태는 반드시 자조 시스템도 아니라고 주장한다. 만약 국가가 "협력적" 안보나 "집단적" 안보와 같이 안보에 대한 대안적 개념을 가진다면, 무정부 상태는 자조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127]
결론적으로, 신현실주의적 결론은 사회 제도의 의미가 행위자에 의해 구성되는 방식에 대한 암묵적이고 의문의 여지가 없는 가정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신현실주의자들은 이러한 점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러한 의미가 불변이라고 잘못 가정하고, 실제로는 신현실주의적 관찰 뒤에서 핵심적인 설명 작업을 하는 사회 구성 과정에 대한 연구를 배제한다.[126]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으로서, 구성주의는 이른바 "네오-네오" 논쟁을 비판하는 모든 접근 방식과 함께 묶이는 경향이 있었다.[128] 그러나 구성주의의 주류 변형은 실증주의적이다.[129][130]
구성주의에 대한 반론으로, 존 미어샤이머는 아이디어와 규범은 주변적인 문제일 뿐이며, 지도자가 규범과 도덕에 호소하는 것은 종종 사리사욕을 반영한다고 주장했다.[131][132]
3. 2. 자유주의와의 비교
웬트는 구성주의의 핵심 원칙 두 가지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인간 관계의 구조는 물질적 힘보다는 공유된 생각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둘째, 목적을 가진 행위자의 정체성과 이해는 자연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공유된 생각에 의해 구성된다.[116] 이는 구성주의가 물질적 요인과 관념적 요인 모두를 중시하며, 국제 정치가 "이념의 밑바닥까지 내려온 것"이 아니라, 물질적 요인과 관념적 요인 모두에 의해 특징지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119]
구성주의는 국제 관계가 권력 정치뿐만 아니라 사상의 영향을 받는다고 본다. 국제 정치의 근본 구조는 물질적인 것만이 아니라 사회적인 것이며, 이는 국가 간 사회적 상호작용의 변화가 국제 안보를 향한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믿게 한다.[121]
구성주의는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의 가정과 달리 국제 관계의 핵심 측면이 사회적으로 구성된다고 본다. 즉, 사회적 실천과 상호작용의 지속적인 과정에 의해 형태가 만들어진다는 것이다.[116]
구성주의는 국제 시스템의 무정부 상태가 국제 정치를 결정한다는 신현실주의의 주장에 도전한다. 신현실주의는 무정부 상태가 국가로 하여금 안보를 위해 자조하게 만든다고 주장하지만, 웬트는 무정부 상태가 반드시 자조 시스템인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국가가 안보를 경쟁적인 개념으로 보지 않고, "협동조합"이나 "집단적" 안보와 같이 다른 방식으로 인식한다면, 무정부 상태는 자조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127]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는 1980년대 국제 관계 이론의 지배적인 흐름이었으며, 이른바 "네오-네오" 논쟁을 벌였다. 구성주의는 이 논쟁을 비판하는 접근 방식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한다.[128]
하지만, 구성주의가 현실주의나 자유주의와 반드시 모순되는 것은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59] 웬트는 무정부 상태의 존재와 국제 시스템에서 국가의 중심성과 같은 현실주의 및 신현실주의의 핵심 가정 일부를 공유한다. 다만, 웬트는 무정부 상태를 물질적인 것이 아닌 문화적인 것으로 이해한다.[60]
3. 3. 정체성과 이익
웬트는 구성주의의 두 가지 기본 신조로 다음을 제시한다. 첫째, "인간 결합의 구조는 물질적 힘보다는 공유된 아이디어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둘째, "목적적 행위자의 정체성과 이해는 자연이 부여한 것이 아니라 이러한 공유된 아이디어에 의해 구성된다."[116] 구성주의자들은 국제정치가 물질적 요인과 관념적 요인 모두에 의해 특징지어진다고 믿는다.[119]
구성주의의 핵심은 아이디어가 중요하고 개체가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개념이다.[116][119][117][118] 구성주의 연구는 현상에 대한 인과적 설명과 사물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에 대한 분석에 초점을 맞춘다.[119] 국가 안보 연구에서 강조점은 문화와 정체성이 안보 정책 및 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다. 구성주의적 담론의 대상은 인식론, 지식 사회학, 행위자/구조 관계, 사회적 사실의 존재론적 지위에 대한 논쟁이다.[120]
국제 관계가 권력 정치뿐만 아니라 사상의 영향을 받는다는 개념은 구성주의 이론가들이 공유하는 관점이다. 국제정치의 근본적인 구조는 엄격하게 물질적이라기보다는 사회적이다. 이는 국가들 사이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본질 변화가 더 큰 국제 안보를 향한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주장으로 이어진다.[121]
