란츠크네히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란츠크네히트는 15세기 후반부터 16세기까지 르네상스 시대에 활약한 독일 용병으로, '영토의 시종'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부르고뉴 전쟁에서 스위스 용병의 활약을 보고 막시밀리안 1세가 창설했으며, 파이크와 할버드를 주 무기로 사용했다. 란츠크네히트는 다양한 전투에서 활약했지만, 스페인 테르시오의 등장과 규율 악화로 인해 쇠퇴했다. 란츠크네히트는 주로 남부 독일에서 모집되었으며, 연대 단위로 조직되어 운용되었다. 이들은 스위스 용병의 전술을 모방한 파이크 진형을 사용했으며, 여성과 어린이를 포함한 수행원인 트로스를 동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란츠크네히트 - 게오르크 폰 프룬츠베르크
게오르크 폰 프룬츠베르크는 "란츠크네히트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신성 로마 제국의 용병대장으로, 16세기 초 여러 전쟁에서 활약하며 합스부르크 왕가를 지지했다. - 란츠크네히트 - 도펠죌트너
- 독일의 용병 - 콘도르 군단
콘도르 군단은 스페인 내전 당시 프랑코의 국민군을 지원하기 위해 나치 독일이 파견한 공군 및 지상 지원 부대로, 히틀러는 독일 재군비로부터의 주의 분산, 공산주의 확산 방지, 친독일 국가 창출 등을 개입 동기로 내세웠으며 마드리드 전투, 비스카야 공세, 게르니카 폭격 등 주요 전투에 참여하여 악명을 떨치며 독일 공군의 전술 및 기술 발전의 시험장이 되어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군의 핵심 전력으로 이어졌다. - 독일의 용병 - 대용병대
대용병대는 1342년 베르너 폰 우르슬링겐이 창설한 용병 부대로, 헝가리, 이탈리아 등지에서 전투를 벌이다 칸투리노 전투에서 패배하여 해체되었다. - 독일의 군사사 - 흑적금 국기단
흑적금 국기단은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 사회민주당을 중심으로 나치즘과 공산주의로부터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창설된 독일의 준군사 조직으로, 철의 전선 결성 등의 활동을 펼쳤으나 나치 정권에 의해 금지되었고 현재는 정치 및 역사 교육 협회로 재결성되어 활동 중이다. - 독일의 군사사 - 흑기병
란츠크네히트 | |
---|---|
개요 | |
상세 정보 | |
유형 | 용병 보병 |
활동 시기 | 16세기 ~ 17세기 유럽 |
2. 어원
"란츠크네히트(Landsknecht)"라는 말은 독일어의 "Land(영토)"와 "Knecht(시종)"가 결합된 단어이다. 이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페터 폰 헤겐바흐로, 알프스산맥과 같은 고지대와 비교해 저지대인 신성 로마 제국의 병사들을 고지대 출신 스위스 용병과 대비시키기 위해 사용했다.[1] 1500년대 초에는 "Land"가 랜스를 뜻하는 "Lanze"라는 단어로 잘못 인식되어 "Landzknecht"라는 단어가 널리 사용되기도 했다.[1]
프랑스의 카드 게임인 "랜스(Landser)"의 이름은 란츠크네히트에서 유래했다.[1]
3. 역사
란츠크네히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를 섬겨야 했지만, 더 많은 보수와 약탈을 위해 조건이 좋은 고용주와 계약하는 형태가 널리 퍼져나갔다.[3] 주로 파이크와 할버드를 사용했고, 그 외에도 츠바이헨더(양손검)와 백병전용 검(카츠발거)을 장비했다. 초기에는 쇠뇌를, 후대에는 화승총이나 대포를 사용하기도 했다.
복장은 매우 화려해서, 쇼스(바지)는 좌우로 줄무늬나 색깔이 다른 것을 신었고, 상의에는 세로로 칼집을 넣어 안감의 색깔이 보이도록 하였다. 중세의 엄격한 복식에 비해 파격적이었으나, 막시밀리안 1세는 “너무 위험한 처지에 있는 그들이, 약간의 즐거움과 자부심을 위해 이러한 차림을 해도 좋지 않겠는가”라며 이를 허용했다.
