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동위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극동위원회는 일본의 항복 이후 연합국의 대일 정책을 조율하기 위해 설립된 국제 기구이다. 1945년 8월 미국은 극동자문위원회 구성을 제안했고, 이후 런던 외무장관 회의를 거쳐 같은 해 12월 미국, 영국, 소련, 중국, 호주, 캐나다, 프랑스, 네덜란드, 뉴질랜드, 인도, 필리핀의 11개국 대표로 구성된 극동위원회로 확대 개편되었다. 극동위원회는 일본의 무장 해제, 민주화, 경제 회복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일본의 항복 조건을 이행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1946년에는 극동위원회의 지방 기관으로 대일이사회가 설치되었으며,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발효에 따라 1952년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은 1951년 일본이 주권을 회복하고 국제 사회에 복귀하도록 한 평화 조약이나, 전후 처리 과정의 이견과 냉전으로 일부 국가가 배제되었고 영토 및 배상 문제에 대한 모호한 조항들이 동아시아 분쟁 요소로 남아 대한민국이 불리한 입장에 놓였다. - 일본의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 - 전후 일본
전후 일본은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으로 주권을 회복하고 미국의 지원 아래 경제 재건과 자위대 창설을 이루었으며, 고도 경제성장을 통해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으로 성장했으나 석유 파동과 거품 경제 붕괴 등의 경제 위기를 겪고 미일 안보 조약을 중심으로 대외 관계를 맺으며 정치, 사회, 문화적으로 격변을 겪은 시기이다. - 미국의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 - 대일 전승 기념일
대일 전승 기념일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의 항복을 기념하는 날로, 국가별로 기념하는 날짜와 명칭이 다르며, 미국은 9월 2일을 V-J 데이로 선포했으나 현재 연방 공휴일이 아니고, 한국과 북한은 8월 15일을 광복절과 해방일로, 중국은 9월 3일을 항일전쟁 승리 기념일로 기념하며, 각국의 기념일은 전쟁 종식 시점에 대한 해석, 역사적 경험, 정치적 상황에 따라 결정되었다. - 미국의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 - 마셜 플랜
마셜 플랜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미국의 제안으로 서유럽 국가들의 경제 재건을 지원하여 경제 회복과 공산주의 확산 방지, 유럽 통합에 기여한 대규모 경제 지원 계획이다. - 아시아의 국제 기구 -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경제 성장과 협력 촉진을 목표로 1989년 설립된 21개 회원국 간 정부 간 협의체로서, 역내 무역 및 투자 자유화, 경제 기술 협력을 추구하며 매년 정상회의를 개최하고 1994년 보고르 선언을 통해 무역 자유화를 추진, 아시아 태평양 지역 경제 통합에 기여하고 있다. - 아시아의 국제 기구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은 1967년 반공주의를 바탕으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5개국이 설립한 국제기구로, 냉전 종식 후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가 가입하여 현재 10개국 체제를 유지하며 경제 통합 및 동아시아 지역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나, 역내외 안보 및 인권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극동위원회 | |
---|---|
기본 정보 | |
명칭 | 극동위원회 |
영어 명칭 | Far Eastern Commission |
약칭 | FEC |
이전 명칭 | 극동자문위원회 (Far Eastern Advisory Commission; FEAC) |
설립일 | 1945년 12월 17일 |
해산일 | 1952년 4월 28일 |
본부 | 워싱턴 D.C. |
의장국 | 미국 |
의장 | 프랭크 로스 매코이 |
회원국 | |
주요 활동 | |
목적 | 제2차 세계 대전 후 일본의 점령 및 통치 정책 결정 |
역할 | 연합국 최고사령관에게 일본 통치 관련 정책 권고 |
권한 | 일본 점령 및 통치 정책에 대한 최종 결정 권한 보유 (미국의 거부권 행사 가능) |
관련 정보 | |
관련 기관 | 연합국 최고사령부 (GHQ) |
기타 | |
참고 자료 | https://www.cambridge.org/core/journals/international-organization/article/abs/far-eastern-commission/2451080CC79A5CAC0890604A2FCC103C https://www.cambridge.org/core/journals/international-organization/article/abs/establishment-of-the-far-eastern-commission/91B6DFB9AFA0F64C11B899BA5DBED34B https://web.archive.org/web/20061230174610/http://www.yale.edu/lawweb/avalon/decade/decade19.htm |
2. 배경
1945년 2월 얄타 회담에서 미국, 영국, 소련 대표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 관리에 대해 논의했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은 이오시프 스탈린에게 쿠릴 열도와 사할린섬 남부 할양을 약속하며 소련의 일본전 참전을 요청했다. 그 결과 소련은 만주와 한반도 북부에 영향력을 확대하고 쿠릴 열도를 장악했으며, 일본 본토에는 극동위원회가 설치되었다.
