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요과는 도요목에 속하는 조류의 한 무리로, 몸 크기는 작은 쇠물닭부터 큰뒷부리도요와 같이 60cm가 넘는 종까지 다양하다. 부리의 모양과 다리의 길이, 깃털의 색깔 등 외형적인 특징이 다양하며,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갯벌, 습지, 초원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며, 갯벌의 무척추동물을 섭취하는 등 먹이 섭취 방식도 종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일부 종은 개체수 감소로 인해 보호가 필요한 상황이며, 한국에서도 도요새 보호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요과 - 좀도요
좀도요는 몸집이 작고 다리가 짧은 도요과의 새로, 북극 툰드라에서 번식하고 동남아시아 등에서 월동하며 한국에서는 흔히 관찰되지만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도요과 - 뒷부리도요
뒷부리도요는 1775년 귈덴슈테트에 의해 기술된 도요과의 조류로, 유라시아 북부에서 번식하고 아프리카,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 월동하며, 위로 굽은 부리와 노란 다리를 가진 갯벌 서식 조류이다. - 콘스턴틴 새뮤얼 라피네스크가 명명한 분류군 - 해마 (동물)
해마는 말과 유사한 생김새를 가진 물고기로, 수컷이 알을 품는 독특한 생식 방식을 가지며,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고 멸종 위기에 처해 CITES 규제를 받는다. - 콘스턴틴 새뮤얼 라피네스크가 명명한 분류군 - 전갱이과
전갱이과는 전갱이목에 속하는 물고기 과로, 몸길이와 형태가 다양하며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고, 식용으로 어획되는 종들이 있으며, 4개의 아과와 30여 개의 속으로 나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도요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Scolopacidae |
명명자 | Rafinesque, 1815 |
속 | Bartramia Numenius Limosa Arenaria Prosobonia Calidris Limnodromus Scolopax Coenocorypha Lymnocryptes Gallinago Xenus Phalaropus Actitis Tringa |
몸길이 | 12 ~ 66cm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하강 | 신악하강 |
상목 | 신조상목 |
목 | 도요목 |
아목 | 치도리아목 |
과 | 시기과 (Scolopacidae) |
생태 | |
서식지 | 갯벌, 습지, 해안 |
먹이 | 곤충, 갑각류, 연체동물, 지렁이 |
번식 | 땅에 둥지를 짓고 알을 낳음 |
형태 | |
부리 | 길고 가늘며, 종에 따라 형태가 다양함 |
다리 | 길고 가늘다. |
분포 | |
지역 | 전 세계 |
설명 | 툰드라 지역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지역으로 이동한다. |
2. 형태
날개는 길고 꽁지는 짧다. 다리는 긴 것에서 짧은 것까지 여러 가지다. 부리는 길고 쭉 곧게 뻗어 있는 것들도 있고 위, 아래로 굽은 것도 있다. 뒷부리도요는 부리가 위로 휘어져 있다. 몸의 윗면은 연한 노란색, 회색 또는 갈색이고 아랫면은 하얀색, 연한 노란색 또는 검은색이다. 대개 깃털에 무늬가 있으며 암수가 모두 같은 색깔이다.
물떼새는 크기와 외형에서 상당한 범위를 보이며, 다양한 신체 형태는 광범위한 생태적 지위를 반영한다. 종 내에서도 성적 이형성 패턴에 상당한 변이가 있다. 수컷은 목도리도요와 여러 물떼새보다 크지만, 마도요, 쇠부리도요, 물닭과 알락도요에서는 암컷보다 작다. 메추라기도요, 꺅도요와 트리기네 물떼새에서는 성별 크기가 비슷하다. 다른 큰 물새과인 물떼새과(Charadriidae)에 비해 눈이 작고 머리가 가늘며 부리가 더 길고 가늘다. 일부 종은 다리가 매우 길고, 대부분의 종은 세 개의 앞쪽 발가락과 작은 뒤쪽 발가락을 가지고 있다(예외는 뒤쪽 발가락이 없는 모래밭도요이다).[2]
꼬리깃은 짧다. 윗면은 갈색이나 회색 깃털로 덮여 있으며, 어두운 색의 반점이 있어 지상에서는 보호색을 띤다고 여겨진다. 날개는 다소 길다.
목이 긴 종이 많다. 뒷다리가 발달했으며, 많은 종에서 짧은 첫 번째 발가락을 가지고 있다.