15세기 후반부터 16세기에 걸쳐 활약하며, 르네상스기의 보편적인 용병으로 명성이 높았다. 30년 전쟁에서도 싸웠고, 그들의 대활약으로 전후 독일의 인적, 경제적 피해가 막심했다고도 전해진다. 특히 위험을 수반하는 최전선에서 싸워 추가 보수를 얻는 용병은 Doppelsöldnerde(Doppelsöldnerde, “두 배의 보수를 받는 자”)라고 불렸다.[3]
스위스 용병과는 일종의 사제 관계였지만, 동시에 상업적인 경쟁자이기도 했기 때문에, 전장에서 양자가 마주쳤을 때는 특히 끔찍한 전투가 벌어졌다고 한다.
테렌스 맥킨토시(Terence McIntosh)는 막시밀리안 1세와 카를 5세가 추진한 확장적이고 공격적인 정책은 주로 독일 인력에 의존하고 무시무시한 ''란츠크네히트''와 다른 용병들을 이용했으며(파비아 전투와 로마 약탈과 같은 잔학 행위와 관련됨) 이웃 국가들이 독일 정치 체제를 바라보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지만, 장기적으로 독일은 평화로운 경향이 있었다고 논평했다.[4]
3. 1. 창설 배경
부르고뉴 전쟁 동안, 잘 조직되고 보급이 잘 된 샤를 용담공(Charles the Bold)의 군대는 스위스 연방(Swiss Confederation)의 '임시' 민병대에 반복적으로 패배했다.[2] 샤를의 군대는 봉건 영주, 용병, 징집된 귀족들로 구성되어 있어 단결심(esprit de corps)이 부족했다.[2] 반면 스위스 군대는 조직력은 부족했지만, 사기가 높고 공격적이며 무기에 대한 숙련도가 높았다.[2] Reisläuferde라 불리는 스위스 창병들은 샤를을 반복적으로 패배시키고 결국 죽였으며, 부르고뉴를 유럽 강국으로서의 지위에서 몰락시켰다.[2]
1477년 부르고뉴의 마리(Mary of Burgundy)와 결혼하여 부르고뉴 영토의 공동 통치자가 된 대공 막시밀리안 1세(Maximilian I)는 스위스의 승리에 큰 영향을 받았다.[2] 프랑스가 상속을 다투자, 막시밀리안은 플랑드르 군대를 소집하여 1479년 기니게이트 전투(Battle of Guinegate)에서 프랑스군을 물리쳤는데, 이때 스위스식 사각 대형 보병 진형과 후스파의 마차 요새 전술을 혼용했다.[2] 전쟁이 끝나자 해산된 징집군을 보며 막시밀리안은 자신의 영토를 보호하기 위해 스위스 연방과 같은 영구적이고 조직적인 군대가 필요함을 느꼈다.[2]
막시밀리안 1세는 부르고뉴 공국을 둘러싼 프랑스와의 분쟁에서 자신의 보병대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란츠크네히트를 조직했다고 여겨진다. 란츠크네히트의 등장은, 아직 결정적인 것은 아니었지만 그때까지 기사를 중심으로 한 중세 유럽의 전쟁 양상이 점차 변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3. 2. 초기 발전
1486년, 막시밀리안 1세는 최초의 란츠크네히트 부대를 창설했다.[1] 1487년, 호엔촐레른 백작 아이텔 프리드리히 2세는 브뤼헤(Bruges)에서 스위스 교관들과 함께 란츠크네히트를 훈련시켜 "흑색 근위대"를 창설했는데, 이들이 최초의 Landsknechtede가 되었다. 1488년, 막시밀리안 1세는 슈바벤 동맹을 조직하여 보병 12,000명과 기병 1,200명으로 구성된 군대를 창설했는데, 이는 독일에서 창설된 최초의 Landsknechtde 군대로 여겨진다.
1490년, 란츠크네히트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전쟁에서 헝가리군을 몰아내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슈툴바이센부르크(현재의 셰케슈페헤르바르)를 약탈한 후 급료 미지급을 이유로 복무를 거부하여 막시밀리안 1세의 진격을 저지했다. 막시밀리안 1세는 이 사건을 계기로 란츠크네히트를 전문화하고 게르만계 중심으로 통합하려 노력했다.[2]
3. 3. 전성기
1490년대, 잘 훈련된 란츠크네히트는 훨씬 더 많은 프리지아 군대를 격파하며 명성을 얻었다.[1] 파울 돌슈타인(Paul Dolnstein)은 1502년 7월 덴마크 왕을 위해 싸운 뉴 엘프스보르크(Älvsborg Fortress) 공성전에 대해 "우리는 1800명의 독일인이었고, 15000명의 스웨덴 농민들에게 공격을 받았습니다… 우리는 그들 대부분을 죽였습니다."라고 기록했다.[2] 1513년 노바라 전투(Battle of Novara) 이후, 스위스는 프랑스를 위해 싸웠던 수백 명의 독일 란츠크네히트 용병들을 처형했다.[3] 비콕카 전투(Battle of Bicocca)와 마리냐노 전투(Battle of Marignano, 1515)에서 란츠크네히트는 훌륭한 활약을 펼치며 유명한 Reisläufer|라이슬로이퍼de를 물리쳤다.
