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선대구사본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대구사본기는 저자가 불분명하지만, 물부씨와 관련된 인물일 가능성이 제기되는 고대 일본의 역사서이다. 헤이안 시대의 학자 흥원민구, 야타베 공망 등이 저자로 추정되며, 내용상 천지개벽부터 스이코 천황까지의 역사와 물부씨, 오와리씨의 계보, 국조(国造) 135씨의 조상 전승 등을 담고 있다. 에도 시대에는 위서 논란이 있었으나, 독자적인 전승과 사료적 가치를 인정받아 고대사 연구에 활용되기도 한다.

2. 성립·저자

선대구사본기의 저자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내용상 물부씨와 관련된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

흥원민구 설은 헤이안 시대 초기의 명법박사인 흥원민구(오키하라노미쿠)가 저자라는 설로, 에도 시대의 국학자 미칸나기 기요나오(1812년 - 1894년(메이지 27년))가 주장했다.[20] 흥원민구는 물부씨계 인물(원래 이름은 물부흥구)이며, 그의 활약 시기는 『선대구사본기』의 성립 시기와 겹친다.

사에키 아리키요는 "저자는 미상이나, 『천손본기』에는 오와리씨 및 물부씨의 계보를 상세히 기록하고, 또 그 외에도 물부씨 관계의 사적이 많이 보이므로, 본서의 저자는 물부씨의 일족일 것이다."라고 한다.

미칸나기 기요나오는 선대구사본기의 본문은 훌륭하다고 평가했지만, 서문은 야타베 공망이 904년 - 936년에 만들었다고 주장했다.[20] 야스모토 요시노리는 선대구사본기의 본문은 흥원민구가 일본서기스이코 천황 조항에 기록된 사서 사료의 잔존하는 것에, 고사기, 일본서기, 고어습유 등의 문장, 물부씨계 사료 등을 더해 정비하고, 그 후 야타베 공망이 "서"문과 선대구사본기라는 제목을 부여하고, 야타베씨 관계의 정보 등을 더해 현재의 선대구사본기가 성립했다고 추정하고 있다.[21]

편찬자에 관해서는, 흥원민구 설 외에, 이소노카미 신궁의 신관 설, 이소노카미 야카츠구 설 등이 있다.

2. 1. 저자 관련 학설

흥원민구 설은 헤이안 시대 초기의 명법박사인 흥원민구(오키하라노미쿠)가 저자라는 설로, 에도 시대의 국학자 미칸나기 기요나오(1812년 - 1894년(메이지 27년))가 주장했다.[20] 흥원민구는 물부씨계 인물(원래 이름은 물부흥구)이며, 그의 활약 시기는 『선대구사본기』의 성립 시기와 겹친다.

사에키 아리키요는 "저자는 미상이나, 『천손본기』에는 오와리씨 및 물부씨의 계보를 상세히 기록하고, 또 그 외에도 물부씨 관계의 사적이 많이 보이므로, 본서의 저자는 물부씨의 일족일 것이다."라고 한다.

미칸나기 기요나오는 『선대구사본기』의 본문은 훌륭하다고 평가했지만, 서문은 야타베 공망이 904년 - 936년에 만들었다고 주장했다.[20] 야스모토 요시노리는 『선대구사본기』의 본문은 흥원민구가 『일본서기』의 스이코 천황의 조항에 기록된 사서 사료의 잔존하는 것에, 『고지키』『일본서기』『고사기유이』 등의 문장, 물부씨계 사료 등을 더해 정비하고, 그 후 야타베 공망이 "서"문과 『선대구사본기』라는 제목을 부여하고, 야타베씨 관계의 정보 등을 더해 현재의 『선대구사본기』가 성립했다고 추정하고 있다.[21]

편찬자에 관해서는, 흥원민구 설 외에, 이소노카미 신궁의 신관 설, 이소노카미 야카츠구 설 등이 있다.

3. 구성

3. 1. 제1권: 신대본기(神代本紀), 신대계기(神代系紀), 음양본기(陰陽本紀)

천지개벽이자나기 신화를 다룬다.

3. 2. 제2권: 신기본기(神祇本紀)

아마테라스와 스사노오의 우케이 신화, 스사노오 추방을 다룬다.

3. 3. 제3권: 천신본기(天神本紀)

니기하야히 신화와 출운의 국양에 대해 다룬다.

