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깃털말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깃털말목은 파래강에 속하는 녹조류의 일종으로, 실처럼 가늘고 분지된 엽상체를 특징으로 한다. 다핵성 세포 구조를 가지며, 격벽이 없어 단일 세포가 수 미터에 달하기도 한다. 깃털말목에 속하는 종은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단축성 또는 다축성 구조를 보인다. 일부 종에서는 기관 분화와 조직 분화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들은 무성 생식과 유성 생식을 하며, 생활환은 다양하다. 깃털말목은 열대 지역의 산호초나 석호에 주로 서식하며, 일부 종은 식용 또는 관상용으로 이용되지만, 침입종으로 인해 생태계에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파래강 - 가시파래
    가시파래는 관 모양의 녹조류로 전 세계에 분포하며, 특히 중국 황해에서 녹조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고 식용 또는 약재로 사용된다.
  • 갈파래강 - 좀대롱말과
    좀대롱말과는 녹조류의 일종으로 대롱말목에 속하며, 좀대롱말속, 대마디붙이속, 네레오딕티온속, 필로딕티온속, 잎맥말붙이속, 스트루베옵시스속 등을 포함한다.
깃털말목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죽은 사람의 손가락
죽은 사람의 손가락 (Codium fragile)
학명Bryopsidales
명명자J.H. Schaffner
하위 분류군 계층과(科)
하위 분류군Bryopsidaceae (그물말과)
Caulerpaceae (イワヅタ과, 이와즈타과, 이와즈타gwa)
Chaetosiphonaceae
Codiaceae (ミル과, 미루과, mirugwa)
Derbesiaceae (ツユノイト과, 쓰유노이토과, sseuyunoitogwa)
Dichotomosiphonaceae (チョウチンミドロ과, 초우칭미도로과, chouchingmidorogwa)
Halimedaceae (サボテングサ과, 사보텡구사과, sabotenggusagwa)
Ostreobiaceae
Pseudocodiaceae
Pseudoudoteaceae
Rhipiliaceae
Udoteaceae (ハネモ과, 하네모과, hanemogwa)
이명Caulerpales (イワヅタ目, 이와즈타목, iwajeutamok)
Codiales (ミル目, 미루목, mirumok)
Derbesiales (ツユノイト目, 쓰유노이토목, sseuyunoitomok)
Halimedales (サボテングサ目, 사보텡구사목, sabotenggusamok)
Dichotomosiphonales (チョウチンミドロ目, 초우칭미도로목, chouchingmidoromok)

2. 특징

엽상체는 실처럼 가늘고, 매우 분지되어 있으며 덩어리로 뭉쳐질 수 있다. 다핵성으로, 원통형 세포벽 내에 세포질을 포함하는 다핵 세포로 이루어진 공동세포이다. 격벽이 없으며, 많은 원반형 엽록체, 핵 및 기타 세포 소기관들은 유기체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전체 유기체는 단일 세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콩짜개김''(Caulerpa) 속의 경우, 이 단일 세포가 수 미터에 달할 수 있다. ''코랄말''(Halimeda) 속에서는, 전체 해저 초원이 기질을 통해 뻗어있는 실 모양의 실로 연결된 개별 단일 세포 유기체로 구성될 수 있다.[11][12][13][14][15][16][17]

깃털말목에 속하는 종의 대부분은 거시적인 크기이며, 길이가 수 미터 (m)에 달하는 것도 있지만, 현미경으로 확인해야 하는 미세한 실 모양의 종도 있다(예: 카이갈라미도리토 속).[11][15][16] 모두 '''다핵낭상성''' (siphonous, coenocytic)이며, 기본적으로 조체 내에 격벽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거대한 단세포체(또는 비세포체[21])라고도 불리는 몸의 구조를 하고 있다. 다핵이며 격벽을 결여한 세포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1개의 세포사가 1개의 단위가 되는 단축성(uniaxial)인 것(깃털말 속, 츠유노이토 속, 이와즈타 속, 마유하키모 속 등)과, 다수의 세포사가 조합되어 1개의 단위가 되는 다축성(multiaxial)인 것( 속, 사보텐구사 속, 하고로모 속 등)이 있다.[11][15][16]