웬트는 신현실주의의 "구조"가 국가의 행동 특징(국가가 친구 또는 적이 될 것인지, 서로의 주권을 인정할 것인지, 왕조 관계를 가질 것인지, 수정주의 또는 현상 유지 세력이 될 것인지 등)은 무정부 상태로 설명되지 않고, 핵심 행위자가 보유한 이해 관계와 정체성에 대한 증거의 통합을 요구하기 때문에 시스템(무정부 상태)의 물질적 구조에 대한 신현실주의의 초점은 잘못 배치되었다고 주장한다.[125][126]
웬트는 무정부 상태가 국가를 제한하는 방식은 국가가 무정부 상태를 인식하고 자신의 정체성과 이해를 인식하는 방식에 의존하기 때문에 무정부 상태가 반드시 자조 시스템인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국가가 안보를 경쟁적이고 상대적인 개념으로 보는 경우에만 자립하도록 강요받는다. 국가가 "협동조합" 또는 "집단적" 안보에 대한 대안적 개념을 보유한다면 무정부 상태는 자조로 이어지지 않는다.[127]
마사 핀모어는 국제기구가 행위자의 이해관계에 대한 인식을 사회적으로 구성하는 과정에 어떻게 관여하는지를 연구했다.[28] 핀모어는 "이해관계는 단순히 '거기에' 발견되기를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상호 작용을 통해 구성된다"고 설명한다.[29]
3. 4. 규범
피터 카첸슈타인이 편집한 책 ''국가 안보의 문화(Culture of National Security)''는 보안 연구 분야에서 구성주의적 통찰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저명하고 신흥 구성주의자들의 작품을 담고 있다. 이 책은 현실주의자들이 지배적이었던 국제관계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129] 국제 정치에서 규범의 중요성을 확립한 후, 후기 구성주의는 어떤 규범이 중요하고 다른 규범은 중요하지 않은 상황을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129]
알렉산더 웬트는 국제 관계 분야에서 사회 구성주의의 가장 저명한 옹호자이다.[109] 웬트는 그의 중심 저작인
마사 핀모어와 캐서린 시킹크는 세 가지 유형의 규범을 구분한다:[40]유형 설명 규제 규범 행동을 규정하고 제한한다. 구성 규범 새로운 행위자, 이익 또는 행동 범주를 창출한다. 평가적 및 규정적 규범 "당위성"을 갖는다.
핀모어, 시킹크, 제프리 W. 레그로 등은 규범의 견고성(또는 효과)을 다음과 같은 요인으로 측정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제프리 체켈은 규범의 효능에 대한 두 가지 일반적인 유형의 설명을 제시한다:[42]
유형 | 설명 |
---|---|
합리주의 | 행위자는 강압, 비용-편익 계산 및 물질적 인센티브 때문에 규범을 준수한다. |
구성주의 | 행위자는 사회 학습과 사회화 때문에 규범을 준수한다. |
구성주의 학자들은 다음과 같은 특정 규범이 어떻게 등장했는지 보여주었다.
- '''국제법''': 변호사들의 초국가적 네트워크는 19세기와 20세기에 새로운 국제 법적 원칙을 성문화하고 권력 정치를 규제하는 데 성공했다.[43][44]
- '''인도주의적 개입''':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간"에 대한 개념이 바뀌면서 국가는 20세기에 인도주의적 개입에 점점 더 많이 참여하게 되었다.[45]
- '''핵 금기''': 1945년 이후 핵무기에 반대하는 규범이 발전했다.[38]
- '''지뢰 금지''': 초국가적 옹호 단체의 활동으로 인해 지뢰를 금지하는 규범이 생겨났다.[46]
- '''주권 규범'''.[46]
- '''암살 반대 규범'''.[47]
- '''선거 감시.[48]'''
- '''물 무기화에 대한 금기'''.[49]
- '''반 포경 규범'''.[50]
- '''반 고문 규범'''.[51]
4. 연구 분야
국제 관계에서 구성주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왔다. 초기 구성주의 연구는 국제 정치에서 규범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129] 후기에는 어떤 규범이 중요하고 그렇지 않은지를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129] 구성주의 연구 범위는 규범, 국제기구 및 법률, 인식 공동체, 담론, 사회적 구성 등 다양하다.[129]
알렉산더 웬트는 국제 관계 분야에서 사회적 구성주의의 대표적인 학자이며,[109] 마사 피네모어는 "국제 규범 구조가 세계 정치에 중요하다는 구성주의적 주장을 뒷받침하는 경험적 논증을 제시했다.[110]
구성주의는 "관습적" 구성주의와 "비판적" 구성주의로 나뉜다.[111][112] "관습적" 구성주의는 주류 학계에서 받아들여지는 방법론과 인식론을 사용하며,[113][114] 현실주의자, 자유주의자 등과 학술 토론을 일으켰다.[119] "비판적" 구성주의는 담론과 언어학을 중시하고 비실증주의적 방법론을 채택한다.[113] 두 구성주의 모두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가 사회 구성에 충분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는 데 동의한다.[116]
구성주의는 국제 관계를 분석할 때 목표, 위협, 공포, 문화, 정체성 등 "사회적 현실"의 요소들을 사회적 사실로 간주한다. 토마스 J. 비어스테커와 신시아 웨버는 국가 주권의 진화를 이해하는 데 구성주의적 접근을 적용했고,[53] 로드니 브루스 홀과 다니엘 필포트는 국제 정치 역학의 주요 변환에 대한 구성주의 이론을 개발했다.[54][55] 국제 정치 경제 분야에서는 캐슬린 R. 맥나마라의 유럽 통화 연합 연구,[56] 마크 블라이스의 레이거노믹스 분석[57] 등이 주목할 만하다.