황제 Landsknechte|란츠크네히트de는 1525년 결정적인 파비아 전투(Battle of Pavia)를 포함한 황제의 많은 승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같은 해, 그들은 또한 제국 내의 독일 농민 전쟁(German Peasants' War)에서 농민 반란을 진압하는 데 성공했다. 16세기 초 전성기에는 란츠크네히트는 용감하고 충성스러운, 무서운 병사로 여겨졌다. 그러나 이후 이러한 자질은 쇠퇴했을 수 있다.[4] 란츠크네히트는 또한 카를 5세(Charles V, Holy Roman Emperor) 황제와 발렌시아 왕국(Kingdom of Valencia)의 왕실 발렌시아 당국에 의해 1526년 에스파다 첫 번째 반란(First Revolt of Espadà) 진압에 동원되었다. 이 반란은 카스테욘주(Province of Castellón) 현대 스페인 카스테요 주(당시 아라곤 연합(Crown of Aragon)의 발렌시아 왕국(Kingdom of Valencia)에 속함)의 에스파다 산맥(Serra d'Espadà)에서 발생했는데, 수천 명의 발렌시아 왕국(Kingdom of Valencia) 무어인(Morisco) 농민이 그 해 황제가 발표한 강제 개종령에 맞서 무기를 들었다.[5]
그들은 나바라의 잔 3세(John III of Navarre)와 그의 후계자 나바라의 앙리 2세(Henry II of Navarre) 왕의 군대에 배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들의 이베리아 나바라 정복(Spanish conquest of Iberian Navarre)(1512~1524) 기간 중 캠페인에서 활약했다. 같은 맥락에서, 그들은 카를 5세 편에서도 싸웠다(온다리비아 전투(battle for Hondarribia), 1521~1524) 그리고 그곳에서 강력한 활약을 보였다. 그들은 또한 오스트리아(1532), 프랑스(1542), 슈말칼덴 동맹(Schmalkaldic League)(1547) 캠페인과 모든 이탈리아 전쟁에서 황제군에서 다수를 차지했다. 다른 이들은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Ottoman–Habsburg wars)의 합스부르크-오스만 국경에서도 싸웠다.
신성 로마 제국 황제군(Imperial Army (Holy Roman Empire))은 이탈리아에서 프랑스 군대를 물리쳤지만, 병사들에게 지급할 자금이 없었다. 34,000명의 황제군은 반란을 일으켜 사령관 부르봉 공작 샤를 3세(Charles III, Duke of Bourbon)를 로마로 이끌었다. 1527년 로마 약탈(Sack of Rome)은 공작 휘하 스페인 병사 6,000명, 게오르크 폰 프룬트스베르크(Georg von Frundsberg) 휘하 Landsknechte|란츠크네히트de 14,000명, 일부 이탈리아 보병과 기병이 수행했다.
3. 4. 쇠퇴
1560년대부터 프룬트스베르크(Frundsberg) 사망 이후 란츠크네히트(Landsknechtede)의 명성은 꾸준히 떨어졌다.[5] 프랑스 종교 전쟁과 80년 전쟁에서 그들의 용기와 훈련은 비판을 받았고, 플랑드르 군대의 스페인 부대는 란츠크네히트(Landsknechtede)의 전투 유용성을 다소 불공평하게 평가절하했다. 그들의 지위는 또한 무서운 스페인 테르시오(tercios)의 명성이 높아짐에 따라 타격을 받았는데, 테르시오는 훨씬 적고 훈련 비용이 더 많이 들었다. 남유럽에서 복무할 때 란츠크네히트(Landsknechtede)는 여전히 정예 부대로 간주되었다. 네덜란드 반군의 군대에는 많은 독일 용병들이 고용되었지만, 강을 건너는 능력과 해전 능력을 높이기 위해 일부 란츠크네히트(Landsknechtde) 전통을 포기해야 했다. 계급 내의 규율 악화로 인해 용병에 대한 의존도가 훨씬 낮은 개선된 독일 군대 양성 시스템인 ''카이저리허 푸스크네히트''(Kaiserlicher Fussknecht)로 대체되었다.