3. 4. 제4권: 지기본기(地祇本紀)

이즈모 신화를 다룬다.

3. 5. 제5권: 천손본기(天孫本紀)

물부씨와 오와리 씨의 계보를 다룬다.

3. 6. 제6권: 황손본기(皇孫本紀)

히나타 삼대와 진무 천황의 동정에 대해 다룬다.

3. 7. 제7권: 천황본기(天皇本紀)

진무 천황부터 진구 황후까지의 역사를 다룬다.

3. 8. 제8권: 신황본기(神皇本紀)

응신 천황부터 무열 천황까지의 역사를 다룬다.

3. 9. 제9권: 제황본기(帝皇本紀)

게이타이 천황부터 스이코 천황까지의 역사를 다룬다.

3. 10. 제10권: 국조본기(国造本紀)

국조본기(国造本紀)는 구지키의 열 번째 권이다. 국조(国造) 135씨의 조상 전승을 다룬다.

3. 11. 신황계도(神皇系図) 1권

현재, 내용이 유실되어 전해지지 않는다.

4. 내용의 특징과 사료적 가치

『선대구사본기』는 에도 시대에 이마이 아리요리, 도쿠가와 미츠쿠니 등으로부터 위서로 여겨졌지만,[22] 국학자 타치바나 모리베는 『고사기 나오히』에서 "원본이 있었을 것이며, 그것은 위서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세 신궁의 사가 출신인 미칸코 기요나오는 『선대구사본기 석의』에서 『선대구사본기』를 옹호했다. 근대에도 재평가를 시도하는 사람들이 있었으나,[8] 서문이 거짓이라면 『선대구사본기』 전부를 위서로 간주하는 데 문제가 없다는 의견도 있다.[22] 카마다 준이치는 아라이 하쿠세키는 『선대구사본기』를 신뢰했으며, 메이지 시대 이후에 위서 취급을 받게 되었다고 말했다.[26]

『선대구사본기』 본문의 내용은 『고사기』, 『일본서기』, 『고어습유』의 문장을 짜깁기한 것이 대부분이지만, 독자적인 전승이나 신명이 나타난다. 특히 모노노베 씨의 조상신인 니기하야히노미코토에 관한 독자적인 기술이 많아, 현존하지 않는 모노노베 문헌에서의 인용이 아닌가 하는 의견도 있다.

권 제3의 「천신본기(텐진혼기)」, 권 제5의 「천손본기(텐손혼기)」의 오와리 씨, 모노노베 씨의 전승(니기하야히노미코토에 관한 전승 등)과 권 제10의 「국조본기(코쿠조혼기)」에는 다른 문헌에 존재하지 않는 독자적인 기록이 보인다. 아오키 카즈오는 권 제5의 「천손본기」는 오와리 씨, 모노노베 씨의 옛날부터의 전승이며, 권 제10의 「국조본기」도 오래된 자료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50] 신노 나오키치는 「국조본기」에 대해 "독자적인 가치를 지니고 고대사 연구의 사료가 되고 있다"고 평가한다.[51] 사에키 아리키요는 「천손본기」,「국조본기」는 사료로서 중요하다고 한다. 우에다 마사아키는 『선대구사본기』에는 주목할 만한 내용이 많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52] 가마다 준이치는 친혼제에서 『선대구사본기』에 기록되어 있는 십종신보에 관한 외는 말을 외는 것에서도 중요한 자료라고 기록하고 있다.[53] 와타나베 타쿠는 "헤이안 시대에는 이미 성립되어 있었음은 틀림없다"고 평가한다.[8] 심리학자 야스모토 미노리는 모노노베 씨의 전승이나 국조 관계의 정보는 귀중하며, 오래된 문자의 사용법이 있어 상당히 오래된 자료도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54] 법학자 하스누마 케이스케는 「천신본기」, 「천손본기」, 「국조본기」에 자료적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비판적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한다.[56][57][58]

4. 1. 주요 내용

4. 2. 사료적 가치에 대한 평가

에도 시대에는 이마이 아리요리, 도쿠가와 미츠쿠니 등이 선대구사본기위서로 여겼지만, 국학자 타치바나 모리베는 "원본이 있었을 것이며, 그것은 위서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23][24] 근대에 이르기까지 서문은 후대에 덧붙여진 것이지만, 그 외에는 가치가 있다는 이유로 재평가를 시도하는 사람도 많았다.[8] 아라이 하쿠세키는 이를 신뢰하였고, 미토번의 쿠리타 히로시 등은 "국조본기"나 모노노베 씨의 전기를 중시하였다.[26]

