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진섭 (1903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진섭은 일제강점기와 광복 이후에 활동한 대한민국의 문학가이다. 청풍 김씨이며, 호는 청천이다. 전라남도 목포에서 태어나 호세이 대학 독문과를 졸업하고 문학 평론가, 연극 평론가, 시인, 수필가로 활동했다. 광복 후 경성방송국 직원,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장, 서울대학교 및 성균관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되었다. 주요 작품으로 시집 《시냇물 흐르는 소리 들어라》, 수필집 《백설부》, 《주부송》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연극 평론가 - 주영섭 (극작가)
    주영섭은 일제강점기와 광복 직후 활동한 극작가로, 좌익 연극 활동을 하다 친일 연극을 연출하여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에 포함되었으며, 광복 후 월북했을 것으로 추정되나 행적이 묘연하다.
  • 독문학자 - 김누리
    김누리는 독일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독일 문학 연구와 저서 집필, 사회적 발언 등 다양한 활동을 하는 대한민국의 독일문학자이자 대학교수이다.
  • 독문학자 - 에밀 슈타이거
    에밀 슈타이거는 스위스 출신의 독일 문학 연구가로, 취리히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문학 텍스트 자체에 집중하는 비평 스타일로 독일 문학에 기여했고, 고대 및 현대 언어 번역가로 활동하며 여러 저서와 상을 수상했다.
  • 남평초등학교 (전남) 동문 - 장지량 (1924년)
    장지량은 일제강점기 일본 육군사관학교와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공군 창설에 기여했으며, 공군참모총장, 외교관, 대한중석광업 사장,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1997년 대한민국 성우회 회장을 지내다 2015년에 사망했다.
  • 남평초등학교 (전남) 동문 - 배기운
    배기운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나 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을 상실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김진섭 (1903년) - [인물]에 관한 문서
작가 정보
이름김진섭
출생일1903년 8월 24일
출생지대한제국 전라남도 무안부 무안목 목포영 목포진
사망일?
언어한국어
영어
독일어
중국어
일본어
필명아호(雅號)는 청천(聽川)
본관청풍
국적대한민국
직업문학평론가
연극 평론 작가
수필 작가
시인
순수 문학 작가
문인
독어독문학자
대학 교수
번역 작가
방송인
장르수필
번역
평론
시문학
배우자청주 이내올(李來兀, 생몰: 1902년~1988년)
자녀2남 3녀 (그 가운데 차남 김재현, 차녀 김옥교)
활동 기간1925년~1950년
경력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학력일본 도쿄 호세이 대학독어독문학학사(1935년 3월)
웹사이트두피디아 김진섭

2. 생애

청풍(淸風)으로, (號)는 청천(聽川)이며, 전라남도 무안부 무안목 목포영 목포진에서 출생하였고, 지난날 한때 경상북도 안동군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이후 1909년(일곱살때)에 전남나주군으로 이주했다. 1916년에 일제 시대의 경성부로 처음 유학을 떠났으며, 1922년에 일본 도쿄 유학, 이듬해(1923년)에 호세이 대학독어독문학과에 입학하여 이후 총합 8년의 거듭된 긴 휴학 끝에 드디어 1935년에 학사 학위를 취득한 한편으로는, 대학 재학 시절 때인 1925년에 문학평론가로 등단하였고, 1926년연극 평론 작가로 입문함에 이어, 1927년에는 시인으로 입문했지만, 1929년에서부터는 수필 작가로 더더욱더 이름을 날렸다. 그리고 극연(극예술연구회)의 창립 구성원으로도, 그 이름을 날리었으며, 1939년 이후에서부터 시필(詩筆)은 아예 절필(絶筆)을 선언하여, 그 후로는 오로지 수필(隨筆)과 평필(評筆)과 독어 역필(獨語 譯筆)이라는 3가지 분야에만 전념했다.

전라남도목포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잠시 경상남도 안동에서 지냈다. 1927년 호세이 대학 문학부 독문과를 졸업했다.[2] 1925년에 문학 평론가로 등단한 후, 수필가로 명성을 떨쳤다.

광복 후 경성방송국 직원,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장, 서울대학교 및 성균관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지만, 자택에 있던 중 북한에 납치되어 이후 소식이 불분명하다.[1][2]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당시에 북괴군한테 납북되었다.

이후 대한민국의 서울에 남아 있던, 그의 부인(이내올)은 전쟁미망인으로서의 남은 슬픔을 달래고자 1953년에 개신교 신자로 입문했다.

2. 1. 출생과 성장

청풍(淸風)으로, (號)는 청천(聽川)이며, 전라남도 목포에서 출생하였다.[2] 어린 시절 잠시 경상북도 안동에서 지내다가, 1909년 일곱살 때 전남 나주로 이주했다.

2. 2. 학업

1916년 경성부로 유학하여 1922년 경성양정고등보통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1922년 일본 도쿄로 유학, 1923년 호세이 대학 독어독문학과에 입학하였다. 8년간의 휴학 끝에 1935년 호세이 대학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였다.

2. 3. 문단 활동

전라남도 목포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잠시 경상남도 안동에서 지냈다.[2] 1925년 문학평론가로 등단하였고, 1926년 연극 평론 작가로 입문하였다. 1927년 호세이 대학 문학부 독문과를 졸업하였다.[2] 같은 해 시인으로 등단하였으며, 1929년 이후 수필 작가로 명성을 떨쳤다. 극예술연구회 창립 구성원이었다. 1939년 이후 집필을 중단하고, 수필, 문학 평론, 독일어 번역에 전념하였다.

2. 4. 광복 이후

광복 후 경성방송국 직원,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장, 서울대학교성균관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1][2] 그러나 자택에 있던 중 북한에 납치되어 이후 소식이 불분명하다.[1][2]

2. 5. 납북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북한에 납치되었다.[1][2] 이후 소식이 불분명하다.[1][2] 서울에 남아 있던 그의 부인(이내올)은 전쟁미망인으로서의 남은 슬픔을 달래고자 1953년에 개신교 신자로 입문했다.

2. 6. 가족

3. 주요 작품 활동

3. 1. 번역

「번역 소설 문전(門前)의 일보(一步)」(1927년)를 통해 토마스 만헤르만 헤세의 소설을 번역하였다.

3. 2. 평론집

3. 2. 1. 문학 평론


  • 표현주의문학론(1927년)
  • 수필의 문학적 영역(1929년)
  • 교양의 문학(1950년)
  • 청천수필평론집(聽川隨筆評論集)(1958년, 사후 출간)

3. 2. 2. 연극 평론

「연극 평론 문전(門前)의 일보(一步)」(1939년)

3. 3. 시집

《시냇물 흐르는 소리 들어라》(1939년)

3. 4. 수필집

김진섭은 《백설부(白雪賦)》(1929년), 《주부송(主婦頌)》(1935년), 《인생예찬》(1947년), 《생활인의 철학》(1948년) 등의 수필집을 발표했다. 사후에는 《청천수필평론집(聽川隨筆評論集)》(1958년)이 출간되었다.

4. 평가

참조

[1] 웹사이트 隨筆家(수필가) 金晋燮(김진섭) 氏宅(씨택)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2022-09-10
[2] 웹사이트 김진섭(金晉燮) http://encykorea.aks[...] 2022-09-10
[3] 문서 1941년부터 이듬해 1942년까지 어언 13개월 동안, 경성방송국 소재 매주 목요일 모 주간 위클리 라디오 프로그램 진행자 등으로 활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