이와즈타 속에서는 "잎"(직립지), "줄기"(포복지), "뿌리"(가근)와 같은 "기관 분화"가 보인다. 또한 일부 종에서는 어느 정도의 "조직 분화"를 보인다. 예를 들어 속에서는 세포사가 밀집하여 조체 내측에서 수질을 형성하며, 조체 표층부는 세포사의 일부가 팽윤된 소낭(utricle)으로 덮여 있다. 엽록체는 소낭 내에 밀집해 있다. 이와즈타 속에서는 세포벽이 내측으로 다수 돌출하여 trabecula (''pl.'' trabeculae)를 형성하고 있으며, 조체를 보강하고 있다.

2. 1. 형태

엽상체는 실처럼 가늘고, 매우 분지되어 있으며 덩어리로 뭉쳐질 수 있다. 다핵성으로, 원통형 세포벽 내에 세포질을 포함하는 다핵 세포로 이루어진 공동세포이다. 격벽이 없으며, 많은 원반형 엽록체, 핵 및 기타 세포 소기관들은 유기체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전체 유기체는 단일 세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콩짜개김''(Caulerpa) 속의 경우, 이 단일 세포가 수 미터에 달할 수 있다. ''코랄말''(Halimeda) 속에서는, 전체 해저 초원이 기질을 통해 뻗어있는 실 모양의 실로 연결된 개별 단일 세포 유기체로 구성될 수 있다.[11][12][13][14][15][16][17]

깃털말목에 속하는 종의 대부분은 거시적인 크기이며, 길이가 수 미터 (m)에 달하는 것도 있지만, 현미경으로 확인해야 하는 미세한 실 모양의 종도 있다(예: 카이갈라미도리토 속).[11][15][16] 모두 '''다핵낭상성''' (siphonous, coenocytic)이며, 기본적으로 조체 내에 격벽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거대한 단세포체(또는 비세포체[21])라고도 불리는 몸의 구조를 하고 있다. 다핵이며 격벽을 결여한 세포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1개의 세포사가 1개의 단위가 되는 단축성(uniaxial)인 것(깃털말 속, 츠유노이토 속, 이와즈타 속, 마유하키모 속 등)과, 다수의 세포사가 조합되어 1개의 단위가 되는 다축성(multiaxial)인 것( 속, 사보텐구사 속, 하고로모 속 등)이 있다.[11][15][16]

이와즈타 속에서는 "잎"(직립지), "줄기"(포복지), "뿌리"(가근)와 같은 "기관 분화"가 보인다. 또한 일부 종에서는 어느 정도의 "조직 분화"를 보인다. 예를 들어 속에서는 세포사가 밀집하여 조체 내측에서 수질을 형성하며, 조체 표층부는 세포사의 일부가 팽윤된 소낭(utricle)으로 덮여 있다. 엽록체는 소낭 내에 밀집해 있다. 이와즈타 속에서는 세포벽이 내측으로 다수 돌출하여 trabecula (''pl.'' trabeculae)를 형성하고 있으며, 조체를 보강하고 있다.

2. 2. 세포 구조

엽상체는 실처럼 가늘고, 매우 분지되어 있으며 덩어리로 뭉쳐질 수 있다. 다핵성으로, 원통형 세포벽 내에 세포질을 포함하는 다핵 세포로 이루어진 공동세포이다.[16][17][18][19][20] 격벽이 없으며, 많은 원반형 엽록체, 핵 및 기타 세포 소기관들은 유기체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전체 유기체는 단일 세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콩짜개김''(Caulerpa) 속의 경우, 이 단일 세포가 수 미터에 달할 수 있다. ''코랄말''(Halimeda) 속에서는, 전체 해저 초원이 기질을 통해 뻗어있는 실 모양의 실로 연결된 개별 단일 세포 유기체로 구성될 수 있다.

