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역사연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독교역사연합(CHU)은 1908년 네덜란드에서 창당된 개신교 정당으로, 기욤 흐룬 판 프린스테러르의 사상과 아브라함 카이퍼의 반혁명당에서 분리된 정당들의 통합으로 결성되었다. 이 당은 보수주의와 개신교 신앙에 기반한 '기독교 역사' 이념을 표방하며, 사회·윤리 문제에 보수적인 입장을 취했다. 1974년 기독교 민주 호소(CDA) 연합을 결성한 후, 1980년 기독교민주당(CDA)에 공식적으로 통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0년 해산된 정당 - 신민당 (1967년)
신민당은 1967년 민중당과 신한당이 통합하여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유진오를 당 대표, 윤보선을 대통령 후보로 선출하여 박정희 정권에 맞섰으나 1980년 신군부에 의해 해산되었다. - 1980년 해산된 정당 - 유신정우회
유신정우회는 박정희 대통령의 주도하에 결성되어 국민회의 추천 의원들로 구성되었으며, 정권의 국회 장악 수단으로 기능하다 박정희 대통령 암살 후 해체된 대한민국의 정치 조직이다. - 네덜란드의 정당 - 녹색좌파당 (네덜란드)
녹색좌파당은 환경 보호와 사회 정의를 핵심 이념으로 1989년 네 개의 좌파 정당이 합쳐져 창당되었으며, 국제 협력, 사회 복지 개혁, 사회적 관용 등을 주요 정책으로 추진하며 좌파 정당들과의 연대를 통해 네덜란드 정치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여성, 성소수자, 이민자 유권자에게 높은 지지를 얻고 있다. - 네덜란드의 정당 - 노동당 (네덜란드)
네덜란드 노동당은 1946년 설립된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 복지 국가 건설을 목표로 사회복지, 경제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 변화를 주도하며 네덜란드 정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으나, 2000년대 이후 지지율 하락을 겪고 녹색좌파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기독교역사연합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기독교역사연합 |
원어 이름 | Christelijk-Historische Unie |
약칭 | CHU |
당 색상 | |
상징색 | 짙은 파랑 |
지도자 | |
총재 | 알 수 없음 |
상원 대표 | 알 수 없음 |
하원 대표 | 알 수 없음 |
유럽 의회 대표 | 알 수 없음 |
창립 및 해산 | |
창립일 | 1908년 7월 9일 |
해산일 | 1980년 10월 11일 |
합병 정보 | |
합병 대상 | 기독교 역사당 프리슬란트 리그 |
합병 결과 | 기독교 민주당 아펠 |
기타 정보 | |
당원 수 (1979년) | 26,000명 |
이념 | 기독교 민주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
정치적 위치 | 중도우파 |
종교 | 화란 개혁 교회 복음 루터교회 저항파 |
청년 조직 | 기독교 역사 청년 조직 |
싱크 탱크 | 사보르닌 로만 재단 |
국제 연대 | 없음 |
유럽 정당 | 유럽 기독교민주연합 |
유럽 의회 그룹 | 기독교 민주주의 그룹 |
본부 | 바세나르세베흐 7, 헤이그 |
2. 역사
기독교역사연합(CHU)은 1908년 창당되어 1980년 기독교민주당 아펠에 흡수될 때까지 네덜란드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개신교 정당이다.
