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나암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나암성은 고구려가 국내성으로 천도한 후 적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국내성에서 가까운 산에 축조한 산성이다. 처음에는 위나암성으로 불렸으며, 이후 환도성으로 이름이 바뀌어 고구려의 도읍으로 사용되었다. 위나라와 선비족의 침략으로 여러 차례 함락과 재건을 겪었으며, 342년 전연의 모용황에 의해 파괴되었다. 현재는 중국 지린성 지안시에 위치하며, 성벽의 일부만 남아있다. 국내성과 함께 고구려의 도성을 이루었으며, 전략적 요충지로서 적의 움직임을 감시하는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퉁화시의 건축물 - 광개토대왕릉비
광개토대왕릉비는 414년에 고구려 장수왕이 아버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으로, 고구려 역사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록하여 고구려사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 퉁화시의 건축물 - 국내성
국내성은 고구려의 두 번째 수도로, 중국 지린성 지안시에 위치하며, 유리왕 때 수도로 정해져 광개토대왕 시기 영토 확장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장수왕 때 평양으로 천도하기 전까지 고구려의 주요 도시였고, 연개소문의 아들 연남생이 항복하면서 함락되었다. - 중국의 성 - 안시성
안시성은 고구려의 요충지로 요하 유역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645년 당나라와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고구려 멸망을 늦추는 데 기여했지만, 이후 당나라에 함락되었고 현대 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 중국의 성 - 오녀산성
오녀산성은 고구려의 첫 도읍지로 추정되는 산성으로, 훈강 유역 해발 200m 절벽 위에 위치하며,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석성 - 평양성 (고구려)
평양성은 고구려가 수도를 옮긴 후 수도 역할을 한 성곽으로, 외성, 중성, 내성, 북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려 시대 서경, 조선 시대 평안도 핵심 성으로 기능했고 현재는 북한에서 문화재로 관리된다. - 석성 - 국내성
국내성은 고구려의 두 번째 수도로, 중국 지린성 지안시에 위치하며, 유리왕 때 수도로 정해져 광개토대왕 시기 영토 확장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장수왕 때 평양으로 천도하기 전까지 고구려의 주요 도시였고, 연개소문의 아들 연남생이 항복하면서 함락되었다.
위나암성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지린성, 중국 |
구성 유적 | 고구려 수도와 고분군 |
유네스코 ID | 1135-003 |
등재 연도 | 2004년 |
면적 | 3,219.21 헥타르 |
중국어 | |
간체자 | 丸都城 |
병음 | Wándū Shān Chéng |
웨이드-자일스 | Wan-tu Shan Ch'eng |
한국어 | |
한글 | 위나산성 |
한자 | 尉那山城 |
로마자 표기 | Hwando San Seong |
매큔-라이샤워 표기 | Hwando San Sŏng |
![]() |
2. 역사
고구려가 국내성으로 수도를 옮긴 서기 3년(유리왕 22년), 적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쌓은 산성이 尉那巖城|위나암성중국어이다. 삼국사기에는 위나암성(尉那巖城) 또는 위나야성(尉那也城)으로 기록되어 있다.
197년 고구려 산상왕 원년에 공손탁이 고구려를 침략하자, 198년에 위나암성을 증축하고 '''환도성'''(丸都城)이라 하였다.[6] 산상왕 13년(209년)에 환도로 도읍을 옮겼다.[7]
246년 고구려 동천왕 20년에 위나라 유주자사 관구검이 침공하여 환도성을 함락시켰다.[8] 247년 동천왕 21년에 왕은 환도성이 전란으로 도읍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 평양성(平壤城, 현재의 평양이 아닌 다른 곳)을 쌓고 백성과 종묘사직을 옮겼다.[9]
342년 고국원왕 12년에 왕이 환도성으로 거처를 옮겼다.[10][11] 그해 겨울, 전연의 모용황이 4만 병력을 이끌고 고구려를 침략, 고국원왕의 어머니 주씨(周氏)와 왕비를 사로잡고, 미천왕의 무덤을 파서 그 시신을 가져갔다. 또한 보물을 약탈하고 남녀 5만여 명을 포로로 잡았으며, 궁궐을 불태우고 환도성을 파괴했다.[12]
2. 1. 초기 역사
서기 3년(유리왕 22년), 고구려는 국내성으로 수도를 옮기면서 적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인근 산에 위나암성(尉那巖城)을 쌓았다.[3] 《삼국사기》에는 위나암성(尉那巖城) 또는 위나야성(尉那也城)으로 기록되어 있다.고구려 산상왕 원년인 197년, 공손탁이 고구려를 침략하자 이듬해인 198년에 위나암성을 대대적으로 증축하고 '''환도성'''(丸都城)이라 이름을 바꾸었다.[6] 산상왕 13년(209년)에는 환도로 도읍을 옮겼다는 기록이 있다.[7]