조체는 세포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세포벽을 구성하는 주요 섬유 다당류는 셀룰로스가 아니라, 분류군이나 생활환의 시기에 따라 다르다.[16][17][18][19][20] 세대 교환을 하는 것(하네모, 츠유노이토 등)에서는 배우체가 β-1,4-만난, 포자체가 β-1,3-자일란을 주로 한다. 한편, 세대 교환을 하지 않는 것에서는 그룹에 따라 주요 섬유 다당류가 다르며, 미르속에서는 만난, 이와즈타속 등에서는 자일란을 주로 한다. 사보텐구사속이나 하고로모속 등에서는 세포벽에 탄산 칼슘아라고나이트 형태로 침착하여 석회화한다.[16][17]

조체의 대부분은 큰 액포로 점유되며, 엽록체 등의 세포 소기관을 포함하는 세포질은 표층 가까이에 얇게 분포한다.[11][15][16] 활발한 원형질 유동을 보이며, 이것에 의해 주야로 엽록체의 분포를 변화시키는 것도 있다.[21][22] 조체는 세포질 분열을 수반하지 않는 핵 분열을 하여, 다수의 을 포함하는 몸이 된다.[11][15][16] 핵 분열은 폐쇄형, 중간 방추사는 잔존형이다.[13][14][16][23] 때때로 극에 중심소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엽록체는 판상, 다수. 색소체로서 엽록체만을 갖는 경우 (homoplastidy)도 있지만, 사보텐구사아목은 엽록체와 아밀로플라스트를 둘 다 갖는다 (heteroplastidy).[11][15][16][17] 엽록체는 때때로 피레노이드를 갖는다. 이와즈타속에서는 색소체 DNA가 피레노이드 내에 국재하는 예가 알려져 있다.[24] 대부분의 종은 카로티노이드로 청록색광 흡수 능력을 갖는 시포낙산틴과 시포네인을 갖지만, 쵸친미도르속은 시포낙산틴을 결여한다.[25][26][27]

하네모목의 조체 내부는 기본적으로 하나로 연결되어 있으며, 원형질의 유출을 막는 의미에서의 손상에 대한 수복 기구가 발달해 있다.[16] 손상 시에는 액틴 섬유가 관여한 세포막의 급속한 수축이 일어나며, 또한 세포벽을 닫는 마개가 형성된다. 이치이즈타에서는 손상 시에 카우렐페닌 (caulerpenyne)[28] 이라 불리는 테르페노이드에서 옥시톡신 2 (oxytoxin 2)를 생성하며, 이것이 단백질을 가교하여 급속하게 마개를 형성한다. 또한 카우렐페닌은, 유사한 반응에 의해 식식자에게 화학적 방어 물질 (독)로 기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2. 3. 생식

깃털말목의 번식은 일반적으로 새로운 개체로 성장하는 작은 조각으로부터의 무성 생식이다. 특정 조건 하에서, ''홀로카피''라고 불리는 과정을 통해 유성 생식이 일어난다. 엽상체의 거의 모든 세포질이 이중 편모를 가진 배우자로 변환되어 유두를 통해 바다로 배출된다. 수정 후, 접합자는 원사가 되고, 이것이 차례로 새로운 엽상체로 발달한다.[2][3]

깃털말목의 생활환의 양식은 다양하다. 세대 교번을 하는 것(단복 세대 교번형 생활환)에서는, 2개의 편모를 가진 배우자를 형성하는 단상(염색체를 1세트만 가지는, ''n'')의 배우체와 관형 편모성의 유주자를 형성하는 복상(염색체를 2세트 가지는, 2''n'')의 포자체 사이에서 세대 교번을 한다.[12][13][15][16][17][29][27] 세대 교환을 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이형 세대 교번이며, 배우체가 대형인 것(하네모속 등)과 포자체가 대형인 것(츠유노이토속 등)이 있지만, 배우체와 포자체가 거의 동형인 종도 있다.[11] 츠유노이토속 등의 배우체는 옛날에는 별속(우미노타마속 ''Halicystis'')으로 취급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우미노타마 세대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29] 다만 츠유노이토에서의 "포자체"는 복상이 아니라, 암수 배우자 유래의 핵이 융합되지 않은 채 다핵화된 것(중상, ''n''+''n'')이라고 보고되기도 한다.[15]

