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동항공물자사령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극동항공물자사령부는 1944년 7월 14일 극동항공근무사령부로 설립되어, 미국 태평양 공군을 지원하는 부대로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태평양 항공근무사령부로 개편되었다가, 1947년 1월 1일 극동항공물자사령부(FEAMCOM)로 재편되어 일본에 주둔하며 군수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1952년 극동항공물자군으로, 1955년 태평양 지역, 항공물자군으로 개편되었으며, 1962년 7월 1일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2년 해체된 단체 - 육군비밀조직
육군비밀조직(OAS)은 1960년대 초 알제리의 프랑스 잔류를 목표로 프랑스에서 활동한 극우 비밀 조직으로, 테러와 암살 등의 활동을 펼치며 알제리 전쟁 종식 후에도 프랑스 군과 민간인을 대상으로 무차별 테러를 감행하여 많은 사상자를 냈고, 정보 요원 개입 의혹 등 다양한 논란을 낳았다. - 미국 공군의 군수부대 - 공군물자사령부 (미국)
공군물자사령부(미국)는 미국 공군의 주요 사령부 중 하나로, 다양한 사령부, 센터, 그룹 및 직할 부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거 육군 항공대 정비창에서 시작하여 개편을 거쳤고, 군악대는 사령부 행사에서 음악을 연주한다. - 미국 공군의 군수부대 - 공군군수사령부 (미국)
공군군수사령부(미국)는 1961년 창설되어 1992년 공군체계사령부와 통합되어 공군물자사령부로 재편되기 전까지 항공기 공학, 물자 지원, 정비 등 광범위한 기능을 수행한 미국 공군의 사령부이다. - 주일 미군의 부대 및 조직 - 주일 미국 육군
주일 미국 육군은 1941년 극동 미 육군에서 시작되어 재건 후 1957년 공식 출범한 미 육군의 사령부로, 캠프 자마에 본부를 두고 일본 육상 자위대와 협력하며 주일 미군의 육군 구성 사령부 역할을 수행하고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토모다치 작전을 수행했다. - 주일 미군의 부대 및 조직 - 제5공군
제5공군은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 공군 부대로, 현재는 일본에 사령부를 두고 동아시아 안보와 재해 지원에 기여한다.
| 극동항공물자사령부 | |
|---|---|
| 극동항공물자사령부 정보 | |
| 이름 | 극동항공물자사령부 |
| 원어이름 | Far East Air Materiel Command |
| 약칭 | FEAMCOM |
| 창설 | 1944년 7월 14일 |
| 해체 | 1962년 7월 1일 |
| 활동 기간 | 1944년 8월 18일 ~ 1962년 7월 1일 |
| 국가 | 미국 |
| 소속 | 미국 공군 |
| 병과 | 군수 |
| 종류 | 전투근무지원부대 |
| 명령 체계 | 공군군수사령부 |
| 참전 | 태평양 전쟁 |
2. 역사
극동항공물자사령부는 1944년 7월 14일 '극동항공근무사령부'로 설립되어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에서 활동을 시작하였다. 극동공군 산하 지원 근무대로서 그들을 도왔고, 1945년 8월 7일 필리핀 제도 루손의 마닐라로 본부를 옮겼다. 일본 제국이 항복한 이후에는 일본 점령군의 일원으로서 일본 열도에 상륙하였다.
1946년 1월에 미국 육군 ''태평양 항공근무사령부''로 개편되었고, 1947년 1월 1일, ''극동항공물자사령부''(FEAMCOM)로 개편되었다.
다치카와 항공기지 안의 일본 항공물자지역 근수창을 감독하였고, 1949년 7월에 사령부 본부를 다치카와 비행장으로 옮겼다. 이후 감독 시설에 타마, 야나다촌, 이와하라, 기사라즈, 이오지마의 군수창도 포함되었다. 1952년 7월 1일 ''극동항공물자군''으로, 1955년 10월 1일 ''태평양 지역, 항공물자군''으로 개편되었다. 1962년 7월 1일에 해산하였다.
2. 1. 설립과 초기 활동 (1944년 ~ 1947년)
1944년 7월 14일, '극동항공근무사령부'로 설립되어 같은 해 8월 18일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에서 활동을 시작하였다. 극동공군의 지원 근무대로서 그들을 지원하였고, 1945년 8월 7일에 필리핀 제도 루손에 있는 마닐라로 본부를 옮기고 중간 거점(Intermediate section)을 두었다. 일본 제국이 항복한 이후에는, 일본 점령군의 일원으로서 일본 열도에 상륙하였다.1946년 1월, 미국 육군 '태평양 항공근무사령부'로 개편되고, 1월 15일부터 5월 31일까지 제54병력수송비행단을 감독하였다.
1947년 1월 1일, '극동항공물자사령부'(FEAMCOM)로 개편되고, 같은 달 20일에 도쿄도 후추 비행장으로 본부를 옮겼다.