4. 조직 및 모집
란츠크네히트는 주로 남부 독일에서 모집되었는데, 급격한 인구 증가와 실업 증가, 여러 문화적 요인, 그리고 엄격하게 조직된 스위스 사회와는 달리 약화된 계층 구조를 가진 사회에서 온 병사들이었다. 이들은 소외된 장인과 농민 외에도 시민, 귀족, 도망친 농노 등 다양한 계층을 포함했다. 또한 무기를 휴대하는 자유에 익숙했다. 그 결과 병사들은 방탕하고 잔혹한 생활 방식에 기울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연대의 역할, 모범적인 지도력(지휘관들은 군대와 함께 싸우기 위해 말에서 내리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사형을 포함한 엄격한 훈육이 강조되었다.
란츠크네히트 연대는 영주가 발행하는 특허장(Bestallungsbrief)에 의해 창설되었고, 이 문서에는 부대의 대령(Obrist), 규모, 구조, 병사들의 급여, 군사 규정(Artikelsbriefe)이 명시되어 있었다.[1] 대령은 임무를 수락하고 자금을 확보하면 자신의 지휘 체계를 구성했다.[1] 임명된 대령의 대대장(Feldhauptmann)들은 북과 피리 연주자들과 함께 모병 활동을 했다.[1] 신병들은 지정된 장소에서 점호(Muster)를 받고, 아치 아래를 행진하며 대령과 대대장들의 검열을 받은 후 첫 달 봉급을 받았다.[1] 이후 대령은 Bestallungsbrief 전문을 낭독하고, 병사들은 대의, 장교, 신성 로마 제국 황제에게 충성 서약을 했다.[1] 이 의식에서 부대 참모와 기수(Fähnrich)들이 임명되었고, 그들은 깃발을 잃지 않겠다고 맹세했다.[1]
대령은 연대 최고 계급이었지만, 여러 연대가 포함된 경우 총사령관(Generalobrist)이 될 수 있었다.[2] 보병 외에 기병과 포병이 포함된 경우에는 야전 대령(Feldobrist) 또는 야전 총사령관(Generalfeldobrist)이 되었다.[2] 대령이 없는 경우에는 중령(lieutenant colonel)이 연대를 지휘했다.[2] 연대는 10개의 소대(Fähnlein)로 구성되었고, 각 소대는 대대장이 지휘했다.[2] 소대는 100명의 베테랑을 포함한 400명으로 구성되었다.[2] 소대의 기본 단위는 분대(platoon)에 해당하는 로텐(Rotten)이었으며, 10명의 일반 란츠크네히트 또는 6명의 도펠죌트너(Doppelsöldner)로 구성되었고, 분대장(Rottmeister)은 분대원에 의해 선출되었다.[2] 연대는 평균 4,000명으로, 10개의 소대와 40개의 분대로 구성되었다.[2] 야전하사(Feldwebel)는 훈련과 대형을, 연대 상사인 최고 야전하사(Oberster-Feldweibel)는 전투 훈련을 담당했다.[2] 분대 상사인 바이벨(Weibel)은 징계를 유지하고 사병과 장교 사이의 연락을 담당했으며, 이들 중 공동 바이벨(Gemeinweibel)은 병사들의 대변인으로 매달 선출되었다.[2]
황제법에 따르면 대령은 22명의 장교로 구성된 참모를 가질 수 있었지만, 실제로는 대령의 재력에 따라 달랐다.[2] 참모에는 사제, 서기, 의사, 정찰병, 대령의 개인 훈련관과 기수, 북 연주자와 피리 연주자, 8명의 호위병(Trabanten)이 포함되었다.[2] 대대장들도 대부분 같은 참모를 두었지만, 추가적인 음악가와 그를 보호할 두 명의 도펠죌트너가 있었다.[2] 군사 징계와 군사 규정(Artikelsbriefe) 집행을 위해 사법관(provost marshal)과 슐트하이스(Schultheiss)가 임명되었다.[1] 사법관은 불가침이었고, 근무 중 반란이나 음주와 같은 범죄에 대해 가혹한 처벌을 내렸다.[1] 사법관은 간수, 집행관, 사형 집행인(Freimann)으로 구성된 수행원을 두었다.[1]
5. 장비
란츠크네히트는 라이스로이터와 마찬가지로 파이크, 할버드, 그리고 검으로 무장하고 훈련받은 병사들로 구성되었다.[6] '파인라인'(Fähnlein) 300명 중 한 명은 창으로 무장했지만,[6] 란츠크네히트의 창은 일반적으로 라이슬로이터의 창보다 짧아 약 4.2m 정도였다.[6] 숙련되고 잘 장비된 병사들은 일반 란츠크네히트의 두 배의 봉급을 받는 '도펠죌트너'(Doppelsöldner)였다.[6] 이들은 각 '파인라인'의 4분의 1을 차지했다. 도펠죌트너 중 50명은 할버드나 '츠바이헨더'(양손검)로 무장했고, 다른 50명은 아르케부스(화승총) 또는 쇠뇌로 무장했다. 막시밀리안 1세는 화기를 중시하여 1517년에 군사용 석궁을 폐지했다.[6]
