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 철천리 석조여래입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주 철천리 석조여래입상은 전라남도 나주시에 위치한 고려 초기의 석조 불상이다. 전체 높이가 5.38m에 달하는 거대한 입상으로, 머리에는 육계가 큼직하게 표현되었으며, 사각형의 얼굴과 U자형 옷주름 등 고려 시대 불상의 특징을 보여준다. 남원 용담사지 석조여래입상과 크기와 양식이 유사하며, 석양에 아름답게 빛나는 특징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주시의 문화유산 - 나주 서성문 안 석등
나주 서성문 안 석등은 고려 시대에 제작되어 나주읍성에 있다가 일제강점기에 경복궁으로 옮겨진 후 국립나주박물관으로 이전되었으며, 화려한 상륜부 장식과 화사석 받침 생략 등 고려 초 석등 양식 특징을 보여주고 1093년 조성 시기와 명문을 통해 석등 조성 목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 나주시의 문화유산 - 나주 불회사 대웅전
나주 불회사 대웅전은 1808년에 재건된 조선 후기 다포계 불전으로, 화려한 장식과 변산반도 지역 사찰 건축 양식의 유사성을 보이며 희귀한 비로자나불을 모셔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 전라남도의 보물 - 담양 개선사지 석등
담양 개선사지 석등은 신라 진성여왕 5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높이 3.5m의 팔각형 석등으로, 화사석에 새겨진 명문을 통해 건립 경위와 관련 인물, 개선사의 위치를 알 수 있어 신라 석등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며, 보물 제111호로 지정되었다. - 전라남도의 보물 - 해남 명량대첩비
해남 명량대첩비는 1688년 박신주가 이순신 장군의 명량 해전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건립한 비석으로, 명량대첩의 상황과 이순신 장군의 충의를 기리는 내용이 담겨 있으며, 국난 시 눈물을 흘린다는 전설이 있다. - 고려의 불상 -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은 고려 초기에 조성된 높이 13m의 화강암 마애불로서, 부드러운 신체 표현과 힘있는 얼굴 선이 특징이며, 과거 목조 건축물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구멍이 있고, 덕주 공주 창건 설화가 전해지나 조성 시기와 차이가 있으며, 고려 초기 지방 호족 세력의 불교 번성을 보여주는 문화재이다. - 고려의 불상 -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은 고려시대에 조성된 높이 1.8m의 석조 보살 좌상으로,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앞에 공양을 올리는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약왕보살로 추정되고, 안정적인 자세와 화려하고 섬세한 표현이 특징이며, 고려 전기 탑전 공양보살상의 독창적인 도상과 구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아 보물 제139호로 지정되었다.
| 나주 철천리 석조여래입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 나주 철천리 석조여래입상 | |
![]() | |
| 일반 정보 | |
| 이름 | 나주 철천리 석조여래입상 (羅州 鐵川里 石造如來立像) |
| 유형 | 보물 |
| 번호 | 462 |
| 지정일 | 1968년 6월 10일 |
| 주소 | 전라남도 나주시 봉황면 철천리 산124-11번지 |
| 시대 | 고려시대 |
| 소유자 | 국유 |
| 수량 | 1구 |
| 지도 꼬리표 | 나주 철천리 |
| 문화재청 ID | 12,04620000,36 |
2. 상세
전체 높이가 5.38m나 되는 커다란 불상으로 하나의 돌에 불신과 부처의 몸 전체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가 조각되어 있다. 민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큼직하게 표현되었고, 얼굴은 사각형으로 양감이 풍부하다. 목에는 3개의 주름인 삼도(三道)가 뚜렷하고, 양 어깨를 감싸고 입은 옷에는 발목까지 늘어진 U자형의 옷주름이 표현되어 있다. 두 팔은 두꺼운 옷자락 때문에 양 손만이 드러나 있는데 오른손은 손바닥을 밖으로 하여 내리고, 왼손은 위로 향하고 있는 모습이다. 광배는 배(舟) 모양이며, 머리광배와 몸광배로 구분되는데, 머리광배 안에는 연꽃무늬를 새기고 몸광배에는 구름무늬를 새겨 넣었다.
낮은 야산인 구릉지대의 정상에 있으며 주변에 민묘(民墓)가 있고 그 옆에 미륵사라는 소규모의 절이 있다. 총 높이가 5미터가 넘는 거불로 불신 높이만 3.94미터이며 주형거신광(舟形擧身光)과 대좌까지 한 돌에 조각하였다. 소발의 머리에 육계가 큼직하게 솟아 있으며 상호는 4각형에 가깝고 얼굴 전체가 다소 비만스럽게 보인다. 그러면서도 길게 내려뜨린 귀, 호형을 그린 눈썹과 눈꼬리가 귀 위로 치켜진 모습, 위아래 입술이 두툼하게 생긴 모습에서 어딘가 강한 인상을 풍긴다. 이는 신라 말기 이후 고려로 넘어오면서 나타나는 기량의 한계석이라 할 것이다. 게다가 뒤바뀐 시무외인의 어색한 손, 넓은 어깨에 비해 목이 너무 두껍고 짧은 것은 마치 목 위에 머리가 얹혀져 있는 듯한 부조화를 낳고 있으며, 상체의 발달된 양감에 비해 하체, 특히 다리 부분이 너무 빈약하게 처리되었다. 그러나 상호에서 보여준 강한 인상, 어딘가 멀리 바라보면서 기원하는 듯한 눈, 다소 몸에 바짝 붙여지긴 하였으나 촘촘하게 주름이 진 활발한 의습, 전대에서만 볼 수 있는 당당한 어깨 등은 당대의 저력과 힘을 충분히 살려준 작품이라 하겠다.