구성주의자들은 언어와 수사가 국제 시스템의 사회적 현실을 구성하는 방식에 주목하며, 현실주의보다 국제 관계의 진보에 대해 낙관적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일부 구성주의자들은 구성주의적 사고의 "자유주의적" 성격에 의문을 제기하고 권력 정치로부터의 해방 가능성에 대한 현실주의적 비관론에 공감하기도 한다.[58]
알렉산더 웬트는 현실주의 및 신현실주의 학자들과 일부 핵심 가정을 공유하지만, 무정부 상태를 문화적 용어로 표현하고 국가를 행위자로 보는 이론적 방어를 제공한다. 일부 구성주의자들은 웬트의 이러한 가정에 이의를 제기하기도 한다.[60][61]
일부 학자들은 "주류" 구성주의가 언어적 전회와 사회 구성주의 이론의 중요한 통찰력을 포기했다고 주장하며,[63][64] "주류" 구성주의자들조차 구성주의자들이 비구성주의 학파와의 다리 건설에 지나치게 노력했다는 우려를 표명하기도 한다.[65]
최근 구성주의자들은 습관적이고 반성적이지 않은 행동의 역할,[66] 관계주의의 중요성, 세계 정치를 구성하는 과정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한다.[67][68] "실천적 전환" 지지자들은 피에르 부르디외와 같은 사회 이론가들의 연구에서 영감을 얻어, 국제 정치의 일상적 활동에 대한 더 큰 관심과 민감성을 요구한다.[69][70] 일부 학자들은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을 채택하여 세계 정치의 이분법을 붕괴시키고,[71] IR의 탈인간적 이해가 갖는 함의를 고려하며,[72] 세계 정치의 기반 시설을 탐구하고,[73] 기술적 행위의 효과를 고려한다.[74]
4. 1. 안보 연구
피터 카첸슈타인이 편집한 책 ''국가 안보의 문화(Culture of National Security)''는 안보 연구 분야에서 구성주의적 통찰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저명하고 신진 구성주의자들의 작품을 편집한 것으로, 현실주의가 지배적이었던 국제 관계 분야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129]구성주의자들은 목표, 위협, 공포, 문화, 정체성, 그리고 "사회적 현실"의 다른 요소들을 사회적 사실로서 분석함으로써 국제 관계를 분석한다. 엘리자베스 키어, 제프리 레그로, 그리고 피터 카첸슈타인을 포함한 구성주의 학자들은 군사 문제와 관련하여 현실주의의 많은 가정에 의문을 제기했다.[52]
국제 관계가 권력 정치뿐만 아니라 사상의 영향을 받는다는 개념은 구성주의 이론가들이 공유하는 관점이다. 이들은 국제 정치의 근본적인 구조가 물질적인 것보다는 사회적인 것이라고 본다. 이는 국가들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본질 변화가 더 큰 국제 안보를 가져올 수 있다고 믿게 한다.[121]
4. 2. 국제 정치 경제 연구
구성주의는 목표, 위협, 공포, 문화, 정체성, 그리고 "사회적 현실"의 다른 요소들을 사회적 사실로서 분석함으로써 국제 관계를 분석한다. 피터 카젠스타인을 포함한 구성주의 학자들은 국제 정치의 역학, 특히 군사 문제와 관련하여 현실주의의 많은 가정을 제기했다.[52] 토마스 J. 비어스테커와 신시아 웨버[53]는 국제 관계의 중심 주제로서 국가 주권의 진화를 이해하기 위해 구성주의적 접근 방식을 적용했다. 로드니 브루스 홀[54]과 다니엘 필포트[55]는 국제 정치 역학의 주요 변환에 대한 구성주의 이론을 개발했다.국제 정치 경제에서 구성주의의 적용은 덜 빈번했다. 이 분야에서 구성주의 연구의 주목할 만한 예로는 캐슬린 R. 맥나마라의 유럽 통화 연합 연구[56]와 마크 블라이스의 레이거노믹스의 미국 내 부상에 대한 분석[57]이 있다.
