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부전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부전구는 2016년 2월 중국 인민해방군 개편에 따라 창설된 중국의 5개 전구 중 하나이다. 광둥성, 광시 좡족 자치구, 하이난성, 윈난성, 후난성, 구이저우성, 홍콩, 마카오를 관할하며, 남중국해 안보 유지와 대만 상륙 작전 지원을 주요 임무로 한다. 남중국해의 영토 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동남아시아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육군, 해군, 공군으로 구성되며, 역대 지휘관으로는 왕자오청, 위안위바이, 왕슈빈 등이 있으며, 정치위원으로는 웨이량, 왕젠우, 왕원취안 등이 있다.

2. 역사

2016년 2월,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의 바이이 빌딩(八一大楼)에서 중국 인민해방군 창립 회의가 열렸다. 회의에서 시진핑 중국공산당 총서기는 전군을 7개 군구 편제에서 5개 전구 편제로 바꿀 것을 요구했다.[5]

3. 관할 구역

광둥성, 광시 좡족 자치구, 하이난성, 윈난성, 후난성, 구이저우성, 홍콩, 마카오에 이른다. 방어하는 영토 면적은 1280000km2에 달해 대한민국 실효 지배 영토(약 100000km2)의 12배가 족히 넘는다.[3]

남부전구의 관할 구역(AOR)은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동남아시아 대륙) 및 남중국해를 포함한다. 전구의 주요 임무는 남중국해의 안보 유지와 타이완에 대한 주요 상륙 작전 발생 시 동부전구를 지원하는 것이다.[3]

4. 군사적 가치

2016년 2월 1일,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인민해방군 전구 성립 대회에서 시진핑 당 총서기 (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겸임)가 새로 발족한 동부, 서부, 남부, 북부, 중부의 다섯 전구 사령관과 정치위원에게 군기를 수여하고 "각 전구는 평화를 유지하고 전쟁에서 승리할 사명이 있다"고 훈시했다.[4]

남부전구는 남중국해와 해상 수송로의 안전 확보에 대비하는 임무를 가지고 있다.[4]

4. 1. 해상의 가치

남부전구는 남중국해의 영토 분쟁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대다. 베트남과는 대치하고 있는 형국이고, 난사 군도, 시사 군도에 전력을 보내 유사시 분쟁을 원활히 지원할 수 있다. 남부전구의 임무는 남중국해와 해상 수송로의 안전 확보에 대비하는 것이다.[4]

4. 2. 전략적 가치

남부전구는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 (동남아시아 대륙) 및 남중국해를 관할하며,[3] 남중국해의 안보 유지와 타이완에 대한 주요 상륙 작전 발생 시 동부전구를 지원하는 주 임무와 남중국해와 해상 수송로의 안전 확보에 대비하는 임무를 가지고 있다.[3]

2016년 2월 1일,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인민해방군 전구 성립 대회에서 시진핑 당 총서기 (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겸임)는 새로 발족한 동부, 서부, 남부, 북부, 중부의 다섯 전구 사령관과 정치위원에게 군기를 수여하며 "각 전구는 평화를 유지하고 전쟁에서 승리할 사명이 있다"고 훈시했다.[4]

4. 2. 1.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대한민국의 석유가 지나는 길목

남중국해일본, 중화인민공화국, 대한민국 동아시아 주요 3국이 수입하는 석유가 지나는 주요 해상 무역로다. 이를 혼자서 틀어막거나 통제할 수 있는 실력을 가진 나라는 나머지 2개 국가를 상대로 상당수의 외교 분쟁에서 전략상 우위를 점할 수 있다.

4. 2. 2. 동남아시아에 대한 영향력

중화인민공화국이 난사군도, 시사군도에 공군기지, 해군기지로 전용 가능한 인공 섬을 건설하면서 남부전구의 병력이 남중국해에서 보다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게 되었다.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시아 1위 구매력 GDP를 갖고 있으며,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초음속 순항미사일을 보유했고, 필리핀에는 미군이 배치되어 있다. 이 세 국가의 중앙에 위치한 남중국해에서 남부전구가 이들보다 강력한 공군의 힘으로 제공권을 장악할 시 3국의 군대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남하 활동에 맞서 연대하기 어려워진다.[3] 남부전구의 관할 구역(AOR)은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동남아시아 대륙) 및 남중국해를 포함한다. 전구의 주요 임무는 남중국해의 안보 유지와 타이완에 대한 주요 상륙 작전 발생 시 동부전구를 지원하는 것이다.[3]

5. 주요 임무

남부전구의 관할 구역은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동남아시아 대륙) 및 남중국해를 포함한다. 전구의 주요 임무는 남중국해의 안보를 유지하고, 타이완에 대한 주요 상륙 작전이 발생할 경우 동부전구를 지원하는 것이다.[3] 또한, 남중국해와 해상 수송로의 안전 확보에 대비한다.

2016년 2월 1일,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인민해방군 전구 성립 대회에서 시진핑 당 총서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겸임)가 새로 발족한 동부, 서부, 남부, 북부, 중부의 다섯 전구 사령관과 정치위원에게 군기를 수여하고 "각 전구는 평화를 유지하고 전쟁에서 승리할 사명이 있다"고 훈시했다.[4]

6. 부대 편성

남부 전구는 남부전구 육군, 남부전구 해군(남해 함대), 남부전구 공군으로 구성된다.

