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장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장족(Paniceae)은 벼과에 속하는 식물 족으로, 여러 아족과 다양한 속을 포함한다. 기장아족, 네우라크네아족, 대청가시풀아족, 멜리니스아족, 보이비넬라아족, 안테포라아족 등이 있으며, 분류가 불확실한 속들도 존재한다. 기장족은 PACMAD 분지군 내에서 기네리움족, 참새피족, 나도솔새상족 등과 가까운 관계를 가지며, C3 및 C4 광합성 방식을 모두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14년 기재된 식물 -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는 인도 원산의 상록 교목으로, 열매는 요리에 사용되며, 히드록시구연산(HCA) 성분이 다이어트 보조제로 쓰이지만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불충분하고 부작용 보고가 있어 섭취 시 주의가 필요한 식물이다.
  • 1814년 기재된 식물 - 포아풀족
    포아풀족은 벼과의 하위 분류군으로, 엽록체 게놈 분석 결과에 따라 두 개의 분류군으로 나뉘며, 과거의 아족 분류가 계통 분석 결과와 달라져 포아풀아족이 귀리풀아족을 포함하고 25개의 아족으로 세분화되었다.
  • 기장족 - 기장속
    기장속은 벼과에 속하는 큰 속으로,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며 식량 자원, 가축 사료, 토양 안정화, 환경 정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기장, 누카기비, 하이키비, 오오쿠사키비, 하나쿠사키비 등의 종을 포함한다.
  • 기장족 - 바랭이속
    바랭이속은 전 세계 따뜻한 지역에 분포하는 벼과 식물 속으로, 일부 종은 식용이나 주요 작물로 재배되지만, 다른 일부 종은 잡초로 취급받으며, 바이오 에너지 자원으로서의 가능성도 연구되고 있다.
기장족 - [생물]에 관한 문서
기장족 정보
조 (Setaria italica)
조(Setaria italica)
분류
상위 분류벼아과
학명Paniceae
명명자R.Br. (1814)
하위 분류 단위
하위 분류84, 본문 참조
이명Cenchreae
Digitarieae
Paniceae
Spinificeae
Melinideae
Boivinelleae
Anthephoreae
Trachideae
Cyphochlaeneae
Neurachneae

2. 하위 분류

기장족은 다음 아족을 포함한다.


  • 기장아족 (Panicinae Fr.)[4]
  • 네우라크네아족 (Neurachninae Clayton & Renvoize)[5]
  • 대청가시풀아족 (Cenchrinae Dumort.)[6]
  • 멜리니스아족 (Melinidinae Pilg.)[7]
  • 보이비넬라아족 (Boivinellinae Pilg.)[8]
  • 안테포라아족 (Anthephorinae Benth.)[9]
  • Dichantheliinae
  • 분류 불확실 (''incertae sedis'')

2. 1. 기장족 (Paniceae)

; 기장아족(Panicinae)[4]

; 네우라크네아족(Neurachninae)[5]

  • 네우라크네속(''Neurachne'')
  • ''Ancistrachne''
  • ''Calyptochloa''
  • ''Cleistochloa''
  • ''Thedachloa''
  • ''Thyridolepis''


; 대청가시풀아족(Cenchrinae)[6]

  • 강아지풀속(''Setaria'')
  • 대청가시풀속(''Cenchrus'')
  • 물잔디속(''Pseudoraphis'')
  • ''Acritochaete''
  • ''Alexfloydia''
  • ''Chamaeraphis''
  • ''Dissochondrus''
  • ''Holcolemma''
  • ''Hygrochloa''
  • ''Ixophorus''
  • ''Paractaenum''
  • ''Paratheria''
  • ''Plagiosetum''
  • ''Setariopsis''
  • ''Snowdenia''
  • ''Spinifex''
  • ''Stenotaphrum''
  • ''Stereochlaena''
  • ''Streptolophus''
  • ''Uranthoecium''
  • ''Whiteochloa''
  • ''Xerochloa''
  • ''Zygochloa''


; 멜리니스아족(Melinidinae)[7]