4. 3. 국제기구 연구
구성주의는 목표, 위협, 공포, 문화, 정체성, 그리고 "사회적 현실"의 다른 요소들을 사회적 사실로서 분석하여 국제 관계를 연구한다. 엘리자베스 키어, 제프리 레그로, 그리고 피터 카젠스타인을 포함한 구성주의 학자들은 『국가 안보 문화』[52]라는 책에서 국제 정치, 특히 군사 문제와 관련하여 현실주의의 많은 가정을 비판했다.[92][93] 토마스 J. 비어스테커와 신시아 웨버[53][94]는 국가 주권의 진화를 이해하기 위해 구성주의적 접근 방식을 적용했으며, 로드니 브루스 홀[54][95]과 다니엘 필포트[55][96]는 국제 정치 역학의 주요 변환에 대한 구성주의 이론을 발전시켰다. 국제 정치 경제에서 구성주의의 적용은 덜 빈번했다. 이 분야에서 구성주의 연구의 주목할 만한 예로는 캐슬린 R. 맥나마라의 유럽 통화 연합 연구[56][97]와 마크 블라이스의 레이거노믹스의 미국 내 부상에 대한 분석[57][98]이 있다.구성주의자들은 언어와 수사가 국제 시스템의 사회적 현실을 어떻게 구성하는지에 집중함으로써, 순전히 유물론적 존재론에 충실한 현실주의보다 국제 관계의 진보에 대해 더 낙관적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점점 더 많은 구성주의자들이 구성주의적 사고의 "자유주의적" 성격을 의문시하고 권력 정치로부터의 해방 가능성에 대한 현실주의적 비관론에 대해 더 큰 공감을 표명하고 있다.[58][99]
구성주의는 종종 국제 관계의 두 가지 주요 이론인 현실주의와 자유주의의 대안으로 제시되지만, 일부는 구성주의가 둘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와 반드시 모순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59][100] 알렉산더 웬트는 무정부 상태의 존재와 국제 시스템에서 국가의 중심성과 같은 주요 현실주의 및 신현실주의 학자들과 몇 가지 핵심 가정을 공유한다. 그러나 웬트는 무정부 상태를 유물론적 용어가 아닌 문화적 용어로 표현하며, 국제 관계 이론에서 행위자로서의 국가에 대한 정교한 이론적 방어를 제공한다. 이는 국제 관계(IR) 학계의 일부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일부 구성주의자들은 이러한 가정 중 일부에 대해 웬트에게 이의를 제기한다. 현실주의와 구성주의가 정렬되거나 심지어 통합될 때 IR 이론의 진전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주장되어 왔다.[60][61] 이러한 통합의 초기 예로는 제니퍼 스털링-폴커의 브레튼 우즈 체제 이후 미국의 국제 통화 정책에 대한 분석이 있다. 스털링-폴커는 미국의 일방주의로의 전환이 현실주의의 무정부 시스템 강조에 의해 부분적으로 설명되지만, 구성주의는 국내 또는 두 번째 분석 수준의 중요한 요소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했다.[62]
4. 4. 인권 연구
구성주의는 국제 무대에서 "사회적 현실"의 목표, 위협, 공포, 문화, 정체성 및 기타 요소를 주체의 사회적 구성물로 봄으로써 국제 관계를 분석한다. 구성주의자들은 중요한 편저에서[92], 특히 군사적 안보 문제에 관해 국제 시스템 작동 방식에 대한 많은 전통적인 현실주의적 가설에 도전했다.[93] 토마스 비어스테이커와 신시아 웨버[94]는 국가 주권의 진화를 이해하기 위해 구성주의를 적용했는데, 이는 국제 관계에서 중심적인 주제이다. 로드니 브루스 홀[95]과 다니엘 필포트[96]의 연구는 국제 정치 역학의 주요 변혁에 관한 구성주의 이론을 발전시켰다.5. 주요 학자
- 에마누엘 아들러
- 마이클 N. 바넷
- 토마스 J. 비어스테커
- 마크 블라이스
- 제프리 T. 체켈
- 마사 피네모어
- 에른스트 B. 하스
- 피터 M. 하스
- 이안 해킹
- 테드 호프
- 피터 J. 카젠스타인
- 마가렛 켁
- 주디스 켈리
- 프리드리히 크라토흐빌
- 리처드 네드 레보
- 다니엘 H. 넥슨
- 친 야칭
- 니콜라스 오누프
- 에릭 링마르
- 토마스 리세
- 존 러기
- 크리스 로이스-스미트
- 캐서린 시킹크
- J. 앤 틱너
- 올레 웨버
- 알렉산더 웬트
니컬러스 오너프는 국제 관계의 "사회적으로 구성된" 성질을 강조하는 세계 정치 연구에 대한 접근 방식을 묘사하기 위해 "구성주의"라는 용어를 만들어 냈다고 일반적으로 여겨진다.[79]
알렉산더 웬트는 국제 관계 분야에서 사회적 구성주의의 가장 저명한 옹호자이다.[109] 웬트는 그의 중심 작업인 ''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1999)에서 이러한 아이디어를 더욱 발전시켰다.
