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군수사령부 (미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군군수사령부 (미국)는 1961년 4월 1일에 창설되어 1992년 7월 1일에 활동을 중단한 미국의 군수 지원 사령부이다. 미국 육군 항공대의 항공기공학부에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명칭 변경과 조직 개편을 거쳤다. 항공기술근무사령부, 항공물자사령부를 거쳐 공군군수사령부로 개편되었으며, 군수 지원 기능을 담당했다. 1992년 해체 이후, 공군물자사령부로 기능이 이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군수사령부 - 해병대 군수사령부
해병대 군수사령부는 해병대 작전 부대에 대한 효율적인 지원을 목표로 물류, 정비, 전략적 사전 배치 능력 등을 제공하며 해병대사령관의 지휘를 받는 부대이다. - 오하이오주의 부대 - 공군물자사령부 (미국)
공군물자사령부(미국)는 미국 공군의 주요 사령부 중 하나로, 다양한 사령부, 센터, 그룹 및 직할 부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거 육군 항공대 정비창에서 시작하여 개편을 거쳤고, 군악대는 사령부 행사에서 음악을 연주한다. - 미국 공군의 군수부대 - 공군물자사령부 (미국)
공군물자사령부(미국)는 미국 공군의 주요 사령부 중 하나로, 다양한 사령부, 센터, 그룹 및 직할 부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거 육군 항공대 정비창에서 시작하여 개편을 거쳤고, 군악대는 사령부 행사에서 음악을 연주한다. - 미국 공군의 군수부대 - 극동항공물자사령부
극동항공물자사령부는 1946년 태평양 항공근무사령부에서 개편되어 극동 지역의 항공 물자 보급 및 정비를 담당했던 미국의 군사 조직으로, 한국 전쟁 중 항공 물자 수요에 대응했으며, 1962년 해산되었다.
| 공군군수사령부 (미국) | |
|---|---|
| 공군군수사령부 | |
![]() | |
| 약칭 | AFLC |
| 활동 기간 | 1944년 7월 14일 ~ 1992년 7월 1일 |
| 국가 | 미국 |
| 소속 | 미국 공군 |
| 병과 | 군수 |
| 종류 | 주요사령부 |
| 역할 | 연구 및 개발 및 보급 |
| 후신 | 공군물자사령부 |
2. 역사
미국 공군 군수사령부의 역사는 여러 단계를 거쳐 발전해 왔다.
초기에는 미국 육군 통신대 장비부 산하의 항공기공학부로 시작하여,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항공 기술을 실험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후 물자부 시대를 거치면서 연구 개발, 조달, 보급 및 정비 기능을 통합하여 미국 육군 항공단의 핵심 부서로 자리 잡았다.[4]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항공기술근무사령부로 개편되어 항공 기술 지원에 주력하였으며, 종전 후에는 항공물자사령부로 다시 개편되어 미국 공군의 주요 사령부 중 하나로 편성되었다.[1]
2. 1. 초기 역사 (1917년 ~ 1926년)
'''항공기공학부'''(Airplane Engineering Department영어)는 미국 육군 통신대 장비부(Equipment Division영어) 산하에 오하이오주 데이턴의 맥쿡 비행장에 설립된 미국 항공근무대 실험기술설비였다. 이 부서는 1917년에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의 공학 기술을 실험하기 위해 설립되었다.[1]1917년 6월, Raynal Bolling|래이넬 보일링영어이 이끄는 항공기생산국의 프랑스 임무대가 영국과 프랑스 항공기를 가져왔다.[1] 1918년에는 Jesse G. Vincent|제스 G. 빈센트영어 중령[2] 지휘 아래 영국과 프랑스 항공기의 미국형을 연구 및 설계하였다. 8월 31일, ''공학부''(Engineering Division영어)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19년 맥쿡 비행장에 항공응용학교가 설립되었다.
1920년, 항공기생산국 산하기관으로서 지상공격실험기(GAX) 설계를 마치고 보잉 GA-1을 생산했으며, VCP-1을 설계하여 그 해 루즈벨트 비행장에서 열린 플리처 경주에서 우승하였다.
2. 2. 물자부 시대 (1926년 ~ 1944년)
미국 육군 항공단 총감실에서 직접 통제하는 부서인 '''물자부'''(Materiel Division영어)는 연구 및 개발, 조달, 보급 및 정비 기능을 갖추었다. 1926년 1월 15일에 항공근무대의 항공기공학부와 보급부(1919년 설립)[3]를 병합하여 설립하였다.[4]1927년 4월 1일, 윌버 라이트 비행장과 맥쿡 비행장이 폐쇄되자, 새로 지은 라이트 비행장으로 옮겨갔다.