2. 1.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과 연합국의 일본 점령
1945년 얄타 회담에서 미국, 영국, 소련 대표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 관리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은 이오시프 스탈린에게 쿠릴 열도와 사할린섬 남부 할양을 약속하며 소련의 일본전 참전을 요청했다. 소련은 만주와 한반도 북부에 영향력을 확대하고 쿠릴 열도를 장악했다. 일본 본토에는 극동위원회가 설치되었다.[4]2. 2. 연합국 간의 갈등과 극동위원회 설립
1945년 8월 일본 제국의 항복 이후, 미국 정부는 포츠담 선언에 따라 일본 점령 준비에 착수했다. 그러나 미국이 일본 점령에서 주도적인 지위를 차지하는 것에 대해 다른 연합국 정부들은 불만을 품었다.[4] 이러한 갈등 속에서, 미국은 다른 연합국들에게 일본 점령에 대한 형식적인 대표권을 부여하기 위해 1945년 8월 21일 소련, 영국, 중국 정부에 "극동자문위원회(Far Eastern Advisory Commission)" 설립을 제안했다. 이 위원회는 합의에 참여하는 정부 대표들로 구성되며, 항복 문서 조항을 시행하는 데 있어 미국 정부에 정책 권고를 하는 권한을 갖는 것이었다.[4]1945년 9월 11일부터 10월 2일까지 열린 런던 외무장관 회의에서 위원회 구성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다. 미국의 국무장관 제임스 번즈와 영국의 외무장관 얼니스트 베빈은 8월 21일 미국이 제안한 방식대로, 일본 연합국 평의회 계획을 준비하기 위해 위원회를 설립하는 데 동의했다.[5] 이후 극동자문위원회(FEAC)는 극동위원회(FEC)로 개칭되었는데, 이는 전쟁 후반기 3대 연합국 사이의 긴장을 반영하는 것이었다.[5]
1945년 8월 22일, 미국은 영국, 소련, 중화민국 3개국에 대해 항복 문서에 따라 일본이 지는 의무 이행에 관한 방책 책정 등에 대해 각국 정부에 권고하는 FEAC 설치를 제안했다.[14] 그러나 초기에는 소련과 중국이 찬성하고 영국이 반대했으며, 이후에는 영국과 중국이 찬성하고 소련이 반대하여[14] 위원회는 제대로 기능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같은 해 10월 이후 소련이 불참한 채 협의가 계속되었다.[9][14]
2. 3. 미국의 일본 점령 관리 정책
미국 정부는 국제연합 설립을 제안한 던바턴오크스 회의와 Moscow_Conference_(1944)|모스크바 회의|모스크바 회의영어 이후인 1944년 12월 19일, 국무부·육군부·해군부의 3부처 간 조정을 임무로 하는 국무·육군·해군 조정위원회(SWNCC)를 설치하고, 일본 점령 관리 문제 검토를 시작했다.[13]1945년 8월 18일,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SWNCC가 채택한 “일본 패전 후 본토 점령군의 국가적 구성”을 승인했다. 한편 최고 사령관이 된 더글러스 맥아더는 8월 29일, SWNCC로부터 “항복 후에 있어서 미국의 초기 대일 방침” 통달을 받고 일본 점령을 진행했다.[10]
3. 극동위원회(FEC)
1945년 얄타 회담에서 소련의 이오시프 스탈린은 미국의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에게 일본과의 전쟁 참전을 약속했고, 그 대가로 쿠릴 열도와 사할린섬 남부를 할양받기로 했다. 이후 소련은 만주를 공격하여 한반도 북부까지 영향력을 넓혔고, 쿠릴 열도 상륙 작전을 통해 쿠릴 열도를 장악했다. 일본 본토에는 극동위원회가 설치되었다.