마사 피네모어는 웬트의 뒤를 이어 1996년 그녀의 책 ''National Interest in International Society''에서 "국제 규범 구조"가 세계 정치에서 중요하다는 구성주의적 주장을 지지하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경험적 논증을 제안했다.[110]
구성주의에는 여러 가닥이 있다.[111][112] 한편으로 널리 받아들여지는 방법론과 인식론을 사용하는 캐서린 시킹크, 피터 카첸스타인, Elizabeth Kier, 마사 피네모어, 알렉산더 웬트와 같은 "관습적"[113][114] 구성주의 학자들이 있다. 이들은 주류 정보검색 커뮤니티 내에서 받아들여지고 현실주의자, 자유주의자, 제도 주의자 및 구성주의자 사이에서 활발한 학술 토론을 일으켰다.
6. 비판
구성주의는 국제 관계의 주요 측면이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점을 강조하지만, 몇 가지 비판에 직면해 있다.
알렉산더 웬트를 중심으로 한 주류 구성주의는 인과적 설명과 구성적 설명 중심의 연구 방식을 채택하며, 웬트는 이를 "얇은" 구성주의라고 칭한다.[116] 이들은 실증주의적 방법론을 사용하며, 주류 학계 내에서 활발한 학술 토론을 이끌어냈다.[119]
그러나 비판적 시각에서는 전통적인 구성주의가 계급 요소를 경시하거나 생략한다고 지적한다.[115] 존 미어샤이머는 아이디어와 규범이 주변적인 역할만 하며, 지도자들의 규범과 도덕에 대한 호소는 종종 사리사욕을 반영한다고 주장한다.[131][132]
일부 연구자들은 "주류" 구성주의가 국제 관계에 대한 "과학적" 접근 방식을 추구하면서 사회 구성주의 이론의 중요한 통찰력을 포기했다고 비판한다.[101] 제프리 체켈과 같은 "주류" 구성주의자들조차도 이러한 점을 우려하며, 구성주의자들이 비구성주의 학파와의 연결에 지나치게 집중했다고 지적한다.[102]
또한, 일부 구성주의자들은 현재 이론이 세계 정치에서 습관적이고 무의식적인 행동의 역할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고 주장한다.[103] 이들은 피에르 부르디외와 같은 사회 이론가들과 신경 과학의 연구 결과에서 영감을 받아 습관과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104] [105]
6. 1. 감정 선택 이론의 비판
정서적 선택 이론의 지지자들은 구성주의적 접근 방식이 사회적 상호 작용, 규범적 행동, 그리고 일반적으로 의사 결정의 정서적 기초를 간과한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구성주의 패러다임이 일반적으로 의사 결정이 생각과 신념에 기초한 의식적인 과정이라는 가정에 기반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구성주의는 사람들이 숙고와 심의를 바탕으로 결정한다고 추정한다. 그러나 신경과학의 연구는 뇌 활동의 작은 부분만이 의식적 사고 수준에서 작동한다고 시사한다. 뇌 활동의 대다수는 무의식적 평가와 정서로 구성된다.[75]이러한 비평가들에 따르면, 의사 결정에서 정서의 중요성은 일반적으로 구성주의적 관점에 의해 무시되어 왔다. 더욱이 정서적 선택 이론가들은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이 정서의 생리적 역학을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정서를 모델에 통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주장한다. 심리학자와 신경학자들은 정서가 개인이 제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신체적 과정에 기초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정서는 사람들의 뇌 기능과 자율 신경계와 불가분하게 얽혀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표준 구성주의적 모델의 범위를 벗어난다.[76]
정서적 선택 이론은 정서의 사회적 측면뿐만 아니라 생리적이고 역동적인 특성을 포착하려고 한다. 이 이론은 정서가 규범적 행동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가정한다. 정서는 규범과 정체성에 의미를 부여한다. 사람들이 규범에 대해 강한 감정을 느낀다면, 그 규범을 특히 잘 따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정서적 수준에서 공감대를 잃은 규칙은 종종 규범적 힘을 잃게 된다. 정서적 선택 이론가들은 신경학의 최근 연구 결과가 인간이 일반적으로 생각하기 전에 느낀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지적한다. 따라서 정서는 그들로 하여금 구성주의적 "적절성의 논리"를 합리주의적 "결과의 논리"보다 우선시하게 하거나, 그 반대로 작용하게 할 수 있다. 정서는 또한 적절성의 논리에 스며들어 행위자들이 서로 다른 규범 사이에서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지 알려줄 수 있다.[77]