밀속이나 이와즈타속, 사보텐구사속 등은 세대 교환을 하지 않고, 영양체가 배우자를 형성하여 이것이 접합하여 형성된 접합자가 새로운 조체로 발생한다.[12][13][15][16][17] 영양체는 복상이며 배우자 형성 시에 감수 분열이 일어난다고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12][13][29] (복상 단세대형 생활환). 한편, 접합자의 발생 시 감수 분열이 일어나 영양체는 단상이라고 하는 설도 있다.[15]

유성 생식에 있어서의 배우자 합체는 기본적으로 이형 배우 (소형의 웅성 배우자와 대형의 자성 배우자의 합체)이지만 (오른쪽 그림 3), 쵸우친미도리속에서만 난 배우가 알려져 있다(자성 배우자가 편모를 잃음).[11][17] 조체 전체가 배우자낭이 되는 전실성(holocarpic)인 것과 격벽에 의해 배우자낭이 다른 부분과 구분되는 분실성(non-holocarpic)이 있다[16] (오른쪽 그림 3).

조체의 분단화나 포복지에서 생긴 조체의 분리에 의한 영양 생식을 하는 경우도 있다.[29][40]

3. 생태

깃털말목은 주로 연안 지역, 특히 열대 지역의 산호초석호에 서식하며 다양성이 높다.[15][16][17] 바위에 부착하거나 사니질에 정착하는 종류가 있으며, 녹조류 해조류 중에서는 비교적 깊은 수심에서 서식하는 종류가 많다. 이는 청록색 광선을 흡수하는 카로티노이드(시포낙산틴과 시포네인)의 존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25][30] 초롱미역속(초롱미역과)은 담수역에서 발견되는 유일한 예로, 용천수 등에서 서식한다.

바다 달팽이 중 낭설류는 해조류를 먹고 엽록체를 보존하여 광합성을 통해 살아가는 종류가 있다. (엽록체 피식)[31] 이들은 주로 깃털말목의 종을 이용한다.[32]

미역(미역과)은 질소 고정 세균과 공생하며, 포도당을 제공하고 질소 영양분을 얻는다.[17]

떡잎말 등은 석회화된 조체 표면을 가지며, 열대 해역에서 석회 퇴적물의 주요 구성 요소이다.[16]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에서는 석회 퇴적물 두께가 50m에 달하며, 퇴적 속도는 6m/1000년 정도로 추정된다.

2020년 환경성 레드 리스트에는 케이와즈타, 텐구노하우치와, 히나이와즈타 등 다수의 깃털말목 종이 멸종 위기종 또는 준 멸종 위기종, 정보 부족종으로 지정되어 있다.[33]

4. 한국의 깃털말목

5. 분류

파래강에 속하는 깃털말목은 2020년 현재 깃털말목(Bryopsidales)이라는 학명이 주로 사용되지만,[11][14][47] 2000년대까지는 이와즈타목(Caulerpales)이라는 명칭이 더 일반적이었다.[13][16][23] 깃털말목은 다핵성 낭상체라는 특징을 가지며, 가시우뭇대목과 자매군이다.[48][49]

깃털말목 내에서는 카이미도리이토아목(카이가라미도리이토속)이 가장 먼저 분기되었고, 나머지는 깃털말아목(깃털말속, 츠유노이토속, 밀속 등)과 사보텐구사아목(옥덩굴속, 쵸친미도르속, 사보텐구사속, 하고로모속 등)으로 나뉜다.[51]

2020년 현재 깃털말목의 하위 분류 체계는 다음과 같다.[11][51][52]