1945년 10월 1일, 영국 정부는 미국 정부에 극동자문위원회(FEAC)를 더 강력한 권한을 가진 극동위원회(FEC)로 개편할 것을 요청했다. 같은 날, 맥아더는 총사령부에 민정국을 설치하고, 고노에 후미마로 국무상과 회담하여 치안유지법 및 국방보안법 폐지를 명령했다. 미국 정부에서는 맥아더의 정치 고문으로 조지 애치슨이 일본에 파견되어, 10월 8일 고노에-애치슨 회담에서 헌법 개정에 관한 12개 항목이 지시되었다.
12월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에서 미국, 중국, 영국, 소련 등 11개국 대표로 구성될 극동위원회(FEC)가 결정되었다. 이 회의 다음 날, 화족 제도가 해체되었다.
1946년 1월 30일, FEAC 위원들은 일본을 방문하여 맥아더와 회담했고, 맥아더는 마쓰모토 조지 국무상의 신헌법 사안을 거부하고 맥아더 초안을 작성했다.
극동위원회(FEC) 첫 회합은 1946년 2월 26일 워싱턴 D.C.에서 열렸으며, 미국, 영국, 소련, 중국 4개국은 거부권을 가졌다. 극동위원회의 결정은 미국 정부를 통해 연합국 최고 사령관에게 전달되었고, 긴급 상황 시 미국 정부는 “중간 지시권”을 발동할 수 있어 미국이 우월적 지위에 있었다.[15]
극동위원회는 1947년 5월 3일 시행된 일본국 헌법에 대해 10월 24일 재검토를 요청했지만, 맥아더는 “일본 국민에게는 수정 의향이 없다”며 거부했다.[16] 1949년 5월 5일, 일본국 헌법 운영상 결함 3점을 맥아더에게 통보했다.
3. 1. 설립과 구성
1945년 10월 1일, 영국은 미국에 극동자문위원회(FEAC)를 더 강력한 권한을 가진 극동위원회(FEC)로 개편할 것을 제안했다.[15] 12월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에서 미국, 중국, 영국, 소련,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프랑스, 네덜란드, 뉴질랜드, 인도, 필리핀 11개국 대표로 극동위원회를 구성하기로 결정했다.[15]1946년 2월 26일 워싱턴 D.C.에서 극동위원회(FEC) 첫 회의가 열렸다.[15] 미국, 영국, 소련, 중국 4개국은 거부권을 가졌다.[15] 극동위원회 결정은 미국 정부를 통해 연합국 최고 사령관에게 지시로 전달되었다.[15]
3. 2. 역할과 활동
극동위원회는 일본의 항복 조건 이행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심의했다.[18] 일본의 무장 해제, 민주화, 경제 회복 등 여러 분야에서 정책 결정을 채택했으며, 일본 산업 규모를 1930년~1934년 수준으로 축소하는 등 일본의 군사력 및 산업 능력을 약화시키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7][8]1946년 2월 26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첫 회의에서 미국, 영국, 소련, 중국 4개국에 거부권이 주어졌다. 극동위원회의 결정은 미국 정부를 통해 연합국 최고사령관에게 전달되었으며, 긴급 상황 시 미국 정부는 "중간 지시권"을 발동할 수 있는 권한을 가졌다.[15]
극동위원회는 1947년 5월 3일에 시행된 일본국 헌법에 대해 재검토를 요청했으나, 맥아더는 일본 국민에게 수정 의향이 없다며 거부했다.[16]
극동국제군사재판에서 위원 각국은 판사를 한 명씩 낼 권리를 가졌고, 일본국 헌법 제정에 있어서는 신헌법 초안의 최종 채결에 위원회의 승인을 필요로 한다는 결의를 채택했다. 또한, 노동 운동 16원칙을 발표하여 노동운동의 필요성은 보장하면서도 점령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운동은 금지했다.