기욤 흐룬 판 프린스테러르는 '반혁명'과 '기독교-역사적'이라는 용어를 만들어 기독교역사연합에 중요한 영감을 주었다.[1] 1879년 아브라함 카이퍼는 반혁명당(ARP)을 창당했다.[2] 카이퍼는 정반합에 따라, ARP는 연립을 통해 로마 가톨릭교도들과 협력(학교 투쟁)했다. 1888년 선거와 1888년 구성 이후, 반혁명당원과 가톨릭교도로 구성된 매케이 내각이 탄생하여 종교 학교에 대한 부분적인 재정 지원을 이끌어냈다.[3]
선거권 확대 문제로 알렉산더 더 사보르닌 로만이 이끄는 보수 국회의원들은 1897년 자유 반혁명당(VAR)을 창당했다.[4] 1896년에는 기독교 역사 유권자 연맹(CHP)이, 1898년에는 프리슬란트 연맹이 창당되었다. 1903년, VAR는 기독교 역사 유권자 연맹과 합병하여 기독교 역사당을 만들었고, 1908년에는 기독교 역사당이 프리슬란트 연맹과 합병하여 기독교 역사 연합을 창설했다. 1912년, 소규모 국가 역사당 구성원들도 CHU에 합류했다.[5]
1908년부터 1913년까지 기독교역사연합(CHU)은 반혁명당(ARP)과 가톨릭 총연맹의 소수 종교 내각을 지지했다. 1909년 선거와 1913년 선거에서 각각 10석을 얻었다.[1] 1913년부터 1918년 사이에는 자유주의자들의 의회 외 내각에 협력하여 헌법 개정을 통해 남성 보통 선거권 도입과 종교 학교 재정 지원 확대를 이루어냈다.[1]
1918년 네덜란드 총선에서 비례 대표제가 도입된 후, CHU는 반혁명당(ARP), 가톨릭 정당과 함께 연립 정부를 구성하며 안정적인 의석을 확보했다. 1925년 교황청 주재 네덜란드 대표부 철회 문제로 연정이 붕괴되기도 했으나, 디르크 얀 데 헤르를 중심으로 한 내각을 구성하며 위기를 극복했다.[4]
1933년 네덜란드 총선 이후 대공황 시기에는 당내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경제에 대한 국가 개입을 지지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이들은 신학자 카를 바르트의 연구를 바탕으로 기독교적 사회주의 이념을 발전시켰다.[4]
제2차 세계 대전 중, 디르크 얀 데 헤르 총리가 독일과의 평화 협상을 시도하며 논란을 일으켰고, 네덜란드 망명 정부에서는 반혁명당(ARP) 출신 총리에게 자리를 내주었다.[4] CHU는 헌법 개정을 시행했던 자유주의자들의 의회 외 내각을 지지했으며, 내각 임기가 끝날 무렵 두 명의 CHU 장관이 합류했다.[3]
2. 1. 창당 배경 (1879-1908)
기욤 흐룬 판 프린스테러르는 '반혁명'과 '기독교-역사적'이라는 용어를 만들어 기독교역사연합(CHU)에 중요한 영감을 주었다.[1] 1879년, 아브라함 카이퍼는 개신교를 위한 대중 정당인 반혁명당(ARP)을 창당했다.[2] 카이퍼는 하나님의 뜻이 정치로 나타날 수 있다고 확신했다.[2] 카이퍼의 정반합에 따라, ARP는 종교 학교에 대한 동등한 재정 지원을 목표로 연립을 통해 로마 가톨릭교도들과 협력(학교 투쟁)했다. 1888년 선거와 1888년 구성 이후, 이러한 전략은 반혁명당원과 가톨릭교도로 구성된 매케이 내각을 탄생시켰고, 이 내각은 종교 학교에 대한 부분적인 재정 지원을 이끌어냈다.[3]한편, ARP 내에서는 갈등이 발생하여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뚜렷해졌다. 많은 반혁명당 국회의원들은 유권자들로부터의 독립을 중요하게 여겼고, 이로 인해 의회 내에 두 개의 뚜렷한 파벌이 생겨났다.[2] 카이퍼가 주도한 1886년 네덜란드 개혁 교회 분열은 1892년 네덜란드 개혁 교회를 탄생시켰다. 일부는 가톨릭교도와의 협력을 국가의 개신교 정체성을 배신하는 것으로 생각했다.[3] 갈등의 직접적인 원인은 1892년 요하네스 탁 판 포르트플리에트 자유주의 내각 장관이 선거권을 확대하려는 제안이었다. 카이퍼는 이를 지지했지만, 알렉산더 더 사보르닌 로만이 이끄는 보수 국회의원들은 이에 반대했다. 1894년 선거 이후, 그들은 주로 귀족 출신이며 네덜란드 개혁 교회 분열에서 카이퍼를 따르지 않은 사람들로 구성된 자체 의회 그룹을 만들었다.[4] 재통합이 불가능해지자, 1897년 자유 반혁명당(VAR)을 창당했다.[4]