  • 카이가라미도리이토아목 (Ostreobineae)
  • 카이가라미도리이토과 (Ostreobiaceae)
  • 카이가라미도리이토속 (''Ostreobiumla'')
  • 깃털말아목 (Bryopsidineae)
  • 니세하네모과 (Pseudobryopsidaceae)
  • 니세하네모속 (''Pseudobryopsisla'')
  • 깃털말과 (Bryopsidaceae)
  • 깃털말속 (''Bryopsisla'')
  • ''Lambiala''
  • ''Pseudoderbesiala''
  • ''Trichosolenla''
  • 츠유노이토과 (Derbesiaceae)
  • ''Bryopsidellala''
  • 츠유노이토속 (''Derbesiala'')
  • 아시츠키이토게속 (''Pedobesiala'')
  • 밀과 (Codiaceae)
  • 밀속 (''Codiumla'')
  • 사보텐구사아목 (Halimedineae)
  • 쵸친미도르과 (Dichotomosiphonaceae)
  • 하우치와속 (''Avrainvilleala'')
  • ''Cladocephalusla''
  • 쵸친미도르속 (''Dichotomosiphonla'')
  • 옥덩굴과 (Caulerpaceae)
  • 옥덩굴속 (''Caulerpala'')
  • 히메이와즈타속 (''Caulerpellala'')
  • 사보텐구사과 (Halimedaceae)
  • 니세하우치와연 (Rhipileae)
  • 모츠레쵸친속 (''Boodleopsisla'')
  • ''Johnson-sea-linkiala''
  • 니세마유하키속 (''Pseudochlorodesmisla'')
  • 니세하우치와속 (''Rhipiliala'')
  • 리피리오프시스연 (Rhipiliopsideae)
  • ''Callipsygmala''
  • ''Rhipiliopsisla''
  • 사보텐구사연 (Halimedeae)
  • 사보텐구사속 (''Halimedala'')
  • 밀모도키연 (Pseudocodieae)
  • 밀모도키속 (''Pseudocodiumla'')
  • 하고로모연 (Udoteae)
  • ''Botryodesmisla''
  • 마유하키모속 (''Chlorodesmisla'')
  • ''Flabelliala''
  • ''Penicillusla''
  • ''Pseudopenicillusla''
  • 히메이쵸속 (''Rhipidosiphonla'')
  • ''Rhipocephalusla''
  • ''Siphonogramenla''
  • 스즈카케모속 (''Tydemaniala'')
  • 하고로모속 (''Udoteala'')

5. 1. 하위 분류

깃털말목은 파래강에 속하는 목이다. 2020년 현재, 깃털말목(Bryopsidales)이라는 학명이 주로 사용되지만,[11][14][47] 2000년대까지는 이와즈타목(Caulerpales)이라는 명칭이 더 일반적이었다.[13][16][23] 깃털말목은 다핵성 낭상체라는 특징을 가지며, 가시우뭇대목과 자매군이다.[48][49]

깃털말목 내에서는 카이미도리이토아목(카이가라미도리이토속)이 가장 먼저 분기되었고, 나머지는 깃털말아목(깃털말속, 츠유노이토속, 밀속 등)과 사보텐구사아목(이와즈타속, 쵸친미도르속, 사보텐구사속, 하고로모속 등)으로 나뉜다.[51]

2020년 현재 깃털말목의 하위 분류 체계는 다음과 같다.[11][51][52]

  • 카이가라미도리이토아목 (Ostreobineae)
  • 카이가라미도리이토과 (Ostreobiaceae)
  • 카이가라미도리이토속 (''Ostreobium'')
  • 깃털말아목 (Bryopsidineae)
  • 니세하네모과 (Pseudobryopsidaceae)
  • 니세하네모속 (''Pseudobryopsis'')
  • 깃털말과 (Bryopsidaceae)
  • 깃털말속 (''Bryopsis'')
  • ''Lambia''
  • ''Pseudoderbesia''
  • ''Trichosolen''
  • 츠유노이토과 (Derbesiaceae)
  • ''Bryopsidella''
  • 츠유노이토속 (''Derbesia'')
  • 아시츠키이토게속 (''Pedobesia'')
  • 밀과 (Codiaceae)
  • 밀속 (''Codium'')
  • 사보텐구사아목 (Halimedineae)
  • 쵸친미도르과 (Dichotomosiphonaceae)
  • 하우치와속 (''Avrainvillea'')
  • ''Cladocephalus''
  • 쵸친미도르속 (''Dichotomosiphon'')
  • 옥덩굴과 (Caulerpaceae)
  • 옥덩굴속 (''Caulerpa'')
  • 히메이와즈타속 (''Caulerpella'')
  • 사보텐구사과 (Halimedaceae)
  • 니세하우치와연 (Rhipileae)
  • 모츠레쵸친속 (''Boodleopsis'')
  • ''Johnson-sea-linkia''
  • 니세마유하키속 (''Pseudochlorodesmis'')
  • 니세하우치와속 (''Rhipilia'')
  • 리피리오프시스연 (Rhipiliopsideae)
  • ''Callipsygma''
  • ''Rhipiliopsis''
  • 사보텐구사연 (Halimedeae)
  • 사보텐구사속 (''Halimeda'')
  • 밀모도키연 (Pseudocodieae)
  • 밀모도키속 (''Pseudocodium'')
  • 하고로모연 (Udoteae)
  • ''Botryodesmis''
  • 마유하키모속 (''Chlorodesmis'')
  • ''Flabellia''
  • ''Penicillus''
  • ''Pseudopenicillus''
  • 히메이쵸속 (''Rhipidosiphon'')
  • ''Rhipocephalus''
  • ''Siphonogramen''
  • 스즈카케모속 (''Tydemania'')
  • 하고로모속 (''Udotea'')

