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민 정체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 정체성은 한 국가의 국민들이 공유하는 특징, 즉 역사, 문화, 언어, 가치관 등을 통해 형성되는 사회적 개념이다. 이러한 정체성은 국가 상징, 역사적 기억, 법적 권리, 경제 시스템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구성되며, 본질주의, 구성주의, 시민 정체성 등 다양한 관점에서 정의된다. 국민 정체성은 개인의 소속감, 자부심, 사회 통합에 기여하며, 외부의 위협이나 내부의 갈등 상황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러나 민족 정체성과의 갈등, 이민 문제, 세계화의 영향 등 다양한 도전 과제에 직면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민 정체성 - 범유럽주의
    범유럽주의는 제1차 세계 대전 후 유럽 통합을 추구하며 등장한 사상으로, 유럽의 공유된 역사와 가치에서 정체성을 찾고 유럽 통합 운동과 유럽 연합 결성에 사상적 기반을 제공했지만, 역사적 분열과 정체성 정의에 대한 과제를 안고 있다.
  • 국민 정체성 - 중화민족
    중화민족은 중국에서 민족 통합과 결속을 위한 이념적 기반으로 활용되지만, 역사 왜곡 및 소수 민족 문제와 관련된 논쟁을 야기하는 개념이다.
국민 정체성
지도 정보
개요
정의한 국가 또는 한 민족에 대한 소속감 또는 정체성
사회 정체성 이론사회 정체성 이론에 따르면, 개인은 자신이 속한 집단에 대한 소속감을 느끼고, 그 집단과 자신을 동일시하려는 경향이 있음.
주요 특징공동의 역사
문화
언어
가치관
상징
형성 요인사회화 과정
교육
미디어
정치적 상황
영향집단 내 응집력 강화
외부 집단과의 차별화
애국심과 민족주의 고취
사회적 갈등 및 차별의 원인
국가 정체성의 요소
공유된 문화적 요소언어
종교
전통
관습
예술
문학
공유된 역사적 요소역사적 사건
건국 신화
영웅 이야기
국가적 기념일
지리적 요소국토
영토
자연환경
정치적 요소국가 제도
법률
정치적 이념
시민권
경제적 요소경제 시스템
산업
직업
경제적 발전 수준
사회적 요소사회 계층
인종
성별
세대
국가 정체성과 사회적 관계
사회적 정체성과 내집단 편애집단 간 갈등의 원인
자신과 유사한 사람들에 대한 호감 증가
외집단에 대한 차별 및 부정적인 평가
국가 정체성과 갈등민족주의와 집단 간 갈등 발생 가능성
다문화 사회에서 갈등 발생 가능성
국가 정체성과 협력공동 목표 달성 위한 집단 협력 가능성
국제 협력의 기반이 되기도 함
국가 정체성의 변화
사회 변화세계화
이주
기술 발전
가치관 변화
정치 변화국가 통합
국가 분열
정치적 이념 변화
문화 변화문화 교류
문화 혼합
문화적 갈등
정체성 변화국가 정체성에 대한 인식 변화
다중 정체성 형성
국가 정체성과 교육
학교 교육국가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
역사 교육, 국어 교육 등 국가 정체성 강화 교육
애국심과 국가에 대한 충성심 고취
교과서국가적 정체성 형성에 영향
국가적 가치, 역사, 문화 등을 담고 있음
사회 심리학적 관점
사회 정체성 이론앙리 타지펠과 존 터너가 제시한 이론
개인은 자신이 속한 사회 집단의 구성원임을 인식
집단 정체성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
자긍심소속 집단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통해 자긍심을 얻음
내집단 편애 및 외집단 차별로 이어질 수 있음
집단 간 갈등집단 간 경쟁과 차별이 갈등의 원인이 됨
소속 집단에 대한 충성심이 지나치면 갈등 심화
관련 개념
민족민족은 공통의 문화, 언어, 역사, 혈통 등을 공유하는 집단
민족주의민족주의는 자신의 민족을 다른 민족보다 우월하게 여기고, 민족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이념
애국심애국심은 자신의 국가에 대한 사랑과 충성심
시민권시민권은 국가 구성원으로서의 법적 지위와 권리
정체성정체성은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한 인식과 이해
소속감소속감은 특정 집단에 속해 있다는 느낌
참고 문헌
참고 문헌헨리 타지펠, 존 C. 터너 저. "집단 간 행동의 사회 정체성 이론."
앤서니 D. 스미스 저, "국가 정체성"
몬세라트 기베르나우 저, "국가와 국가 정체성에 관한 앤서니 D. 스미스: 비판적 평가"
이윤미 저, "현대 교육, 교과서, 국가 이미지: 한국 교육의 정치와 근대화, 민족주의"
리처드 D. 애쉬모어, 리 저심, 데이비드 와일더 편집, "사회 정체성, 집단 간 갈등 및 갈등 감소"