같은 시기에 두 개의 다른 개혁 정당이 창당되었다. 1896년에는 기독교 역사 유권자 연맹(CHP)이 창당되었고, 1898년에는 프리슬란트 연맹이 창당되었다. 두 정당 모두 세속 국가를 거부하며, 각각 국가의 개신교적 성격과 네덜란드 개혁 교회적 성격을 강조했다. 1903년, VAR는 기독교 역사 유권자 연맹과 합병하여 기독교 역사당을 만들었다. 1908년, 기독교 역사당은 프리슬란트 연맹과 합병하여 기독교 역사 연합을 창설했다. 두 번의 합병은 VAR의 헌법적 견해와 다른 두 정당의 종교적 견해를 결합한 정당 선언으로 이어졌지만, CHP가 옹호한 더 넓은 개신교적 성격을 강조했다. 프리슬란트 연맹의 영향으로, 기독교역사연합은 더욱 증언 정당이 되었다. 이후 1912년, 소규모 국가 역사당의 구성원들도 CHU에 합류했다.[5]
2. 2. 초기 활동 (1908-1918)
1908년부터 1913년까지 기독교역사연합(CHU)은 반혁명당(ARP)과 가톨릭 총연맹의 소수 종교 내각을 지지했다. 1909년 선거에서 10석을 얻었고, 1913년 선거에서도 의석수를 유지했다.[1] 1913년부터 1918년 사이에는 자유주의자들이 의회 외 내각을 구성하여 헌법 개정을 추진했는데, 기독교역사연합은 이에 협력하여 남성 보통 선거권 도입과 종교 학교에 대한 재정 지원 확대를 이루어냈다.[1]2. 3. 양차 세계 대전 사이 (1918-1945)
1918년 네덜란드 총선에서 비례 대표제가 도입된 후, 기독교역사연합(CHU)은 반혁명당(ARP), 가톨릭 정당과 함께 연립 정부를 구성하며 안정적인 의석을 확보했다. 1925년 교황청 주재 네덜란드 대표부 철회 문제로 연정이 붕괴되기도 했으나, 디르크 얀 데 헤르를 중심으로 한 내각을 구성하며 위기를 극복했다.[4]1933년 네덜란드 총선 이후 대공황 시기에는 당내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경제에 대한 국가 개입을 지지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이들은 신학자 카를 바르트의 연구를 바탕으로 기독교적 사회주의 이념을 발전시켰다.[4]
제2차 세계 대전 중, 디르크 얀 데 헤르 총리가 독일과의 평화 협상을 시도하며 논란을 일으켰고, 네덜란드 망명 정부에서는 반혁명당(ARP) 출신 총리에게 자리를 내주었다.[4]
2. 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1980)
기독교역사연합(CHUnl)은 헌법 개정을 시행했던 자유주의자들의 의회 외 내각을 지지했다. 내각 임기가 끝날 무렵, 비교적 중립적인 정치인이었던 두 명의 기독교역사연합 장관이 내각에 합류했다.[3]3. 이념 및 정책
기독교역사연합(CHU)은 '기독교 역사' 이념을 표방하며, 보수주의와 개신교 신앙을 결합한 정당이었다. 이들은 정부를 '하나님의 종'으로 간주하고, 네덜란드 역사에서 개신교의 역할을 강조했다.[4]
사회 및 윤리 문제에 대해서는 이혼에 반대하고 특수학교(네덜란드)의 지위를 보호하는 등 보수적인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복지 국가 건설에 참여하면서 사회적으로 다소 진보적인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네덜란드 군주제와 국방을 지지했으며, 재정적으로는 보수적인 정책을 펼쳤다.
3. 1. 당내 분파
기독교역사연합 내에는 보수적인 주류와 함께, 사회 문제에 대해 상대적으로 진보적인 입장을 가진 '사회적 분파'가 존재했다. 피에트 리프트링크, 헹크 키케르트 등은 복지, 주택, 여성 문제 등에서 진보적인 목소리를 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밥 위테발 판 스토에트베겐은 여왕과의 친분으로 대중적 인기를 얻었으며, 네덜란드령 동인도 식민지 해방, 여성 해방, 주택, 교도소 개혁, 복지 문제에 대해 상당히 진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의 동료이자 노조원이었던 헹크 키케르트 역시 복지와 주택 문제에 있어 진보적인 입장을 견지했다.[4]4. 조직
기독교역사연합(CHU)은 지역 지부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연방 조직으로, 엄격한 당론은 존재하지 않았다. 엘리트 정당으로 분류되기도 했다.[4] 당 기관지로는 "C.H. 네덜란더"(Christian Historical Dutchman)를 발행했다. 청년 조직으로는 '크리스텔릭-히스토리셰 용게렌 오르가니사티'(CHJO, Christian Historical Youth Organisation Anti-Revolutionary Youth Studyclubs)를, 연구소로는 '데 사보르닌 로만 재단'을 운영했다.
