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대는 칼과 도끼의 중간 형태의 도구로, 울타리 작업, 스네딩, 포도나무 가지치기 등에 사용된다. 탄소강으로 제작된 칼날은 직선 또는 곡선 형태를 가지며, 다양한 지역과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가 존재한다. 중세 시대에는 할버드와 유사한 무기로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군사용 도구로도 활용된다. 대중문화에서는 흉기 또는 위협적인 도구로 묘사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절삭 공구 - 나이프
 나이프는 인류가 사용해 온 도구로,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제작되어 식기, 도구, 무기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며,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 절삭 공구 - 금형
 금형은 제품의 외관, 품질, 생산성을 결정하는 제조업의 핵심 요소로, 개방형 다이와 밀폐형 몰드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스마트팩토리 기술 접목, 재료 개발, 극소량 생산 시스템 운영, 기술 개발 지원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농기구 - 써레
 써레는 파종 전 토양 개선, 잡초 제거, 토양 통기성 향상 등을 위해 사용되는 농기구이며, 다양한 종류가 있고 고대부터 사용되었으며, 한국에서는 모내기 전 논을 고르는 데 사용되어 왔다.
- 농기구 - 방아
 방아는 가축의 힘을 이용하여 곡물을 빻거나 찧는 도구로, 디딜방아, 물레방아, 연자방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과거 농업 생산력 향상에 기여했으나 현재는 전통 농경 문화를 보여주는 유산으로 보존 및 활용되고 있다.
| 나대 | 
|---|
2. 디자인
낫은 지역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제작된다. 일반적으로 탄소강으로 만들어지며, 칼날은 손잡이 근처에서는 직선이지만 끝으로 갈수록 곡선을 이룬다. 칼날의 횡단면은 홑날과 양날 모두 나타나며, 홑날의 경우에는 오른손잡이용과 왼손잡이용으로 구분된다. 양날은 쳐서 베거나 쪼개는 용도에 적합하도록 내충격성이 강한 조개(하마구리) 날 형태를 띤다. 칼날 끝부분에는 돌기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에 대한 실용신안이 등록되어 있다(등록 번호 128275호).
최근에는 지역별 대장장이 감소와 칼날 생산지 제한으로 인해 지역별 변형이 줄어들고 있다.
2. 1. 구조
칼날은 나무 손잡이에 고정되며, 유럽에서는 반복적인 충격을 견딜 수 있는 강도 때문에 주로 물푸레나무로 만들어진다. 손잡이 길이는 대부분 12cm에서 15cm이며, "코킹(caulked)" 또는 둥글 수 있다. "코킹" 손잡이는 손잡이 아래쪽에 한쪽으로 튀어나온 손잡이 꼭지가 있어 도구가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더 무거운 패턴에는 더 긴 손잡이가 사용되기도 하며, 도구를 양손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칼날과 손잡이는 일반적으로 손잡이를 통과하는 생크로 연결되지만, 칼날을 감싸는 소켓도 있다.[2]지역이나 업종에 따라 칼날과 손잡이의 형태에 변형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다음 사항을 갖는다.
- 한 손으로 잡기에 적합하다.
- 칼날이 두껍고 튼튼하다.
- 칼날 길이는 15cm에서 60cm 이상 정도이다.
일반적으로 자루는 칼날 쪽을 향해 안쪽으로 약간 기울여서 부착된다. 무게와 칼날의 두께를 이용하여 장작이나 대나무를 쪼갤 수도 있다.
대부분 끝이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다(각낫). 그 외에 칼날 끝과 칼끝이 있는 「검낫」(츠루기나타, 켄나타)이라는 것도 있다. 검낫 중에는 총의 신뢰성이 낮았던 시대에 반시가 되어 역습해 오는 대형 짐승에 대항하기 위해, 마타기 사냥꾼 집단이 창의 칼날로서 전용을 전제로 하여, 자루 부분을 주머니 모양의 구조로 한 「후쿠로나가사」, 「후쿠로누이바」라는 것이 있다. 이 경우 칼날과 자루의 각도는 거의 직선으로 배치된다.