2. 1. 부리의 다양성과 기능

물떼새는 시각적 먹이 찾기 방법을 선호하는 물떼새보다 촉각적인 먹이 찾기 방법에 더 적합하며, 이는 부리 끝에 있는 촉각 수용체의 높은 밀도에 반영된다. 이러한 수용체는 부리 끝에 있는 약간의 각질 팽창 부분에 위치한다(바닷새와 두 세가락도요 제외). 부리 모양은 먹이 생태의 차이를 반영하여 과 내에서 매우 다양하다. 머리 길이에 대한 부리 길이는 알락부리도요에서는 머리 길이의 세 배, 투아모투모래밭도요에서는 머리 길이의 절반 미만으로 다양하다. 부리는 곧거나 약간 위로 휘어지거나 강하게 아래로 굽을 수 있다.[9] 모든 조류와 마찬가지로 물떼새의 부리는 두개골 운동성이 가능하며, 문자 그대로 두개골 뼈(아래턱의 명백한 움직임 외)를 움직일 수 있고, 특히 전체 턱을 열지 않고 위턱을 구부릴 수 있으며, 이는 부리 운동으로 알려진 행위이다. 이것은 탐사 시 부리를 적은 힘으로 부분적으로 열어 기질에서 먹이의 조작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가정되었다. 부리 운동은 또한 물 속에서 먹이를 먹는 물떼새가 먹이를 잡고 조작하는 데 사용된다.[10]
3. 생태
도요과는 남극 대륙과 가장 건조한 사막을 제외한 전 세계 대부분의 육지에서 발견된다. 도요과의 새들은 크게 네 가지 방식으로 먹이를 찾는다. 첫 번째는 가끔씩 땅을 쪼아 먹는 방식이다. 두 번째는 부드러운 토양, 진흙, 모래를 탐침하여 먹이를 찾는 것이다. 세 번째는 댕기물떼새속(''Tringa'')의 종들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얕은 물에서 달리면서 물고기를 쫓는 방식이다. 마지막 방식은 물꿩류와 일부 ''Calidris'' 도요새가 사용하는 방식으로, 작은 먹이를 잡기 위해 물을 쪼아 먹는 것이다.[2] 일부 도요과 조류는 무척추동물뿐만 아니라 씨앗과 싹도 먹는 잡식성이다.
습원, 초원 등에서 서식하며, 월동지에서는 하구나 간석지 등에서도 서식한다. 비행 능력이 뛰어나며, 이동을 하는 종이 많다. 발달한 뒷다리로 지표면을 빠르게 주행할 수도 있다. 식성은 주로 동물성이며, 연체동물, 갑각류, 곤충을 먹지만 식물질을 먹는 경우도 있다.
3. 1. 이동 및 번식
도요과 새들은 세계 분포를 보이며, 남극 대륙과 가장 건조한 사막을 제외한 전 세계 대부분의 육지에서 발견된다. 이 과의 대다수는 북반구의 중위도에서 고위도 지역에서 번식하며, 실제로 세계에서 가장 북쪽에 서식하는 번식 조류를 차지한다. 열대 지역에서 번식하는 종은 몇 안 되며, 그중 10종은 산새와 꺅도요이고, 나머지 종은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에서 번식하는 특이한 투아모투 도요새이다(태평양에 인간이 도착하기 전에는 폴리네시아 도요새의 다른 여러 근연종이 있었다).[2]많은 물떼새는 일부일처 관계를 형성하지만, 어떤 물떼새는 암컷만 육아를 하고, 어떤 물떼새는 수컷만 육아를 하며, 일부는 순차적인 일부다처제를 보이고, 또 다른 종은 렉에서 짝을 얻기 위해 경쟁한다. 물떼새는 3~4개의 알을 낳는데, 둥지는 보통 부드러운 풀로 거의 덮이지 않은 탁 트인 땅의 얕은 움푹 파인 곳이나 긁어낸 곳이다. 양쪽 부모가 알을 품는 종에서는 암컷과 수컷이 종내 및 종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포란 책임을 공유한다. 일부 짝에서는 아침과 저녁에 둥지에서 교대하여 24시간 주기에 따라 포란 리듬을 따르고, 다른 짝에서는 각 성별이 최대 24시간 동안 둥지에 연속적으로 앉아 있다가 파트너와 교대하기도 한다.[11] 단일 부모만 알을 품는 종에서는 밤에는 부모가 거의 지속적으로 알 위에 앉아 있다가 하루 중 가장 따뜻한 시간 동안 짧은 먹이 섭취를 위해 둥지를 떠난다.[12] 병아리는 약 3주간의 포란 후에 부화하며, 부화 후 몇 시간 안에 걷고 먹이를 찾을 수 있다. 단일 부모 또는 양쪽 부모가 병아리를 안내하고 품는다.
많은 종이 여름에 북아메리카 대륙이나 유라시아 대륙의 한대 및 아한대에서 번식한다. 겨울이 되면 월동을 위해 남하하며, 일부 종은 아프리카 대륙 동부나 남아메리카 대륙까지 남하한다.