2. 국가 정체성의 형성

국가 정체성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된다는 점에는 합의된 정의가 없다.[9][10] 국가 정체성은 국가 상징, 국어, 국기, 국가의 역사, 혈연, 문화, 음악 등 일상생활 속 '공통점'을 통해 형성된다.[11][34] 사람들은 다양한 사회적 영향 아래에서 자신의 국가 정체성과 일치하는 신념, 가치관, 가정, 기대를 받아들임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에 국가 정체성을 통합한다.[34]

노르웨이인들이 국경일을 기념하고 있다


2004년 1월 7일 레조 에밀리아에서 열린 삼색기의 날 기념식에서 이탈리아 전 대통령 카를로 아젤리오 치암피가 최초의 이탈리아 국기인 치스파다나 공화국의 깃발에 경의를 표하고 있다


미국 국기는 국가 상징의 하나이다


국가 정체성을 정의하는 주요 학파는 세 가지이다.

  • 본질주의자: 국가 정체성을 조상, 공통 언어와 역사, 민족, 세계관에 기반한 고정된 것으로 본다.
  • 구성주의자: 사회에서 특권적 지위를 얻고 유지하기 위한 지배 집단의 정치와 권력 행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시민 정체성 학파: 권리에 대한 공유된 가치와 국가 기관 통치의 정당성에 초점을 맞춘다.


일부 학자들은 대중문화와 정체성 형성 과정의 연관성을 연구했으며, 현대 음악 장르가 민족적 자부심을 높여 민족 정체성을 강화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17]

'''국민의식'''은 공유된 국가 정체성[31]과 공통된 민족, 언어, 문화적 배경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집단이라는 공유된 이해를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국민의식 고양은 국가 건설의 첫 단계였다.

유럽과 아메리카의 국가 정체성은 국민에게 주어지는 정치적 주권 개념과 함께 발전했으며, 동유럽에서는 종종 민족, 문화와도 관련 있었다.[31] 민족주의는 국민의식, 즉 국가적 공동체에 대한 인식을 필요로 한다.[33] 국민의식 각성은 종종 민족 영웅과 국가 상징에 기인한다.

국가 정체성은 집단적 산물로 간주될 수 있다.[34] 사회화를 통해 신념, 가치, 가정, 기대 체계가 집단 구성원에게 전달되며,[20] 국가 정체성의 집단적 요소에는 국가 상징, 전통, 국가 경험 및 업적에 대한 기억이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요소들은 국가 역사에 뿌리를 두고 있다.

2. 1. 개념화

국가 정체성은 자신을 특정 국가의 구성원으로 인식하고, 그 국가에 대한 소속감과 애착을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1] 이는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구성되며,[9] 국가 상징, 국어, 국기, 역사, 문화, 음악 등 일상생활 속 '공통점'을 통해 형성된다.[11][34] 사람들은 이러한 요소를 받아들여 자신의 정체성에 국가 정체성을 통합한다.[34]

정치학자 루퍼트 에머슨(Rupert Emerson)은 국민 정체성을 "자신이 하나의 국가라고 느끼는 사람들의 집단"으로 정의했다.[18] 사회심리학자 앙리 타이펠(Henri Tajfel)은 사회정체성 이론을 통해 국민 정체성의 개념화에는 자기 범주화와 정서가 모두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자기 범주화는 자신을 국가 구성원으로 보는 것이고, 정서는 소속감이나 국가에 대한 애착과 같은 감정을 의미한다.[1]

