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가스네히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가스네히코는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진무 천황의 동정 과정에서 야마토 지방의 유력 호족으로서 저항 세력의 중심에 섰다. 그는 니기하야히노미코토를 군주로 섬기며, 진무 천황에게 대항했으나, 결국 니기하야히노미코토에게 살해당했다. 나가스네히코는 니기하야히노미코토와의 관계를 통해 중앙 집권 세력과 지방 호족 세력 간의 갈등을 보여주는 인물로 해석된다. 나라현 이코마시 일대에는 나가스네히코와 관련된 유적과 전승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코마시의 역사 - 이코마군
이코마군은 나라현 동부에 위치하며 안도정, 헤구리정, 이카루가정, 산고정의 4정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코마산을 중심으로 농업과 관련 산업이 발달했으나 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의 문제에 직면한 군이다. - 이코마시의 역사 - 기타야마토촌
기타야마토촌 문서는 역사, 농업, 교육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려 했으나 구체적인 정보가 부족하여 상세한 내용을 담지 못한 문서이다. - 일본 신화의 인물 - 진구 황후
진구 황후는 《고사기》와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일본의 전설적인 인물로, 섭정 기간 동안 구마소 정벌과 삼한 정벌 등의 업적을 이루었으며, 역사적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과 왜곡된 측면이 비판적으로 검토되고, 문화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 일본 신화의 인물 - 다마모노마에
다마모노마에는 일본의 전설에 등장하는 구미호 요괴로, 미모와 지혜로 총애를 받았으나 정체가 드러나 도망친 후 토벌되어 살생석으로 변했으며, 일본 3대 요괴 중 하나로 꼽힌다. - 나라시의 역사 - 쓰키가세촌
쓰키가세촌은 1889년에 5개 촌을 합쳐 발족하여, 1968년 촌으로 개칭되었으나 2005년 나라시에 편입되어 폐지되었으며, 나라현 북동쪽 끝에 위치하고 매화 명소와 온천으로 유명하다. - 나라시의 역사 - 헤이조궁
헤이조궁은 710년부터 784년까지 일본의 수도였던 헤이조쿄의 천황 거처로, 내정과 외조, 주작문 등의 시설을 갖추었으며,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어 국영 역사공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나가스네히코 | |
---|---|
개요 | |
![]() | |
이명 | 도미노나가스네비코 (登美能那賀須泥毘古) 도미비코 (登美毘古) 나가스네비코 (那賀須泥毘古) 도리미히코 (鳥見彦) 등 |
사망 | 신무 천황 즉위 전 |
주군 | 니기하야히노미코토 |
가족 | 형제자매: 도미야비메 (여동생) |
상세 정보 | |
시대 | 상고 시대 |
2. 명칭 및 표기
『고사기』에서는 나카스네히코(那賀須泥毘古)로 표기되며, 토미노나가스네히코(登美能那賀須泥毘古), 토미비코(登美毘古)라고도 불린다. 진무 동정 장면에서 야마토 지방에서 동정에 저항한 호족의 우두머리로 묘사되는 인물이다. 아비 히코이라는 형제가 있다고 한다. 일본서기에서는 '''나가스네히코'''(長髄彦)라고 표기한다.
나가스네히코는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인물로, 《고사기》에서는 '''나가스네비코''' 또는 '''토미노나가스네비코'''(登美能那賀須泥毘古), '''토미비코'''(登美毘古) 등으로 표기된다. 진무 동정 설화에서 야마토 지방에서 동정에 저항한 호족의 우두머리로 그려진다.
'나가스네'는 『일본서기』에서 읍의 이름이라고 하며, '긴 정강이'를 의미한다. 이는 신체적 특징이나 출신 지역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3. 신화 및 역사 속 등장
니기하야히노미코토를 섬겼으며, 그의 여동생 토미야히메는 니기하야히노미코토의 아내가 되었다.[1][2] 이코마시 북부와 나라시 토미오 지방 부근에 세력을 가졌던 호족으로 추정되며, 이코마시 시라니와다이 주택지에는 나가스네히코의 본거지로 추정되는 장소에 비석이 세워져 있다.[1]
《고사기》, 《일본서기》, 《선대구사본기》에는 부모에 대한 기록이 없어, 그 계보는 불분명하다.
