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폴리 공성전 (1528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폴리 공성전 (1528년)은 코냑 동맹 전쟁 중 프랑스군이 나폴리를 포위했으나, 안드레아 도리아의 배신으로 실패한 사건이다. 1528년 4월 프랑스 사령관 오데 드 푸아가 나폴리를 포위하고, 도리아의 조카 필리피노가 해상 봉쇄를 실시했다. 그러나 도리아가 제노바의 독립을 대가로 신성 로마 제국에 충성하면서 해상 봉쇄가 풀리고 프랑스군에 전염병이 발생하여 공성전은 실패로 끝났다. 이로 인해 프랑스의 이탈리아 반도 영향력은 쇠퇴하고, 합스부르크 가문의 세력이 강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폴리의 역사 - 카페 왕조
카페 왕조는 987년 위그 카페의 즉위로 시작된 프랑스 왕조로, 왕권 강화와 발루아, 부르봉 왕가 계승을 거쳐 현재 스페인 왕가와 룩셈부르크 대공가에도 영향을 미치며 '카페 왕조의 기적'을 통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 1528년 분쟁 - 1527년 헝가리 전역
1527년 헝가리 전역은 모하치 전투 이후 루이 2세 사망으로 헝가리 왕위 계승을 놓고 페르디난트 1세와 서포여이 야노시가 쟁탈전을 벌이면서 헝가리가 오스만 제국, 합스부르크 왕가, 트란실바니아로 분열된 사건이다.
나폴리 공성전 (1528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분쟁 | 나폴리 공성전 |
일부 | 코냐크 동맹 전쟁 |
날짜 | 1528년 4월 - 1528년 8월 |
장소 | 나폴리 |
결과 | 합스부르크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파일:Bannière de France style 1500.svg|16px]] 프랑스 왕국 [[파일:Bandera_Navarra.svg|16px]] 나바라 왕국 [[파일:Emblem of the Papacy SE.svg|16px]] 교황령 [[파일:Flag of Most Serene Republic of Venice.svg|16px]] 베네치아 공화국 [[파일:Coa fam ITA saluzzo.jpg|16px]] 살루초 후국 [[파일:Flag of Genoa.svg|16px]] 제노바 공화국 (7월 4일까지) |
교전국 2 | [[파일:Banner of the Holy Roman Emperor with haloes (1430-1806).svg|16px]] 신성 로마 제국 [[파일:Flag of Cross of Burgundy.svg|16px]] 스페인 제국 [[파일:Flag of Genoa.svg|16px]] 제노바 공화국 (7월 4일 이후) |
지휘관 및 지도자 | |
지휘관 1 | 오데 드 푸아 루이 드 로렌 오라치오 디 잠파올로 발리오니 페드로 나바로 샤를 드 나바르 미켈레 안토니오 디 살루초 필리피노 도리아 (7월 4일 이전) 피에트로 란도 |
지휘관 2 | 우고 데 몽카다 필리베르 드 샬롱 페란테 1세 곤차가 알폰소 3세 다발로스 필리피노 도리아 (7월 4일 이후) |
병력 규모 | |
병력 1 | 검은 부대 3,000명 |
기타 | |
![]() |
2. 배경
2. 1. 코냑 동맹 전쟁
1528년 4월, 프랑스 사령관 오데 드 푸아가 나폴리를 포위했고, 안드레아 도리아의 조카 필리피노는 해상 봉쇄를 조직했다.[2][3] 프랑스 야영지는 현재 366 포사 공동묘지가 있는 곳으로, 당시에는 몬테디레우트레코 (monte di Leutrecco) 또는 몬테디로트레코 (Lo Trecco)로 불렸다.[10][11] 4월 말경,[12] 나폴리 총독 우고 데 몽카다는 해상 봉쇄를 뚫으려다 전사했고,[9] 알폰소 3세 다발로스가 포로로 잡혔다.[12]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는 필리베르 드 샬롱을 몽카다의 후임 총독으로 임명했다. 5월 22일에는 오라치오 디 잠파올로 발리오니가 세베토강 인근에서 란츠크네흐트의 기습을 받아 전사했다.[9]1528년 용병료와 프랑스의 가혹한 제노바에 대한 정책에 불만을 품은 안드레아 도리아는 프랑수아 1세와 결별하였다.[13] 1528년 7월 4일, 도리아는 제노바의 독립을 대가로 신성 로마 제국으로 충성을 바꾸면서 해상 봉쇄를 풀어 버렸다.[14]