6. 인간과의 관계

깃털말목 중에서 코디움속(코디움과)이나 밀속(밀과)에 속하는 일부 종은 식용으로 이용된다.[34] 일본에서는 코디움속의 쿠비레즈타(쿠비레즈타, Caulerpa lentilliferala)가 '바다포도'라는 이름으로 널리 유통되며, 육상 양식 기술이 확립되어 있다.[34] 밀속의 몇몇 종은 일본에서 무침이나 초절임으로, 해외에서도 식용으로 사용된다. 밀(해송)은 고대부터 일본에 잘 알려진 해조류로, '다이호 율령', '만엽집', '이세 이야기'에도 등장한다.[35] 또한 전통 색인 해송색 (미루이로; 모스 그린에 가까운 색)이나 전통적인 문양인 해송문(미루몬; 두 갈래로 갈라지는 모습을 원형으로 배치한 문양)도 이 종에서 유래한다.[36]

코디움속(카우렐파라고도 불림)이나 사보텐구사속, 마유하키모속 등은 수족관에서 관상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37]

한편, 깃털말목 중에는 인간 활동으로 인해 원래 분포하지 않던 지역에 침입한 종이 많다. 밀(밀과)은 동아시아에서 전 세계로 분포를 넓힌 것으로 추정되며,[38] 북미 동해안에서는 자생종의 식생(켈프 숲)을 방해하고 굴 양식에 피해를 주기도 한다.[39]

코디움속의 몇몇 종은 수에즈 운하를 통해 홍해에서 지중해로 침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수에즈 운하 건설자인 페르디난 드 레셉스의 이름을 따 Lessepsian species라고 불린다.[17] 파나마 운하는 담수호(가툰 호)를 경유하므로 이러한 침입종은 알려져 있지 않다.

참거머리말 (코디움과)의 어떤 변이형은 '킬러 해조(killer alga)'라고 불리며, 대형이고 저온이나 약한 빛에 강하며, 높은 영양 생식력을 가지고 초식 동물에 대한 독성이 강하다.[40][41][42][43] 이 변이형은 모나코의 수족관에서 지중해로 유출된 것으로 추정되며, 1984년 이후 급증하여 재래종을 압도했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의 '세계의 침략적 외래종 100'에 선정되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나 북미 서해안, 일본에서도 발견되었다.[41] 그러나 2000년 이후 지중해에서는 이 변이형이 감소했고, 대신 참거머리말의 다른 계통(Caulerpa taxifolia ''var.'' distichophyllala)이나 코디움속의 다른 종(Caulerpa cylindraceala)이 지중해로 침입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44][45]