칼날의 횡단면은 홑날, 양날 모두 볼 수 있지만, 홑날의 경우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와 같은 손의 방향성이 있다. 양날의 경우, 쳐서 베거나 쪼개는 용도에 적합한 내충격성이 강한 조개(하마구리) 날이라는 칼날이 사용된다.
지역에 따라 모양이 다르며, 나무 자루를 붙이는 것도 있고 칼날과 일체화된 공자루의 것도 있다. 또한 나무 자루에도, 나무 막대에 홈을 내어 거기에 본체를 끼워 넣고 못으로 고정하는 것과, 도끼나 괭이처럼 등 부분에 구멍(히츠)을 내어 거기에 나무 막대를 꽂는 것이 있다. 칼날의 모양도 다양하며, 도끼와 비슷한 것과 낫과 비슷한 것 등이 있다. 칼날의 선단 부분에 돌기(「돌기」「코」「토비」등으로 불림)를 설치하는 것도 많다.
2. 2. 종류
낫은 청동기 시대부터 사용된 도구로, 칼과 도끼의 중간 정도 역할을 한다. 영국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칼날은 보통 20cm에서 25cm 길이의 탄소강으로 만들어지며, 손잡이 근처는 직선이지만 끝으로 갈수록 곡선이 강해진다. 칼날은 주로 안쪽 면만 날카롭게 하지만, 양날 빌 훅은 뒷면에 직선 보조 날이 있기도 하다. 손잡이는 물푸레나무로 만들어지며, 길이는 12cm에서 15cm 정도이다. 일부는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잡이 아래쪽에 튀어나온 꼭지가 있다. 더 무거운 낫은 양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더 긴 손잡이를 사용하기도 한다. 칼날과 손잡이는 생크나 소켓으로 연결되며, 일부는 경목이나 뿔로 만든 비늘[2]이 손잡이에 부착되어 있다.
켄트 패턴 낫은 좌우 양쪽 버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단일 경사 칼날을 가진 반면, 마친레스 패턴 낫은 접시형 칼날을, 몬머스 패턴 낫은 두꺼워진 코를 가지고 있다.
낫은 묘목이나 작은 가지를 자르거나, 울타리 치기, 스네딩(가지에서 측면 싹 제거)에 사용된다.[3]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는 포도나무 가지치기에 널리 사용되며, 마체테, 파랑, 쿠크리와 같은 도구의 유럽판이라고 할 수 있다. 전기톱 이전에는 나무 밑 덤불과 관목 제거에도 사용되었다.
미국 영어에서는 낫을 "파시네 나이프"라고 부르기도 한다. 19세기와 20세기 초에는 다양한 지역 스타일과 칼날 모양이 제공되었으며, 프랑스 회사 탈라보는 3000개가 넘는 패턴을 보유했다고 자랑했다.
정원낫은 지역 대장장이가 만들었지만, 현재는 크기와 모양이 표준화되었다. 손잡이는 대부분 랫테일 생크 방식이며, 요크셔형은 예외적으로 소켓 방식을 사용한다. 정원낫은 탄소강으로 만들어지며, 칼날은 두껍고 나무가 많은 식물을 자르는 데 적합하다. 칼날 앞부분은 갈고리 모양으로, 땅에 닿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독일어권에서는 정원낫을 Rodeaxtde ("개척 도끼")라고 부른다. 영국 내에서는 지역에 따라 11가지 주요 유형이 있으며, 각 유형은 특정 용도에 맞게 디자인되었다.
지역이나 업종에 따라 칼날과 손잡이 형태에 변형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한 손으로 잡기에 적합하고, 칼날이 두껍고 튼튼하며, 칼날 길이는 15cm에서 60cm 이상 정도이다. 일반적으로 자루는 칼날 쪽을 향해 안쪽으로 약간 기울여서 부착된다. 무게와 칼날의 두께를 이용하여 장작이나 대나무를 쪼갤 수도 있다.
대부분 끝이 직사각형인 각낫 형태이다. 그 외에 칼날 끝과 칼끝이 있는 '검낫'(츠루기나타, 켄나타)도 있다. 검낫 중에는 마타기 사냥꾼 집단이 창날로 전용할 목적으로 자루 부분을 주머니 모양으로 만든 '후쿠로나가사', '후쿠로누이바'가 있다. 칼날의 횡단면은 홑날, 양날 모두 볼 수 있지만, 홑날의 경우 오른손잡이용 또는 왼손잡이용과 같이 손의 방향성이 있다. 양날의 경우 쳐서 베거나 쪼개는 용도에 적합한, 내충격성이 강한 조개(하마구리) 날이 사용된다.
최근에는 지역별로 존재하는 대장장이가 급감하고 칼날 생산지가 제한되면서 지역별 변형이 감소하고 있다.
블록 훅은 직선 또는 약간 볼록한 절삭날을 가지며, 도시 환경에서 나무 블록을 대고 자르는 데 사용되었다. 이는 자작나무 비자루의 머리 부분을 자르는 데 사용되는 빗자루 갈고리의 뒷면과 유사하다. 네덜란드 훅은 일반적으로 직선 칼날을 가지며 르네상스 회화에서 목수의 작업장에서 볼 수 있는데, 곁가지 도끼와 유사하게 목재의 대략적인 모양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 2. 1. 영국 북부, 중부 및 웨일스 지역