소노아게 현좌 신사(나라시 미사스 3가)에는 다음과 같은 전승이 전해진다.[1]
이시키리 츠루기야 신사의 사사에 따르면, 니기하야히노미코토가 타카마가하라를 출항하여 도리미 마을에 도착했을 때, 이 지방을 다스리던 호족 도리미 일족의 장인 나가스네히코는 니기하야히노미코토에게 감복하여 그를 따랐다고 한다.
3. 1. 진무 천황과의 대립
진무 천황의 동정 과정에서 야마토 지방의 유력 호족으로서 저항 세력의 중심에 섰다. 『고사기』와 『일본서기』의 기록에 차이가 있다.
『일본서기』에서는 '''나가스네히코'''라고 표기하지만, 『고사기』에서는 '''나가스네비코''' 혹은 '''토미노나가스네비코'''(登美能那賀須泥毘古), '''토미비코'''(登美毘古)라고 표기된다. 진무 동정 장면에서 야마토 지방에서 동정에 저항한 호족의 우두머리로 묘사되는 인물이다.
『고사기』에서는 특별히 토벌 장면 없이 주군인 니기하야히노미코토(邇芸速日命)가 진무 천황에게 복속했다고 묘사하지만, 『일본서기』에서는 자신의 정통성을 주장하기 위해 서로 신령한 보물을 보여주었음에도 나가스네히코가 계속 싸움을 멈추지 않아 니기하야히노미코토(饒速日命)의 손에 의해 살해당했다고 묘사된다.
진무 천황이 난파국 아오구모(青雲)의 평방시 시라카타노쓰(白肩津)에 도착한 후, 구사노사카(孔舎衛坂)에서 맞이하여 싸웠는데, 이 전투에서 천황의 형인 히코이고세노미코토는 화살에 맞아 부상당하고, 후에 사망했다.[1]
그 후, 팔십교수와 형기성을 멸한 황군과 다시 싸우게 된다. 이 때, 금색의 연이 날아와 진무 천황의 활의 화살촉에 멈추자, 나가스네히코의 군대는 눈이 부셔 싸울 수 없게 되었다. 나가스네히코는 진무 천황에게 "옛날, 천신(天つ神)의 아들이 천반선을 타고 강림했다. 이름을 구시타마니기하야히노미코토라고 한다. 나의 여동생 삼취옥녀를 아내로 삼아, 가미마테라는 아이도 낳았다. 그러므로 나는 니기하야히노미코토를 군주로 섬기고 있다. 천신의 아들이 어찌 두 명이나 있겠는가. 어찌 천신의 아들이라고 칭하며 사람의 땅을 빼앗으려 하는가"라고 의문을 제기하였다.[2]
주군이 천신의 아들임을 증명하기 위해 천의 하하야와 부여(步靫)를 보였다. 천황이 같은 물건을 보이자 나가스네히코는 두려워했지만, 개심하지 않았다. 그래서 중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안 니기하야히노미코토에게 살해당했다.[1]
『선대구사본기』에서는 진무 천황이 기이 반도를 우회하여 나가스네히코와 다시 대치했을 때, 이미 니기하야히노미코토는 사망했고, 우마시마지노미코토(宇摩志麻遅命)가 천손(진무 천황)에게 귀순할 것을 설득했으나 듣지 않아 살해했다고 묘사한다.
3. 2. 니기하야히노미코토와의 관계
니기하야히는 하늘에서 강림한 신으로, 나가스네히코는 그의 신하이자 매제였다.[1][2] 나가스네히코의 여동생 토미야비메(登美夜毘売)는 니기하야히노미코토의 아내였다. 니기하야히노미코토는 하내국의 강 위에 있는 봉우리에 강림한 후, 대화국의 조견의 백정산으로 이동해 토미야비메를 아내로 맞이하고 그녀를 섬기게 했다.
선대구사본기에 따르면, 진무 천황이 나가스네히코와 대치했을 때 이미 니기하야히노미코토는 사망했고, 우마시마지노미코토가 진무 천황에게 귀순할 것을 설득했으나 나가스네히코는 듣지 않아 살해당했다고 묘사되어 있다.
