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는 내가 알지 못함을 안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는 내가 알지 못함을 안다는 소크라테스가 한 말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라틴어 경구를 번역한 것이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무지하다는 것을 자각하는 것이 진정한 지혜의 시작이라고 강조하며, 다양한 사람들과의 대화를 통해 그들의 무지를 드러냈다. 플라톤의 저작에 직접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지만, 《변론》에서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모르는 것을 안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보다 현명하다고 설명한다. 이 말은 소크라테스 이후에도 여러 철학자들에게 인용되었으며, "소크라테스의 역설"과 같이 상식에 반하는 소크라테스의 다른 진술들을 지칭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크라테스 - 문답법
    문답법은 소크라테스가 고안한 교수법으로, 소크라테스식 질문을 통해 비판적 사고를 자극하여 윤리적 개념의 본질을 탐구하고 스스로의 사고를 발전시키도록 돕는 교수법이며, 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지만 부정적인 측면에 대한 논의도 있다.
  • 소크라테스 - 헬레니즘 철학
    헬레니즘 철학은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부터 로마 제국 통일까지의 헬레니즘 시대에 나타난 철학 사상들을 통칭하며, 개인의 행복 추구와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했다.
  • 그리스어 철학 구 - 모노게네스
    모노게네스는 기독교 신학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을 강조하는 헬라어 단어로, '독생자', '외아들', '유일한 존재' 등으로 번역되며 예수와 하나님과의 특별한 관계를 나타내고 삼위일체 교리 정립 및 예수 그리스도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그리스어 철학 구 - 무관한 결론
    무관한 결론은 논증의 전제가 결론을 뒷받침하지 못하는 논리적 오류로, 훈제 청어, 허수아비, 피장파장의 오류 등으로 나타나며 설득이나 논쟁 회피 전략으로 쓰이기도 한다.
  • 무지 - 존 도
    존 도는 신원 미상의 인물을 지칭하는 가명으로, 법률 및 수사 과정에서 널리 사용되며, 영국과 미국에서 법적 문서나 형사 수사, 온라인 익명 범죄 대응 등에 활용된다.
  • 무지 - 공정한 세상 가설
    공정한 세상 가설은 세상이 공정하여 사람들의 행동과 결과가 비례한다고 믿는 경향을 설명하는 사회심리학 이론으로, 긍정적 효과와 더불어 피해자 비난과 같은 부정적 사회 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
나는 내가 알지 못함을 안다
기본 정보
나는 내가 아무것도 모른다는 것을 안다
나는 내가 아무것도 모른다는 것을 안다
관련 인물소크라테스
내용나는 내가 아무것도 모른다는 것을 안다
I know that I know nothing
기원소크라테스의 말에서 유래
의미자신의 무지를 자각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
관련 개념소크라테스식 방법
소크라테스식 반어법
무지의 지
유사 표현나는 한 가지 안다, 내가 아무것도 모른다는 것을.
"Scio me nihil scire" (라틴어)
인용가장 현명한 사람은 자신이 현명하지 않다는 것을 아는 사람이다.
철학적 함의
인식론지식의 한계에 대한 자각
윤리학겸손과 배움의 자세
교육학비판적 사고 능력 함양
자기 성찰자신의 무지를 깨닫고 끊임없이 탐구하는 태도
대중 문화
활용다양한 분야에서 지혜의 상징으로 인용
예시영화, 소설, 광고 등

2. 어원

이 경구는 본래 라틴어 ("ipse se nihil scire id unum sciatla")에서 유래되었으며,[20] 고대 그리스어 원문을 의역한 것으로 추정된다. "scio me nihil scirela" 또는 "scio me nescirela" 형태로도 인용된다.[21] 이후 카타레부사 그리스어로 재번역되어 "[ἓν οἶδα ὅτι] οὐδὲν οἶδα|hèn oîda hóti oudèn oîdagrc"의 형태로 나타났다.[22]

3. 플라톤의 저작

"나는 내가 아무것도 모른다는 것을 안다"라는 경구는 소크라테스의 "나는 알지도 못하고 안다고 생각하지도 않는다" (변명 21d)라는 진술을 의역한 것이다. 플라톤의 《변명》에 따르면,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다른 사람들보다 현명한 이유는 자신이 모르는 것을 안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25] 그는 정치가, 시인, 장인 등 다양한 사람들과의 대화를 통해 그들이 실제로는 지혜롭지 않음을 깨닫고, 자신의 무지를 자각하는 것이 진정한 지혜의 시작임을 강조한다.

소크라테스는 《메논》에서도 자신이 덕에 대해 아는 것이 없음을 언급하며,[27] 끊임없는 질문과 탐구를 통해 진리에 다가가고자 노력한다. 그는 모든 지혜가 의문에서 시작된다고 보았으며, 자신의 무지를 인정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의 교수법인 문답법은 자신이 아무것도 모른다는 전제하에, 대화를 통해 학생들에게서 지식을 이끌어내는 방식이었다.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의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에도 소크라테스가 "자신이 아무것도 모른다는 바로 그 사실만을 제외하고는 아무것도 모른다"라는 말을 자주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28]

3. 1. 소크라테스의 지식 부정과 예외

《변명》 29b-c에서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두 가지를 알고 있다고 주장하며, 29d에서는 그 지식에 목숨을 걸 만큼 확신한다고 밝힌다.[24] 그는 《향연》에서 사랑에 관한 자신의 지식을 언급하며, 이 분야에서 자신이 과거와 현재를 통틀어 누구보다도 뛰어나다(δεινός)고 주장한다.[31]