1528년 여름, 드 푸아는 나폴리 수비대의 식수를 차단하기 위해 볼라 수로교를 파괴했지만, 이는 주변 지역을 습지대로 만들어 프랑스군 사이에 치명적인 전염병을 일으켰다.[15] 8월 15일에 드 푸아를 포함한 많은 프랑스 병사들이 사망했고, 지휘권은 보데몽 백작 루이, 미켈레 안토니오 디 살루초 후작에게 차례로 넘어갔다.[16]
프랑스군은 8월 말에 공성전을 포기하고 아브레사로 후퇴하려 했으나, 황제군의 습격을 받아 샤를 드 나바르와 페드로 나바로가 붙잡혔다.[14] 나바로는 누오보성에 투옥당하여 그 달에 처형당했다.[17]
2. 2. 프랑스와 신성 로마 제국의 대립
1528년 4월, 안드레아 도리아의 조카 필리피노가 나폴리 항구를 봉쇄했고, 프랑스 지휘관 오데 드 푸아는 나폴리에 대한 공성전을 개시하였다.[10][11] 프랑스 진지가 있던 곳은 오늘날 366 포사 공동묘지가 있는 곳이며, 언덕은 현재 포조레알레라고 알려져 있지만 당시에는 몬테디레우트레코 (monte di Leutrecco) 또는 몬테디로트레코 (Lo Trecco)로 불렸다.[10][11]4월 말경, 나폴리의 총독 우고 데 몽카다는 해상 봉쇄를 뚫으려다 전사했고,[9] 야전에서 알폰소 3세 다발로스가 붙잡혔다.[12]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는 몽카다의 총독 대체자로 필리베르 드 샬롱을 임명했다. 5월 22일에는 오라치오 디 잠파올로 발리오니가 란츠크네흐트의 기습을 받아 전사했다.[9]
1528년, 안드레아 도리아는 신성 로마 제국으로 충성을 변경하며 해상 봉쇄를 해제했다.[14] 프랑스군은 볼라 수로교를 파괴했지만, 이는 전염병을 일으켜 오데 드 푸아를 포함한 많은 프랑스군이 사망했다.[15] 지휘권은 보데몽 백작 루이를 거쳐 미켈레 안토니오 디 살루초 후작에게 넘어갔다.
프랑스군은 8월 말 공성전을 포기하고 후퇴하려 했으나, 황제군의 습격을 받아 샤를 드 나바르와 페드로 나바로가 붙잡혔다.[14] 페드로 나바로는 누오보성에 투옥당하여 처형당했다.[17]
2. 3. 제노바 공화국의 역할
안드레아 도리아는 1528년 나폴리 공성전 당시 프랑수아 1세와의 결별을 선언했다.[13] 그는 용병료 문제와 프랑스의 제노바에 대한 가혹한 정책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13] 7월 4일, 도리아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제노바 공화국의 독립과 사보이아 공국의 종속을 대가로 해상 봉쇄를 풀어버렸다.[14] 이로 인해 나폴리 공성전의 양상이 완전히 바뀌었다.도리아의 배신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은 알폰소 3세 다발로스였다.[12] 그는 4월 말 해상 봉쇄를 뚫으려다 전사한 나폴리 총독 우고 데 몽카다를 대신하여 필리베르 드 샬롱이 신성 로마 황제에 의해 총독으로 임명되기 전, 야전에서 포로로 붙잡혔고, 이후 도리아의 배반을 이끄는 협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2]
3. 공방전의 전개
1528년 4월, 프랑스군 지휘관 오데 드 푸아는 나폴리를 포위하고, 안드레아 도리아의 조카 필리피노는 해상 봉쇄를 조직했다.[10][11] 프랑스군 진지는 오늘날 366 포사 공동묘지가 있는 곳으로, 당시에는 몬테디레우트레코 (monte di Leutrecco) 또는 몬테디로트레코 (Lo Trecco)로 불렸다.[10][11] 이는 이후 '트리비체' (Trivice)로 개명되었는데, 당시 '트레디치' (Tredici)를 이탈리아어로 잘못 음차해서 옮긴 것이다.[10][11]
