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기는 국가를 상징하는 중요한 표식으로, 전쟁터에서 아군을 식별하고 지휘하기 위한 군기에서 유래했다.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와 의미를 지녔으며, 17세기 상선기의 등장으로 국기 개념이 확장되었다. 18세기 말 민족주의 의식 고조와 함께 국가와 국민을 상징하는 중요한 표식이 되었으며, 현재는 각국의 역사, 문화, 이념 등을 반영한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제작된다. 국기는 육상, 해상에서 사용되며, 민간기, 정부기, 군함기 등 종류가 다양하다. 국기 게양에는 국제적인 의전과 각국의 법규가 적용되며, 국기 모독 행위는 많은 국가에서 범죄로 규정되어 처벌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의 상징 - 국경일
국경일은 대한민국 법률에 의해 제정된 삼일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의 다섯 기념일로, 역사적 사건이나 민족적 가치를 기념하며 제헌절을 제외하고는 공휴일로 지정되어 국가 정체성을 되새기는 사회·문화적 행사이다. - 나라의 상징 - 민족 신화
민족 신화는 국가나 민족의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고 민족주의와 연관되어 국가 통합을 강화하지만, 국가 간 갈등을 야기할 위험성도 내포하며, 다양한 국가의 사례에서 그 역할과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 국기 - 일본의 국기
일본의 국기는 흰색 바탕에 붉은 원이 그려진 디자인으로, 태양을 상징하며 1999년 법률에 의해 공식적으로 국기로 지정되었다. - 국기 - 독일의 국기
독일 국기는 검은색, 빨간색, 금색 가로 줄무늬 삼색기로, 자유주의와 통일 독일을 상징하며, 1949년 서독과 동독, 그리고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통일 독일의 공식 국기로 채택되었다.
국기 | |
---|---|
국기 정보 | |
![]() | |
유형 | 국기 |
관련 주제 | |
관련 주제 | 원수 국기 국기 국가 국장 국기 국새 국석 국조 국수 국화 국과 국가 표어 국경일 국가 색상 국적 마크 국가 코드 |
영어 명칭 | |
영어 | National flag |
다른 뜻 | |
다른 뜻 | 한 나라의 대표적인 스포츠 |
2. 역사
국기는 원래 전쟁터에서 아군을 식별하고 지휘하기 위해 사용된 군기에서 유래했다.[18] 17세기 초, 선박의 소속을 나타내는 상선기가 등장하면서 국기의 개념이 확장되었다. 1606년 잉글랜드의 제임스 1세는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국기를 결합한 유니언 잭을 제정했고, 이는 1801년 아일랜드 국기가 결합된 영국의 국기로 이어졌다.[4][5]
18세기 말, 민족주의 의식이 고조되면서 국기는 국가와 국민을 상징하는 중요한 표식이 되었다.[6] 미국 독립 전쟁 당시 사용된 성조기는 초기 국기 형태 중 하나이며,[7]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 삼색기(트리콜로르)는 공화주의 이념을 상징하는 국기로 널리 알려졌다.[9]
19세기와 20세기 초, 많은 유럽 국가들이 중세 시대 군기를 바탕으로 국기를 제정했다. 스웨덴의 국기는 1906년에 채택되었지만 13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스위스의 국기는 1889년에 제정되었지만 중세 시대 군기에서 기원했다. 비유럽 국가들도 19세기 후반부터 국기를 제정하기 시작했다. 오스만 국기(현재의 터키 국기)는 1844년에 채택되었고, 일본은 1870년, 대청은 1862년에 국기를 도입했다. 남아메리카 국가들 역시 독립하면서 국기를 도입했다. (예: 페루 1820년, 볼리비아 1851년, 콜롬비아 1860년, 브라질 1822년)
2. 1. 한국의 국기 역사
대한민국에는 국기모독죄가 존재한다.[23]한국 내에서는 북한의 국기를 무단으로 게양하면 국가보안법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다.[24]
3. 국기의 종류
육상에서 사용되는 기는 민간기(FIAV 기호
실제로 많은 나라(예: 미국, 영국)는 이 세 가지를 구별하지 않고 같은 디자인의 기를 사용한다. 국기는 이 세 가지를 구별하지 않고 부를 때 사용된다. (FIAV 기호
정부기와 군기를 구별하는 나라는 드물다. 중국, 타이완, 일본이 대표적인 예외이다. 북유럽 국가에서는 국기 오른쪽에 삼각형 모양 칼집이 들어간 깃발(스월로 테일)을 군기나 해군기로 사용한다. 필리핀은 전쟁 상태일 때 국기의 빨간색 줄무늬가 위쪽에 오도록 게양한다.
