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때 그사람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화 《그때 그사람들》은 1979년 발생한 박정희 대통령 암살 사건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의 시각을 중심으로 사건 전개 과정을 그렸으며, 박정희, 차지철 등 사건 관련 인물들을 묘사했다. 개봉 전 박정희의 아들 박지만의 상영 금지 가처분 신청으로 일부 장면이 삭제되었으나, 이후 소송에서 상영 금지 청구는 기각되었다. 삭제 장면이 복원된 완전판은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되었으며, 2005년 칸 영화제 감독주간에도 초청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26 사건을 소재로 한 영화 - 남산의 부장들
    남산의 부장들은 1970년대 박정희 대통령 암살 사건을 배경으로 중앙정보부 부장들의 갈등과 권력 암투를 그린 영화이며, 김충식 작가의 논픽션을 원작으로 이병헌, 이성민 등이 출연하여 실존 인물을 모티브로 한 배역을 연기하고, 10.26 사건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호평을 받았다.
  • 임상수 감독 영화 - 행복의 나라로 (영화)
    《행복의 나라로》는 최민식, 박해일 등이 출연하고 2019년에 촬영을 시작하여 2020년 칸 영화제에 초청된 영화이다.
  • 임상수 감독 영화 - 바람난 가족
    임상수 감독의 2003년 영화 《바람난 가족》은 문소리와 황정민 주연으로, 부부의 불륜과 가족 내 갈등을 다루며 문소리의 열연과 파격적인 소재로 국내외 영화제에서 수상하고 사회적 논쟁을 일으킨 작품이다.
  • 블랙 코미디 영화 - 퍼펙트 크라임 (2004년 영화)
    퍼펙트 크라임은 2004년에 개봉한 스페인 영화로, 백화점 살인 사건과 관련된 인물들의 갈등과 비극적인 결말을 다루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고야상 후보로도 올랐다.
  • 블랙 코미디 영화 - 지구를 지켜라!
    《지구를 지켜라!》는 장준환 감독의 2003년 데뷔작으로, 외계인의 침략을 믿는 청년이 제약회사 사장을 납치해 고문하는 이야기를 다루며, 2025년 엠마 스톤 주연의 영어 리메이크 영화 개봉이 예정되어 있다.
그때 그사람들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극장 개봉 포스터
한국어 제목그때 그사람들
로마자 표기Geudttae Geusaramdeul
영어 제목The President's Last Bang
일본어 제목ユゴ 大統領有故
번역 제목그 때 그 사람
제작
감독임상수
제작신철
각본임상수
주연백윤식
한석규
송재호
촬영김우형
편집이은수
음악김홍집
제작사MK 픽처스
배급사CJ 엔터테인먼트
개봉 및 상영
개봉일2005년 2월 3일
상영 시간102분
국가대한민국
언어한국어
제작비 및 흥행
제작비$450만
총 수익$6,287,722
기타
영화 등급15세 이상 관람가
18
NC16
15
13+ (퀘벡 주)
PG-12
U

2. 줄거리

중앙정보부 김 부장(백윤식 분)은 삽교천 준공식에 불참하고, 양 실장(권병길 분)에게 차 실장(정원종 분)의 월권행위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다. 연회 중 차 실장의 태도에 기분이 상한 김 부장은 민 대령(김응수 분)과 주 과장(한석규 분)에게 각하(송재호 분)와 차 실장을 살해할 것을 털어놓고, 이들은 중앙정보부 안전가옥 경비원들을 모아 작전에 가담시킨다.[1]

중앙정보부 의전과 주 과장은 권영조(이재구 분), 송준형(김태한 분), 장원태(김상호 분), 운전수 원상욱(김성욱 분)을 무장시켜 김 부장의 계획에 가담시키지만, 이들은 영문도 모른 채 명령에 따른다.[1]

연회장의 총성을 시작으로 정보부 안가 경비원들은 경호원들을 제압하고, 주 과장은 친구인 신 처장(정인기 분)을 사살한다. 궁정동 안가를 장악하고 각하의 시신을 국군서울지구병원으로 옮긴 뒤, 김 부장과 민 대령은 정 총장(정종준 분)과 육군본부로 가지만, 양 실장의 실토로 김 부장은 체포되고, 궁정동 안가를 장악했던 경호원들도 체포되거나 흩어진다.[1]

KCIA 김 국장은 의사에게 술주정에 대해 꾸중을 듣고, 주 국장은 심수봉과 젊은 여성을 파티에 구한다. 만찬 중 박정희 대통령, 차지철, 김 국장, 양 총무 비서관은 시위대 처리 문제를 논의하고, 차는 김이 충분히 억압적이지 않다고 비난한다. 김은 박 대통령을 죽이기로 결심하고 주 국장, 민 대령과 계획을 세운다.[1]