4월 말경,[12] 나폴리 총독 우고 데 몽카다는 해상 봉쇄를 뚫으려다 두 명의 아쿼버스 사수에게 전사했다.[9] 알폰소 3세 다발로스가 전투중에 붙잡혔는데, 그는 이후 도리아의 배반을 이끄는 협상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다[12]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는 몽카다의 후임으로 필리베르 드 샬롱을 임명했다. 5월 22일, 오라치오 디 잠파올로 발리오니와 그의 검은 부대는 세베토강 인근에서 란츠크네흐트의 기습을 받아 발리오니가 전사했다.[9]
1528년, 안드레아 도리아는 용병료 문제와 프랑스의 제노바에 대한 가혹한 정책에 불만을 품고 프랑수아 1세와의 관계를 끊었다.[13] 1528년 7월 4일, 도리아는 제노바의 독립과 사보이아에 대한 종속을 대가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에게 충성을 바치기로 하고, 나폴리에 대한 해상 봉쇄를 풀어 버렸다.[14]
1528년 여름, 프랑스군은 나폴리 수비대의 식수를 차단하기 위해 볼라 수로교를 파괴했다. 그러나 이 행위는 주변 지역을 습지로 만들었고, 여름의 더위와 겹쳐 프랑스군 사이에 치명적인 전염병을 일으켰다.[15] 오데 드 푸아를 포함한 많은 프랑스 병사들이 사망했다. 8월 15일, 드 푸아가 사망하자 지휘권은 루이 드 로렌(1500년)에게 넘어갔으나, 그 역시 며칠 만에 병으로 사망했다.[16] 결국 지휘권은 미켈레 안토니오 디 살루초 후작에게 넘겨졌다.
프랑스군은 8월 말 공성전을 포기하고 아브레사로 후퇴하려 했으나, 황제군의 습격을 받았다.[14] 이 과정에서 샤를 드 나바르와 군사 공학자 페드로 나바로가 포로로 잡혔다.[14] 페드로 나바로는 누오보성에 투옥되어 그 달에 교살되거나 교수형을 당했다.[17]
3. 1. 프랑스군의 나폴리 포위
1528년 4월, 프랑스군 지휘관 오데 드 푸아는 나폴리를 포위하고, 안드레아 도리아의 조카 필리피노는 해상 봉쇄를 조직했다.[10][11] 프랑스군 진지는 오늘날 366 포사 공동묘지가 있는 곳으로, 당시에는 몬테디레우트레코 (monte di Leutrecco) 또는 몬테디로트레코 (Lo Trecco)로 불렸다.[10][11] 이는 이후 '트리비체' (Trivice)로 개명되었는데, 당시 '트레디치' (Tredici)를 이탈리아어로 잘못 음차해서 옮긴 것이다.[10][11]4월 말경,[12] 나폴리 총독 우고 데 몽카다는 해상 봉쇄를 뚫으려다 두 명의 아쿼버스 사수에게 전사했다.[9] 알폰소 3세 다발로스가 전투중에 붙잡혔는데, 그는 이후 도리아의 배반을 이끄는 협상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다[12]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는 몽카다의 후임으로 필리베르 드 샬롱을 임명했다. 5월 22일, 오라치오 디 잠파올로 발리오니와 그의 검은 부대는 세베토강 인근에서 란츠크네흐트의 기습을 받아 발리오니가 전사했다.[9]
3. 2. 해상 봉쇄와 몽카다의 죽음
1528년 4월, 안드레아 도리아의 조카 필리피노가 나폴리 항구를 봉쇄했다.[10][11] 4월 말경, 나폴리 총독 우고 데 몽카다는 해상 봉쇄를 뚫고 살레르노 만으로 가려는 시도를 벌이다가 두 명의 아쿼버스 사수에게 전사하여 바다 속에 던져졌다.[9] 이 전투에서 알폰소 3세 다발로스가 포로로 잡혔는데, 그는 이후 도리아의 배반 협상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2]3. 3. 전염병과 지휘권 변화