국민 정체성은 자기 범주화 과정을 통해 내집단(자신의 국가)과 외집단(다른 국가)을 구분하게 한다. 사람들은 공통점을 인식하여 내집단을 형성하고, 다른 국가와 동일시하는 사람들을 외집단으로 본다.[20] 사회정체성 이론은 국가 동일시와 외집단 비하 사이에 긍정적인 관계가 있다고 보지만,[1][21] 여러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계가 항상 성립하는 것은 아니라고 밝히고 있다.[22]

국민 정체성은 국가에 대한 자부심, 애정, 시민에 대한 의무감 같은 감정을 불러일으킨다.[23] 국가적 자부심과 예외성에 대한 인식은 여러 민족 집단 간의 조화에 기여하기도 한다.[24]

국제법 관점에서 주권 국가 정체성은 조약으로 변경할 수 없으며, 이를 침해하는 조약은 강행규범 위반으로 무효가 될 수 있다. 주권 국가 정체성의 박탈이나 개정은 민족말살로 간주될 수 있다.[53]

국민 정체성은 국민이 공통적으로 인식하는 특징에 의해 구성되며,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특징
역사적인 영토 또는 특정 지역에 존재했던 고국
공통의 신화와 역사적 기억
공통의 대중적·공적인 문화
모든 구성원에게 적용되는 공통의 법적 권리와 의무
구성원에게 적용되는 영역적인 이동이 가능한 공통의 경제



일반적으로 자국을 단일 민족 국가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 국가에서는 민족적 정체성(민족 소속 의식)과 국가 정체성이 동일시되기 쉽지만, 두 개념을 구분하는 것이 항상 쉬운 것은 아니다.

2. 2. 관점

베네딕트 앤더슨은 국가를 '상상된 공동체'로 보았다. 이는 국가가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자신을 특정 집단의 일원으로 여기는 개인들로 이루어진다는 개념이다.[35] 앤더슨은 국가는 누가 내부에 속하고 누가 외부에 속하는지에 대한 경계 때문에 한정되며, 배제를 통해 작동한다고 보았다. 즉, 외부인뿐만 아니라 집단적 개념에 즉시 포함되지 않는 구성원들도 배제한다는 것이다.[35] 앤더슨은 국가는 한정될 뿐만 아니라, 문화, 민족성 등을 통해 타인에 대해 설정하는 정신적 경계, 그리고 전통적인 종교적 관행으로부터의 자유를 상징하는 주권적인 특징을 갖는다고 생각했다.[36]

어니스트 겔너는 앤더슨과 달리 민족이 '상상된 공동체'가 아니라고 생각했다. 그는 민족이 산업혁명과 민족주의의 산물인 근대적인 구성물이라고 보았다.[37] 겔너는 산업혁명으로 인해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도시에 모여들면서 공유된 정체성이 필요해졌고, 자본주의의 확산으로 끊임없는 재교육이 요구되면서 공유된 과거, 공통 문화, 언어가 만들어졌고, 이것이 민족의 탄생으로 이어졌다고 주장했다.[37]

폴 길버트는 국가가 다양한 측면을 지닌 집단이라고 정의했다. 그는 국가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40]

  • 스스로를 하나의 국가로 여기는 사람들의 집단 (명목주의적)
  • 공통의 의지로 결합된 사람들의 집단 (의지주의적)
  • 동일한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집단 (영토적)
  • 동일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집단 (언어적)
  • 동일한 가치관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집단 (가치관적)
  • 공통의 역사와 목표를 가진 사람들의 집단 (목표 지향적)

3. 국가 정체성의 중요성

국가 정체성은 사회 통합, 국가적 자부심, 국제 관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가 정체성은 타고난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구성되며,[9] 국가 상징, 국어, 국기, 역사, 문화, 음악 등 일상생활의 "공통점"에서 비롯된다.[11][34] 사람들은 사회적 영향 아래 국가 정체성과 일치하는 신념, 가치관 등을 받아들여 자신의 정체성에 통합한다.[34]

국가 정체성을 정의하는 주요 학파로는 본질주의, 구성주의, 시민 정체성 학파가 있다. 본질주의는 국가 정체성을 조상, 공통 언어와 역사, 민족, 세계관에 기반한 고정된 것으로 본다. 구성주의는 사회에서 특권적인 지위를 얻고 유지하기 위한 지배 집단의 정치와 권력 행사의 중요성을 믿었다. 시민 정체성 학파는 권리에 대한 공유된 가치와 국가 기관의 통치에 대한 정당성에 초점을 맞춘다.