미카미 기요나오는 "서문이 나쁘며, 그것을 제외하면 어디에도 위작으로 간주할 이유가 없다"고 보았고,[41] 가마다 준이치는 먼저 성립되었던 본문 부분에 나중에 서문이 덧붙여졌기 때문에 위서처럼 보이게 되었다고 보았다. 가마다는 서문이 나라 시대헤이안 시대 초기의 다른 문헌의 서문과 비교하면 문법이 미숙하고, 가마쿠라 시대 중기의 서적 이름을 기재하고 있다는 점을 들어 서문의 성립 연대를 가마쿠라 시대 이후로 보았다.[42]

본문의 내용은 『고사기』, 『일본서기』, 『고사유이』의 문장을 짜깁기한 것이 대부분이지만, 독자적인 전승이나 신명이 보인다. 특히 모노노베 씨의 조상신인 니기하야히노미코토에 관한 독자적인 기술이 많으며, 현존하지 않는 모노노베 문헌에서의 인용이 아닌가 하는 의견도 있다.

권 제3의 '천신본기(天神本紀)'의 일부, 권 제5의 '천손본기(天孫本紀)'의 오와리 씨, 모노노베 씨의 전승(니기하야히노미코토에 관한 전승 등)과 권 제10의 '국조본기(國造本紀)'에는 다른 문헌에 존재하지 않는 독자적인 소전이 보인다.[50] 신노 나오키치는 '국조본기'에 대해 "다이카 개신 이전의 지방관 호족인 국조의 이름을 내걸고, 그 계보와 임명 설치 시기를 나타내고 있다. 후세의 국조인 율령 국조의 이름이나 국사명도 혼입되어 있지만, 다른 예가 없는 정리된 국조 관계 사료이므로, 독자적인 가치를 지니고 고대사 연구의 사료가 되고 있다."고 평가한다.[51] 사에키 아리키요는 '천손본기', '국조본기'는 사료로서 중요하다고 한다.

우에다 마사아키는 "『선대구사본기』는 단순한 '위서'가 아니라, 귀중한 고전"이라고 언급하며, 주목할 만한 내용이 많다고 말한다.[52] 가마다 준이치는 다이조사이·니이나메사이 전날에 거행되는 친혼제에서 『선대구사본기』에 기록되어 있는 십종신보에 관한 내용을 외는 것에서도 중요한 자료라고 기록하고 있다. 와타나베 타쿠는 "헤이안 시대에는 이미 성립되어 있었음은 틀림없다…… 위서설을 거침으로써, 오히려 본문에 남겨진 고전의 가치가 지적되었다."라고 평가하고 있다. 심리학자 야스모토 미노리는 모노노베 씨의 전승이나 국조 관계의 정보는 귀중하며, 스이코 천황 시대에 쓰여진 것으로 여겨지는 문장과 같은 오래된 문자의 사용법이 있어 상당히 오래된 자료도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54] 법학자 하스누마 케이스케는 '천신본기', '천손본기', '국조본기'에 자료적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비판적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한다.[56][57][58]

5. 위서 논란과 영향

선대구사본기는 서문에 쇼토쿠 태자, 소가노 우마코 등이 저술했다고 되어 있어 중세의 신도 사상가 등에게 존중받았다. 예를 들어 가마쿠라 시대의 승려 지헨은 『선대구사본기』를 신도 사상의 중심으로 생각하고 주석서 『구사본기현의』를 저술하여 와타라이 신토에 영향을 주었다. 이세 신궁의 게쿠 사관 와타라이씨는 신전이라고도 할 수 있는 취급을 했다. 또한 무로마치 시대에 요시다 가네토모가 창시한 요시다 신토에서도 『선대구사본기』를 중시하여, 기기 및 『선대구사본기』를 "삼부의 본서"로 삼고 있다.

