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용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용서는 일제강점기 조선은행에서 근무했으며, 해방 후 한국은행 초대 총재, 대한석탄공사 총재, 한국산업은행 초대 총재를 역임한 인물이다. 부산 출신으로, 외할아버지는 조선귀족 송병준이며, 아버지 구연수는 조선총독부 경무관을 지냈다. 경성중학교와 도쿄상과대학을 졸업하고, 조선은행에서 근무하며 지점장으로 승진하기도 했다. 해방 후 한국은행 설립에 기여하고, 제1공화국 상공부 장관을 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원 구씨 - 구상찬
구상찬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18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문화체육부장관 비서관,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 중국 특사, 주상하이 대한민국 총영사 등을 지냈으나 이후 여러 차례 총선에서 낙선했다. - 창원 구씨 - 구종길
- 한국은행 총재 - 조순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인 조순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한국은행 총재, 민선 1기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하고 한나라당 국회의원을 지냈다. - 한국은행 총재 - 박승
박승은 1936년 출생하여 서울대학교와 뉴욕 주립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하고 한국은행 총재, 대통령 경제수석비서관, 건설부 장관 등을 역임하며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상공부 장관 - 주요한
주요한은 일제강점기 시인이자 언론인이자 정치인이며, 친일 행위로 인해 논란이 있으며, 국회의원과 상공부 장관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상공부 장관 - 정래혁
정래혁은 대한민국 육군 장교 출신 정치인으로,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여 군사혁명위원과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을 지냈고, 상공부 장관과 국방부 장관, 국회의원, 민주정의당 대표위원을 역임하는 등 군과 정계에서 활동했으나 부정축재 혐의와 실미도 사건 책임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
| 구용서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이름 | 구용서 |
| 한자 | 具鎔書 |
| 로마자 표기 | Gu Yongseo |
| 출생 | 1915년 |
| 사망 | 1984년 7월 21일 |
| 본관 | 창원 구씨 |
| 활동 | |
| 주요 활동 | 대한민국 제5대, 제6대 국회의원 |
| 소속 정당 | 민주당, 민정당 |
| 기타 | |
| 관련 인물 | 구성길 (시조) |
2. 생애
1942년 조선인 최초로 조선은행 지점장(여수지점)으로 승진했으나, 태평양 전쟁 발발 직후 문제에 휘말려 오사카 지점 서구 출장소로 좌천되어 그곳에서 일본의 항복을 맞았다.[5]
광복 후 1945년 일본인들이 떠난 조선은행에서 부총재로 승진했고,[3] 대학 후배인 백두진을 조선은행으로 불러들였다.[5] 조선은행이 한국은행으로 개편될 때 한국은행설립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아 개편 작업을 주도하여, 1950년 6월 한국 전쟁 직전에 설립된 한국은행 초대 총재에 취임했다. 1953년 대한석탄공사 총재를 거쳐, 1954년 조선식산은행을 모태로 삼아 설립된 한국산업은행 초대 총재를 맡았다.
제1공화국의 상공부 장관을 역임했다.[2][3]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899년 부산에서 출생했다. 외할아버지는 일본 정부로부터 조선귀족 작위를 받은 송병준이며, 아버지인 구연수는 조선총독부 소속 경무관과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지냈으므로, 유복한 가정 환경 속에서 자라났다.[5]어머니는 원예육종학자 우장춘의 어머니이자 민비시해에 가담했던 인물로 알려진 우범선의 아내인 사카이 나카의 친동생 사카이 와키이다.
일본인 자녀를 위해 설립된 학교인 경성부 경성중학교를 졸업한 뒤, 일본 도쿄상과대학(현재의 히토츠바시 대학)으로 진학했다. 1925년 동 대학을 졸업하고 조선은행에 입행했다.[2] 당시 조선은행 입행 동기 50명 중 유일한 조선인이었으며, 도쿄 지점에 배치되었지만, 급료, 승진, 배치 등에서 차별을 받았다.[5]
2. 2. 일제 강점기 경력
1899년 부산에서 출생했다. 외할아버지는 일본 정부로부터 조선귀족 작위를 받은 송병준이며, 아버지인 구연수는 조선총독부 소속 경무관과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지냈기 때문에, 유복한 가정 환경 속에서 자라났다.구용서의 어머니 사카이 와키는 원예육종학자인 우장춘의 어머니이자 민비시해에 가담했던 인물로 알려진 우범선의 아내인 사카이 나카의 친동생이다.
일본인 자녀를 위해 설립된 학교인 경성부 경성중학교를 졸업한 뒤, 일본 도쿄상과대학(현재의 히토츠바시 대학)으로 진학했다. 1925년 도쿄상과대학을 졸업하고 조선은행에 입행했다.[2] 동기 50명 중 유일한 조선인이었으며, 도쿄 지점에 배치되었지만 급료, 승진, 배치 등에서 차별을 받았다.[5]
1942년에는 조선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지점장으로 승진하여 여수 지점장을 역임했지만, 태평양 전쟁 발발 직후의 경계심 속에서 문제에 휘말려 오사카 지점 서구 출장소로 좌천되어 오사카에서 일본의 항복을 맞이했다.[5]
2. 3. 해방 이후 활동
1945년 일본인들이 떠난 조선은행에서 부총재로 승진했고,[3] 대학 후배인 백두진을 불러들였다.[5] 1950년 초대 한국은행 총재를 역임했다. 1953년 대한석탄공사 총재를 역임했다. 1954년 초대 한국산업은행 총재를 역임했다. 1958년 상공부 장관을 역임했다.[2][3]3. 가족 관계
어머니 사카이 와키는 우장춘의 어머니이자 민비시해에 가담했던 인물로 알려진 우범선의 아내인 사카이 나카의 친동생이다.[5][4]
4. 관련 인물
5. 비판 및 논란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칸으로 출력합니다.)
참조
[1]
웹사이트
창원구씨시조,구성길(仇成吉),창원구씨조상인물
https://www.sungssi.[...]
2017-12-29
[2]
논문
「帝国」の大学に学んだ朝鮮人学生
https://catalog.lib.[...]
[3]
뉴스
대한민국 제1호 한국은행 총재 구용서(具鎔書) 총재 6·25 피란지서 새 화폐발행
https://www.chosun.c[...]
朝鮮日報
2010-03-19
[4]
간행물
日 本 鑛 業 會 誌 第 參 百 九 拾 壹 號
https://www.jstage.j[...]
[5]
웹사이트
중앙은행 오디세이 <23> 선망과 좌절의 일터 식민지 조선은행 직원들-‘조센징’ 차별 딛고 대한민국 기둥으로
https://www.bok.or.k[...]
[6]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