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꺅도요사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꺅도요사촌은 꺅도요속에 속하는 도요새의 일종이다. 몸길이는 약 27cm이며, 무늬가 있는 검은색, 갈색, 담황색, 흰색 깃털을 가지고 있다. 시베리아 중부 및 남부, 몽골 등지에서 번식하며, 비번식기에는 인도, 동남아시아, 호주 북부 등지로 이동하여 월동한다. 논이나 습지에 서식하며 지렁이, 연체동물, 곤충 등을 먹는다. 수컷은 과시 비행과 울림소리를 보이며, 숲 속 덤불에 둥지를 짓고 2-5개의 알을 낳는다. 현재 최소관심종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1년 기재된 새 - 스페인흰죽지수리
    스페인흰죽지수리는 이베리아반도에 서식하는 맹금류로, 굴토끼를 주로 먹고 서식지 감소, 송전탑과의 충돌, 불법 독살 등의 위협을 받지만, 보존 노력을 통해 개체 수가 회복되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에 의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꺅도요속 - 바늘꼬리도요
    바늘꼬리도요는 시베리아에서 번식하여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 월동하는 몸길이 25~27cm의 도요새로, 흑갈색과 황갈색이 섞인 몸과 바늘 모양 꼬리깃이 특징이며, 한국에서는 드물게 관찰되지만 서식지 파괴와 환경 오염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 꺅도요속 - 청도요
    청도요는 흑갈색 깃털과 검은색 부리, 다리를 가진 동아시아 번식 철새로,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작은 물고기, 갑각류, 곤충 등을 먹고 살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 감소 위협을 받고 있어 보전 노력이 필요합니다.
  • 로버트 스윈호가 명명한 분류군 - 황새
    황새는 흰색 몸과 검은 날개, 긴 목둘레 깃털을 가진 동아시아 서식 육식성 조류로,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멸종위기에 처해 국제적 보호를 받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복원 노력이 진행 중이다.
  • 로버트 스윈호가 명명한 분류군 - 검은머리갈매기
    검은머리갈매기는 여름에는 검은 머리, 겨울에는 흰색 바탕에 어두운 무늬를 가진 29~32cm 크기의 갈매기과 조류로, 짧고 검은 부리와 붉은 다리가 특징이며, 서식지 훼손으로 인해 IUCN 취약종, 한국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꺅도요사촌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꺅도요사촌
꺅도요사촌
상태관심 필요
상태 기준IUCN 3.1
학명Gallinago megala
명명자R. Swinhoe, 1861
영명Swinhoe's Snipe
일본어명チュウジシギ (Chūjishigi)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도요목
도요과
꺅도요속 Gallinago
꺅도요사촌 G. megala
기타
참고 문헌Bo Beolens, Michael Watkins, Whose Bird? Men and Women Commemorated in the Common Names of Birds, Christopher Helm, London, 2003, pp. 331–332

2. 식별

무늬가 있는 검은색, 갈색, 담황색, 흰색 깃털을 가지고 있어 꺅도요속 (''Gallinago'')에 속하는 종임을 알 수 있다. 전체 길이는 약 27cm로, 큰꺅도요와 깃털 색깔은 매우 비슷하지만 체격은 약간 작다.

현장에서는 큰꺅도요, 바늘꼬리도요, 라탐도요, 꼬리도요 등 다른 꺅도요류와 구별하기 쉽지 않다. 하지만 꼬리 깃털의 끝이 첫째 날개깃의 끝보다 길고, 머리 중앙선이 부리의 기부까지 닿지 않는다는 점으로 다른 꺅도요류와 구별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외에서의 식별은 상당히 어렵다.

대한민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초수경''이라고 불린다.

3. 분포

주로 시베리아 중부 및 남부, 몽골, 바이칼 호 주변, 우스리강 부근에서 번식한다.[1][2][3] 비번식기에는 전체 개체군이 이동하며, 주로 인도 동부와 남부, 스리랑카, 중국 남동부, 동남아시아, 뉴기니,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등지로 이동하여 월동한다.[1][2][3]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보통 노던 준주의 톱 엔드와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북서부 등에서 발견된다.[1][2]

이동 중에는 중국 동부에서 기록되며, 드물게 일본에서도 관찰된다.[1][2] 일본에서는 봄과 가을에 각지에서 나그네새로 도래하지만 그 수는 많지 않다.[4] 남서 제도에서는 소수가 월동한다.[4] 다만, 왕갈매기와 매우 흡사하여 혼동되어 기록에서 누락되었을 가능성도 있다.[4]

4. 생태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

4. 1. 서식지

번식기에는 주로 습지, 숲 속 빈터나 초원, 강가 등에서 서식한다. 번식기가 아닐 때는 이나 하수 처리장을 포함한 얕은 민물 습지에서 주로 생활한다. 이러한 비번식지는 먹이를 찾을 수 있는 진흙이나 얕은 물이 있고, 주변에 식물이 우거진 환경을 필요로 한다.

4. 2. 먹이

주로 지렁이, 연체동물, 곤충과 같은 작은 무척추동물을 먹는다. 특히 지렁이류를 좋아하며, 곤충류나 달팽이 같은 육상 연체동물도 먹이로 삼는다. 다른 도요과 조류와는 달리, 비교적 건조한 곳에서 먹이를 찾는 경향을 보인다.

4. 3. 번식

수컷은 과시 비행과 울림소리(드럼)를 보인다. 번식 형태는 난생이다. 숲 속의 덤불 모양의 땅에 둥지를 짓고, 한 번에 2개에서 5개의 알을 낳는다.

5. 보전 상태

분포 범위가 넓고 현저한 개체수 감소의 증거가 없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적색 목록에서 최소관심종으로 분류된다.

참조

[1] 간행물 Gallinago megala 2016
[2] 서적 Whose Bird? Men and Women Commemorated in the Common Names of Birds Christopher Helm
[3] 간행물 Gallinago megala https://www.iucnredl[...] 2013-11-26
[4] 서적 Whose Bird? Men and Women Commemorated in the Common Names of Birds Christopher Hel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