이시키리 츠루기야 신사의 사사에 따르면, 니기하야히노미코토는 나가스네히코의 여동생인 토미야히메(미야키야히메)와 인연을 맺었고, 후에 우마시마지노미코토를 낳았다고 한다.
니기하야히노미코토와 나가스네히코의 관계는 중앙 집권 세력과 지방 호족 세력 간의 복잡한 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4. 전설 및 후손
고사기에 나가스네히코(那賀須泥毘古)는 토미노나가스네히코(登美能那賀須泥毘古), 토미비코(登美毘古)라고도 불리며, 진무 동정 때 야마토 지방에서 동정에 저항한 호족의 장으로 그려진다. 아비 히코라는 형제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요속일 생명에게 살해되었거나 실각 후 사망했다고도 전해지지만, 동정 전 정정 불안에서 태양에 활을 쏘거나 산을 제사 지내는 등 동정에 간여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전승도 있다. 야오이 씨가 자신을 나가스네히코의 후손이라 칭했다는 설도 있다.
구첨 시모 고리 조패 향(현 이코마시 북부·나라시 도미오 지방) 부근, 혹은 사쿠라이시 부근에 세력을 가진 호족이라는 설이 있으며, '오랜 골수'는 기키에서 읍의 이름이라고 한다.
나가스네히코는 자신의 여동생 토미야히메(미카시키야히메)를 하늘에서 강림한 니기하야히노 미코토(요속일 생명)의 아내로 맞이하게 했다. 중세 시대 야마가타의 오다와 센다이의 다테 가문은 나가스네히코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 진무 천황이 나니와국에 도착한 후, 공사위 고개에서 요격하다 천황의 형 오뢰 목숨이 화살에 맞아 부상당하고 나중에 사망했다.
이후 진무 천황 군대와 다시 싸우게 되는데, 이때 금빛 솔개가 날아와 진무 천황의 활에 앉아 나가스네히코 군의 눈을 멀게 하여 싸울 수 없게 된다. 나가스네히코는 진무 천황에게 "옛날 하늘의 신의 아들(니기하야히노 미코토)이 내려왔고, 내 여동생과 짝을 지어 아들(카미 진정원)도 태어났다. 나는 그를 섬기고 있는데, 하늘의 신의 아들이 어찌 둘이나 있겠는가? 왜 하늘의 신의 아들이라 칭하며 남의 땅을 뺏으려 하는가"라며 의심했다. 천황은 하늘의 신의 아들임을 증명하는 증거를 보였으나 나가스네히코는 마음을 바꾸지 않았다. 결국 니기하야히노 미코토가 나가스네히코를 살해했다.
4. 1. 중세 시대의 전설
曽我物語에는 안히코라는 형제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안도 씨(安藤氏)는 나가스네히코의 후손을 자처했다.4. 2. 현대의 전승
이코마시 일대에는 나가스네히코와 관련된 유적과 전승이 남아있다. 소노아게 현좌 신사는 나가스네히코를 제신으로 모셨다는 전승이 있다.[1][2] 이시키리 츠루기야 신사의 전승에 따르면, 나가스네히코는 니기하야히에게 귀순하여 야마토 통일에 기여했다고 한다.5. 관련 지명
이코마시 시라니와다이 주택지에 나가스네히코의 본거지가 있던 장소로 추정되는 비석이 세워져 있다.[1] 도미(登美)는 나가스네히코의 근거지로 추정되는 지역으로 현재의 나라현 이코마시, 나라시 도미오 지역이다. 나가스네(長髄)는 『일본서기』에 읍(邑)의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 구사카(孔舎衛坂)는 나가스네히코가 진무 천황을 요격한 장소이다.
참조
[1]
Citation
『長髄彦』宮司が語る衝撃の事実
https://www.youtube.[...]
2024-02-23
[2]
웹사이트
添御縣坐神社本殿 {{!}} 奈良県歴史文化資源データベース {{!}} 奈良県歴史文化資源データベース「いかす・なら」
https://www.pref.nar[...]
2024-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