살찐 얼굴이라든지 비정상적으로 표현된 신체의 모습, 그리고 형식화된 옷주름 등에서 고려 초기 유행하던 불상임을 알 수 있다. 이 석불은 얼굴의 비만감과 또는 괴체화되어가는 신체적 조형 및 형식적인 의문 등이 고려 초부터 유행하던 거불양식을 알 수 있게 한다. 이 불상은 특히 남원 용담사지 석조여래입상(보물 제42호)과 크기와 양식이 비슷한 작품이다. 정북방향을 향하고 있는데 석양을 바라보면 햇빛을 받아 석상임에도 불구하고 아름답게 빛난다.
2. 1. 불상의 형태
낮은 야산인 구릉지대의 정상에 있으며 주변에 민묘(民墓)가 있고 그 옆에 미륵사라는 소규모의 절이 있다. 총 높이가 5미터가 넘는 거불로 불신 높이만 3.94미터이며 주형거신광(舟形擧身光)과 대좌까지 한 돌에 조각하였다. 소발의 머리에 육계가 큼직하게 솟아 있으며 상호는 4각형에 가깝고 얼굴 전체가 다소 비만스럽게 보인다. 그러면서도 길게 내려뜨린 귀, 호형을 그린 눈썹과 눈꼬리가 귀 위로 치켜진 모습, 위아래 입술이 두툼하게 생긴 모습에서 어딘가 강한 인상을 풍긴다. 이는 신라 말기 이후 고려로 넘어오면서 나타나는 기량의 한계석이라 할 것이다. 게다가 뒤바뀐 시무외인의 어색한 손, 넓은 어깨에 비해 목이 너무 두껍고 짧은 것은 마치 목 위에 머리가 얹혀져 있는 듯한 부조화를 낳고 있으며, 상체의 발달된 양감에 비해 하체, 특히 다리 부분이 너무 빈약하게 처리되었다. 그러나 상호에서 보여준 강한 인상, 어딘가 멀리 바라보면서 기원하는 듯한 눈, 다소 몸에 바짝 붙여지긴 하였으나 촘촘하게 주름이 진 활발한 의습, 전대에서만 볼 수 있는 당당한 어깨 등은 당대의 저력과 힘을 충분히 살려준 작품이라 하겠다. 이 석불은 얼굴의 비만감과 또는 괴체화되어가는 신체적 조형 및 형식적인 의문 등이 고려 초부터 유행하던 거불양식을 알 수 있게 한다. 정북방향을 향하고 있는데 석양을 바라보면 햇빛을 받아 석상임에도 불구하고 아름답게 빛난다.2. 2. 양식적 특징
전체 높이가 5.38m나 되는 커다란 불상으로 하나의 돌에 불신과 부처의 몸 전체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가 조각되어 있다. 민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큼직하게 표현되었고, 얼굴은 사각형으로 양감이 풍부하다. 목에는 3개의 주름인 삼도(三道)가 뚜렷하고, 양 어깨를 감싸고 입은 옷에는 발목까지 늘어진 U자형의 옷주름이 표현되어 있다. 두 팔은 두꺼운 옷자락 때문에 양 손만이 드러나 있는데 오른손은 손바닥을 밖으로 하여 내리고, 왼손은 위로 향하고 있는 모습이다. 광배는 배(舟) 모양이며, 머리광배와 몸광배로 구분되는데, 머리광배 안에는 연꽃무늬를 새기고 몸광배에는 구름무늬를 새겨 넣었다.총 높이가 5미터가 넘은 거불로 불신 높이만 해서도 3.94미터나 되며 주형거신광(舟形擧身光)과 대좌까지 한 돌에 조각하였다. 소발의 머리에 육계가 큼직하게 솟아 있으며 상호는 4각형에 가깝고 얼굴 전체가 다소 비만스럽게 보인다. 그러면서도 길게 내려뜨린 귀, 호형을 그린 눈썹과 눈꼬리가 귀 위로 치켜진 모습, 위아래 입술이 두툼하게 생긴 모습에서 어딘가 강한 인상을 풍긴다. 이는 신라 말기 이후 고려로 넘어오면서 나타나는 기량의 한계석이라 할 것이다. 뒤바뀐 시무외인의 어색한 손, 넓은 어깨에 비해 목이 너무 두껍고 짧은 것은 마치 목 위에 머리가 얹혀져 있는 듯한 부조화를 낳고 있으며, 상체의 발달된 양감에 비해 하체, 특히 다리 부분이 너무 빈약하게 처리되었다. 그러나 상호에서 보여준 강한 인상, 어딘가 멀리 바라보면서 기원하는 듯한 눈, 다소 몸에 바짝 붙여지긴 하였으나 촘촘하게 주름이 진 활발한 의습, 전대에서만 볼 수 있는 당당한 어깨 등은 당대의 저력과 힘을 충분히 살려준 작품이라 하겠다.
살찐 얼굴이라든지 비정상적으로 표현된 신체의 모습, 그리고 형식화된 옷주름 등에서 고려 초기 유행하던 불상임을 알 수 있다. 이 석불은 얼굴의 비만감과 또는 괴체화되어가는 신체적 조형 및 형식적인 의문 등이 고려 초부터 유행하던 거불양식을 알 수 있게 한다. 이 불상은 특히 남원 용담사지 석조여래입상(보물 제42호)과 크기와 양식이 비슷한 작품이다. 정북방향을 향하고 있는데 석양을 바라보면 햇빛을 받아 석상임에도 불구하고 아름답게 빛난다.
3. 갤러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