| 종류 | 설명 | 손잡이 길이 | 칼날 길이 | 
|---|---|---|---|
| 레스터/워릭셔 | 미들랜즈 스타일의 울타리 제작자들이 선호하는 도구로, 한 손으로 사용한다. 앞쪽 날은 곡선이고 뒤쪽 날은 짧고 직선이다. 앞쪽 날은 다목적으로 사용되고 뒤쪽 날은 섬세한 다듬기, 말뚝 상단 마감 등에 사용된다. | 약 15.24cm | 약 25.40cm | 
| 요크셔 | 소수의 미들랜즈 스타일 울타리 제작자들이 사용하는 양손 도구이다. 앞쪽 날은 곡선이고 뒤쪽 날은 직선이다. 무게가 무거운 것이 단점이다. | 약 35.56cm (최대 약 91.44cm) | 약 25.40cm | 
| 란데이로 및 카마던셔 | 뒤쪽 날이 없지만, 상단에 작은 홈(울타리 손잡이)이 있어 울타리 제작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 플리처와 브래시를 밀어 넣을 수 있다. | 약 22.86cm | 약 25.40cm | 
| 폰티풀 및 먼머스셔 | 란데이로의 뒤쪽 날이나 울타리 손잡이가 없다. | 약 15.24cm | 약 25.40cm | 
| 나이튼/래드너셔 | 폰티풀/먼머스셔 스타일과 비슷하며, 곡률이 가장 적고 거의 직선 칼날을 가졌다. | ||
| 뉴타운/몽고메리셔 | 나이튼보다 약간 더 곡률이 있다. | 
나이튼/래드너셔, 뉴타운/몽고메리셔 낫의 손잡이 및 칼날 길이는 원문에 명시되어 있지 않아 표에서 제외했다.
2. 2. 2. 영국 남부 지역
데본/도체스터 반전 낫은 무거운 코, 약 15.24cm 자루, 약 25.40cm 날을 가지고 있다. 브리스톨 낫은 데본 낫보다 약간 가볍고 갈고리 위쪽의 곡선을 강조하는 중간 부분의 팽창부가 있다. 데본 낫과 동일한 치수를 가지고 있다. 서부 지역 낫은 브리스톨 낫보다 더 가볍고 훨씬 더 전통적인 모양을 하고 있으며 데본 낫과 동일한 치수를 가지고 있다. 스파 후크는 매우 가벼우며 약 15.24cm 자루와 약 15.24cm에서 약 17.78cm 날을 가지고 있다. 가장 작은 측면 싹을 제거하는 데에만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가볍고, 주된 용도는 지붕 덮개 층을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헤이즐 갓으로 만든 스파(또는 지역에 따라 스핏 또는 브로치)를 쪼개는 것이다. 켄트 낫은 브리싱 후크라고도 알려져 있다.[2]
2. 2. 3. 기타
지역이나 업종에 따라 칼날과 손잡이의 형태에 변형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한 손으로 잡기에 적합하다.
- 칼날이 두껍고 튼튼하다.
- 칼날 길이는 15cm에서 60cm 이상 정도이다.
일반적으로 자루는 칼날 쪽을 향해 안쪽으로 약간 기울여서 부착된다. 무게와 칼날의 두께를 이용하여 장작이나 대나무를 쪼갤 수도 있다.
대부분 끝이 직사각형인 각낫 형태이다. 그 외에 칼날 끝과 칼끝이 있는 '검낫'(츠루기나타, 켄나타)도 있다. 검낫 중에는 총의 신뢰성이 낮았던 시대에 반시가 되어 역습해 오는 대형 짐승에 대항하기 위해, 마타기 사냥꾼 집단이 창날로 전용할 목적으로 자루 부분을 주머니 모양으로 만든 '후쿠로나가사', '후쿠로누이바'가 있다. 이 경우 칼날과 자루의 각도는 거의 직선으로 배치된다.
칼날의 횡단면은 홑날, 양날 모두 볼 수 있지만, 홑날의 경우 오른손잡이용 또는 왼손잡이용과 같이 손의 방향성이 있다. 양날의 경우 쳐서 베거나 쪼개는 용도에 적합한, 내충격성이 강한 조개(하마구리) 날이 사용된다.
지역에 따라 모양이 다르며, 나무 자루를 붙이는 것도 있고 칼날과 일체화된 공자루의 것도 있다. 나무 자루에도 나무 막대에 홈을 내어 본체를 끼워 넣고 못으로 고정하는 것과, 도끼나 괭이처럼 등 부분에 구멍(히츠)을 내어 거기에 나무 막대를 꽂는 것이 있다. 칼날의 모양도 다양하며, 도끼와 비슷한 것과 낫과 비슷한 것 등이 있다. 칼날의 선단 부분에 돌기(‘돌기’, ‘코’, ‘토비’ 등으로 불림)를 설치하는 것도 많다. 이 돌기에 대해서는 실용신안이 출원(실용 공고 04-000634)되어 등록(등록 번호 128275호)되었다.
최근에는 지역별로 존재하는 대장장이가 급감하고 칼날 생산지가 제한되면서 지역별 변형이 감소하고 있다.