6. 1. 남부전구 육군

제74집단군 (광시자치주 류저우시 주둔)과 제75집단군 (광둥성 후이저우시 주둔)이 남부전구 육군을 구성한다.

  • 제74집단군

부대
제1상륙 합동 기갑 여단
제125상륙 합동 기갑 여단
제132경(輕) 합동 기갑 여단
제163경(輕) 합동 기갑 여단
제154중(中) 합동 기갑 여단
제16중(重) 합동 기갑 여단
제74특수작전여단
제74육군항공여단
제74포병여단
제74방공여단
제74공병 및 화학 방어 여단
제74군수지원여단


부대
제32산악 합동 기갑 여단
제37경(輕) 합동 기갑 여단
제42경(輕) 합동 기갑 여단
제122중(中) 합동 기갑 여단
제31중(重) 합동 기갑 여단
제123중(重) 합동 기갑 여단
제121공중강습여단
제75특수작전여단
제75포병여단
제75방공여단
제75공병 및 화학 방어 여단
제75군수지원여단


6. 2. 남부전구 해군 (남해 함대)

남부 전구 해군(남해 함대)은 제2구축함 전대, 제9구축함 전대, 제17호위함 전대, 제18호위함 전대, 제19호위함 전대, 제32잠수함 전대, 제52잠수함 전대, 제6상륙함 전대, 제3전투지원함 전대, 위험 및 인명 구조 전대로 구성된다.[1] 잔장에 사령부가 있다.

6. 2. 1.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전구별 전력 비교

2020년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전구별 전력 비교
전구항공모함상륙함방공구축함미사일 호위함원잠재래식잠수함함대총톤수
북부1215350860만ton
동부02193263290만ton
남부12182642470만ton
전체2652931064220만ton


6. 3. 남부전구 공군

인민해방군 공군 남부전구는 광저우에 있다.[1] 남부전구 공군은 다음과 같은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 제2독립연대
  • 제2전투기사단
  • 제8폭격기사단
  • 제9전투기사단
  • 제13수송사단
  • 제18전투기사단
  • 제42전투기사단[2]


2020년 기준으로, 남부전구 공군은 J-10 125기(3개 항공단), J-16 25기(1개 항공단), Su-27 25기(1개 항공단), Su-30 25기(1개 항공단)를 보유하고 있다. (하위 섹션 '중화인민공화국 전구별 공군 전력' 참고)

6. 3. 1. 중화인민공화국 전구별 공군 전력

2020년 중국 전구별 공군기 보유 수(항공단 개수) *중화인민공화국 기준 3세대
전구J-11J-10J-16J-20JH-7Su-27Su-303세대 전투기(계)조기경보기(계)
중부200 (4)130 (3)25 (1)10 (1)25 (1)50 (1)043010
북부150 (3)60 (2)50 (2)050 (1)002608
동부100 (2)125 (3)25 (1)10 (1)125 (3)25 (1)70 (2)34014
남부0125 (3)25 (1)0025 (1)25 (1)2000
서부200 (4)20 (1)0070 (2)25 (1)02256
전체620 (13)460 (12)128 (5)20 (2)270 (7)100 (3)97 (2)1,69538


7. 역대 지휘관

역대 지휘관은 다음과 같다.

=== 사령관 ===

이름중국어 이름취임퇴임비고
왕자오청王教成|왕자오청중국어2016년 2월2017년 1월
위안위바이袁誉柏|위안위바이중국어2017년 1월2021년 6월
왕슈빈王秀斌|왕슈빈중국어2021년 6월2024년 7월
우야난吴亚男|우야난중국어2024년 7월현직



=== 정치위원 ===

이름중국어 이름취임퇴임비고
웨이량魏亮|웨이량중국어2016년 2월2018년 4월
왕젠우王建武|왕젠우중국어2018년 12월2023년 12월
왕원취안王文全|왕원취안중국어2023년 12월현직


7. 1. 사령관

이름중국어 이름취임퇴임비고
왕자오청王教成|왕자오청중국어2016년 2월2017년 1월
위안위바이袁誉柏|위안위바이중국어2017년 1월2021년 6월
왕슈빈王秀斌|왕슈빈중국어2021년 6월2024년 7월
우야난吴亚男|우야난중국어2024년 7월현직



왕슈빈 상장이 2021년 6월부터 2024년 7월까지 사령관을 역임했다. 2024년 7월부터는 우야난 상장이 사령관 직을 맡고 있다.

7. 2. 정치위원

왕젠우는 중국 인민해방군 상장으로, 남부전구의 정치위원을 역임했다.

영어 이름중국어 이름취임퇴임비고
웨이량魏亮|웨이량중국어2016년 2월2018년 4월
왕젠우王建武|왕젠우중국어2018년 12월2023년 12월
왕원취안王文全|왕원취안중국어2023년 12월현직


참조

[1] 웹사이트 与原七大军区比,五大战区分别管辖哪儿? http://news.ifeng.co[...] 2019-01-12
[2] 뉴스 China names submariner Hu Zhongming as top PLA Navy commander https://www.scmp.com[...] 2023-12-26
[3] 서적 Army Techniques Publication (ATP) 7-100.3: Chinese Tactics 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 (United States)
[4] 뉴스 習近平主席、中国人民解放軍の5つの「戦区」発足宣言 https://www.sankei.c[...] 2016-02-01
[5] 웹사이트 중국의 지배체제 http://news.bbc.co.u[...] BB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