1935년에는 생리학연구실험실이 개설되었다.[5]
텍사스주 샌안토니오, 오하이오주 페어필드, 펜실베이니아주 미들타운,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에 있는 항공창의 통제를 위해 현장근무반(Field Service Sections|FSS영어)을 두었는데, 국외의 파나마, 하와이, 필리핀에 있는 항공창은 현지의 지부에서 통제하고, 현장근무반은 고문을 맡았다.[6]
2. 3. 항공기술근무사령부 시대 (1944년 ~ 1946년)
1944년 8월 31일, 육군 항공대 물자근무대는 ''육군 항공대 기술근무사령부''로 개편되었다.1945년, 미국 본토 안의 항공기술근무사령부 기지는 14개로 늘었고, 미국 육군 항공대에서 미국 공군으로 분리하는 계획이 시작되었다. 같은 해 7월 1일, 육군 항공대 기술근무사령부는 ''항공기술근무사령부''(Air Technical Service Command (ATSC)영어)로 개편되었다.
1946년 1월, 미국 육군 지상군의 육군원수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와 육군 항공대 대장 칼 스파츠는 미국 공군에 항공기술근무사령부를 포함한 7개 주요 사령부를 편성하는 데 동의하였다.
2. 4. 항공물자사령부 시대 (1946년 ~ 1961년)
1946년 3월 9일, 항공기술근무사령부는 '''항공물자사령부'''로 개편되었다. 그리고 각 지역의 항공기술근무사령부 또한 항공물자지역대(Air Materiel Area (AMA)|에어 머티리얼 에어리어영어)로 개편되었다.[1]3. 주요 조직
미국 공군 군수사령부의 주요 조직은 다음과 같다.
- 항공단 정비사령부; 1941년 6월 25일 ~ 1950년 1월 23일
- 항공기술근무사령부
| 명칭 | 위치 |
|---|---|
| 로마 항공기술근무사령부/항공물자지역대 | 뉴욕주 로마 |
| 마리아나 항공기술근무사령부/항공물자지역대 | (정보 없음) |
| 미들타운 항공기술근무사령부/항공물자지역대 | 펜실베이니아주 미들타운 |
| 모빌 항공기술근무사령부/항공물자지역대 | 앨라배마주 모빌 |
| 스포캔 항공기술근무사령부 | 워싱턴주 스포캔 육군 항공 비행장 |
| 세크라멘토 항공기술근무사령부/항공물자지역대 | 캘리포니아주 세크라멘토 |
| 샌베르나디오 항공기술근무사령부/항공물자지역대 | 캘리포니아주 샌베르나디오 |
| 샌안토니오 항공기술근무사령부/항공물자지역대 | 텍사스주 샌안토니오 |
| 오그덴 항공기술근무사령부/항공물자지역대 | 유타주 오그덴 |
| 오클라호마시티 항공기술근무사령부/항공물자지역대 | 오클라호마주 오클라호마시티 |
| 워너 로빈스 항공기술근무사령부/항공물자지역대 | 조지아주 워너 로빈스 |
- 필리핀 항공물자지역대 (니콜스 비행장)
- 일본 항공물자지역대 (이후 극동항공물자사령부) (~ 1950년)
- 중앙유럽 항공물자지역대
- 해외데이터반 (이후 항공첩보원으로 개편)
- 국제군수센터 (1978년 4월 12일 ~ 1992년 7월 1일)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조직들이 있었다.