바다에서 선적을 나타내기 위한 기는 선수기와 선기가 있다. 선기는 육상용 국기와 마찬가지로 상선기(Civil ensign, FIAV 기호
4. 국기 디자인
국기 디자인은 국가의 역사, 문화, 종교, 이념 등 다양한 요소를 반영한다. 근현대에는 유럽 문화의 영향으로 국기 디자인에 대한 통일된 표준이 등장했지만, 여전히 많은 국가들이 자국의 특성을 반영한 독창적인 디자인을 유지하고 있다.
196개 유엔 (UN) 회원국 중 약 1/3이 종교적 상징을 포함한 국기를 사용하고 있다.[12]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색상은 빨강, 흰색, 파랑, 노랑, 초록, 검정이다.[14]
일부 국가는 디자인이 매우 유사하여 혼동을 일으키기도 한다. 예를 들어 모나코와 인도네시아 국기는 비율과 빨간색 색조만 약간 다르고, 네덜란드와 룩셈부르크 국기는 비율과 사용된 파란색 색조가 다르며, 루마니아와 차드 국기는 파란색 색조만 다르다.
지리적, 역사적, 문화적 연관성이 있는 국가들은 유사한 디자인의 국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범슬라브 색을 사용하는 슬라브 국가들(체코, 슬로바키아, 러시아, 세르비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이나, 범아프리카 색을 사용하는 카메룬, 에티오피아, 가나, 기니, 말리, 세네갈 등이 있다. 범아랍 색을 사용하는 이집트, 이라크, 시리아, 예멘 등 아랍 국가들과 북유럽 십자가 디자인을 사용하는 북유럽 국가들(아이슬란드,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이 있다.
색상 | 국기 비율 | 국기 개수 |
---|---|---|
빨강 | 76.14% | 150 |
흰색 | 71.57% | 141 |
파랑 | 51.78% | 102 |
노랑/금색 | 45.18% | 89 |
초록 | 44.67% | 88 |
검정 | 30.46% | 60 |
주황 | 4.57% | 9 |
갈색 | 4.06% | 8 |
회색 | 3.05% | 6 |
보라색 | 1.52% | 3 |
5. 국기에 관한 법률
많은 국가들이 국기를 법률로 규정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국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기, 일본의 국기,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기, 미국의 국기, 영국의 국기, 독일의 국기, 프랑스의 국기 등 여러 국가들이 국기법을 제정하여 국기의 제작, 게양, 관리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국기는 국가의 헌법에서 언급되거나 설명되는 경우가 많지만, 자세한 설명은 의회에서 통과된 국기법이나, 심지어 위임 입법 또는 군주제 국가에서는 칙령에 위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일 국기는 1949년 독일 연방 공화국 기본법에서 "연방 국기는 흑-적-금이다" (제22조 2항)라고 간략하게 언급되어 있지만, 그 비율은 다음 해 정부에서 통과한 문서에서 규정되었다. 미국 국기는 헌법에 정의되어 있지 않고 1777년에 통과된 별도의 국기 결의안에 명시되어 있다.
국기의 사소한 디자인 변경은 종종 입법부 또는 행정부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반면, 상당한 변경은 헌법적 성격을 띤다. 세르비아 국기의 디자인에서 유고슬라비아 국기의 공산당 별을 생략한 것은 1992년 세르비아 헌법 국민투표에서 결정되었지만, 국기에 문장을 채택하는 것은 2003년 정부의 "권고"에 기초하여 2009년에 입법적으로 채택되었고 2010년에 다시 사소한 디자인 변경이 이루어졌다. 미국의 국기는 별의 수가 주의 수를 나타내므로 여러 번 변경되었는데, 1818년 미국 국기법에서 "새로운 주가 연방에 가입할 때마다 국기에 별 하나를 추가한다"는 조항이 적극적으로 명시되었으며, 가장 최근에는 1960년 하와이의 가입과 함께 변경되었다.