6. 2. 기타 비판
웬트와 같은 주류 구성주의자들은 비실증주의적 방법론과 인식론을 채택하는 "비판적" 급진적 구성주의자들과 달리, 인과적 설명과 구성적 설명 중심의 연구가 적절하다고 주장한다.[119] 웬트는 이러한 형태의 구성주의를 "얇은" 구성주의라고 부른다.[116]구성주의에 대한 비판적 시각으로는, 구성주의가 전통적인 구성주의자들이 계급 요소를 체계적으로 경시하거나 생략하도록 만든다는 점이 있다.[115]
이에 대한 반론으로 존 미어샤이머는 아이디어와 규범이 주변부에서만 중요하며, 규범과 도덕에 대한 지도자의 호소는 종종 사리사욕을 반영한다고 주장했다.[131][132]
스스로를 "구성주의자"라고 칭하지 않는 연구자 그룹은 "주류" 구성주의가 국제 관계의 "과학적" 접근 방식을 추구함으로써 언어론적 전환과 사회 구성주의 이론의 가장 중요한 통찰력의 많은 부분을 포기하고 있다고 주장한다.[101] 제프리 체켈과 같은 "주류" 구성주의자조차도 구성주의자들이 비구성주의 학파와 다리를 놓는 데 너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우려를 표명하기도 한다.[102]
일부 구성주의자들은 현재 이론이 세계 정치에서 습관적이고 비자성적인 행위의 역할에 부적절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주장한다.[103] 이들은 심리학 및 사회적 삶에서 습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회 이론가들과 신경 과학의 업적에서 시사점을 얻고 있다.[104] [105]
참조
[1]
웹사이트
Constructivism
https://www.oxfordha[...]
2018
[2]
서적
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3]
학술지
Anarchy is what States Make of it: The Social Construction of Power Politics
https://www.jstor.or[...]
1992
[4]
서적
Rationalism v. Constructivism: A Skeptical View
https://sk.sagepub.c[...]
SAGE
2002
[5]
학술지
The Promise of Constructivism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https://www.jstor.or[...]
1998
[6]
학술지
Power in International Politics
2005
[7]
서적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ies and Approaches, 4th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TRIP AROUND THE WORLD: Teaching, Research, and Policy Views of International Relations Faculty in 20 Countries
https://www.wm.edu/o[...]
[9]
학술지
Book Reviews: National Interests in International Society.By Martha Finnemore.
https://www.journals[...]
1997
[10]
학술지
What Makes the World Hang Together? Neo-utilitarianism and the Social Constructivist Challenge
[11]
웹사이트
http://www.palgrave.[...]
[12]
서적
Theoretical Pluralism in IR: Possibilities and Limits
https://sk.sagepub.c[...]
SAGE
2013
[13]
학술지
Duelling Constructivisms: A Post-Mortem on the Ideas Debate in Mainstream IR?IPE
https://www.cambridg[...]
2003-01
[14]
학술지
Institutions, Roles, and Disorder: The Case of the Arab States System
https://www.jstor.or[...]
1993
[15]
학술지
Norms, Institutions, and National Identity in Contemporary Europe
https://www.jstor.or[...]
1999
[16]
서적
Exploration and contestation in the study of world politics
MIT Press
2002
[17]
서적
The 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Inc.
