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하학 양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하학 양식은 기원전 1050년부터 기원전 700/650년까지 고대 그리스에서 유행한 미술 양식으로, 도기에 기하학적 형태와 추상적인 인물 및 동물을 묘사한 것이 특징이다. 이 양식은 원기하학 양식, 초기 기하학 양식, 중기 기하학 양식, 후기 기하학 양식으로 구분되며, 각 시기별로 도기의 형태, 장식, 인물 묘사 기법에 변화가 나타났다. 주요 모티프는 지그재그, 삼각형, 만곡선, 만(卍)자 등이며, 흑색 figure 도기 기법과 적색 figure 도기 기법이 사용되었다. 기하학 양식의 도기는 장례 의식과 심포지엄(향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장례용 화병은 고인의 묘비나 유해를 담는 데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그리스의 미술 - 스핑크스
    스핑크스는 사자의 몸과 사람의 머리를 가진 신화 속 존재로, 이집트, 그리스, 메소포타미아, 아시아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파라오의 권위, 사악함, 액막이 등의 상징으로 나타난다.
  • 고대 그리스의 미술 - 고대 그리스 미술
    고대 그리스 미술은 기원전 1050년부터 헬레니즘 시대까지 도기, 금속 세공, 조각, 건축, 회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했으며, 서양과 동양의 여러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기하학 양식
개요
기원전 8세기 후반의 아테네 후기 기하학 크레이터. 높이는 1.23m이다.
기원전 8세기 후반의 아테네 후기 기하학 크레이터. 높이는 1.23m이다.
설명
정의그리스 미술의 한 단계
시기기원전 900년경 – 기원전 700년경
이전 시기프로토기하학 양식
다음 시기아르카이크 양식
특징기하학적 모티프의 사용
인물 묘사의 재등장
내러티브 장면의 등장
하위 구분
초기 기하학 양식기원전 900년경 – 기원전 850년경
중기 기하학 양식기원전 850년경 – 기원전 760년경
후기 기하학 양식기원전 760년경 – 기원전 700년경
주요 특징 상세
장식기하학적 모티프 (원, 삼각형, 선 등)
인물 묘사양식화되고 단순화된 형태
내러티브장례식, 전투 장면 등
용도주로 도자기 장식에 사용
추가 정보
영향이후 그리스 미술 발전에 영향
관련 문화고대 그리스 문화

2. 기하학 양식의 시대별 구분

기하학 양식은 원기하학 양식, 초기 기하학 양식, 중기 기하학 양식, 후기 기하학 양식으로 구분된다.


  • 원기하학 양식 (기원전 1050년 ~ 기원전 900년): 미케네 도기의 유동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더 엄격하고 단순한 디자인을 추구했다. 캘리퍼로 새긴 동심원이나 반원과 같은 기하학적 형태가 특징인 수평 장식 띠를 사용했다.[8] 암포라, 히드리아, 오이노코에, 레키토스, 스키포스 등의 용기가 주로 제작되었으며, 아테네가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8]
  • 초기 기하학 양식 (기원전 900년 ~ 기원전 850년): 용기의 높이가 증가하고, 장식은 목에서 몸체 중간 부분까지로 제한되었다. 표면은 얇은 점토층으로 덮여 어둡고 반짝이는 금속성 색을 띠었다.[9] 만곡 장식이 추가되었으며, 암포라는 화장된 유골을 담는 데 사용되었다.
  • 중기 기하학 양식 (기원전 850년 ~ 기원전 760년): 장식 구역이 더욱 세분화되었으며, 미앤더 무늬가 주요하게 사용되었다.[10]
  • 후기 기하학 양식 (기원전 760년 ~ 기원전 700/650년): 항아리의 장식이 풍부해지고, 동물과 사람 형상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디필론 화가의 1.62m 크기의 암포라는 묘비로 사용되었으며,[11] 장례 이미지, 영웅적인 장면, 전쟁 이미지 등이 묘사되었다. 후기에는 기하학적 형태가 자유로워지고, 동물, 새, 난파 장면, 사냥 장면 등 다양한 주제가 등장하면서 오리엔탈 양식 시대로 이어졌다.[13] 아리스토노토스의 항아리는 그리스 도공의 가장 오래된 서명 작품으로, 오디세우스와 폴리페모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14]

2. 1. 원기하학 양식 (기원전 1050년 ~ 기원전 900년)

미케네 도기의 유동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더 엄격하고 단순한 디자인을 추구했다. 캘리퍼로 새긴 동심원이나 반원과 같은 기하학적 형태가 특징인 수평 장식 띠를 사용했다.[8] 단색 도기와 어깨 부분의 물결선이 특징적이었다. 주요 용기 형태로는 배와 목에 손잡이가 있는 암포라, 히드리아, 오이노코에, 레키토스, 스키포스 등이 있다.[8] 아테네가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며, 고대 테살리아, 에우보이아, 크레타 등 다른 지역에서도 자체적인 지역적 변형이 나타났다. 레프칸디 유적은 초기 원기하학 양식의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이다. 후기에는 칼라토스와 퓌시스와 같은 새로운 형태가 도입되었다.