그러나 에도 시대에 이마이 아리요리, 도쿠가와 미츠쿠니, 타다 요시토시, 이세 사다타케, 모토오리 노리나가 등으로부터 위서로 여겨졌다. 하지만 국학자 다치바나 모리베는 『고사기 나오히』에서 "원본이 있었을 것이며, 그것은 위서가 아니다"라고 주장했고, 이세 신궁의 사가 출신인 미칸코 기요나오는 『선대구사본기 석의』에서 역시 『선대구사본기』를 옹호하고 있다.

근세는 물론 근대에 이르기까지 "서문은 후세에 덧붙여진 것이지만, 그 외에는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닐까"라며 재평가를 시도하는 사람도 많다. 내력의 기재가 있는 서문이 거짓이라면 『선대구사본기』 전부를 위서로 간주하는 데 문제가 없다는 의견이나, 쇼토쿠 태자가 일찍이 저술했다고 가탁된 서적이라는 의견도 있다. 카마다 준이치는 "그러나 그 한편으로 아라이 하쿠세키는 이것을 신뢰하고 있으며, 그 후의 미토번에서도 쿠리타 히로시 등은 "국조본기", 또는 모노노베 씨의 전기라는 점을 매우 중시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완전히 위서 취급을 받게 된 것은, 에도 시대라기보다는, 오히려 메이지 시대 이후일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 '''위서설의 주요 근거'''

이마이 아리토미는 스이코 시대 이후의 기술이 보인다며 위서설을 주장했다.[25] 도쿠가와 미츠쿠니는 쇼토쿠 태자가 지었다고 하면서 천황 시호를 기록하고 있는데, 천황 시호는 단카이노 미후네가 지은 것이라며 오닌의 난 이후에 우라베 씨가 마음대로 만든 위서라고 주장했다.[26] 즉, "후세 사람의 위서"로 신용할 수 없다고 한다.[27] 유직가인 다다 요시토시는 『구사기위서명증고(旧事記偽書明証考)』(1731년)에서 위서설을 주장했다. 이세 사다타케는 『구지본기 박위(旧事本紀剥偽)』(1778년)를 저술하여 우라베 씨와는 관계가 없다고 하면서 "구지본기(선대구사본기)는 옛날의 위서이다"라고 기록하고 있다.[28] 모토오리 노리나가는 『고지키덴』 권1에서, "'구지본기'라고 이름 붙인 10권의 책이 있는데, 이것은 후세 사람이 거짓으로 모은 것이고, 쇼토쿠 태자 명이 지으신 진짜 기록은 아니다"라고 하였다. 다만, 니기하야히노 미코토가 하늘에서 내려오실 때의 일과, 오와리 연 물부 연의 세상 순서, 국조본기와 같은 것은 다른 고서가 있어서 가져온 것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쿠리타 히로시는 도쿠가와 미츠쿠니가 "후세 사람의 위서"로, 신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에도 시대에는 『선대구사본기』를 기반으로 하여, 『선대구사본기대성경』(엔포 판(조음본, 72권본)), 그리고 그 이본인 『지조(사사키, 사자키) 전본 선대구사본기대성경(대성경지조전)』(31권본, 칸분 10년(1670년) 간행), 『시라카와본 구사기』(백가전, 30권본) 등이 창작되었다고 하며, 후에 다수 나타나는 위서군 "고사고전"의 성립에도 영향을 주었다.

일본에서의 고전 언어 연구에서도, 예를 들어 신명의 출전으로 『선대구사본기』가 사용된 예가 있다. 또한 막부 말기에 호프만이 저술한 『일본어 문법 예증』과 『일본어 문법』에는 『고사기』나 『일본 서기』 등의 외에, 『와묘루이쥬쇼』나 『왜훈』 등의 사전류, 그리고 『선대구사본기』가 이용되고 있다.