블록 훅은 직선 또는 약간 볼록한 절삭날을 가지며, 도시 환경에서 나무 블록을 대고 자르는 데 사용되었다. 이는 자작나무 비자루의 머리 부분을 자르는 데 사용되는 빗자루 갈고리의 뒷면과 유사하다. 칼날 뒤쪽에 작은 갈고리가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사용자를 향해 나무를 당기는 데 유용하다. 네덜란드 훅은 일반적으로 직선 칼날을 가지며 르네상스 회화에서 목수의 작업장에서 볼 수 있는데, 곁가지 도끼와 유사하게 목재의 대략적인 모양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3. 사용법
낫은 칼과 도끼의 중간 정도 도구이다. 묘목, 작은 가지 등 목본 식물을 자르거나 울타리 치기, 스네딩 (가지에서 측면 싹을 제거)에 자주 사용된다.[3]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는 포도나무 가지치기에 널리 사용된다. 낫은 마체테, 파랑, 쿠크리와 같은 도구의 유럽판이라고 할 수 있다. 전기톱이 나오기 전에는 도끼나 양날톱으로 베어낼 나무 밑의 덤불, 관목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었다.
낫은 잔가지를 쳐낼 때 칼날의 무게와 날카로움을 이용하며, 정기적으로 갈아서 날카로움을 유지해야 한다. 보통 가죽이나 나무로 만든 칼집에 넣어 허리에 차고 다닌다.
4. 군사용
중세 시대에는 할버드와 유사한 무기를 빌 또는 빌훅이라고 불렀다. 창날 아래에 낫 모양의 칼날이 장착된 장대와, 기병과 갑옷에 대한 무기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칼날 뒷면에 가시를 추가한 형태였다. 특히 영국군은 르네상스 시대에 파이크나 할버드 대신 집단 빌맨을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했는데, 1513년 플로든 전투에서 스코틀랜드 왕 제임스 4세가 화살과 빌에 쓰러진 것이 대표적이다.[4]
빌훅은 일부 군대에서 지급되는 도구이다 (파신 나이프 참조). 파신(나무 묶음)과 개비온 제작을 위한 덤불을 자르는 데 사용되며, 원래는 대포 진지 구축에 사용되었고 나중에는 기관총 진지에 사용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연대 공병대에 지급된다. 인도 육군에서는 "개비온 칼"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핀란드 공병 부사관은 삽 대신 개인 장비의 일부로 빌훅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호신용 무기로도 사용된다. 장교는 야전 도끼를 가지고 있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프랑스군을 상대로 베트민이 낫을 들고 돌격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5. 대중문화
낫은 공포 영화 등 대중문화에서 종종 흉기로 등장한다. 13일의 금요일 시리즈에 등장하는 엽기 살인마 제이슨 보히스가 가장 많이 사용한 흉기이며,[1] 좀비에서는 좀비를 상대로 인간이 낫으로 싸우는 장면이 등장한다.[1]
이는 이후 작품에 큰 영향을 미쳐 낫을 흉기로 사용하거나 호신용으로 사용하는 인물이 등장하는 공포 작품이 종종 나타나고 있다.[1] 이들은 실제로는 중남미 현지인들이 사용하는 산칼인 마체테인 경우가 많지만, 일본에서는 "낫"으로 번역·인식되기도 한다.[1]
5. 1. 한국 대중문화
한국한국어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낫이 농촌 배경의 장면에서 자주 등장하며, 때로는 갈등 상황에서 위협적인 도구로 묘사되기도 한다.참조
[1] 
서적
 
A School History and Geography of Northern India
 
https://books.google[...] 
S. K. Lahiri & Company
 
1891
 
[2] 
문서
 
For an explanation of the term "scales" see straight razor#Parts description.
 
[3] 
간행물
 
In Conversation with Bill Hooks
 
https://www.tandfonl[...] 
2022-01-02
 
[4] 
문서
 
"''State Papers Henry'', vol. iv part iv, (1836), 2: Ellis, Henry, ed., (1846), 164, has {{lang|la|regem occisum fuisse non longius latitudine lanceae ab illo}}: Hall (1809), 56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