2. 2. 일본 주둔과 개편 (1947년 ~ 1952년)
1947년 1월 1일, ''극동항공물자사령부''(FEAMCOM)로 개편되고, 같은 달 20일에 도쿄도의 후추 비행장으로 본부를 옮겼다.다치카와 항공기지 안에 있는 일본 항공물자지역의 근수창을 감독하였고, 1949년 7월에 사령부 본부를 다치카와 비행장으로 옮겼다. 이후, 감독하는 시설에 타마, 야나다촌, 이와하라, 기사라즈, 이오지마에 있는 군수창도 포함되었다. 1949년 11월 1일, 제13항공창단이 FEAMCOM에 병합되어, 제13전대로 축소되었다. 1952년 2월 1일, 제13전대와 FEAMCOM 항공기지대가 해산하고, 단일 조직인 제6400항공창단으로 재편되었다. FEAMCOM은 일본의 제6400, 6418항공창단, 필리핀의 제6208항공창단을 통제하였다.
1952년 7월 1일, ''극동항공물자군''으로 개편되었다.
2. 3. 한국전쟁과 군수 지원 (1950년 ~ 1953년)
극동항공물자사령부(FEAMCOM)는 1947년 1월 1일 도쿄도 후추 비행장으로 본부를 옮겼다. 1949년 7월에는 사령부 본부를 다치카와 항공기지로 옮겼고, 타마, 야나다촌, 이와하라, 기사라즈, 이오지마에 있는 군수창을 감독하였다.1949년 11월 1일, 제13항공창단이 FEAMCOM에 병합되어 제13전대로 축소되었다. 1952년 2월 1일, 제13전대와 FEAMCOM 항공기지대가 해산하고 제6400항공창단으로 재편되었다. FEAMCOM은 일본의 제6400, 6418항공창단, 필리핀의 제6208항공창단을 통제하였다.
2. 4. 개편과 해산 (1952년 ~ 1962년)
1947년 1월 1일, ''극동항공물자사령부''(FEAMCOM)로 개편되고, 같은 달 20일에 도쿄도의 후추 비행장으로 본부를 옮겼다.다치카와 항공기지 안에 있는 일본 항공물자지역의 근수창을 감독하였고, 1949년 7월에 사령부 본부를 다치카와 비행장으로 옮겼다. 이후 감독 시설에 타마, 야나다촌, 이와하라, 기사라즈, 이오지마의 군수창도 포함되었다. 1949년 11월 1일, 제13항공창단이 FEAMCOM에 병합되어 제13전대로 축소되었다. 1952년 2월 1일, 제13전대와 FEAMCOM 항공기지대가 해산하고 단일 조직인 제6400항공창단으로 재편되었다. FEAMCOM은 일본의 제6400, 제6418항공창단, 필리핀의 제6208항공창단을 통제하였다.
1952년 7월 1일, ''극동항공물자군''으로 개편되었다.
1955년 10월 1일, ''태평양 지역, 항공물자군''으로 개편되었다.
1962년 7월 1일, 해산하였다.
3. 조직
극동항공물자사령부(FEAMCOM)의 조직 구조는 다음과 같다.
(참고: 하위 섹션에서 Wing, Group, 기타 조직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이 섹션에서는 간략하게 언급만 한다.)
3. 1. Wing
| 부대 | 주둔지 | 기간 |
|---|---|---|
| 제13항공창단 (이후, 제13전대) | ~ 1949년 11월 1일 | |
| 제6400항공창단 | 일본 다치카와 항공기지 | |
| 제6208항공창단 | 필리핀 클라크 공군기지 | 1949년 12월 17일 ~ 1952년 2월 1일 |
| 제6418항공창단 | 일본 이와쿠니 항공기지 | 1952년 2월 1일 ~ 1953년 9월 1일 |
3. 2. Group
Group영어은 1949년 11월 1일부터 1952년 2월 1일까지 존속했던 제13전대(옛 제13항공창단)이다.3. 3. 기타
FEAMCOM 항공기지대는 1952년 2월 1일까지 존속했다.4. 소속
5. 계보
- 1944년 7월 14일, Far East Air Service Command|FEASC|극동항공근무사령부영어로 설립되었다.
- 1944년 8월 18일, 활동을 시작하였다.
- 1946년 1월 1일, 미국 육군, Pacific Air Service Command|태평양 항공근무사령부영어로 개편되었다.
- 1947년 1월 1일, Far East Air Materiel Command|FEAMC|극동항공물자사령부영어로 개편되었다.
- 1952년 2월 1일, 활동을 중단하였으나, 즉시 같은 날에 조직되었다.
- 1952년 7월 1일, Far East Air Logistics Force|극동항공물자군영어으로 개편되었다.
- 1955년 10월 1일, Air Materiel Force, Pacific Area|AMFPA|태평양 지역, 항공물자군영어으로 개편되었다.
- 1962년 7월 1일, 활동을 중단하고 계보가 끊겼다.
6. 주둔 기지
| 위치 | 주둔 시기 |
|---|---|
|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 1944년 8월 18일 |
| 뉴기니아 홀란디아 | 1944년 11월 16일 |
| 필리핀 제도, 루손 마닐라 | 1945년 8월 7일 |
| 일본 후추 기지 | 1947년 1월 20일 |
| 일본 FEAMC 항공기지 | 1949년 7월 1일 |
| 일본 FEAMC 항공기지(이후의 타치카와 기지) | 1952년 2월 1일 |
| 하와이 준주 휠러 공군기지 | 1957년 6월 1일 |
| 일본 타치카와 기지 | 1960년 4월 1일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