일본에는 나그네새로 봄과 가을에 도래하는 것이 많으며, 멧도요처럼 일본에 남는 것도 있다.[14]
번식 형태는 난생이다. 고위도 지방에서 번식하는 종은 번식기가 짧은 경향이 있으며, 번식지에 날아오기 전이나 번식지에 날아온 지 며칠 만에 짝을 이룬다. 주로 건조한 지표면이나 덤불 속에 둥지를 짓고 알을 낳는다. 암수가 교대로 포란한다.
4. 분류
도요과는 1815년 프랑스 출신 박식가 콩스탕틴 사뮈엘 라피네스크(Constantine Samuel Rafinesque)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다.[2][3] 도요과는 15개의 속으로 분류된 98종의 현존하거나 최근 멸종된 종을 포함한다.[4]
2022년에 David Černý와 Rossy Natale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 도요과의 속 수준 분기도는 다음과 같다.[5]
{{Clade | style=font-size:100%;line-height:100%
|label1='''도요과'''
|1={{clade
|1={{clade
|1=''Bartramia'' – 풀밭도요
|2=''Numenius'' – 마도요속(9종)
}}
|2={{clade
|1=''Limosa'' – 흑꼬리도요속(4종)
|2={{clade
|1={{clade
|1=''Limnodromus'' – 긴부리도요속(3종)
|2={{clade
|1={{clade
|1=''Lymnocryptes'' – 꼬마도요속
|2=''Scolopax'' – 멧도요속(8종)
}}
|2={{clade
|1={{clade
|1=''Gallinago imperialis'' – 황제도요
|2={{clade
|1=''Gallinago undulata'' – 거대도요
|2=''Coenocorypha'' – 오스트레일리아 도요속 (3종 현존 및 6종 멸종)
}}
}}
|2=''Gallinago'' – 꺅도요속(18종)
}}
}}
}}
|2={{clade
|1={{clade
|1={{clade
|1=''Xenus'' – 뒷부리도요속
|2=''Actitis'' – 깝작도요속(2종)
}}
|2={{clade
|1=''Phalaropus'' – 지느러미발도요속(3종)
|2=''Tringa'' – 삑삑도요속(13종)
}}
}}
|2={{clade
|1=''Prosobonia'' – 폴리네시아 도요속 (1종 현존 및 3종 멸종)
|2=''Arenaria'' – 꼬까도요속(2종)
|3=''Calidris'' – 붉은가슴도요속(24종)
}}
}}
}}
}}
}}
초기 화석 기록은 비조류 공룡 멸종 시점에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이 그룹에 대해 희소하다. ''"Totanus" teruelensis''는 때때로 도요과로 간주되지만, 갈매기과일 수도 있다. 대부분의 현존하는 속은 올리고세에서 마이오세에 걸쳐 진화한 것으로 보이며, 물떼새는 이보다 약간 늦게 진화했을 수 있다.
4. 1. 하위 분류군
The following genera are recognised as belonging to the family Scolopacidae:영어[4]이미지 | 속 | 현존하는 종 |
---|---|---|
![]() | 마도요속(Numenius) | |
![]() | 흑꼬리도요속(Limosa) | |
![]() | 꼬까도요속(Arenaria) | |
![]() | Prosobonia | |
![]() | 붉은가슴도요속(Calidris) | |
![]() | 긴부리도요속(Limnodromus) | |
![]() | 멧도요속(Scolopax) | |
![]() | Coenocorypha | |
![]() | 꼬마도요속(Lymnocryptes) | |
꺅도요속(Gallinago) | ||
![]() | 뒷부리도요속(Xenus) | |
![]() | 지느러미발도요속(Phalaropus) | |
![]() | 깝작도요속(Actitis) | |
![]() | 삑삑도요속(Tringa) |
도요과는 5개의 아과, 16개의 속, 96종으로 분류된다.[17]
4. 2. 계통 분류
다음은 2008년 "생명의 나무" 프로젝트(''The Tree of Life Web Project'')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18]{{clade| style=font-size:80%;line-height:100%
|1={{Clade
|label1=Numeniinae
|1={{Clade
|1=알락할미새사촌
|2=뒷부리도요속
}}
|2={{Clade
|label1=Limosinae
|1=검은머리물떼새속
|2={{Clade
|label1=Arenariinae
|1={{Clade
|1={{Clade
|1=세가락도요속
|2=큰발도요속
}}
|2=꼬까도요속
}}
|2={{Clade
|label1=Tringinae
|1={{Clade
|1={{Clade
|1=청다리도요
|2=물꿩속
}}
|2={{Clade
|1=알락도요속
|2=삑삑도요속
}}
}}
|label2=Scolopacinae
|2={{Clade
|1={{Clade
|1=중부리도요
|2=장다리물떼새속
}}
|2={{Clade
|1=산도요속
|2={{Clade
|1={{Clade
|1=
|2=옛도요속
}}
|2=꺅도요속
}}
}}
}}
}}
}}
}}
다음은 2022년에 David Černý와 Rossy Natale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 도요과의 속 수준 분기도이다.[5]
{{Clade | style=font-size:100%;line-height:100%
|label1='''도요과'''
|1={{clade