김 국장은 파티로 돌아와 차와 박 대통령을 쏘고, 주 국장과 민 대령, 부하들은 대통령 경호원들을 죽이고 건물을 장악한다. 김은 차를 끝장내고 박 대통령에게 자신의 의견을 말한 후 머리에 총을 쏘아 사살한다.[1]

그들은 현장을 북한군 기습으로 위장하려 하지만, 양 총무 비서관이 먼저 사건의 진상을 알린다. 군은 김 국장을 체포하고 주 국장과 민 대령은 혼란에 빠진다. 최규하 총리가 대통령에 취임하고, 파티에 참석했던 사람들 대부분이 처형된다.[1]

3. 등장인물



김윤아가 극중에서 일본 엔카를 부르는 장면은 박정희 대통령이 평소 일본 노래를 즐겨 불렀다는 일화를 바탕으로 각색한 것이다.[8]

3. 1. 중앙정보부

3. 2. 청와대


엄중하게 경비되는 은밀한 장소로 향하는 여러 고위 및 하급 관리들의 모습이 이어진다.

3. 3. 초대 손님

3. 4. 육군

3. 5. 기타


  • 정우 - 안재송 대통령경호실 경호부처장 역 (한재국 분)
  • 김영인 - 최규하 국무총리 역 (최 총리 분)
  • 서희승 - 신현확 부총리 역 (부총리 분)
  • 이혜경 - 철없는 딸 윤희 역
  • 김현아 - 원태 부인 역
  • 이수미 - 주 과장 부인 역
  • 이주석, 김권, 김형일 - 각하 경호원 역
  • 임상수 - 김 부장 주치의 역
  • 백한기 - 김 부장 운전사 역
  • 이지나 - 연희동 마담 역
  • 지영랑 - 주 과장 장모 역
  • 박신규 - 각하 비서 역
  • 김경목 - 김정섭 중앙정보부 제2차장보 역 (김 차장 분)
  • 김진민 - 삼청동 장교 역
  • 최동훈, 권국희, 김학영 - 군의관 역
  • 김민진 - 간호 장교 역
  • 차승열 - 식당 보조 역
  • 김대욱 - 식당 보조 / 연희동 관리인 역
  • 이우정 - 참모총장 부관 역
  • 조희진 - 궁정동 웨이터 역
  • 고영민 - 부항 시술자 역
  • 임범 - 전두환 보안 사령관 역
  • 배장수 - 상황실장 역
  • 선재규, 김종립, 박우섭, 차영건, 유상희, 김갑순, 김원준, 최호진, 조민수, 이충열 - 각부장관 / 장군 역
  • 하얀, 윤지, 지우 - 연희동 여인 역
  • 이희재, 김기원 - 연희동 신사 역
  • 박상현, 이도현, 이동용, 박세용, 김민수 - 취조실 형사 역
  • 이현석, 오주환, 이계구, 박성규, 김혜영 - 취조실 피의자 역
  • 최기억, 서정주, 임성암, 김기환 - 김 부장 경호원 역
  • 조재윤, 이재필, 김지웅, 설경배, 김도훈, 하상욱, 이형석, 김동주, 양재규, 남윤수, 서정훈 - 궁정동 경비원 역
  • 양동명, 류성훈, 이정민, 황선집, 우상권, 정민혁, 박상조, 박상주, 이경걸, 배종환 - 육본헌병 / 장교 역
  • 경기여자고등학교 영화제작부 - 국기경례 여고생 역
  • 부천공업고등학교 관악부 - 30경비단 군악대 역
  • 김병철 - 취조실 피의자 역
  • 윤여정 (특별출연) - 윤희모, 에필로그 나레이션 역
  • 홍록기 (우정출연) - 육군본부 초병 역
  • 봉태규 (우정출연) - 국군서울지구병원 헌병 역
  • 백윤식 - 김재규(KCIA 국장) 역
  • 한석규 - 주석호(모델) KCIA 요원 주 역
  • 송재호 - 박정희(대통령) 역
  • 김응수 - 박흥주(모델) KCIA 요원 민 대령 역
  • 김윤아 - 심수봉(모델) 가수 역
  • 조은지 - 연회 여성 손님 역
  • 정원중 - 차지철(대통령 경호실장) 역
  • 권병길 - 박정희 대통령 비서실장 역


임상수 감독이 의사로, 윤여정이 폭행 피해자 어머니 역할로 특별출연했다.

암살 사건의 무대가 된 연회에서 김윤아가 일본어 미소라 히바리(美空ひばり)의 '슬픈 술(悲しい酒)'과 미야코 하루미(都はるみ)의 '북쪽 숙소에서(北の宿から)'를 기타를 치며 부르는 장면이 있지만, 실제로는 두 곡 모두 부르지 않았고, 박정희 대통령이 일본 엔카(演歌)를 좋아했다는 일화에서 각색된 것이다.[8]

또한, 극중에서는 일본어로 "저, 연가 잘하는 아이 있잖아? 수봉, 오늘은 그 아이 노래 듣고 싶네"라고 요청하는 장면도 묘사되어 있다.