국기의 변경은 종종 정권 교체, 특히 내전이나 혁명 이후에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국기의 군사적 기원과 정치 이념(정부 형태, 군주제 대 공화제 대 신정 정치 등)과의 연관성이 여전히 보인다. 이러한 경우 국기는 정치적 상징의 지위를 얻는다.
일본에서는 일장기에 대해서는 사상·양심·표현의 자유와의 조화에서, '''자신이 소유한 것인 한''' 처벌되지 않지만, 외국 국기에 대해서는 외국국장손괴죄가 있으며[22], 적지만 유죄로 한 판례도 존재한다(최고재 제3소법정 결정·쇼와 40년 4월 16일).
6. 국기 의전
국기를 올바르게 게양하는 데에는 많은 의전이 따르며, 국제적인 관례와 각국의 법규를 준수해야 한다. 일반적인 원칙은 국기를 가장 높이, 다른 어떤 깃발보다 우선적인 위치에 게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 국기와 다른 깃발을 함께 게양할 경우, 국기를 가장 먼저 게양하고 가장 나중에 내려야 한다.
- 다른 국가의 국기와 함께 국기를 게양할 경우, 모든 깃발의 크기는 대략 같아야 하며, 같은 높이에 게양해야 한다. 다만, 개최국의 국기는 가장 우선적인 위치(깃대가 홀수일 경우 중앙, 짝수일 경우 관찰자 시점에서 오른쪽 끝)에 게양되어야 한다.
- 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 이란, 아프가니스탄, 레바논의 국기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 관찰자 시점에서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감싸서 게양하는데, 이들 중 일부 국기에는 아랍어 문자가 있기 때문이다.
- 국기와 국기 이외의 다른 깃발을 함께 게양할 경우, 별도의 깃대에 더 높이 또는 우선적인 위치에 게양해야 한다.
- 같은 깃대에 국기와 다른 깃발을 함께 게양할 경우, 국기는 가장 위에 있어야 하지만, 별도의 깃대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 깃대를 교차하여 국기와 다른 깃발을 함께 게양할 경우, 국기는 관찰자의 왼쪽에 있어야 하며, 깃대는 다른 깃발의 깃대보다 앞에 있어야 한다.
- 행진 중에 국기와 다른 깃발을 함께 게양할 경우, 국기는 행진의 오른쪽에 있어야 한다. 깃발이 여러 줄로 되어 있을 경우, 가장 우선적인 위치에 있어야 한다.
-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국기를 거꾸로 게양하는 것은 위험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한 관습일 뿐이며, 국제 해상 충돌 방지 규칙에 따른 인정된 위험 신호가 아니다. 또한, 어떤 국가의 국기를 거꾸로 게양하는 것은 해당 국가에 대한 항의나 경멸의 표시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현재로서는 필리핀 국기만이 거꾸로 된 국기의 위험 신호 의미를 인정한다.[11]
대부분의 깃발은 깃대를 회전시켜 수직으로 걸지만, 일부 국가는 이를 위한 특정 규정을 두거나 수직으로 걸기 위한 특수 깃발을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문장과 같은 깃발의 일부 요소를 회전시켜 위쪽으로 향하게 한다.
수직으로 걸기 위한 특별한 규정을 가진 국가의 예로는 캐나다, 체코, 그리스, 이스라엘, 필리핀, 남아프리카 공화국, 미국(항상 뒷면을 보이게 함), 영국(항상 앞면을 보이게 함)이 있다.