  • 나도개피속(''Eriochloa'')
  • 멜리니스속(''Melinis'')
  • ''Chaetium''
  • ''Eccoptocarpha''
  • ''Moorochloa''
  • ''Rupichloa''
  • ''Scutachne''
  • ''Thuarea''
  • ''Tricholaena''
  • ''Urochloa''
  • ''Yvesia''


; 보이비넬라아족(Boivinellinae)[8]

  • 주름조개풀속(''Oplismenus'')
  • 피속(''Echinochloa'')
  • ''Acroceras''
  • ''Alloteropsis''
  • ''Amphicarpum''
  • ''Cyphochlaena''
  • ''Cyrtococcum''
  • ''Entolasia''
  • ''Lasiacis''
  • ''Mayariochloa''
  • ''Microcalamus''
  • ''Ottochloa''
  • ''Parodiophyllochloa''
  • ''Pseudechinolaena''


; 안테포라아족(Anthephorinae)[9]

  • 바랭이속(''Digitaria'')
  • 안테포라속(''Anthephora'')
  • ''Chaetopoa''
  • ''Chlorocalymma''
  • ''Taeniorhachis''
  • ''Tarigidia''
  • ''Trachys''


; 분류 불확실(''incertae sedis'')

  • 물뚝새속(''Sacciolepis'')
  • ''Homopholis''
  • ''Hydrothauma''
  • ''Hylebates''
  • ''Oryzidium''
  • ''Poecilostachys''
  • ''Thyridachne''
  • ''Walwhalleya''

2. 2. 네우라크네아족 (Neurachninae)


  • 안키스트라크네(''Ancistrachne'' S.T.Blake)
  • 칼립토클로아(''Calyptochloa'' C.E.Hubb.)
  • 클레이스토클로아(''Cleistochloa'' C.E.Hubb.)
  • 뉴라크네(''Neurachne'' R.Br.)
  • 파라뉴라크네(''Paraneurachne'')
  • 티리돌레피스(''Thyridolepis'' S.T.Blake)[5]

2. 3. 안테포라아족 (Anthephorinae)

안테포라아족(Anthephorinae Benth.)[9]은 다음 속들을 포함한다.

  • 바랭이속(''Digitaria'' Haller)
  • 안테포라속(''Anthephora'' Schreb.)
  • 케토포아(''Chaetopoa'' C.E.Hubb.)
  • 클로로칼림마(''Chlorocalymma'' Clayton)
  • 메갈로프로타크네
  • 테니오라키스(''Taeniorhachis'' Cope)
  • 타리기디아(''Tarigidia'' Stent)
  • 티리다크네
  • 트라키스(''Trachys'' Pers.)

2. 4. 보이비넬라아족 (Boivinellinae)


  • ''아크로세라스'' (''Acroceras'')
  • ''알로테로피스'' (''Alloteropsis'')
  • ''암피카르품'' (''Amphicarpum'')
  • ''체이스클로아'' (''Chasechloa'')
  • ''키포클라이나'' (''Cyphochlaena'')
  • ''키르토콕쿰'' (''Cyrtococcum'')
  • 피속 (''Echinochloa'')
  • ''엔톨라시아'' (''Entolasia'')
  • ''라시아시스'' (''Lasiacis'')
  • ''마리아리오클로아'' (''Mayariochloa'')
  • ''미크로칼라무스'' (''Microcalamus'')
  • ''모로네아'' (''Morronea'')
  • 주름조개풀속 (''Oplismenus'')
  • ''오토클로아'' (''Ottochloa'')
  • ''파로디오필로클로아'' (''Parodiophyllochloa'')
  • ''포에실로스타키스'' (''Poecilostachys'')
  • ''프세우데키놀라에나'' (''Pseudechinolaena'')
  • ''세티아시스'' (''Setiacis'')[8]

2. 5. 멜리니스아족 (Melinidinae)


  • ''케티움''
  • ''에코토카르파''
  • ''에리오클로아''(''Eriochloa'')
  • ''레우코프리스''(''Leucophrys'')
  • ''메가티르수스'' (syn. ''Pseudobrachiaria''?)
  • ''멜리니스''(''Melinis'') (syn. ''밀드브레이디오클로아'', ''린켈리트룸'')
  • ''무로클로아''
  • ''루피클로아''
  • ''스쿠타크네''
  • ''투레아''
  • ''트리콜라에나''
  • ''우로클로아'' (syn. ''브라키아리아'')
  • ''이베시아''