국제적으로 기독교역사연합은 다소 고립된 경향을 보였으나, 유럽 의회에서는 기독교 민주파에 소속되어 활동했다.
네덜란드 개혁 교회, 개신교 방송사 NCRV, 고용주 단체 NCW, 노동 조합 CNV 등 여러 개신교 단체들과 느슨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러나 반혁명당 (ARP)에 비해 그 영향력은 약했다. 기독교역사연합은 특정 조직에 얽매이기보다는 소속되지 않은 보수적인 개신교 신자들에게 지지를 호소했으며, 당 소유 신문 ''De Nederlander''를 발행했다.
별도의 여성 조직 ''Centrale van Christelijk Historische Vrouwengroepen''을 운영하여 여성의 정치 참여를 독려했다.
5. 역대 지도부
6. 역대 선거 결과
선거 | 선두 후보 | 득표수 | % | 의석 | 정부 |
---|---|---|---|---|---|
1909 | 해당 없음 | 10석 | |||
1913 | 해당 없음 | 9석 | 야당 | ||
1917 | 해당 없음 | 9석 | 야당 | ||
1918 | 알렉산더 데 사보린 로만 | 7석 | 여당 | ||
1922 | 얀 쇼킹 | 11석 | 여당 | ||
1925 | 얀 쇼킹 | 305,587 | 9.9 | 11석 | 여당 |
1929 | 디르크 얀 데 헤르 | 335,800 | 10.6 | 11석 | 여당 |
1933 | 디르크 얀 데 헤르 | 339,813 | 9.2 | 10석 | 여당 |
1937 | 디르크 얀 데 헤르 | 302,829 | 7.5 | 8석 | 여당 (1937–1945) |
야당 (1945–1946) | |||||
1946 | 헨드릭 틸라누스 | 373,217 | 7.9 | 8석 | 야당 |
1948 | 헨드릭 틸라누스 | 453,136 | 9.2 | 9석 | 여당 |
1952 | 헨드릭 틸라누스 | 476,188 | 8.9 | 9석 | 여당 |
1956 | 헨드릭 틸라누스 | 482,915 | 8.4 | 13석 | 여당 |
1959 | 헨드릭 틸라누스 | 486,429 | 8.1 | 12석 | 여당 |
1963 | 헨크 베에르닝크 | 536,782 | 8.6 | 13석 | 여당 (1963–1965) |
야당 (1965–1967) | |||||
1967 | 헨크 베에르닝크 | 560,467 | 8.2 | 12석 | 여당 |
1971 | 베 우딘크 | 399,164 | 6.3 | 10석 | 여당 |
1972 | 아르놀트 틸라누스 | 354,463 | 4.8 | 7석 | 야당 |
7. 지지 기반
기독교역사연합은 국제적으로 비교적 고립된 정당이었다. 유럽 의회에서 기독교역사연합 의원들은 기독교 민주파에 소속되었다.
참조
[1]
서적
At Europe's Service: The Origins and Evolution of the European People's Part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1-05-19
[2]
서적
The Welfare State as Crisis Manager: Explaining the Diversity of Policy Responses to Economic Crisis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3-05-07
[3]
웹사이트
GROEN VAN PRINSTERER, Guillaume (1801-1876)
https://resources.hu[...]
2024-09-23
[4]
웹사이트
De CHU: een stille kracht
https://serieparleme[...]
[5]
논문
The Dynamics of Dutch Politics
1962-02
[6]
서적
Christen Radicaal
Uitgeverij Paul Brand, Hilversum-Maaseik/Uitgeverij Kok, Kampen
196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