4. 소크라테스 이후의 인용

사도 바울은 고린도전서 8장 2절에서 "무언가를 안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아직 필요한 지식을 갖추지 못한 것이다."라고 말하며, 소크라테스의 경구와 유사한 맥락의 주장을 펼쳤다.[17]

5. 대안적 용법

"소크라테스의 역설"은 "누구도 악을 욕망하지 않는다"와 같이 상식에 반하는 것처럼 보이는 소크라테스의 다른 진술들을 가리키기도 한다.[32][16]

사도 바울의 말도 이와 유사하게 Και εαν τις δοκει εγνωκεναι τι, ουπω εγνω καθως δει γνωναι|카이 에안 티스 도케이 에그노케나이 티, 우포 에그노 카도스 데이 그노나이grc에서 발견된다. "무언가를 안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아직 필요한 지식을 갖추지 못한 것이다."[17]

참조

[1] 문서 Plato. Plato in Twelve Volumes, Vol. 1 translated by Harold North Fowler; Introduction by W.R.M. Lamb.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London, William Heinemann Ltd. 1966. https://www.perseus.[...]
[2] 웹사이트 Socratic Paradox https://www.oxfordre[...] 2021-11-19
[3] 서적 Classical Athens and the Delphic Oracle: Divination and Democrac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4] 문서 "He himself thinks he knows one thing, that he knows nothing" https://www.perseus.[...] Academica
[5] 문서 "A variant is found in [[Nicholas of Cusa|von Kues]], ''De visione Dei'', XIII, 146 (''Werke'', Walter de Gruyter, 1967, p. 312): ''...et hoc scio solum, quia scio me nescire {{sic}}...'' [I know alone, that (''or'' because) I know, that I do not know]."
[6] 웹사이트 All I know is that I know nothing -> Ἓν οἶδα ὅτι οὐδὲν οἶδα, Εν οίδα ότι ουδέν οίδα, ΕΝ ΟΙΔΑ ΟΤΙ ΟΥΔΕΝ ΟΙΔΑ https://www.translat[...]
[7] 간행물 "Does Socrates Claim to Know that He Knows Nothing?" 2008
[8] 문서 'Fine argues that "it is better not to attribute it to him" ("Does Socrates Claim to Know He Knows Nothing?", Oxford Studies in Ancient Philosophy vol. 35 (2008), p. 51). C. C. W. Taylor has argued that the "paradoxical formulation is a clear misreading of Plato" (Socrates,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p. 46).'
[9] 문서 Plato, Apology 21d.
[10] 서적 The Socratic Dialogues https://books.google[...] Kaplan Publishing 2009
[11] 문서 Plato, Meno 80d1–3.
[12] 문서 Diogenes Laërtius II.32.
[13] 문서 All of a Sudden: The Role of Ἐξαίφνης in Plato's Dialogues https://dsc.duq.edu/[...] Doctor of Philosophy Dissertation. Duquesne University 2014
[14] 문서 "[[Plato]]. ''Symposium'', 177d-e]." https://www.perseus.[...]
[15] 문서 "[[Plato]]. ''Theages'', 128b]." https://www.perseus.[...]
[16] 문서 "[[Terence Irwin]], ''The Development of Ethics'', vol. 1,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p. 14; Gerasimos Santas, "The Socratic Paradoxes", ''Philosophical Review'' 73 (1964), pp. 147–64."
[17] 웹사이트 1 Corinthians 8:2: Commentaries https://biblehub.com[...]
[18] 웹인용 Socratic Paradox https://www.oxfordre[...] 2021-11-19
[19] 서적 Classical Athens and the Delphic Oracle: Divination and Democ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20] 문서 "He himself thinks he knows one thing, that he knows nothing" https://www.perseus.[...] Academica
[21] 문서 "A variant is found in [[Nicholas of Cusa|von Kues]], ''De visione Dei'', XIII, 146 (''Werke'', Walter de Gruyter, 1967, p. 312): ''...et hoc scio solum, quia scio me nescire {{sic}}...'' [I know alone, that (''or'' because) I know, that I do not know]."
[22] 웹인용 All I know is that I know nothing -> Ἓν οἶδα ὅτι οὐδὲν οἶδα, Εν οίδα ότι ουδέν οίδα, ΕΝ ΟΙΔΑ ΟΤΙ ΟΥΔΕΝ ΟΙΔΑ https://www.translat[...]
[23] 간행물 "Does Socrates Claim to Know that He Knows Nothing?" 2008
[24] 문서 'Fine argues that "it is better not to attribute it to him" ("Does Socrates Claim to Know He Knows Nothing?", Oxford Studies in Ancient Philosophy vol. 35 (2008), p. 51). C. C. W. Taylor has argued that the "paradoxical formulation is a clear misreading of Plato" (Socrates,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p. 46).'
[25] 문서 Plato, Apology 21d.
[26] 서적 The Socratic Dialogues https://books.google[...] Kaplan Publishing 2009
[27] 문서 Plato, Meno 80d1–3.
[28] 문서 Diogenes Laërtius II.32.
[29] 문서 All of a Sudden: The Role of Ἐξαίφνης in Plato's Dialogues https://dsc.duq.edu/[...] Doctor of Philosophy Dissertation. Duquesne University 2014
[30] 문서 "[[Plato]]. ''Symposium'', 177d-e]." https://www.perseus.[...]
[31] 문서 "[[Plato]]. ''Theages'', 128b]." https://www.perseus.[...]
[32] 문서 "[[Terence Irwin]], ''The Development of Ethics'', vol. 1,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p. 14; Gerasimos Santas, "The Socratic Paradoxes", ''Philosophical Review'' 73 (1964), pp. 147–6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