참조

[1] 웹사이트 Order: Bryopsidales taxonomy browser http://www.algaebase[...] AlgaeBase version 4.2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2007-09-23
[2] 논문 The Cell Biology of the Bryopsidales https://www.angelfir[...]
[3] 웹사이트 Overview of the Genus ''Caulerpa'' https://www-csgc.ucs[...] 2011-09-28
[4] 논문 海藻の和名における仮名遣いの問題 http://www.tbg.kahak[...]
[5] 웹사이트 海藻和名問題 http://www.tbg.kahak[...] 国立科学博物館
[6] 웹사이트 海藻和名問題 http://natural-histo[...]
[7] 웹사이트 ハネモ目 http://natural-histo[...]
[8] 서적 植物系統分類の基礎 北隆館
[9] 논문 The taxonomy of the Chlorophyta
[10] 논문 The taxonomy of the Chlorophyta. II
[11] 서적 Syllabus of Plant Families -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Part 2/1: Photoautotrophic eukaryotic Algae Borntraeger Science Publishers
[12] 서적 藻類多様性の生物学 内田老鶴圃
[13] 서적 バイオディバーシティ・シリーズ (3) 藻類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14]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株式会社エヌ・ティー・エス
[15] 서적 Algae: an introduction to phyc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Algae Benjamin Cummings
[17] 서적 Phycology. 4th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논문 The cell walls of green algae: a journey through evolution and diversity
[19] 논문 Chemical nature of the cell wall of the green algae, ''Codium'', ''Acetabularia'' and ''Halicoryne''
[20] 논문 Cell wall constituents of several siphoneous green algae in relation to morphology and taxonomy
[21] 논문 Life without cells https://www.research[...]
[22] 논문 Microtubule-associated cytoplasmic streaming in ''Caulerpa''
[23] 서적 Systematics of the Green Algae null
[24] 논문 Co-localization of chloroplast DNA and ribulose-1,5-bisphosphate carboxylase/oxygenase in the so-called pyrenoid of the siphonous green alga ''Caulerpa lentillifera'' (Caulerpales, Chlorophyta)
[25] 논문 海産緑藻におけるルテインとその誘導体の分布 http://sourui.org/pu[...]
[26] 논문 Disjunct distribution of the xanthophyll loroxanthin in the green algae (Chlorophyta)
[27] 서적 Systematics of the Green Algae null
[28] 웹사이트 (±)-カウレルペニン https://jglobal.jst.[...] J-GLOBAL 2020-07-20
[29] 서적 藻類の生活史集成 第1巻 緑色藻類 内田老鶴圃
[30] 서적 バイオディバーシティ・シリーズ (3) 藻類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31] 논문 Kleptoplastic sacoglossan species have very different capacities for plastid maintenance despite utilizing the same algal donors
[32] 논문 Preliminary study on molecular phylogeny of Sacoglossa and a compilation of their food organisms
[33] 웹사이트 環境省レッドリスト2020 https://www.env.go.j[...] null
[34]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株式会社エヌ・ティー・エス
[35]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株式会社エヌ・ティー・エス
[36] 서적 海藻 ― 日本で見られる388種の生態写真+おしば標本 誠文堂新光社
[37] 서적 マリンアクアリウムレイアウト エムピージェー
[38]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株式会社エヌ・ティー・エス
[39] 논문 Northward expansion of the invasive green algae Codium fragile spp. fragile (Suringar) Hariot, 1889 into coastal waters of Newfoundland, Canada
[40]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株式会社エヌ・ティー・エス
[41] 논문 帰化海藻 http://sourui.org/pu[...]
[42] 웹사이트 「キラー海藻」の現状と問題点 https://www.spf.org/[...] Ocean Newsletter 2020-07-17
[43] 논문 地中海のイチイヅタ http://sourui.org/pu[...]
[44] 논문 A tale of two invaders: divergent spreading kinetics of the alien green algae ''Caulerpa taxifolia'' and ''Caulerpa cylindracea''
[45] 논문 Invasion alert: rapid range expansion of ''Caulerpa taxifolia'' var. ''distichophylla'' in Maltese waters (central Mediterranean)
[46] 서적 Unravelling the Alga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Algal Systematics CRC Press
[47] 서적 岩波 生物学辞典 第5版 岩波書店
[48] 논문 Evolution and cytological diversification of the green seaweeds (Ulvophyceae)
[49] 논문 Gain and loss of elongation factor genes in green algae
[50] 논문 Neoproterozoic origin and multiple transitions to macroscopic growth in green seaweeds
[51] 논문 Reassessment of the classification of Bryopsidales (Chlorophyta) based on chloroplast phylogenomic analyses
[52] 간행물 AlgaeBase http://www.algaebase[...] Nat. Univ. Ireland, Galway
[53] 웹인용 Order: Bryopsidales http://www.algaebase[...] "''AlgaeBase version 4.2''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2014-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