수직으로 걸기 위한 특별한 디자인을 가진 국가에는 오스트리아, 캄보디아(문장을 90° 회전시켜야 하며 파란색 줄무늬는 좁아짐), 도미니카(문장을 회전시켜야 하며 항상 뒷면을 보이게 함), 독일, 헝가리, 리히텐슈타인(왕관을 90° 회전시켜야 함), 멕시코, 몬테네그로(문장을 90° 회전시켜 일반적인 위치로 해야 함), 네팔, 슬로바키아(문장을 90° 회전시켜 일반적인 위치로 해야 함), 사우디아라비아(샤하다를 90° 회전시켜야 함), 말레이시아(가로 깃발 대신 세로 배너를 사용)가 있다.
명문화되어 있지는 않지만, 국기를 게양할 때는 국제적인 의전(관례)이 성립되어 있다.[32][33]
- 국기가 게양될 때는 자국, 타국의 국기에 관계없이 국기에 대해 경의를 표한다.
- 일어서서 바른 자세로 국기에 주목하는 것이 기본이다.
- 민간인은 모자를 벗는다.
- 군인·경찰관 등은 모자를 벗지 않고 경례를 한다.
- 지역에 따라서는 민간인도 민간식 경례(오른손바닥을 왼쪽 가슴(심장 위치)에 대고 경의를 표하는 것, 모자를 쓴 경우에는 모자를 가슴에 대는 것) 또는 거수경례를 한다.
- 한국에서는 민간식 경례는 거의 하지 않고, 일어서서 모자를 벗고 자세를 바르게 하여 국기에 주목하여 경의를 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국기 게양은 해돋이부터 해넘이까지로 되어 있지만, 회사나 학교 등에서는 하루의 시작과 끝에 게양·수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야간에 게양하는 경우에는 조명을 비춘다.
- 찢어지거나 더러워진 국기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낡은 국기의 처리는 비공개 장소에서 소각하는 것이 좋다고 여겨진다).
- 국기를 두 개 게양하는 경우에는 건물 안쪽에서 보았을 때 오른쪽을 상위로 한다.
- 한국에서는 외국기에 경의를 표하고, 외국기를 상위에 게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여러 개의 국기를 게양하는 경우에는 안쪽에서 보았을 때 오른쪽 국기를 먼저 게양하고, 수납할 때에는 안쪽에서 보았을 때 오른쪽 국기를 마지막으로 수납한다.
- 자국기 우선주의를 채택하여 자국기를 상위에 게양하는 국가도 있다.
- 우천 시에는 실외에 게양해서는 안 된다.
- 삼각대 등으로 게양할 때에는 국기를 지면에 닿게 해서는 안 된다.
- 자국의 국기를 게양하지 않고 외국기만 게양하지 않는다.
- 깃대에 게양하는 경우에는 깃대의 최상단에 닿도록 게양해야 한다. 반기는 제외한다.
- 여러 국가의 국기를 게양할 때는 국기의 크기를 동일하게 하여 게양한다.
- 단, 세로·가로 비율이 다르거나 크기가 맞지 않는 경우에는 세로 길이 또는 면적을 맞춘다.
- 깃대의 높이(길이가 아님)는 동일하게 한다.
- 하나의 깃대에 여러 국가의 국기를 함께 게양하는 것은, 아래쪽에 게양된 국가가 위쪽 국가의 속국으로 취급된다는 의미를 가지므로, 이러한 게양 방법은 중대한 매너 위반이며, 금기로 여겨진다.
- 하나의 깃대밖에 없는 경우에는 꼭대기에 가로대를 설치하여 높이를 동일하게 한다.
- 단체기 등과 함께 게양하는 경우에는 단체기보다 국기가 더 크고, 더 높은 위치에 게양해야 한다.(국기보다 높은 위치에 게양하거나, 더 큰 것은 안 된다)
- 국기와 단체기 2개를 함께 게양하는 경우에는 국기를 상위에 한다.
- 3개국 이상의 국기를 게양하는 경우, 건물 안쪽에서 볼 때 오른쪽부터 국제연합 방식 표기의 알파벳 순서대로 배열한다.
- 국가 수가 홀수인 경우에는 자국의 국기를 중심으로 외국기를 국제연합 방식 표기의 알파벳 순서대로 좌우 번갈아 배열하는 방법도 있다.