4. 제작진


  • 감독·각본: 임상수
  • 제작: 심재명, 시철
  • 음악: 김홍집
  • 촬영: 김우현
  • 미술: 이민복

5. 논란과 검열

이 영화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명예훼손 논란으로 법적 공방을 겪었다. 박 전 대통령의 아들 박지만은 상영금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고, 법원은 일부 장면 삭제를 조건으로 상영을 허가했다. 제작사는 삭제된 장면을 검은 화면으로 대체하여 상영했다.[9][10] 이 과정은 표현의 자유와 개인의 명예 보호 간의 갈등을 보여주는 사례로,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주었다.

5. 1. 법적 공방

박정희의 아들 박지만은 이 영화가 "아버지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서울중앙법원에 상영 금지 가처분 신청을 했다.[9]

개봉을 나흘 앞둔 1월 31일 법원은 "영화 자체의 상영 금지는 참혹하다"며 아래의 세 장면을 삭제하면 상영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10] 제작사는 이 장면을 '''검은 화면'''으로 대체하거나 일부 프린트에서는 삭제해 상영했고, DVD에는 법원 결정에 의해 삭제되었다는 안내와 함께 검은 화면을 남겼다.

  • 프롤로그: 부마항쟁 사진자료와 김윤아의 나레이션(프롤로그)
  • 에필로그 이후: 김수환 추기경의 조사에 이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장례식 영상자료


2월 MK픽처스는 가처분 이의신청소송을 냈으며[11], 박지만은 본안 소송에 해당하는 영화상영금지 및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다. 2006년 8월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손해배상 소송 금액 5억 중 1억을 박지만에게 보상하라는 판결을 내렸지만, “인격적 침해 장면만을 금지한다면 영화가 갖는 창작의 본질을 형해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며 영화상영금지 청구는 기각하였다.[12]

판결 이후, 제11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삭제 장면을 복구한 온전한 영화가 상영되었다.[13]

5. 2. 삭제 장면

박정희의 아들 박지만은 이 영화가 "아버지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상영 금지 가처분 신청을 했다.[9]

개봉 나흘 전인 1월 31일, 법원은 "영화 자체의 상영 금지는 참혹하다"며 아래 세 장면을 삭제하면 상영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10] 제작사는 이 장면을 '''검은 화면'''으로 대체하거나 일부 프린트에서는 삭제해 상영했고, DVD에는 법원 결정에 의해 삭제되었다는 안내와 함께 검은 화면을 남겼다.

  • 프롤로그: 부마항쟁 사진 자료와 김윤아의 나레이션(프롤로그)
  • 에필로그 이후: 김수환 추기경의 조사에 이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장례식 영상 자료


2월, MK픽처스는 가처분 이의 신청 소송을 냈으며,[11] 박지만은 본안 소송에 해당하는 영화 상영 금지 및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2006년 8월,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손해배상 소송 금액 5억 원 중 1억 원을 박지만에게 보상하라는 판결을 내렸지만, "인격적 침해 장면만을 금지한다면 영화가 갖는 창작의 본질을 형해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며 영화 상영 금지 청구는 기각했다.[12]

판결 이후, 제11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삭제 장면을 복구한 온전한 영화가 상영되었다.[13]

참조

[1] 웹사이트 Box office by Country: ''The President's Last Bang'' https://boxofficemoj[...] 2012-06-04
[2] 웹사이트 Box office by Country: ''The Men At That Time'' https://boxofficemoj[...] 2012-06-04
[3] 문서 The People of Those Days
[4] 웹사이트 The President's Last Bang will be whole again https://web.archive.[...] Twitch Film 2006-10-17
[5] 웹사이트 의 진상 [2] - 소문과 진실 ② http://www.cine21.co[...] 2023-07-28
[6] 뉴스 朴正熙大統領暗殺と「女性献上」制度 韓国史の闇を描いた映画『ユゴ 大統領有故』 https://globe.asahi.[...] 朝日新聞 2024-05-19
[7] 뉴스 블랙코미디 '그때 그사람들' 임상수 감독 https://news.joins.c[...] 中央日報 2005-01-09
[8] 간행물 화제작‘그때 그 사람들’로 스크린 데뷔한 자우림 김윤아 http://m.lady.khan.c[...] Lady京郷 2005-03-00
[9] 뉴스 박지만씨 10.26소재 영화상영 금지가처분 신청 http://www.hani.co.k[...] 한겨레 2005-01-10
[10] 뉴스 ‘그때 그 사람들’ 3개 장면 삭제 판결 http://www.chosun.co[...] 조선일보 2005-01-31
[11] 뉴스 '그때 그 사람들' 법정 선다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05-02-06
[12] 뉴스 ‘그때 그 사람들’ 박지만씨에 1억보상 판결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6-08-10
[13] 웹사이트 그때 그사람들(오리지널 버전) 월드 프리미어 http://www.piff.org/[...] 부산국제영화제 2006-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