2. 2. 기하학 양식 초기 (기원전 900년 ~ 기원전 850년)

초기 기하학 시대 (기원전 900년 ~ 기원전 850년)에는 용기의 높이가 증가했고, 장식은 목에서 용기 몸체의 중간 부분까지로 제한되었다. 나머지 표면은 얇은 점토층으로 덮여 있는데, 이 점토층은 소성 과정에서 어둡고 반짝이는 금속성 색상을 띤다.[9] 이 시기는 만곡 장식 주제가 도자기 디자인에 추가된 시기로, 기하학 미술의 가장 특징적인 요소이다.

이 기간 동안 더 폭넓은 용기 형태의 레퍼토리가 시작되었다. 특히, 암포라는 화장된 유골을 담는 데 사용되었다. 암포라는 남성의 경우 목이나 어깨에 손잡이가 있었고, 여성의 경우 꽃병의 "배"에 손잡이가 있었다.

2. 3. 기하학 양식 중기 (기원전 850년 ~ 기원전 760년)

중기 기하학 시대(기원전 850–760년)에는 장식 구역이 그물망의 생성으로 인해 더욱 세분화되었으며, 미앤더 무늬가 주요하게 사용되었다. 미앤더 무늬는 손잡이 사이에 위치한 메토페에서 가장 중요한 영역을 차지했다.[10]

Gimatzidis와 Weninger (2020)가 언급한 신도스 유적 발굴 결과를 토대로, Alagich 외 (2024)는 중기 기하학 시대가 140년 더 일찍 시작되어 (기원전 990-870년경) 지속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10]

2. 4. 기하학 양식 후기 (기원전 760년 ~ 기원전 700/650년)

일부 도공들은 항아리의 장식 구성을 다시 풍부하게 만들고, 항아리의 목과 받침대 부분에 동물 형태를 안정화시켰으며, 손잡이 사이에 사람 형상을 도입했다. 후기 기하학 시대는 디필론 화가가 만든 1.62m 크기의 암포라로 특징지어진다.[11] 이 항아리는 디필론 묘지에 있는 귀족 여성의 묘비였다.[11] 이것은 후기 기하학 시대의 첫 번째 단계(기원전 760–700년)였으며, 장례 기념물로 묘에 놓인 디필론 도기의 거대한 그릇들이 그 높이를 나타냈다(종종 1.5m 높이). 항아리에 그려진 장례 이미지는 애도하는 사람들로 둘러싸인 채 누워있는 고인(''prothesis'')이나, 침대에 누워 명예로운 전차 행렬을 따라 무덤으로 옮겨지는 모습(''ekphora'')을 포함했다. 이는 호메로스 서사시의 유사한 묘사와 관련된 것으로 여겨지는 영웅적인 장면과 전쟁 이미지를 동반했다.

177x177px


사람과 동물은 어두운 광택 색상으로 기하학적으로 묘사되었으며, 나머지 그릇은 동일한 그래픽 개념으로 미앤더, 구불구불한 선, 원, 만자 모양의 엄격한 구역으로 덮여 있다. 나중에는 주요 비극적 주제인 통곡이 쇠퇴하고, 구성이 완화되었으며, 기하학적 형태가 더 자유로워지고, 동물, 새, 난파 장면, 사냥 장면, 신화 또는 호메로스 서사시의 주제를 묘사한 구역이 기하학 도기를 더욱 자연주의적인 표현으로 이끌었다.[13]

후기 기하학 스타일의 특징적인 예 중 하나는 그리스 도공의 가장 오래된 서명 작품인 아리스토노토스(또는 아리스토노포스, 기원전 7세기)의 항아리이다. 이 항아리는 이탈리아의 체르베테리에서 발견되었으며, 오디세우스와 그의 동료들이 폴리페모스의 눈을 멀게 하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14] 기원전 8세기 중반부터 그리스와 동방 간의 더 밀접한 접촉은 도자기 예술을 사자, 표범, 상상의 존재, 장미, 야자잎, 연꽃 등 새로운 주제로 풍부하게 했으며, 이는 오리엔탈 양식 시대로 이어졌다. 이 시기에는 코린트의 도기 스타일이 두드러졌다.