- 유럽 지역 항공물자군 - 프랑스 샤토루 항공창
- 태평양 지역 항공물자군 - 일본 다치카와 비행장
- 제50병력수송비행단; 1941년 3월 15일 ~ 1942년 4월 30일
- 제75항공창단(75th Aviation Depot Wing영어); 6.25 전쟁 당시 대한민국 경상남도 진해 공군기지 주둔.[1]
- 제2750공군기지단; 1992년 7월 1일[2]
- 제3079항공창단(3079th Aviation Depot Wing영어); 1950년 ~ 1962년 7월 1일 - 라이트-패터슨 공군기지[3]
| 부대명 | 주둔지 | 기간 |
|---|---|---|
| 제4000항공기지부대 (사령부) | 라이트-패터슨 공군기지 | 1944년 4월 1일 ~ 1992년 7월 1일 |
| 제4000육군항공대부대 (항공기지) | 라이트-패터슨 공군기지 | 1945년 2월 21일 |
| 제4000공군기지부대 (항공기지) | 라이트-패터슨 공군기지 | 1947년 9월 26일 |
| 제2750공군기지(이후, 제2750공군기지단) | 라이트-패터슨 공군기지 | 1948년 8월 28일 |
Air Force Materiel Command Non-commissioned Officer Academy영어는 1994년 7월 18일에 오하이오주 라이트-패터슨 공군기지에 설립되었다.[1] 2009년 4월에 앨라배마주 맥스웰-건터 공군기지로 이전하였다.[1]
3. 1. 사령부
- 항공단 정비사령부; 1941년 6월 25일 ~ 1950년 1월 23일
- 항공기술근무사령부
| 명칭 | 위치 |
|---|---|
| 로마 항공기술근무사령부/항공물자지역대 | 뉴욕주 로마 |
| 마리아나 항공기술근무사령부/항공물자지역대 | (정보 없음) |
| 미들타운 항공기술근무사령부/항공물자지역대 | 펜실베이니아주 미들타운 |
| 모빌 항공기술근무사령부/항공물자지역대 | 앨라배마주 모빌 |
| 스포캔 항공기술근무사령부 | 워싱턴주 스포캔 육군 항공 비행장 |
| 세크라멘토 항공기술근무사령부/항공물자지역대 | 캘리포니아주 세크라멘토 |
| 샌베르나디오 항공기술근무사령부/항공물자지역대 | 캘리포니아주 샌베르나디오 |
| 샌안토니오 항공기술근무사령부/항공물자지역대 | 텍사스주 샌안토니오 |
| 오그덴 항공기술근무사령부/항공물자지역대 | 유타주 오그덴 |
| 오클라호마시티 항공기술근무사령부/항공물자지역대 | 오클라호마주 오클라호마시티 |
| 워너 로빈스 항공기술근무사령부/항공물자지역대 | 조지아주 워너 로빈스 |
3. 2. 항공물자지역대
3. 3. 공군
- 유럽 지역 항공물자군 - 프랑스 샤토루 항공창
- 태평양 지역 항공물자군 - 일본 다치카와 비행장
3. 4. 비행단 (Wing)
- 제50병력수송비행단; 1941년 3월 15일 ~ 1942년 4월 30일
- 제75항공창단(75th Aviation Depot Wing영어); 6.25 전쟁 당시 대한민국 경상남도 진해 공군기지 주둔.[1]
- 제2750공군기지단; 1992년 7월 1일[2]
- 제3079항공창단(3079th Aviation Depot Wing영어); 1950년 ~ 1962년 7월 1일 - 라이트-패터슨 공군기지[3]
3. 5. 부대
| 부대명 | 주둔지 | 기간 |
|---|---|---|
| 제4000항공기지부대 (사령부) | 라이트-패터슨 공군기지 | 1944년 4월 1일 ~ 1992년 7월 1일 |
| 제4000육군항공대부대 (항공기지) | 라이트-패터슨 공군기지 | 1945년 2월 21일 |
| 제4000공군기지부대 (항공기지) | 라이트-패터슨 공군기지 | 1947년 9월 26일 |
| 제2750공군기지(이후, 제2750공군기지단) | 라이트-패터슨 공군기지 | 1948년 8월 28일 |
3. 6. 부서
- 해외데이터반(이후 항공첩보원으로 개편)
- 국제군수센터 (1978년 4월 12일 ~ 1992년 7월 1일)
3. 7. 기타
Air Force Materiel Command Non-commissioned Officer Academy영어는 1994년 7월 18일에 오하이오주 라이트-패터슨 공군기지에 설립되었다.[1] 2009년 4월에 앨라배마주 맥스웰-건터 공군기지로 이전하였다.[1]4. 계보
| 설립일 | 명칭 |
|---|---|
| 1944년 7월 14일 | Army Air Forces Materiel and Services|육군 항공대 물자근무대영어 |
| 1944년 8월 31일 | Army Air Forces Technical Service Command|육군 항공대 기술근무사령부영어 |
| 1945년 7월 1일 | Air Technical Service Command|항공기술근무사령부영어 |
| 1946년 3월 9일 | Air Materiel Command|항공물자사령부영어 |
| 1961년 4월 1일 | Air Force Logistics Command|공군군수사령부영어 |
- 1944년 7월 17일, 주요사령부로 조직되었다.
- 1992년 7월 1일, 활동 중지.
참조
[1]
인용
The Final Report and a Tactical History
http://www.afhso.af.[...]
Officer of Air Force History, Headquarters USAF
1978
[2]
문서
패커드와 협력해서 1917년 [[리버티 L-12|V-12 리버티 엔진]]를 개발하였다.
[3]
웹인용
Augustine Warner Robins, Brigadier General, United States Army Air Corps
http://www.arlington[...]
2015-03-05
[4]
웹인용
Records of the Army Air Forces [AAF]
https://www.archives[...]
NARA
2013-08-19
[5]
저널
Aeronautical Research in Ohio
https://cug.org/5-pu[...]
University of Dayton
2003-05-13
[6]
서적
The Army Air Forces in World War II Volume VI: Men and Planes: Chapter 11
https://www.ibiblio.[...]
195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