[18]
서적
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19]
서적
Understanding International Relations
Palgrave Publishing
2005
[20]
서적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McGraw-Hill Higher Education
1979
[21]
학술지
Anarchy is What States Make of It: the Social Construction of Power Politics
1992
[22]
학술지
Anarchy is What States Make of It: the Social Construction of Power Politics
1992
[23]
서적
International Relations' Last Synthesis?: Decoupling Constructivist and Critical Approaches
https://global.oup.c[...]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3-25
[24]
학술지
Taking Stock: The Constructivist Research Program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Comparative Politics
2001
[25]
서적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9
[26]
서적
Why Leaders Lie: The Truth About Lying in International Politic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27]
학술지
The False Promise of International Institutions
https://www.jstor.or[...]
1994
[28]
문서
[29]
서적
National Interests In International Society
Cornell University Press
1996
[30]
서적
National Interests In International Society
Cornell University Press
1996
[31]
서적
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32]
서적
Regime Architecture: Elements and Principles
Brookings
1994
[33]
서적
The Logic of Appropriateness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34]
서적
The Culture of National Security: Norms and Identity in World Politic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6
[35]
서적
National Interests in International Society
Cornell University Press
1996
[36]
논문
International Norm Dynamics and Political Change
1998
[37]
서적
Norms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 Struggle against Apartheid
Cornell University Press
1995
[38]
서적
Nuclear Taboo: The United States and the Non-Use of Nuclear Weapons since 1945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39]
논문
Evolution without Progress? Humanitarianism in a World of Hurt
2009
[40]
논문
International Norm Dynamics and Political Change
https://www.jstor.or[...]
1998
[41]
논문
Which Norms Matter? Revisiting the "Failure" of Internationalism
https://www.jstor.or[...]
1997
[42]
논문
Why Comply? Social Learning and European Identity Change
https://www.jstor.or[...]
2001
[43]
서적
The Gentle Civilizer of Nations: The Rise and Fall of International Law 1870–1960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44]
논문
The Co-Constitution of Order
https://www.cambridg[...]
2021
[45]
서적
The Purpose of Intervention: Changing Beliefs About the Use of Force
https://www.jstor.or[...]
Cornell University Press
2003
[46]
논문
Reversing the Gun Sights: Transnational Civil Society Targets Land Mines
https://www.jstor.or[...]
1998
[47]
논문
Norms and Security: The Case of International Assassination
https://www.jstor.or[...]
2000
[48]
서적
Monitoring Democracy: When International Election Observation Works, and why it Often Fail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2
[49]
논문
Water and Warfare: The Evolution and Operation of the Water Taboo
2021
[50]
서적
The Power of Words in International Relations: Birth of an Anti-Whaling Discourse
https://books.google[...]
MIT Press
2008
[51]
논문
Sweden, Amnesty International and Legal Entrepreneurs in Global Anti-Torture Politics, 1967–1977
2021
[52]
서적
The Culture of National Securit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6
[53]
서적
State Sovereignty As Social Construc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54]
서적
National Collective Identit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9
[55]
서적
Revolutions in Sovereignty: How Ideas Shaped Modern International Relatio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1
[56]
서적
The Currency of Ideas: Monetary Politics in the European Union
Cornell University Press
1999
[57]
서적
Great Transformations: Economic Ideas and Institutional Change in the Twentie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58]
논문
Bridging the Gap: Towards a Realist-Constructivist Dialogue
2004
[59]
논문
Taking Preferences Seriously: A Liber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1997
[60]
논문
Hegemony, Equilibrium and Counterpower: A Synthetic Approach
2009
[61]
논문
Realism and the Constructivist Challenge: Rejecting, Reconstructing, or Rereading
2002
[62]
서적
Theorie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the Primacy of Anarchy: Explaining U.S. International Monetary Policy-Making after Bretton Wood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2
[63]
서적
Constructivism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 Politics of Re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64]
서적
International Politics and Inner Worlds: Masks of Reason Under Scrutiny
2017
[65]
논문
Social Constructivisms in Global and European Politics
2004
[66]
논문
Returning Practice to the Linguistic Turn: The Case of Diplomacy
2002
[67]
논문
Pragmatism as Ontology, Not (Just) Epistemology: Exploring the Full Horizon of Pragmatism as an Approach to IR Theory
http://doi.org/10.10[...]
2016
[68]
논문
Practice Theory and Relationalism as the New Constructivism
2016
[69]
서적
Social Construction of International Politics: Identities & Foreign Policies, Moscow, 1955 and 1999
Cornell University Press
2002
[70]
논문
The Logic of Practicality: A Theory of Practice of Security Communities
2008
[71]
논문
We have never been civilized: Torture and the Materiality of World Political Binaries
http://ejt.sagepub.c[...]