3. 3. 한계와 해체
극동위원회는 미국 정부를 통해 연합국 최고 사령관에게 결정을 전달했고, 미국은 긴급 상황 시 "중간 지시권"을 발동할 수 있어 우월적 지위에 있었다.[15] 1952년 4월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발효에 따라 극동위원회는 폐지되었다.4. 대일이사회
대일이사회는 극동위원회의 지방기관이었다.[17] 1946년 4월 22일부터 1952년 4월까지 격주로 164회의 회의가 공개적으로 개최되었다.
미국, 영국 연방, 소련, 중화민국 4개국 대표로 구성되었으며, 의장은 연합군 최고사령관의 대리인인 미국 대표(조지 아치슨, 후임 윌리엄 시볼드)가 맡았다.
극동위원회는 1952년 4월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발효에 따라 폐지되었다.[15]
4. 1. 설립과 구성
대일이사회는 극동위원회의 지방기관으로 설치되었다.[17] 1946년 4월 22일부터 1952년 4월까지 격주로 164회의 회의가 공개적으로 개최되었다.대일이사회는 미국, 영국 연방, 소련, 중화민국의 4개국 대표로 구성되었으며, 의장은 연합군 최고사령관의 대리인인 미국 대표 (조지 아치슨, 후임 윌리엄 시볼드)가 맡았다.
4. 2. 역할
대일이사회는 극동위원회의 지방기관이었다.[17] 1946년 4월 22일부터 1952년 4월까지 격주로 164회의 회의가 공개적으로 개최되었다.구성원은 미국, 영국 연방, 소련, 중화민국 4개국 대표였으며, 의장은 연합군 최고사령관의 대리인인 미국 대표(조지 아치슨, 후임 윌리엄 시볼드)가 맡았다.
극동위원회는 1952년 4월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대일강화조약) 발효에 따라 폐지되었다.[15]
5. 한국과의 관계
한국은 극동위원회의 직접적인 통제 대상은 아니었지만, 일본의 식민 지배에서 벗어난 후 한반도의 운명은 연합국의 결정에 간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특히 소련의 한반도 북부 점령은 얄타 회담의 결과이며, 한반도 분단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1]
참조
[1]
논문
The Far Eastern Commission
https://www.cambridg[...]
1948
[2]
논문
The Establishment of the Far Eastern Commission
https://www.cambridg[...]
1951
[3]
웹사이트
Interim Meeting of Foreign Ministers, Moscow: Report by Secretary Byrnes on Moscow Meeting
http://www.yale.edu/[...]
1945-12-30
[4]
간행물
text of the proposal
Department of State Bulletin
1945-10-14
[5]
간행물
Statement on the Establishment of a Far Eastern Commission To Formulate Policies for the Carrying Out of the Japanese Surrender Terms
Department of State Bulletin
1945-10-07
[6]
논문
Far Eastern Commission
https://www.jstor.or[...]
1949-02
[7]
논문
Morgenthau's Plan for Industrial Disarmament in Germany
1961-06
[8]
서적
Activities of the Far Eastern Commission. Report of the Secretary General, February, 1946 to July 10, 1947
[9]
웹사이트
極東委員会 きょくとういいんかい Far Eastern Commission
https://kotobank.jp/[...]
2017-10-12
[10]
웹사이트
資料と解説 3-4 極東委員会の設置とGHQとの会談
https://www.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17-10-12
[11]
웹사이트
きょくとう‐いいんかい〔‐ヰヰンクワイ〕【極東委員会】
https://kotobank.jp/[...]
小学館
2017-10-12
[12]
웹사이트
資料と解説 3-28 極東委員会の関与
https://www.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17-10-12
[13]
웹사이트
憲法制定の経過に関する小委員会報告書「日本国憲法制定経過年表」
https://www.ndl.go.j[...]
[14]
웹사이트
Records of the Far Eastern Commission, 1945-1952
https://www.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17-10-12
[15]
웹사이트
極東委員会(きょくとういいんかい)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DIGITALIO, Inc.
2023-01-31
[16]
웹사이트
日本国憲法制定経過年表
https://www.ndl.go.j[...]
[17]
서적
2013
[18]
웹사이트
極東委員会及聨合国対日理事会付託条項
https://worldjpn.net[...]
東京大学東洋文化研究所
1945-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