1528년 여름, 프랑스군은 나폴리 수비대의 식수를 차단하기 위해 볼라 수로교를 파괴했다. 그러나 이 행위는 주변 지역을 습지로 만들었고, 여름의 더위와 겹쳐 프랑스군 사이에 치명적인 전염병을 일으켰다.[15] 오데 드 푸아를 포함한 많은 프랑스 병사들이 사망했다. 8월 15일, 드 푸아가 사망하자 지휘권은 루이 드 로렌(1500년)에게 넘어갔으나, 그 역시 며칠 만에 병으로 사망했다.[16] 결국 지휘권은 미켈레 안토니오 디 살루초 후작에게 넘겨졌다.3. 4. 안드레아 도리아의 배신
1528년, 안드레아 도리아는 용병료 문제와 프랑스의 제노바에 대한 가혹한 정책에 불만을 품고 프랑수아 1세와의 관계를 끊었다.[13] 1528년 7월 4일, 도리아는 제노바의 독립과 사보이아에 대한 종속을 대가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에게 충성을 바치기로 하고, 나폴리에 대한 해상 봉쇄를 풀어 버렸다.[14] 이러한 도리아의 배신은 나폴리 공성전의 결정적인 전환점이 되었다.도리아의 배신 이전, 알폰소 3세 다발로스가 전투 중에 포로로 잡혔는데, 그는 이후 도리아의 배반 협상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4][12]
3. 5. 프랑스군의 후퇴와 패배
1528년 여름, 프랑스군은 나폴리 수비대의 식수를 차단하기 위해 볼라 수로교를 파괴했다. 그러나 이는 주변 지역을 습지로 만들어, 여름의 더위와 함께 프랑스군 사이에 치명적인 전염병을 일으켰다.[15] 오데 드 푸아를 포함한 많은 프랑스군 병사들이 사망했고, 8월 15일 지휘권은 보데몽 백작 루이에게 넘어갔으나, 그 역시 며칠 만에 병으로 사망하여 미켈레 안토니오 디 살루초 후작에게 지휘권이 넘어갔다.[16]프랑스군은 8월 말 공성전을 포기하고 아브레사로 후퇴하려 했으나, 황제군의 습격을 받았다.[14] 이 과정에서 샤를 드 나바르와 군사 공학자 페드로 나바로가 포로로 잡혔다.[14] 페드로 나바로는 누오보성에 투옥되어 그 달에 교살되거나 교수형을 당했다.[17]
4. 공방전의 결과
1528년 4월, 프랑스 지휘관 오데 드 푸아는 나폴리를 포위했고, 안드레아 도리아의 조카 필리피노는 항구를 봉쇄했다.[10][11] 프랑스군 진지는 오늘날 366 포사 공동묘지가 있는 곳으로, 당시에는 데 푸아의 이탈리아 별명을 따 몬테디레우트레코 (monte di Leutrecco) 또는 몬테디로트레코 (Lo Trecco)로 불렸다.[10][11] 이곳은 이후 '트리비체' (Trivice)로 개명되었는데, 이는 당시 '트레디치' (Tredici)를 이탈리아어로 잘못 음차해서 옮긴 것이다.
4월 말경,[12] 나폴리의 총독 우고 데 몽카다는 해상 봉쇄를 뚫고 살레르노 만으로 가려다 두 명의 아쿼버스 사수에게 전사하여 바다 속에 던져졌다.[9] 야전에서 알폰소 3세 다발로스가 붙잡혔는데, 그는 이후 도리아의 배반을 이끄는 협상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다.[12]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는 몽카다의 총독 대체자로 필리베르 드 샬롱을 임명했다. 5월 22일, 오라치오 디 잠파올로 발리오니와 그의 검은 부대는 세베토강 인근에서 란츠크네흐트의 기습을 받아, 발리오니는 파이크에 꿰뚫려 전사했다.[9]
1528년 용병료와 프랑스의 가혹한 제노바에 대한 정책에 불만을 품은 안드레아 도리아는 프랑수아 1세와 결별하였다.[13] 7월 4일, 도리아는 제노바의 독립과 사보이아의 종속을 대가로 신성 로마 제국으로 충성을 하기로 하면서 해상 봉쇄를 풀어 버렸다.[14]
1528년 여름, 드 푸아는 나폴리 수비대의 식수를 차단하기 위한 시도로 볼라 수로교를 파괴했다. 그러나 이 행위는 주변 지역을 습지대로 바꾸어, 여름의 뜨거운 열기와 합쳐져 프랑스군들 사이에 치명적인 전염병을 일으켰다.[15] 8월 15일에 사망한 드 푸아를 포함한 많은 프랑스 병사들이 사망했고, 지휘권은 보데몽 백작 루이에게 넘어갔으나, 그도 며칠만에 병으로 사망했고,[16] 이번에는 지휘권이 미켈레 안토니오 디 살루초 후작에게 넘겨졌다.