대부분의 란츠크네히트는 주무기와 관계없이 근접전을 위해 '카츠발거'를 휴대했다.[6] 16세기 말에는 '파인라인'의 창병 수가 약 200명으로 줄었다.[6]
6. 전술
란츠크네히트는 스위스 용병의 전술을 모방하여 파이크 진형(gevierte Ordnung)에서 싸웠다.[7] 이 방진은 40~60명의 병사가 깊게 배치된 형태였다.[7] 진형의 앞 두 줄은 도펠죌트너(Doppelsöldnern), 즉 "두 배의 보수를 받는 자"들로 구성되었고, 그 뒤를 깃발병이 따랐다.[7] 창병들은 짧은 도끼병의 지원을 받으며 진형을 형성했고, 검병들은 전방과 후방을 구성했다. 가장 경험 많은 병사들은 진형 후방에 배치되었고, 소총병들은 측면에 배치되었다. 공격 시에는 선봉대라고 불리는 병사들이 적의 창을 깨뜨리기 위해 파이크 진형 앞에 나섰다.[7]
창병들은 짧은 도끼병의 지원을 받았는데, 그들은 적의 전열의 틈을 파고들었다.[7] 이 전술 역시 스위스에서 모방한 것이었다.[7] 지휘관들은 스위스의 무작정 돌격보다는 정교함과 타이밍을 강조했다.[7]
란츠크네히트의 전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그들은 직선적인 전투보다는 전투원 주변 공간을 활용하고 여러 각도에서 적을 공격할 수 있는 원형 이동에 의존했다. 장 몰리네가 "달팽이"라고 묘사한 원형 진형은 란츠크네히트 전투의 특징이 되었다.[8] 이러한 움직임을 혁신한 막시밀리안 1세는 이를 토너먼트, 펜싱, 춤에서도 장려했다.[8]
7. 부대
트로스는 각 란츠크네히트 부대와 함께 이동하며 군수품, 식량, 각 병사와 그의 가족의 소지품을 운반하는 수행원 또는 수송대였다. 트로스는 여성, 어린이, 그리고 일부 장인들로 구성되었다. 여성과 어린 소년들은 란츠크네히트 진영을 설치하고, 요리를 하고, 부상을 치료하며, 화장실을 파고 청소했다.[1] 란츠크네히트는 일반적으로 임명장(Bestallungsbrief)에 의해 수송대에 한 명 이상의 여성을 데려오는 것을 금지받았다.[2] 트로스는 "매춘부 상사"(Hurenweibelde)가 감독했다.[3]
참조
[1]
서적
Mercenaries: A Guide to Private Armies and Private Military Companies
https://books.google[...]
CQ Press
2021-09-20
[2]
서적
Before the Military Revolution: European Warfare and the Rise of the Early Modern State 1300–1490
https://books.google[...]
Oxbow Books
2022-02-16
[3]
서적
Nosaltres, els valencians
Edicions 62
1962
[4]
웹사이트
H-German Roundtable on Smith, Germany: A Nation in Its Time Before, During, and After Nationalism, 1500–2000 H-German H-Net
https://networks.h-n[...]
2022-02-05
[5]
학술지
"As Old as War Itself"? Historicizing the Universal Mercenary
[6]
서적
The Art of Chivalry: European Arms and Armor fro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 an Exhibition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2022-02-17
[7]
서적
The Training and Socializing of Military Personnel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2-02-16
[8]
학술지
The Military and Dancing Changing Norms and Behaviour, 15th to 18th Century
https://www.research[...]
2021-11-21
[9]
서적
The Essential Dur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21-1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