2. 6. Incertae sedis (분류 불확실)


  • 물뚝새속( ''Sacciolepis'')
  • 오리지지움( ''Oryzidium'')
  • 켈로클로아( ''Kellochloa'')
  • 클로아크네( ''Chloachne'')
  • 테다클로아( ''Thedachloa'')
  • 트리칸테시움( ''Trichanthecium'')
  • 티리다크네( ''Thyridachne'')
  • 포에실로스타키스( ''Poecilostachys'')
  • 호모폴리스( ''Homopholis'') (동의어: ''왈왈레야'')
  • 히드로타우마( ''Hydrothauma'')
  • 힐레베이츠( ''Hylebates'')

3. 계통 분류

기장족은 벼과 기장아과에 속하는 분류군이다.[10][11] PACMAD 분지군 내에서의 자세한 계통 관계 및 다른 분류군과의 관계는 하위 문단을 참고한다.

3. 1. PACMAD 분지군 내 계통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0][11]
카스만티움족 '''C3'''
제우기테스족 '''C3'''
트리스타키아족 '''C4'''
스테이에르마르코클로아족 '''C3'''
켄토테카족 '''C3'''
티사놀라이나족 '''C3'''
키페로클로아족 '''C3'''

  • ** 기네리움족 '''C3'''
  • ** 기장족 '''C3''' & '''C4'''
  • ** 나도솔새상족

참새피족 '''C3''' & '''C4'''
새족 '''C4'''
나도솔새족 '''C4'''

3. 2. 기타 분지군과의 관계

기장족(Paniceae)은 벼과(Poaceae) 내 기장아과(Panicoideae)에 속하는 분류군이다.[10][11] 기장아과 내에서 기장족은 참새피족(Paspaleae)과 가장 가까운 유연 관계를 가진다. 기장족과 참새피족은 모두 C3 광합성 경로와 C4 광합성 경로를 사용하는 식물 종들을 포함하고 있다.

기장족과 참새피족이 함께 이루는 그룹은 새족(Andropogoneae)과 나도솔새족(Arundinelleae)으로 구성된 그룹과 자매군 관계이다. 후자의 그룹은 때때로 '나도솔새상족'(supertribe Andropogoneae)으로 묶이며, 대부분 C4 식물로 구성된다.

기장아과에는 이들 그룹 외에도 기네리움족(Gynerieae, C3)과 여러 족을 포함하는 이른바 '켄토테코이드 분지군'(centothecoid cladeeng)이 속한다. 이 분지군에는 카스만티움족(Chasmanthieae, C3), 제우기테스족(Zeugiteae, C3), 트리스타키아족(Tristachyideae, C4), 스테이에르마르코클로아족(Steyermarkochloeae, C3), 켄토테카족(Centotheceae, C3), 티사놀라이나족(Thysanolaeneae, C3), 키페로클로아족(Cyperochloeae, C3) 등이 포함된다.

기장아과는 아리스티다아과(Aristidoideae, C3 & C4)와 함께 더 큰 분기군을 형성하며, 이들은 모두 PACMAD 분지군이라는 상위 분류군에 속한다. PACMAD 분지군에는 이들 아과 외에도 물대아과(Danthonioideae, C3), 미크라이라아과(Micrairoideae, C3 & C4), 꼬인새풀아과(Chloridoideae, C3), 나도바랭이아과(Arundinoideae, C3 & C4)가 포함된다.[10][11]

참조

[1] 논문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2] 논문 Phylogeny of the Paniceae (Poaceae: Panicoideae): integrating plastid DNA sequences and morphology into a new classification
[3] 서적 A Voyage to Terra Australis
[4] 서적 Floram Scanicam
[5] 간행물 Kew Bulletin, Additional Series
[6] 서적 Analyse des Familles des Plantes
[7] 서적 Die natürlichen Pflanzenfamilien, Zweite Auflage
[8] 서적 Die natürlichen Pflanzenfamilien, Zweite Auflage
[9] 논문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Botany
[10] 저널 New grass phylogeny resolves deep evolutionary relationships and discovers C4 origins 2012
[11] 저널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