프랑스군은 8월 말에 공성전을 포기하고 아브레사로 후퇴하려 했으나, 황제군의 습격을 받아, 샤를 드 나바르와 유명한 군사 공학자 페드로 나바로가 붙잡혔다.[14] 나바로는 누오보성에 투옥당하여 그 달에 교살이나 교수형을 당했다.[17]
4. 1. 프랑스의 영향력 쇠퇴
1528년 오데 드 푸아가 이끄는 프랑스군은 나폴리를 포위했지만, 안드레아 도리아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 편으로 돌아서면서 상황이 급변했다.[13] 도리아는 제노바의 독립을 대가로 황제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나폴리 해상 봉쇄를 풀어버렸다.[14]프랑스군은 볼라 수로교를 파괴하여 나폴리 수비대의 식수 공급을 차단하려 했으나, 이는 오히려 주변 지역을 습지대로 만들어 전염병을 유발했다.[15] 오데 드 푸아를 포함한 많은 프랑스군이 전염병으로 사망했고,[16] 지휘권은 미켈레 안토니오 디 살루초 후작에게 넘어갔다. 프랑스군은 결국 포위를 풀고 퇴각하려 했으나, 황제군에게 요격당해 페드로 나바로 등 주요 지휘관들이 포로로 잡혔다.[14]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로 인해 이탈리아 반도에서 프랑스의 영향력은 크게 쇠퇴하였다. 나폴리 공성전의 실패는 프랑스에게 큰 타격을 주었으며, 코냑동맹전쟁에서 프랑스의 입지를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4. 2. 합스부르크 가문의 세력 강화
1528년 안드레아 도리아가 프랑수아 1세와의 동맹을 파기하고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의 편으로 돌아서면서 나폴리 공성전의 결과는 크게 바뀌었다.[13] 제노바의 독립을 보장받는 대가로 신성 로마 제국에 충성하기로 한 도리아는[14] 7월 4일 나폴리에 대한 해상 봉쇄를 풀어, 프랑스군의 상황을 급격히 악화시켰다.[5]이에 앞서 4월 말, 나폴리 총독 우고 데 몽카다가 해상 봉쇄를 뚫으려다 전사하고[9], 알폰소 3세 다발로스가 포로로 잡히는 등[12] 초기에는 프랑스군에게 유리하게 전개되었다. 그러나 도리아의 배신으로 전세가 역전되었고, 오데 드 푸아가 볼라 수로교를 파괴한 이후 발생한 전염병으로 프랑스군은 큰 타격을 입었다.[15] 오데 드 푸아를 포함한 많은 프랑스군 지휘관들이 사망하고,[16] 결국 프랑스군은 8월 말 공성전을 포기하고 후퇴해야 했다.[14] 이 과정에서 페드로 나바로 등 주요 인물들이 포로로 잡히는 등 프랑스군은 큰 피해를 입었다.[17]
결과적으로 나폴리 공성전은 합스부르크 가문의 카를 5세에게 유리하게 끝났다. 안드레아 도리아의 배신과 프랑스군의 패배는 이탈리아 전쟁에서 합스부르크 가문의 영향력을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4. 3. 제노바 공화국의 독립
1528년, 안드레아 도리아는 프랑스에 대한 봉급 미지급과 제노바에 대한 가혹한 정책에 불만을 품고 프랑수아 1세와의 관계를 끊었다.[13] 7월 4일, 도리아는 제노바 공화국의 독립과 사보이아 공국의 종속을 대가로 신성 로마 제국에 충성하기로 하고 해상 봉쇄를 풀어버렸다.[14] 이로써 제노바 공화국은 독립을 얻게 되었다. 도리아의 배신에는 알폰소 3세 다발로스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12]5. 주요 인물
1528년 4월, 프랑스 사령관 오데 드 푸아가 도시를 포위했고, 안드레아 도리아의 조카 필리피노는 해상 봉쇄를 조직했다.[10][11] 프랑스 야영지 터는 현재 366개의 포사 묘지가 들어서 있다. 그곳에 있던 언덕은 현재 포지오레알레로 알려져 있지만, 한때 드 푸아의 이탈리아식 별명을 사용하여 몬테 디 류트레코 또는 로 트레코라고 불렸다.[10][11] 나중에는 '트리비체'로 변형되었고, 이것이 이탈리아어로 '트레디치'로 잘못 번역되었다.