- 국제연합 깃발에 대해서는, 1947년 10월에 결정된 국제연합 깃발 규정에 따라 “''다른 깃발과 함께 게양하는 경우, 다른 어떤 깃발도 국제연합 깃발보다 높은 위치에 게양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깃발의 크기도 국제연합 깃발보다 큰 것은 안 된다.''”라고 규정되어 있다.
7. 국기와 유사하게 취급되는 깃발
- 일본의 16광선 욱일기는 해상자위대의 자위함기로 사용되며, 자위대 내에서 국기와 동등한 대우를 받는다.[29]
- 승리의 깃발은 제2차 세계 대전 승리를 기념하는 깃발로, 소련 붕괴 5년 후인 1996년 러시아 대통령 보리스 옐친이 러시아 국기와 동등한 지위를 부여하였다. 공휴일에는 러시아 국기와 함께 게양되었으며, 과거 러시아 육군의 군기이기도 했다. 2012년 현재에도 국기와 동등한 지위로 취급되는지는 불명확하다.
- 차이니스 타이베이 올림픽 위원회 깃발은 차이니스 타이베이 대표로 타이완의 국기인 청천백일만지홍기 대신 사용 및 게양되고 있다.[30]
- 통일기는 한반도의 통일을 기원하는 깃발로, 올림픽이나 제41회 세계탁구선수권대회 등 남북 통일팀이 출전하는 대회에서 국기 대신 사용된다.
- 베트남민족해방전선의 깃발·남베트남공화국 임시혁명정부의 국기는 현재 베트남에서도 행사 등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 독일에는 시민과 정부가 사용할 수 있는 시민기와 정부와 군만 사용할 수 있는 정부기가 있다. 하지만 시민들은 시민기 중앙에 국장을 배치한, 정부기와 매우 흡사한 비공식 깃발을 사용하기도 한다.
- 북마케도니아는 그리스의 요구에 따라 국기를 개정한 경력이 있지만, 그 이후에도 구 국기가 신 국기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 유엔기는 유엔 평화유지활동 파병 지역이나 신탁통치 지역에서는 국기와 함께 게양될 수 있다. 다만, 게양 시 국기보다 아래에 게양해서는 안 된다는 등의 규정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 국기 이상의 대우를 받는다.
- 유럽 연합기는 유럽 연합 가맹국에서 자국 국기와 함께 게양되는 경우가 많다.
- 올림픽 깃발은 근대 올림픽에서 어떤 사정으로 국기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사용을 피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올림픽 상징#국기 대체로서의 사용 참조.
8. 국기 모독에 관한 처벌
많은 국가들이 국기 모독 행위를 범죄로 규정하고 처벌한다. 대한민국에는 국기모독죄가 존재하며[23], 외국 국기를 모독하는 행위는 외국국장손괴죄로 처벌된다. 일본에서는 일장기에 대해서는 사상·양심·표현의 자유와의 조화에서, '''자신이 소유한 것인 한''' 처벌되지 않지만, 외국 국기에 대해서는 외국국장손괴죄가 있으며[22], 적지만 유죄로 한 판례도 존재한다(최고재 제3소법정 결정·쇼와 40년 4월 16일).
한국 내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기(북한 국기)를 무단으로 게양하면 국가보안법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다.[24] 싱가포르에서는 국기와 국가의 존엄성을 규정한 법률이 존재하며, 싱가포르 국기를 훼손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으며, 의복이나 의상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장관의 허가가 필요하다.[25] 싱가포르 국내에서는 공적인 장소(티켓을 구매해야 입장할 수 있는 경기장 내부는 공적인 장소로 간주되지 않음)에서 외국 국기의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26]
현재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영토 내에서 과거 남베트남(베트남국 및 베트남 공화국)의 국기를 게양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27] 우크라이나에서는 2015년에 제정된 「우크라이나에서의 공산주의 및 국가사회주의(나치) 전체주의 체제 규탄 및 그 상징의 선전 금지에 관한 법률」(우크라이나어: Про засудження комуністичного та націонал-соціалістичного (нацистського) тоталітарних режимів в Україні та заборону пропаганди їхньої символікиuk)에 따라, 과거 국기였던 소련의 국기와 나치 시대 독일의 국기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28] 현재 독일 영토 내에서 나치 시대의 국기인 하켄크로이츠 깃발은 국가 폭력 선동죄 관련으로 공적인 장소에서 사용하면 처벌 대상이 된다(단, 사적인 공간에서의 사용은 금지되지 않음).