자고라 유적지(안드로스 섬)의 발굴과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그리고 신도스 유적지의 이전 연대 측정을 바탕으로 Alagich et al.(2024)는 후기 기하학 I 시기가 전통적인 연대기보다 약 120년 더 일찍 시작되었으며(기원전 870-730년경) 지속되었음을 시사한다.[10]

3. 기하학 양식의 모티프

기하학 양식 도자기는 화병 전체를 덮는 여러 개의 수평 띠로 구분된다. 이 띠들 사이에는 지그재그, 삼각형, 만곡선, 만(卍)자와 같은 다양한 기하학적 모티프가 사용되었다.[15] 추상적인 요소 외에도 양식화된 인간과 동물의 묘사가 도입되었는데, 이는 초기 원기하학 양식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16] 이 시기 유물 중 상당수는 장례 용품이었으며, 특히 귀족 무덤의 묘비 역할을 한 디필론 암포라가 중요하다. 디필론 장인은 후기 기하학 시대의 여러 크라테르와 암포라를 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5][16]

선형 디자인은 이 시대의 주요 모티프였다. 만곡선 패턴은 띠에 배치되거나 더 커진 장식 패널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었다.[17] 도예가들이 암포라나 레키토스와 같은 형태에서 장식에 가장 많이 사용한 부분은 목과 배였는데, 이는 장식의 자유도가 높고 용기의 큰 치수를 강조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17]

4. 인물 표현

기원전 770년경부터 화병 손잡이 등에 인물상이 그려지기 시작했다. 남성은 역삼각형의 몸통에 코로 여겨지는 돌기가 달린 달걀형 머리에, 허벅지와 종아리는 막대기처럼 묘사되었다. 여성도 마찬가지로 추상화적으로 묘사되었는데, 긴 머리카락은 일련의 선으로, 가슴은 겨드랑이 밑의 불룩함으로 표현되었다.[26]

5. 기법

이 시대의 두 가지 기법으로는 흑색 figure 도기와 적색 figure 도기가 있다. 흑색 figure 도기는 기원전 700년경에 시작되어, 기원전 530년경에 적색 figure 도기가 발명될 때까지 지배적인 스타일이었다.[19] 적색 figure 도기는 예술가들에게 향상된 세부 묘사를 가능하게 해주었기 때문에 흑색 figure 도기에서 적색 figure 도기로 전환이 이루어졌다.

6. 서사 예술

이 시기의 서사에 대한 개념은 작가와 관객 사이에 존재한다. 작가는 관람자와 소통하지만, 관람자의 해석은 때때로 부정확할 수 있다. 더욱이, 관람자는 단일 작품에 대해 여러 가지 해석을 할 수 있다. 그리스 기하학 예술에서 전달되는 이야기를 해석하려면 역사적, 신화적, 사회적 맥락의 조합이 필요하다. 기하학 시대의 미술 작품은 "그리스 신화와 그리스 문학의 보충 자료 및 삽화"로 볼 수 있다.[20] 그리스 기하학 예술에서 묘사된 장면들은 묘사된 장면 분석을 통해 다양한 해석을 담고 있다. 미술사학자들은 이 시기에 이루어진 양식적 선택이 특정한 이유 때문인지, 아니면 단순한 우연의 일치였는지를 결정해야 한다.

7. 용도

기하학 양식의 도자기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대형 화병은 장례용으로 사용되었는데, 남성의 경우 디필론 크라테르, 여성의 경우 배 모양의 암포라가 사용되었다.[3] 이 화병들은 유해를 담거나 무덤 표지석으로 사용되었으며, 죽은 자를 기리는 장례 장면이 묘사되었다.[3] 고인이 옷을 입고 안치된 모습(prothesis)이나 슬퍼하는 가족들, 전차 행렬(ekphora)과 함께 무덤으로 옮겨지는 모습 등이 그려졌다. 이러한 묘사에는 영웅적 장면과 전쟁 이미지가 함께 나타나 호메로스 서사시와 같이 영웅적인 분위기를 조성했다.[3] 그리스인들은 적절한 장례를 치르지 않는 것을 불명예로 여겼으며, 적절한 장례 의식이 없으면 죽은 자가 저승에서 평화를 얻지 못한다고 믿었다.[3]

심포지엄에 사용되는 와인 냉각기, 물병, 술잔, 혼합 용기 등도 기하학적 장면으로 장식되었다.[4] 일부 장면은 음주 파티나 디오니소스와 그의 추종자들을 묘사했다.[4]