4월 말경[12] 나폴리의 총독 우고 데 몬카다는 해상 봉쇄를 뚫고 살레르노 만에 도달하려다 실패하여 두 명의 아르케부스에 의해 살해되어 바다에 던져졌다.[9] 전투 중 알폰소 3세 다발로스가 포로로 잡혔는데, 그는 이후 도리아의 배반 협상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2]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는 필리베르 드 샬롱을 몬카다의 후임 총독으로 임명했다.
5월 22일, 오라치오 디 잠파올로 바글리오니와 그의 검은 부대는 세베토 강 근처에서 란츠크네히트 부대에 매복당했고, 바글리오니는 창에 찔려 사망했다.[9]
1528년 용병료와 프랑스의 가혹한 제노바에 대한 정책에 불만을 품은 안드레아 도리아는 프랑수아 1세와 결별하였다.[13] 7월 4일에 도리아는 제노바의 독립과 사보이아의 종속을 대가로 신성 로마 제국으로 충성을 하기로 하면서 해상 봉쇄를 풀어 버렸다.[14]
1528년 여름, 드 푸아는 나폴리 수비대의 식수를 차단하기 위한 시도로 볼라 수도교를 파괴했다. 그러나 이 행위는 주변 지역을 습지대로 바꾸어, 여름의 뜨거운 열기와 합쳐져 프랑스군들 사이에 치명적인 전염병을 일으켰다.[15] 8월 15일에 사망한 드 푸아를 포함한 많은 프랑스 병사들이 사망했고, 지휘권은 보데몽 백작 루이에게 넘어갔으나, 그도 며칠만에 병으로 사망했고,[16] 이번에 지휘권은 후작 미켈레 안토니오 디 살루초 후작에게 넘겨졌다.
프랑스군은 8월 말에 공성전을 포기하고 아브레사로 후퇴하려 했으나, 황제군의 습격을 받아, 샤를 드 나바르와 유명한 군사 공학자 페드로 나바로가 붙잡혔다.[14] 나바로는 누오보성에 투옥당하여 그 달에 교살이나 교수형을 당했다.[17]
5. 1. 오데 드 푸아
1528년 4월, 오데 드 푸아는 나폴리에 대한 공성전을 개시하였고, 필리피노가 나폴리 항구를 봉쇄하였다.[10][11] 프랑스 진지가 있던 곳은 오늘날 366 포사 공동묘지가 있는 곳으로, 당시에는 몬테디레우트레코 (monte di Leutrecco) 또는 몬테디로트레코 (Lo Trecco)로 불렸다.[10][11]오데 드 푸아는 나폴리 수비대의 식수를 차단하기 위한 시도로 볼라 수로교를 파괴했다. 그러나 이 행위는 주변 지역을 습지대로 바꾸어, 여름의 뜨거운 열기와 합쳐져 프랑스군들 사이에 치명적인 전염병을 일으켰다.[15] 오데 드 푸아는 8월 15일에 전염병으로 사망했고,[16] 지휘권은 보데몽 백작 루이에게 넘어갔으나, 그도 며칠만에 병으로 사망했다.[16]
5. 2. 안드레아 도리아
1528년, 안드레아 도리아는 용병료 문제와 프랑스의 제노바에 대한 가혹한 정책에 불만을 품고 프랑수아 1세와의 관계를 끊었다.[13] 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와 협상하여 제노바의 독립과 사보이아에 대한 종속을 대가로 충성을 바꿀 것을 약속했다.[14] 이 과정에서 알폰소 3세 다발로스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12]7월 4일, 도리아는 황제에게 충성을 맹세하며 나폴리 해상 봉쇄를 풀어, 프랑스군의 상황을 급격히 악화시켰다.[14] 이는 오데 드 푸아가 볼라 수로교를 파괴하여 나폴리 수비대의 식수를 차단하려 했으나, 오히려 주변 지역을 습지로 만들어 프랑스군 사이에 전염병이 돌게 한 상황과 맞물려 프랑스군에게 치명적인 타격을 주었다.[15]
5. 3. 우고 데 몽카다
1528년 4월 말,[12] 나폴리의 총독 우고 데 몽카다는 해상 봉쇄를 뚫고 살레르노 만으로 가려는 시도를 벌이다가 두 명의 아쿼버스 사수에게 전사하여 바다 속에 던져졌다.[9] 이 전투에서 알폰소 3세 다발로스가 포로로 잡혔는데, 그는 이후 안드레아 도리아가 신성 로마 제국으로 충성을 바꾸는 협상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2]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는 몽카다의 후임 총독으로 필리베르 드 샬롱을 임명했다.5. 4. 필리베르 드 샬롱
1528년 4월 말, 나폴리의 총독 우고 데 몽카다가 해상 봉쇄를 뚫으려다 전사하자,[9]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는 필리베르 드 샬롱을 몽카다의 후임 총독으로 임명했다.[12]5. 5. 페드로 나바로