정치학자 루퍼트 에머슨은 국가 정체성을 "자신이 하나의 국가라고 느끼는 사람들의 집단"으로 정의했다.[18] 사회정체성 이론에서는 국가 정체성의 개념에 자기 범주화와 정서가 모두 포함된다고 본다. 자기 범주화는 국가와 자신을 동일시하는 것이고, 정서적 부분은 소속감이나 국가에 대한 정서적 애착을 의미한다.[1]

국가 정체성은 국가가 외부 또는 내부의 [4]이나 자연재해[25]에 직면할 때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9·11 테러 이후 미국에서 애국심과 국가 정체성이 고조된 것을 들 수 있다.[26][27]

3. 1. 사회 통합

국가 정체성은 사회 구성원들을 하나로 묶어주고, 사회적 갈등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다양한 민족 집단을 미국인이라는 포괄적인 정체성으로 통합함으로써, 사람들은 공유된 국민적 자부심과 미국에 대한 소속감이라는 공통된 감정으로 하나가 되어 민족 갈등을 완화하는 경향이 있다.[24]

사회학자 앤서니 스미스는 국가 정체성이 세대를 거쳐 전승되고 지속될 수 있는 연속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공통의 기원과 공통의 운명에 대한 신화를 표현함으로써 국민의 국가 소속감이 강화된다.[20]

3. 2. 국가적 자부심

국가 정체성은 국가에 대한 자부심과 애정을 불러일으키며, 이는 시민으로서의 의무감으로 이어진다.[23] 국가적 자부심과 국가의 특별함에 대한 인식은 여러 민족 집단 간의 화합에 기여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다양한 민족 집단을 미국인이라는 포괄적인 정체성으로 통합함으로써, 사람들은 공유된 국민적 자부심과 미국에 대한 소속감이라는 공통된 감정으로 하나가 되어 민족 갈등을 완화하는 경향이 있다.[24]

3. 3. 국제 관계

국가 정체성은 국제 사회에서 국가의 위상을 높이고, 다른 국가와의 관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가는 외부의 적[4]이나 자연재해[25]에 직면했을 때 국가 정체성이 강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9·11 테러 이후 미국에서는 애국심과 국가 정체성이 고조되었다.[26][27]

사람들은 내집단(자신의 국가)과 외집단(다른 국가)을 구분함으로써 국가 정체성을 형성한다. 자신의 국가와 동일시하는 사람들은 집단 간 비교를 통해 외집단을 비하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1][21] 그러나 여러 연구에서 국가 정체성과 외집단 비하는 반드시 연결되는 것은 아님을 보여준다.[22]

국제법 관점에서 주권 국가의 정체성은 조약으로 변경될 수 없으며, 이를 침해하는 국제 조약은 강행규범 위반으로 무효가 될 수 있다. 비엔나 조약법 협약 제53조는 조약 체결 당시 국제법의 강행규범에 위배되면 무효라고 명시하고 있다. 주권 국가 정체성을 박탈하거나 변경하는 것은 민족말살로 간주될 수 있다.

4. 국가 정체성의 도전 과제

국가 정체성은 민족 정체성, 이민, 세계화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도전을 받을 수 있다.

국가 정체성은 외부 또는 내부의 [4]과 자연재해[25]에 직면할 때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9·11 테러 이후 미국에서는 애국심과 국가 정체성이 고조되었다.[26][27] 테러 공격 이후 미국인이라는 정체성이 부각되고 미국의 국가 정체성이 환기되었다.[8] 이처럼 공통의 위협이나 목표는 국민을 하나로 묶고 국가 정체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28]

그러나 국가 정체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라질 수 있으며, 여러 국가의 사람들을 포함하는 더 포괄적이고 더 큰 집단과의 동일시를 의미하는 초국가적 정체성에 의해 도전받을 수 있다.[29]