참조
[1]
서적
British flags, their early history, and their development at sea; with an account of the origin of the flag as a national dev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Europe: Netherlands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CIA
2019-01-28
[3]
웹사이트
Why Are So Many Flags Red, White and Blue?
https://www.newhisto[...]
2019-01-28
[4]
웹사이트
flag of the United Kingdom
https://www.britanni[...]
2021-11-08
[5]
웹사이트
flag of the United Kingdom
https://www.britanni[...]
2022-01-01
[6]
HLS
Flags
[7]
웹사이트
The French flag
http://users.skynet.[...]
[8]
서적
Dannebrog
http://www.denstored[...]
Den Store Danske
2014-06-13
[9]
웹사이트
flag - National flags
https://www.britanni[...]
2022-01-01
[10]
웹사이트
Historical Flags (Afghanistan)
http://flagspot.net/[...]
2018-04-29
[11]
웹사이트
Hanging Flags Vertically
https://www.fotw.inf[...]
Flags of the World
2005-12-31
[12]
웹사이트
64 countries have religious symbols on their national flags
https://www.pewresea[...]
2024-04-03
[13]
웹사이트
64 countries have religious symbols on their national flags
http://www.pewresear[...]
[14]
논문
Semi-Automatic Color Analysis For Brand Logos
2014
[15]
웹사이트
What Do the Colors and Symbols of the Flag of Jamaica Mean?
https://www.worldatl[...]
2020-07-17
[16]
웹사이트
Bandiera Messico
https://web.archive.[...]
2016-02-17
[17]
웹사이트
La bandiera Italiana
http://www.radiomarc[...]
2016-02-17
[18]
웹사이트
Fahnen / Drapeaux / Bandiere
http://www.hls-dhs-d[...]
2006-10-02
[19]
웹사이트
the flying of the Union Jack
https://api.parliame[...]
House of Lords Hansard
1908-07-14
[20]
웹사이트
세계의 국기 도감 - 스페인의 국기 피와 금의 깃발 (문장 없음)
http://www.sarago.co[...]
[21]
웹사이트
세계의 국기 도감 - 스페인의 국기 피와 금의 깃발 (문장 있음)
http://www.sarago.co[...]
[22]
뉴스
국기의 수업
https://web.archive.[...]
TOSS H・I・T
2003-01-18
[23]
웹사이트
한국 국기를 태운 20대 남성, “국기 모독”으로 기소
https://www.recordch[...]
레코드 차이나
2015-10-29
[24]
웹사이트
평창올림픽 선수촌 개촌…북한 국기도 게양
https://www.nikkei.c[...]
일본경제신문
2018-02-01
[25]
웹사이트
싱가포르 국기 찢는 디자인으로 화제…인도인이 페이스북에 게시, 경찰이 수사
https://www.nikkei.c[...]
뉴스위크 일본판
2018-08-24
[26]
웹사이트
관전 규칙/매너│SAMURAI BLUE 축구 일본 대표│JFA│일본 축구 협회
https://web.archive.[...]
일본 축구 협회 홈페이지
2014-10-14
[27]
위키
베트남의 국기
[28]
법률
우크라이나에서 공산주의와 국가 사회주의(나치) 전체주의 체제의 비난과 그 상징의 선전 금지
https://zakon.rada.g[...]
[29]
설명
[30]
뉴스
올림픽 직전, 런던 시내의 만국기에서 “대만의 국기”가 사라졌다―대만 언론
http://news.livedoor[...]
Record China
2012-07-27
[31]
설명
[32]
웹사이트
깃발에 사용되는 용어・국기 게양 매너 등|세계의 국기와 깃발의 역사・유래・화제 등의 정보 가득한 유용한 사이트
http://tospa-flags.c[...]
[33]
웹사이트
주식회사 사라고 - 국기 게양・강하의 국제 매너
http://www.sarago.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