5. 1. 위서설의 주요 근거

이마이 아리토미는 스이코 시대 이후의 기술이 보인다며 위서설을 주장했다.[25] 도쿠가와 미츠쿠니는 쇼토쿠 태자가 지었다고 하면서 천황 시호를 기록하고 있는데, 천황 시호는 단카이노 미후네가 지은 것이라며 오닌의 난 이후에 우라베 씨가 마음대로 만든 위서라고 주장했다.[26] 즉, "후세 사람의 위서"로 신용할 수 없다고 한다.[27] 유직가인 다다 요시토시는 『구사기위서명증고(旧事記偽書明証考)』(1731년)에서 위서설을 주장했다. 이세 사다타케는 『구지본기 박위(旧事本紀剥偽)』(1778년)를 저술하여 우라베 씨와는 관계가 없다고 하면서 "구지본기(선대구사본기)는 옛날의 위서이다"라고 기록하고 있다.[28] 모토오리 노리나가는 『고지키덴』 권1에서, "'구지본기'라고 이름 붙인 10권의 책이 있는데, 이것은 후세 사람이 거짓으로 모은 것이고, 쇼토쿠 태자 명이 지으신 진짜 기록은 아니다"라고 하였다. 다만, 니기하야히노 미코토가 하늘에서 내려오실 때의 일과, 오와리 연 물부 연의 세상 순서, 국조본기와 같은 것은 다른 고서가 있어서 가져온 것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쿠리타 히로시는 도쿠가와 미츠쿠니가 "후세 사람의 위서"로, 신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5. 2. 위서설에 대한 반론

5. 3. 영향

가마쿠라 시대의 승려 지헨은 『선대구사본기』를 신도 사상의 중심으로 생각하고 주석서 『구사본기현의』를 저술하여 와타라이 신토에 영향을 주었다. 이세 신도를 확립한 외궁(外宮) 사관 와타라이씨는 신전이라고도 할 수 있는 취급을 했다. 무로마치 시대에 요시다 가네토모가 창시한 요시다 신토에서도 『선대구사본기』를 중시하여, 기기 및 『선대구사본기』를 "삼부의 본서"로 삼고 있다.

에도 시대에는 『선대구사본기』를 기반으로 하여, 『선대구사본기대성경』(엔포 판(조음본, 72권본)), 그리고 그 이본인 『지조(사사키, 사자키) 전본 선대구사본기대성경(대성경지조전)』(31권본, 칸분 10년(1670년) 간행), 『시라카와본 구사기』(백가전, 30권본) 등이 창작되었다고 하며, 후에 다수 나타나는 위서군 "고사고전"의 성립에도 영향을 주었다.

일본에서의 고전 언어 연구에서도, 예를 들어 신명의 출전으로 『선대구사본기』가 사용된 예가 있다. 막부 말기에 호프만이 저술한 『일본어 문법 예증』과 『일본어 문법』에는 고사기나 일본 서기 등의 외에, 『와묘루이쥬쇼』나 『왜훈』 등의 사전류, 그리고 『선대구사본기』가 이용되고 있다.