4. 1. 민족 정체성과의 갈등

다양한 민족 집단이 공존하는 국가에서는 민족 정체성과 국가 정체성이 충돌할 수 있다.[41] 이러한 갈등은 일반적으로 민족주의 갈등으로 불린다. 잘 알려진 민족주의 갈등 중 하나는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와 원주민 사이의 갈등이다.[42]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와 다수 문화는 유럽 기반의 문화적 가치와 영어를 국어로 하는 등 다수를 지지하는 정책과 틀을 강요했다. 정부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문화와 언어를 지지하지 않았고, 20세기 동안 거의 근절되었다. 이러한 갈등으로 인해 원주민들은 오스트레일리아인이라는 국가 정체성과 덜 동일시하거나 동일시하지 않지만, 그들의 민족 정체성은 중요하다.[43]

브리즈번에서 시위하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4. 2. 이민 문제

이민이 증가함에 따라 많은 국가들은 국가 정체성을 구축하고 이민자들을 수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44] 일부 국가들은 이민자들이 자신들의 거주 국가에 대한 소속감을 키울 수 있도록 장려하는 측면에서 더 포용적이다. 예를 들어, 캐나다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영주권 이민율을 보이고 있다. 캐나다 정부는 이민자들이 캐나다에 대한 소속감을 키울 수 있도록 장려하고 있으며, 캐나다에서 태어난 사람들과 이민자들을 모두 포함하는 더 포괄적인 국가 정체성 개념을 육성해 왔다.[45] 러시아는 1990년대와 1998년 이후 두 차례의 대규모 이민 유입을 경험했는데, 이민자들은 러시아 국민들에게 부정적으로 인식되어 "환영받지 못하고 폭력적인 손님"으로 여겨졌다. 이민자들은 외부인으로 간주되어 러시아에 대한 소속감이라는 국가 정체성을 공유하는 것에서 배제되었다.[46]

국가 정체성은 국민(혹은 퀘벡주와 같은 지역에서는 지역 주민)이 공통적으로 인식하는 특징에 의해 구성되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 있다.

특징
역사적인 영토 또는 특정 지역에 존재했던 고국
공통의 신화와 역사적 기억
공통의 대중적·공적인 문화
모든 구성원에게 적용되는 공통의 법적 권리와 의무
구성원에게 적용되는 영역적인 이동이 가능한 공통의 경제



자국을 단일 민족 국가로 인식하는 경향이 일반적인 국가에서는, 인류학적 개념으로서의 민족적 정체성(민족 소속 의식, 민족적 정체성)과 정치학적 개념으로서의 국가 정체성의 두 개념이 동일시되기 쉽다. 그 외의 경우에도, 민족적 정체성과 국가 정체성을 구분하는 것은 반드시 용이하지 않다. 또한, 민족적 정체성과 마찬가지로, 국가 정체성의 강도는 시대·지역·개인 등에 따라 다양하다.

민족적 정체성은 그 사람의 조상(또는 그 일부)이나 성장한 민족적 환경에 의해 결정되며, 대체로 불변이다. 반면 국가적 정체성은 변할 수 있다. 이민자가 수용국의 문화에 동화되는 과정에서 그 나라에 귀화하면서 그 사람의 국가적 정체성이 특히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개인의 국가적 정체성의 변화는 수용국과 이민자 자신의 각각의 문화적·사상적 배경에 따라 성공 여부가 좌우된다. 또한 그 시대의 이민 수용 규모도 중요한 요소이다. 이민자가 많을수록 "집중 거주화"가 진행되어 기존 문화에 대한 동화가 어려워진다.

서구 여러 나라에서는 주로 198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발생한 아프리카중동, 또는 여러 구(舊) 식민지 출신의 대량 이민으로 인해 각국의 동화 정책이 기능 불능에 빠진 후 "다문화 공존"(multicultural coexistence)으로 방향을 전환했다.

다문화 공존 정책하에서는 기존 문화에 대한 동화가 애초부터 요구되지 않는다. 다문화주의에 기반하여 여러 민족 또는 국내외 문화를 포괄하는 새로운 국민 통합성의 성립이 가능하다고 여겨진다. 더 나아가 이문화를 유지한 채 이민자에게도 국적 취득의 기회가 주어진다. 이들 비유럽계 이민자와 그 자손의 대부분은 서구에 정착하고 있으며, 영주권 또는 국적을 가지고 있다. 대략 각국의 국적법규는 혈통주의에 기반하지 않으므로, 이민 2세 이후는 거의 자동적으로 국적이 부여된다. 더욱이 이민 1세대가 국적을 취득하는 경우도 많다(서구 여러 나라는 중복 국적을 인정하고 있어 국적 취득 시 종전 국적을 이탈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민 1세대도 국적 취득을 희망하는 사람이 많다). 그것이 대규모로 이루어지는 경우, 국민 통합을 유지하기 위해 국가적 정체성을 재정의해야 한다. 즉, 기존의 국가적 정체성을 단기간에 크게 변화시켜야 한다.