고구려 동천왕 20년(246년), 위나라의 유주자사 관구검이 침공하여 환도성이 함락되었다.[8] 고구려-위 전쟁으로 이어진 이 침략으로 고구려는 큰 피해를 입었다. 동천왕 21년(247년)에 왕은 환도성이 전란으로 인해 더 이상 도읍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평양성(平壤城, 현재의 평양이 아닌 다른 곳)을 쌓고 백성과 종묘사직을 옮겼다.[9]
고국원왕 12년(342년)에 왕이 환도성으로 거처를 옮겼다.[10][11] 그해 겨울, 전연의 모용황이 4만 병력을 이끌고 고구려를 침략하여 고국원왕의 어머니 주씨와 왕비를 사로잡고, 미천왕의 무덤을 파헤쳐 시신을 가져갔다. 또한 보물을 약탈하고 남녀 5만여 명을 포로로 잡았으며, 궁궐을 불태우고 환도성을 파괴했다.[12] 이로써 고구려는 큰 타격을 입었으나, 313년 낙랑군을 정복하여 한반도에서 중국 세력을 몰아내는 등 꾸준히 세력을 확장해 나갔다.[4]
2. 2. 위나라와의 전쟁
197년 공손탁이 고구려를 침략하자, 이듬해인 198년에 위나암성을 전면적으로 증축하고 '''환도성'''(丸都城)이라 하였다.[6]산상왕 13년(209년)에 환도(丸都)로 도읍을 옮겼다.[7]
242년 고구려 동천왕은 압록강 하구 근처의 중국 요새를 공격하여 고구려-위 전쟁으로 이어졌고, 244년 위는 고구려를 침략하여 환도를 함락시켰다.[4] 동천왕 20년(246년)에 위(魏) 유주자사(幽州刺史) 관구검(毋丘儉)이 군대를 이끌고 다시 침공해 와, 환도성을 함락시켰다.[8] 동천왕 21년(247년)에 왕이 환도성은 전란을 겪어 다시 도읍으로 삼을 수 없다고 하여, 평양성(平壤城)을 쌓고 백성과 종묘와 사직을 그곳으로 옮기며, 환도성을 떠났다.[9]
2. 3. 선비족의 침입과 고구려의 재건
197년 고구려 산상왕은 공손탁의 침략을 받은 후, 198년에 위나암성을 크게 증축하고 '''환도성'''(丸都城)이라 이름 붙였다.[6] 산상왕 13년(209년)에는 환도성으로 도읍을 옮겼다.[7]242년 고구려 동천왕은 압록강 하구 근처의 중국 요새를 공격하여 고구려-위 전쟁이 일어났고, 244년 위나라가 고구려를 침략하여 환도성을 함락시켰다.[4] 동천왕 20년(246년)에는 위나라 유주자사 관구검이 군대를 이끌고 침공하여 환도성을 함락시켰다.[8] 동천왕은 환도성이 전쟁으로 파괴되어 다시 도읍으로 삼을 수 없다고 판단하여, 247년 평양성(현재의 평양이 아니라 通溝 부근의 특정 지역)을 쌓고 백성과 종묘사직을 옮겼다.[9]
고구려는 313년 낙랑군을 정복하여 한반도에서 중국 세력을 몰아냈지만, 북중국을 정복한 몽골계 선비족의 저항에 직면했다. 341년 선비족의 모용씨가 고구려를 공격하여 환도성을 함락시키고 수천 명의 포로를 잡아갔다.[4] 고국원왕 12년(342년)에는 전연의 모용황이 4만 군사를 이끌고 고구려를 침략하여, 고국원왕의 어머니 주씨와 왕비를 사로잡고 미천왕의 무덤을 파헤쳐 시신을 가져갔다. 또한 보물을 약탈하고 남녀 5만여 명을 포로로 잡았으며, 궁궐을 불태우고 환도성을 파괴한 뒤 돌아갔다.[12]
3. 특징
위나암성은 중국 지린성[吉林省] 지안 서북쪽 2.5km 지점의 해발 676m 환도산에 위치하고 있는데, 현재는 성벽 대부분이 허물어지고 남측 성벽과 망대의 일부만 남아있다. 고구려 유리왕이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천도하면서 고구려의 도성은 평지성과 산성이 한 조(組)를 이루어 조성되었다. 국내성은 평상시에 거주하는 평지성이었고, 위나암성은 전시 때 사용하는 산성이었다.
위나암성은 뒤로 가파른 산능선을 두르고 있고 앞에는 퉁거우 강[通溝河]이 흐르고 있어 전략적 요충지로 평가된다. 또한 국내성과 압록강이 내려다보여 적의 움직임을 한눈에 관찰할 수 있다. 적의 공격을 받았을 때 공격로는 남문 한 곳뿐이었다. 성벽 둘레는 약 7km이고, 동쪽 성벽 높이는 6m이다.
4. 갤러리
참조
[1]
AV media
Complex of Koguryo Tombs (UNESCO/NHK)
https://whc.unesco.o[...]
UNESCO
2010
[2]
웹사이트
Capital Cities and Tombs of the Ancient Koguryo Kingdom
https://whc.unesco.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21-04-10
[3]
간행물
Volume 13
http://147.46.181.11[...]
2008-05-28
[4]
서적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10-29
[5]
웹사이트
Capital Cities and Tombs of the Ancient Koguryo Kingdom (UNESCO, 1992-2023)
https://whc.unesco.o[...]
[6]
서적
삼국사기
[7]
서적
삼국사기
[8]
서적
삼국사기
[9]
서적
삼국사기
[10]
서적
삼국사기
[11]
서적
삼국사기
[12]
서적
삼국사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