7. 1. 장례

대형 장례 화병(남성의 경우 종종 디필론 크라테르, 여성의 경우 배 모양의 암포라)은 장례 장면을 묘사했을 뿐만 아니라, 유해를 담거나 무덤 표지석으로 사용되는 등 실용적인 목적도 가지고 있었다.[3] 이 화병들은 종종 죽은 자를 기리기 위한 장례 이미지를 담고 있었는데, 고인이 옷을 입고 안치된 모습(prothesis)을 묘사했으며, 종종 슬퍼하는 가족 구성원들에게 둘러싸여 있거나, 침대에 누워 명예로운 전차 행렬(ekphora)과 함께 무덤으로 옮겨지는 모습이었다. 이러한 묘사에는 다양한 영웅적 장면과 전쟁 이미지가 함께 나타났으며, 이는 호메로스 서사시의 유사한 묘사와 관련되어 영웅적인 분위기를 고취시키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스인들에게 적절한 장례를 생략하는 것은 적절한 존엄성에 대한 모욕이었다.[3] 적절한 장례의 신화적 맥락은 그리스인들이 저승에서 지속적인 존재를 믿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적절한 장례 의식이 없을 경우 죽은 자가 저승에서 평화를 유지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었다.

7. 2. 심포지엄 (향연)

심포지엄은 귀족 남성들만 참석할 수 있는 사교 모임이었다.[4] 와인 냉각기, 물병, 다양한 술잔, 혼합 용기 등은 그리스 기하학적 장면으로 장식되었다. 일부 장면은 음주 파티나 디오니소스와 그의 추종자들을 묘사했다.[4] 심포지엄은 남성 전용 공간인 '안드론'에서 열렸다.[5] 이 방에 들어갈 수 있는 유일한 여성은 헤타이라라고 불리는 여성 성 노동자였으며, 정기적인 남성 동반자로부터 대가를 받았다.[5]

참조

[1] 논문 Geometric Art - Bernhard Schweitzer: Greek Geometric Art. Pp. 352; 239 plates, 137 figs. London: Phaidon Press, 1971. Cloth, £9·50. 1973-12
[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Greece http://www.hellenicf[...] 2016-01-04
[3] 웹사이트 Death, Burial, and the Afterlife in Ancient Greece {{!}} Essay {{!}} Heilbrunn Timeline of Art History {{!}}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www.metmuseu[...] 2017-12-01
[4] 웹사이트 The Symposium in Ancient Greece {{!}} Essay {{!}} Heilbrunn Timeline of Art History {{!}}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www.metmuseu[...] 2017-12-01
[5] 뉴스 Wine, Women, and Wisdom: The Symposia of Ancient Greece https://www.national[...] 2017-01-17
[6] 간행물 The origin of the Protogeometric style in northern Greece and its relevance for the absolute chronology of the Early Iron Age https://www.cambridg[...] 2024-10-29
[7] 논문 Aegean Pottery in Iron IIA Megiddo: Typological, Archaeometric and Chronological Aspects 2020-12
[8] 서적 A Companion to Greek Art
[9] 문서 Natural History
[10] 논문 Mediterranean Early Iron Age chronology: assessing radiocarbon dates from a stratified Geometric period deposit at Zagora (Andros), Greece https://www.cambridg[...] 2024-02-26
[11] 서적 A Companion to Greek Art
[12] 서적 The Art of Greece and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13] 웹사이트 Geometric periods of pottery http://www.greek-the[...]
[14] 서적 Greek Identity in the Western Mediterranean Brill
[15] 서적 Geometric Greece: 900-700 BC Psychology Press 2003
[16] 서적 Looking at Greek Vas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17] 서적 The Dark Age of Greece: An Archaeological Survey of the Eleventh to the Eighth Centuries BC Taylor & Francis 2001
[18] 서적 Archaeology as Cultural History: Words and Things in Iron Age Greece Wiley 1991
[19] 웹사이트 Ancient Greek vase production and the black-figure technique https://www.khanacad[...] 2017-11-30
[20] 논문 Narration in Greek Art 1957
[21] 논문 '''Greek Geometric Art''' by Bernhard Schweitzer http://links.jstor.o[...] 1973-12
[22] 문서 博物誌
[23] 웹사이트 Geometric periods of pottery http://www.greek-the[...]
[24] 서적 Geometric Greece: 900-700 BCE Routledge 1979
[25] 서적 The Dark Age of Greece: An Archeological Survey of the Eleventh to the Eighth Centuries BCE Taylor & Francis 2001
[26] 서적 Archaeology As Cultural History: Words and Things in Iron Age Greece Blackwell Publishers 1999-09
[27] 저널 '''Greek Geometric Art''' by Bernhard Schweitzer https://archive.org/[...] 1973-12
[28] 웹인용 The History of Greece http://www.hellenicf[...] 2016-0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