참조

[1] Encyclopedia Encyclopedia of Shinto http://eos.kokugakui[...] Kokugakuin University 2013-06-19
[2] encyclopedia Sendai Kuji Hongi http://kotobank.jp/w[...] Heibonsha 2013-07-22
[3] 논문 Sendai Kuji Hongi: Authentic Myths or Forged History? 2007
[4] 웹사이트 先代旧事本紀1 https://www.digital.[...] 国立公文書館 2024-09-15
[5] 웹사이트 十種神宝の発生と『先代旧事本紀』の成立 古川順弘氏(1/2ページ): https://www.chugaini[...] 中外日報 2024-09-12
[6] 서적 世界大百科事典 平凡社
[7] 웹사이트 歴史系『偽書』の史的展開 http://www.ceres.dti[...]
[8] 서적 『日本の神々 : 『先代旧事本紀』の復権』
[9] 서적 律令国家の展開と地域支配 https://ndlsearch.nd[...] 思文閣出版
[10] 간행물 磐井の乱の再検討 https://kogakkan.rep[...] 皇學館大学文学部 2024-03-26
[11] 간행물 紀伊半島南端の国境変遷と画定 : 熊野・紀伊・志摩・伊勢国 https://doi.org/10.1[...] 日本地理学会 2024-03-26
[12] 문서 上田正昭著作集 第2巻 古代国家と東アジア 角川書店 1998
[13] 문서 生成する古代文学 森話社 2014
[14] 문서 日本の神々―神話と聖地 第三巻 摂津・河内・和泉・淡路 白水社 1984
[15] 웹사이트 『先代旧事本紀』と『大成経』 http://www.mars.dti.[...] 原田実 2024-09-15
[16] 문서 大同二年は西暦807年なので803年は校正のミスと思われる。
[17] 문서 先代旧事本紀 10巻 [2]巻三 天神本紀 https://dl.ndl.go.jp[...] 前川茂右衛門 1644
[18] 문서 先代旧事本紀 10巻 [4]巻七 天皇本紀 https://dl.ndl.go.jp[...] 前川茂右衛門 1644
[19] 문서 令集解 巻2 https://dl.ndl.go.jp[...] 中原職忠 寫 1634
[20] 문서 先代旧事本記折疑 神道大系編纂会 1980
[21] 서적
[22] Tweet 正確には偽書というより、「仮託」になるかと思います。たとえば中国の古典で『六韜』『三略』が太公望の兵法を伝えたものとして仮託されたのと似たような関係にあると思います(なお、『六韜』『三略』についても「偽書」という評価がなされることもあり、仮託と偽書との違いは曖昧な部分があります) 2021-02-21
[23] 문서 図書館情報学用語辞典 丸善 2013
[24] 웹사이트 図書館情報学用語辞典 https://kotobank.jp/[...] 丸善 2021-03-04
[25] 간행물 先代旧事本紀の人代巻 https://waseda.repo.[...] 早稲田大学国文学会 2024-03-26
[26] 서적 『日本の神々 : 『先代旧事本紀』の復権』
[27] 문서 国造本紀考
[28] 웹사이트 http://seishindo.jim[...]
[29] 간행물 先代旧事本紀(完全訓み下し)前編 新人物往来社 2008-11
[30] 웹사이트 古語拾遺 https://dl.ndl.go.jp[...] 2018-10-17
[31] 웹사이트 先代旧事本紀巻七・天皇本紀 https://dl.ndl.go.jp[...] 前川茂右衛門 2018-10-17
[32] 문서 難波朝(孝徳朝)は推古朝の後
[33] 문서 淡海朝(天智朝)は推古朝の後
[34] 문서 浄御原朝(天武朝)は推古朝の後
[35] 웹사이트 先代旧事本紀巻五・天孫本紀 https://dl.ndl.go.jp[...] 前川茂右衛門 2018-10-17
[36] 웹사이트 先代旧事本紀巻五・天孫本紀 https://dl.ndl.go.jp[...] 前川茂右衛門 2018-10-17
[37] 문서 柏原帝・桓武天皇
[38] 문서 諾羅朝(元明朝)は推古朝の後
[39] 웹사이트 先代旧事本紀巻十・国造本紀 https://dl.ndl.go.jp[...] 前川茂右衛門 2018-10-17
[40] 웹사이트 先代旧事本紀巻十・国造本紀 https://dl.ndl.go.jp[...] 前川茂右衛門 2018-10-17
[41] 간행물 旧事本紀攷:日本書紀の草稿と思はれる同書巻七・八・九について(原著) https://toyo-bunko.r[...] 東洋文庫 1958-06
[42] 서적 先代旧事本紀の研究 研究の部 吉川弘文館 1962
[43] 서적 先代旧事本紀の研究 校本の部 吉川弘文館 1960
[44] 문서 '『日本の神々 : 『先代旧事本紀』の復権』'
[45] 문서 序文では古事記以前に聖徳太子により成立と記載
[46] 웹사이트 日本書紀私記 https://www.wul.wase[...] 2018-10-17
[47] 웹사이트 国史大系第7巻「釈日本紀巻1」 https://dl.ndl.go.jp[...] 2018-10-17
[48] 간행물 日本書紀私記(丁本) 吉川弘文館 1999-07-20
[49] 웹사이트 国史大系第7巻「釈日本紀巻8」 https://dl.ndl.go.jp[...] 2018-10-17
[50] 문서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https://kotobank.jp/[...]
[51] 문서 『世界大百科事典第二版』平凡社
[52] 문서 徳島県埋蔵文化財センターにおける講演
[53] 서적 日本の神々-神社と聖地第三巻 摂津・河内・和泉・淡路 白水社 1984
[54] 문서 ページが見つかりません 2024-03
[55] 서적 日本の神々-神社と聖地第三巻 摂津・河内・和泉・淡路 白水社 1984
[56] 문서 蓮沼 啓介 - 研究者 - researchmap https://researchmap.[...]
[57] 문서 蓮沼啓介 - 神戸大学大学院法学研究科・法学部 http://www.law.kobe-[...]
[58] 문서 教員紹介・非常勤教員 | 日本大学大学院法務研究科 http://www.nihon-u.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