1528년 8월 말, 프랑스군은 나폴리 공성전을 포기하고 아브레사로 후퇴하려 했으나, 황제군에게 습격을 당했다.[14][5] 이 과정에서 프랑스군 소속의 유명한 군사 공학자 페드로 나바로가 포로로 붙잡혔다.[14][5] 나바라의 샤를도 이때 함께 포로로 잡혔다.[14][5] 나바로는 누오보성에 투옥되었고, 그 달에 교살되거나 교수형을 당해 생을 마감했다.[17][8]6. 역사적 의의
1528년 나폴리 공성전은 코냑 동맹 전쟁에서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이 공성전으로 프랑스는 이탈리아 반도에서 합스부르크 가문에 대한 우위를 확보하려던 시도가 좌절되었고,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의 영향력이 강화되었다.[14] 특히, 안드레아 도리아가 프랑수아 1세와의 동맹을 파기하고 신성 로마 제국 편으로 돌아서면서 해상 봉쇄가 풀리고[14] 프랑스군의 패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2]
오데 드 푸아가 볼라 수로교를 파괴하여 나폴리 수비대의 식수를 차단하려 했으나, 이는 오히려 주변 지역을 습지대로 만들어 프랑스군 사이에 전염병이 창궐하는 결과를 초래했다.[15] 오데 드 푸아를 포함한 많은 프랑스군이 사망했고[16], 결국 프랑스군은 공성전을 포기하고 후퇴해야 했다.[14]
이 사건은 강대국 간의 갈등 속에서 생존과 번영을 위한 전략 수립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안드레아 도리아의 배신과 카를 5세의 승리는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와 유사하게, 강대국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고 국익을 추구해야 하는 한국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참조
[1]
문서
Francesco Guicciardini, ''Storia d'Italia'', libro XIX, cap. 1
[2]
문서
Giordano, 2006, p. 43.
[3]
PDF
Francesca Leone, Notitie del bello, dell’antico e del curioso della città di Napoli (PDF)
http://www.memofonte[...]
[4]
문서
Antonio Grumello, Cronaca, Lib.10, cap.15
[5]
문서
Francesco Guicciardini, ''Storia d'Italia '', libro XIX, cap. 4
[6]
웹사이트
La peste del 1528
http://www.solofrast[...]
2018-02-26
[7]
문서
Antonio Grumello, Cronaca, Lib.10, cap.17
[8]
서적
Cronaca di Antonio Grumello, pavese: dal MCCCCLXVII al MDXXIX sul testo a penna esistente nella ...
https://archive.org/[...]
F. Colombo
1856
[9]
문서
프란체스코 귀차르디니, ''Storia d'Italia'', libro XIX, cap. 1
[10]
문서
Giordano, 2006, p. 43.
[11]
PDF
Francesca Leone, Notitie del bello, dell’antico e del curioso della città di Napoli (PDF)
http://www.memofonte[...]
[12]
문서
Antonio Grumello, Cronaca, Lib.10, cap.15
[13]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14]
문서
프란체스코 귀차르디니, ''Storia d'Italia '', libro XIX, cap. 4
[15]
웹인용
La peste del 1528
http://www.solofrast[...]
2018-02-26
[16]
문서
Antonio Grumello, Cronaca, Lib.10, cap.17
[17]
서적
Cronaca di Antonio Grumello, pavese: dal MCCCCLXVII al MDXXIX sul testo a penna esistente nella ...
http://archive.org/d[...]
F. Colombo
185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