[72]
논문
Of parts and wholes: International Relations beyond the human
[73]
서적
Material Politics
Wiley-Blackwell
[74]
논문
Technological agency in the co-constitution of legal expertise and the US drone program
[75]
서적
Emotions and Neurosociology
Springer
[76]
서적
Descartes' Error: Emotion, Reason and the Human Brain
Avon Books
[77]
서적
Emotional Choices: How the Logic of Affect Shapes Coercive Diplomacy
Oxford University Press
[78]
논문
Whence Causal Mechanisms? A Comment on Legro
http://journals.camb[...]
[79]
서적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ies and Approaches, 3r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80]
논문
What Makes the World Hang Together? Neo-utilitarianism and the Social Constructivist Challenge
CUP
[81]
서적
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2]
서적
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3]
서적
Understanding International Relations
Palgrave Publishing
[84]
서적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McGraw-Hill Higher Education
[85]
논문
Anarchy is What States Make of It: the Social Construction of Power Politics
[86]
논문
Anarchy is What States Make of It: the Social Construction of Power Politics
[87]
논문
Anarchy is What States Make of It: the Social Construction of Power Politics
[88]
서적
(Back cover quote on Finnemore's book)
[89]
서적
National Interests In International Society
Cornell University Press
[90]
서적
National Interests In International Society
Cornell University Press
[91]
서적
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92]
서적
The Culture of National Security
Columbia University Press
[93]
문서
(Unspecified work)
[94]
서적
State Sovereignty As Social Construct
Cambridge University Press
[95]
서적
National Collective Identity
Columbia University Press
[96]
서적
Revolutions in Sovereignty: How Ideas Shaped Modern International Relatio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97]
서적
The Currency of Ideas: Monetary Politics in the European Union
Cornell University Press
[98]
서적
Great Transformations: Economic Ideas and Institutional Change in the Twentie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99]
논문
Bridging the Gap: Towards a Realist-Constructivist Dialogue
[100]
논문
Taking Preferences Seriously: A Liber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101]
서적
Constructivism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 Politics of Re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2]
논문
Social Constructivisms in Global and European Politics
[103]
논문
Returning Practice to the Linguistic Turn: The Case of Diplomacy
[104]
서적
Social Construction of International Politics: Identities & Foreign Policies, Moscow, 1955 and 1999
Cornell University Press
[105]
논문
The Logic of Practicality: A Theory of Practice of Security Communities
[106]
웹사이트
Constructivism
https://www.oxfordha[...]
2018
[107]
저널
Power in International Politics
https://www.cambridg[...]
2005
[108]
서적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ies and Approaches, 4th Edi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09]
웹인용
TRIP AROUND THE WORLD: Teaching, Research, and Policy Views of International Relations Faculty in 20 Countries
https://www.wm.edu/o[...]
[110]
저널
Book Reviews: National Interests in International Society.By Martha Finnemore.
https://www.journals[...]
1997
[111]
저널
What Makes the World Hang Together? Neo-utilitarianism and the Social Constructivist Challenge
https://archive.org/[...]
[112]
웹사이트
Theori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http://www.palgrave.[...]
[113]
저널
The Promise of Constructivism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https://www.jstor.or[...]
1998
[114]
웹사이트
https://sk.sagepub.c[...]
SAGE
[115]
저널
Duelling Constructivisms: A Post-Mortem on the Ideas Debate in Mainstream IR?IPE
https://www.cambridg[...]
2003-01
[116]
서적
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117]
저널
Institutions, Roles, and Disorder: The Case of the Arab States System
https://www.jstor.or[...]
1993
[118]
저널
Norms, Institutions, and National Identity in Contemporary Europe
https://www.jstor.or[...]
1999
[119]
웹사이트
https://sk.sagepub.c[...]
SAGE
[120]
서적
Exploration and contestation in the study of world politics
MIT Press
2002
[121]
서적
The 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Inc.
[122]
서적
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123]
서적
Understanding International Relations
Palgrave Publishing
2005
[124]
서적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McGraw-Hill Higher Education
1979
[125]
저널
Anarchy is What States Make of It: the Social Construction of Power Politics
1992
[126]
저널
Anarchy is What States Make of It: the Social Construction of Power Politics
1992
[127]
저널
Anarchy is what States Make of it: The Social Construction of Power Politics
https://www.jstor.or[...]
1992
[128]
서적
International Relations' Last Synthesis?: Decoupling Constructivist and Critical Approaches
https://global.oup.c[...]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3-25
[129]
저널
Taking Stock: The Constructivist Research Program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Comparative Politics
2001
[130]
서적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9
[131]
서적
Why Leaders Lie: The Truth About Lying in International Politic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132]
저널
The False Promise of International Institutions
https://www.jstor.or[...]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