다문화 공생의 추진과 함께 기존 국민의 주체적인 문화(그 국민 특유의 전통문화와 대중문화)를 포기하거나 부정하는 풍조가 생겨나고 있다. 하지만, 국가 정체성 재정립에 대한 반발도 일어나고 있다(우파 포퓰리즘 참조). 프랑스의 정치학자 제롬 푸르케[60]에 따르면, 국민의 결속이 이미 상당한 정도로 상실되어 있으며, 국가 정체성을 둘러싼 문제는 매우 심각하고 복잡한 사회 문제로 변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건국 이래 말레이계, 중국계, 인도계가 각각 큰 지위를 차지하면서도 서로 크게 융합하지 않고, 각각의 민족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공통의 싱가포르 국민이라는 국가 정체성을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다문화 공생의 성공 사례로 자주 거론되지만, 싱가포르는 도시 국가라는 매우 작은 면적에 더하여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극히 높다는 특수한 환경이다. 또한, 강력한 경찰 권력 위에 싱가포르의 다민족 평화 공존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참고로, 건국 이래 싱가포르 인구를 구성해 온 상기 3개 민족 이외의 이민자도 어느 정도 싱가포르에 와 있지만, 이민자 관리가 매우 엄격하며, 싱가포르가 건국 민족 이외의 민족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정책을 취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4. 3. 세계화의 영향

세계화는 국가 간의 문화 교류, 교육, 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교류를 증진시킨다.[47] 사람들은 국경을 넘어 다른 문화를 접하고, 새로운 경험을 하며, 다양한 생활 방식을 추구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공통된 가치와 경험이 확산되고, 세계 공동체와의 일체감이 강화된다.[48] 이에 따라, 일부 사람들은 자신을 특정 국가의 국민보다는 세계 시민으로 인식하는 세계주의적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49]

하지만, 세계화는 특정 국가 시민으로서의 소속감과 중요성을 약화시켜 국민 정체성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50] 일부 연구에 따르면, 한 국가가 세계화될수록 애국심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는데, 이는 세계화 심화가 자국에 대한 충성심과 헌신 의지 약화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47][51][52]

그러나, 터키와 같이 중요한 지리적 위치와 국제 무역 경험을 가진 국가에서도 여전히 자국 상품을 선호하는 민족 중심주의적 경향이 나타난다.[53] 터키 소비자들은 수입품에 대한 차별 없이 합리적인 구매를 하면서도, 자국 경제와 고용에 도움이 되는 국산품을 선호한다.[53]

5. 한국의 국가 정체성

한국은 전통적으로 단일민족 국가라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면서 국가 정체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6. 국가 정체성과 상징

국가 정체성은 국기, 국가, 애국가 등 다양한 상징을 통해 표현된다.

7. 국가 정체성과 국제 관계

국가 정체성은 국제 관계에서 국가의 입장, 외교 정책, 국제 협력 등에 영향을 미친다.