|1={{clade
|1=''Bartramia'' – 풀밭도요
|2=''Numenius'' – 큰뒷부리도요속 (9종)
}}
|2={{clade
|1=''Limosa'' – 붉은어깨도요속 (4종)
|2={{clade
|1={{clade
|1=''Limnodromus'' – 댕기부리도요속 (3종)
|2={{clade
|1={{clade
|1=''Lymnocryptes'' – 쇠뜸부기
|2=''Scolopax'' – 나무도요속 (8종)
}}
|2={{clade
|1={{clade
|1=''Gallinago imperialis'' – 황제도요
|2={{clade
|1=''Gallinago undulata'' – 거대도요
|2=''Coenocorypha'' – 오스트레일리아 도요속 (3종 현존 및 6종 멸종)
}}
}}
|2=''Gallinago'' – 도요속 (18종)
}}
}}
}}
|2={{clade
|1={{clade
|1={{clade
|1=''Xenus'' – 알락도요
|2=''Actitis'' – 도요속 (2종)
}}
|2={{clade
|1=''Phalaropus'' – 물꿩속 (3종)
|2=''Tringa'' – 도요, 댕기부리도요, 알락할미새사촌 등 (13종)
}}
}}
|2={{clade
|1=''Prosobonia'' – 폴리네시아 도요속 (1종 현존 및 3종 멸종)
|2=''Arenaria'' – 바위종다리속 (2종)
|3=''Calidris'' – 도요속 (24종)
}}
}}
}}
}}
}}
이미지 | 속 | 현존하는 종 |
---|---|---|
Numenius | ||
Limosa | ||
Arenaria | ||
Prosobonia | ||
Calidris | ||
Limnodromus | ||
Scolopax | ||
Coenocorypha | ||
Lymnocryptes | ||
Gallinago | ||
Xenus | ||
Phalaropus | ||
Actitis | ||
Tringa | ||
5. 인간과의 관계
도요과는 알을 포함하여 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개발에 의한 서식지 파괴, 식용 또는 유흥을 위한 남획, 인위적으로 유입된 동물에 의한 포식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는 종도 있다.
5. 1. 한국의 도요새 보호 노력
도요과는 전 세계적으로 서식지 파괴, 남획, 외래종 유입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는 종이 많다. 일본에서는 꺅도요와 멧도요가 수렵 조류로 지정되어 있으며, 관찰되는 종 다수가 환경성과 도도부현에서 레드 리스트 지정을 받고 있다.[15][14][16]참조
[1]
서적
Encyclopaedia of Animals: Birds
Merehurst Press
[2]
서적
Analyse de la nature ou, Tableau de l'univers et des corps organisés
https://www.biodiver[...]
Self-published
[3]
서적
History and Nomenclature of Avian Family-Group Names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4]
웹사이트
Sandpipers, snipes, courser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1-11-18
[5]
학술지
Comprehensive taxon sampling and vetted fossils help clarify the time tree of shorebirds (Aves, Charadriiformes)
https://www.biorxiv.[...]
2022-00-00
[6]
웹사이트
Magornitho
https://magornitho.o[...]
[7]
웹사이트
great Alaska department of fish and game
https://www.adfg.ala[...]
[8]
학술지
The Eared Grebe and other Birds from the Pliocene of Kansas
http://sora.unm.edu/[...]
[9]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ume 3, Hoatzin to Auks
Lynx Edicions
[10]
학술지
The use of distal rhynchokinesis by birds feeding in water
[11]
학술지
Unexpected diversity in socially synchronized rhythms of shorebirds
http://www.vliz.be/i[...]
[12]
학술지
Incubation Rhythm in the Great Snipe Gallinago media
1985-01-01
[13]
서적
図解 日本の文字
三省堂
[14]
문서
ひと目でわかる野鳥
[15]
웹사이트
狩猟制度の概要
https://www.env.go.j[...]
환경성
2012-04-09
[16]
웹사이트
日本のレッドデータ検索システム(シギ科)
http://jpnrdb.com/se[...]
エンビジョン環境保全事務局
2014-10-29
[17]
웹사이트
Scolopacidae: Sandpipers, Snipes
http://jboyd.net/Tax[...]
2014-10-29
[18]
웹사이트
Charadriiformes. Shorebirds and relatives.
http://tolweb.org/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