참조

[1] 서적 Key readings in social psychology. Political psychology: Key readings Psychology Press 2004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National Identity in English http://www.oxforddic[...] 2019-11-14
[3] 서적 National Identity Penguin 1991
[4] 학술지 Anthony D. Smith on Nations and National Identity: a critical assessment 2004
[5] 서적 Modern Education, Textbooks, and the Image of the Nation: Politics and Modernization and Nationalism in Korean Education Routledge
[6] 문서
[7] 문서
[8] 서적 Social Identity, Intergroup Conflict, and Conflict Reduc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Imagined Communities: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https://archive.org/[...] Verso
[10] 서적 Contemporary Debates on Nationalism: A Critical Introduction Palgrave Macmillan 2005
[11] 서적 Historical Tales and National Identity: An introduction to narrative social psychology Routledge
[12] 서적 Ethnonationalism http://dx.doi.org/10[...]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4-01-01
[13] 서적 Samuel P. Huntington, the Clash of Civilizations and the Remaking of World Order, New York 1996 http://dx.doi.org/10[...] VS Verlag für Sozialwissenschaften 2021-01-31
[14] 서적 Citizenship and nationhood in France and German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15] 서적 Nation and commemoration: creating national identities in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16] 학술지 The Vietnam Veterans Memorial: Commemorating a Difficult Past http://dx.doi.org/10[...] 1991-09
[17] 학술지 Q-pop as a Phenomenon to Enhance New Nationalism in Post-Soviet Kazakhstan http://dx.doi.org/10[...] 2020-02-29
[18] 서적 From Empire to Nation Beacon Press
[19] 서적 The sage handbook of identities Sage Publications 2010
[20] 서적 National Identity University of Nevada Press
[21] 서적 Social Identity: Context, Commitment, Content Wiley-Blackwell 1999
[22] 학술지 Commentary. National Identity: Pride and Prejudice? 2001
[23] 서적 Differentiation between Social Groups: studies in the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Academic Press
[24] 서적 Ethnic Groups in Conflict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5] 학술지 Natural Disasters and National Identity: time, space, and mythology 1997
[26] 뉴스 Poll: U.S. Patriotism Continues to Soar http://www.nbcnews.c[...] 2005-07-04
[27] 뉴스 Patriotism vs. Nationalism in a Post 9/11 World http://www.huffingto[...] 2011-09-08
[28] 서적 National Identity: Pragmatic Solutions for Democratic Governance in African Nations Xlibris
[29] 서적 Advances in Psychological Science: social, personal, and cultural aspects Psychology Press
[30] 학술지 Stereotype Threat in U.S. Students Abroad: Negotiating American Identity in the Age of Trump 2017-11-16
[31] PDF http://fds.oup.com/w[...] 2020-04
[32] 학술지 National Consciousness
[33] 서적 The National Question in Yugoslavia: Origins, History, Politic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21-09-09
[34] 서적 Patriotism in the life of individuals and nations Nelson-Hall
[35] 서적 Imagined Communities: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Verso
[36] 학술지 Imagined Communities and Nationalism
[37] 웹사이트 The Nationalism Project http://www.nationali[...] 2016-11-20
[38] 서적 Nations and Nationalism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39] 서적 Nations and Nationalism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40] 웹사이트 The Nationalism Project http://www.nationali[...] Westview Press 2016-11-29
[41] 학술지 Ethno-national conflict and its management 2011
[42] 학술지 Saluting the dot-spangled banner: Aboriginal culture, national identity and the Australian Republic http://www.australia[...] 1997
[43] 학술지 Social Psychology of Identities http://www.uvm.edu/~[...] 2000
[44] 학술지 Immigration and National Identity: Constructing the Nation 1996
[45] 서적 Social Psychology of Social Problems: The intergroup context Palgrave Macmillan
[46] 웹사이트 National Identity through the Prism of Immigration: The Case Study of Modern Russia https://www.wilsonce[...] 2011-07-07
[47] 서적 Globalization and Belonging: The Politics of Identity in a Changing World Rowman & Littlefield
[48] 서적 Global Societ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Sociological Concepts and Political Perspectives Cambridge: Polity Press
[49] 학술지 What Does it Mean to be a Global Citizen http://www.kosmosjou[...] 2012
[50] 서적 Globalization and National Identity: Managing Ethnicity and Cultural Pluralism in Malaysia Asia-Pacific Center for Security Studies
[51] 학술지 Globalisation and the decline of national identity? An exploration across sixty-three countries 2012
[52] 서적 Value Contrasts and Consensus in Present-Day Europe: Painting Europe's Moral Landscapes Brill
[53] 학술지 Consumer Ethnocentrism in Turkey: Ours are Better than Theirs
[54] 학술지 Social Psychological Studies of National Identity: A literature review http://www.sociology[...] 2002
[55] 뉴스 Taiwan's Identity Crisis http://nationalinter[...] 2014-08-18
[56] 뉴스 Taiwan's national identity in crisis http://www.taipeitim[...] 2005-11-15
[57] 서적 Understanding National Ident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3-05
[58] 학술지 The Markers and Rules of Scottish National Identity 2017-01-25
[59] 학술지 The National State and Identity Politics: State Institutionalisation and "Markers" of National Identity 2007-05-31
[60] 서적 L'Archipel frança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