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애와 여성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성애(androphilia)와 여성애(gynephilia)는 성적 매력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남성애는 성인 남성에 대한 매력을, 여성애는 성인 여성에 대한 매력을 의미한다. 20세기 초 마그누스 히르슈펠트는 남성애를 동성애 남성을 분류하는 데 사용했으며, 테오크리토스는 고대 그리스에서 여성에 대한 남성의 욕정을 묘사하는 데 여성애를 사용했다.
심리학자들은 성 정체성과 관계없이 선호하는 파트너의 유형을 나타내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며, 트랜스젠더의 성적 지향성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일부 연구자들은 서구적 성 개념의 편견을 피하기 위해 비서구 문화권의 성을 설명하는 데 이 용어들을 활용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성애와 여성애 | |
|---|---|
| 정의 | |
| 남성애 | 남성에게 성적 또는 낭만적으로 끌리는 것 |
| 여성애 | 여성에게 성적 또는 낭만적으로 끌리는 것 |
| 어원 | |
| 어원 | 그리스어 낱말 ἀνήρ, andros (남성) + φιλία, philia (사랑) 그리고 그리스어 낱말 γυνή, gyné (여성) + φιλία, philia (사랑) |
| 관련 용어 | |
| 용어 | 성적 지향 성적 끌림 안드로필리아와 자인필리아 이성애 동성애 양성애 성애 무성애 |
| 참고 | |
| 참고 | 이 문서는 성적 끌림을 설명하며, 성적 행동을 의미하지 않는다. |
2. 역사적 사용
남성애와 여성애라는 용어는 성과학 연구의 맥락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특히 20세기 초 독일의 성학자 마그누스 히르슈펠트는 남성에 대한 성적 끌림을 설명하기 위해 '안드로필로스'(Androphilos)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개념 정립에 영향을 미쳤다.[3][4] 여성애의 경우, 고대 그리스 문헌이나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저작 등에서도 유사한 용어가 사용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9][10][11][12]
2. 1. 남성애 (Androphilia)
20세기 초 독일의 성학자이자 의사인 마그누스 히르슈펠트는 동성애 남성을 네 그룹으로 나누었다. 첫째는 소아성애자로, 사춘기 이전의 청소년에게 가장 매력을 느끼는 사람이다. 둘째는 소년애자로, 사춘기부터 20대 초반까지의 청소년에게 가장 매력을 느끼는 사람이다. 셋째는 안드로필로스(Androphilos)로, 20대 초반부터 50세까지의 사람에게 가장 매력을 느끼는 사람이다. 넷째는 노인성애자로, 노년층까지 나이 많은 남성에게 가장 매력을 느끼는 사람이다.[3][4] 카렌 프랭클린에 따르면 히르슈펠트는 소년애를 "흔하고 병적이지 않은 현상"으로 여겼으며, 소년애자와 안드로필로스가 각각 동성애자 인구의 약 45%를 차지한다고 보았다.[5]"안드로섹슈얼리티"라는 용어는 때때로 "안드로필리아"의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6]
'''생물학 및 의학에서의 대체 사용'''
생물학에서, "안드로필릭"은 때때로 "인간 선호성"의 동의어로 사용되어, 인간을 비인간 동물보다 선호하는 기생충을 설명한다.[7] "안드로필릭"은 또한 특정 단백질과 안드로겐 수용체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8]
2. 2. 여성애 (Gynephilia)
이 용어의 한 형태는 고대 그리스에서 등장했다. 테오크리토스는 《목가》 8권 60행에서 γυναικοφίλιας|기나이코필리아스grc (gynaikophilias)를 제우스의 여성에 대한 욕정을 묘사하는 완곡한 형용사로 사용했다.[9][10][11]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사례 연구인 도라를 설명하기 위해 gynecophilic|기네코필릭eng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며,[12] 서신에서도 이 용어를 사용했다.[13]
gynophilia|기노필리아eng라는 변형된 철자도 가끔 사용되며,[14] 드물게 gynesexuality|기네섹슈얼리티eng라는 용어도 동의어로 사용되었다.[15]
3. 성인에 대한 성적 관심
마그누스 히르슈펠트의 분류에 따라 연령대를 기준으로 성적 관심사를 나누는 방식에서 '남성애'와 '여성애'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존 머니는 이러한 분류를 연대기성애라고 불렀다. 이 분류 체계에서 성인에 대한 성적 매력은 텔레이오필리아 Teleiophilia|텔레이오필리아영어[16] 또는 성인애 Adultophilia|어덜토필리아영어[17]라고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남성애'는 성인 남성에 대한 매력을, '여성애'는 성인 여성에 대한 매력을 의미하는 성별 특정 용어로 사용된다. 심리학자 데니스 하위트는 쿠르트 프로이트 등의 연구를 인용하며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18]
정의는 단순한 분류가 아니라, 이론의 문제이다. 왜냐하면 분류는 아무리 초보적인 이론이라도 함축하기 때문이다. 쿠르트 프로이트 외 (1984)는 성과 연령의 차원을 따라 성적 매력을 분류하기 위해 라틴어에서 파생된 단어를 사용했다.
- '''여성애''': 신체적으로 성인 여성에 대한 성적 관심
- '''남성애''': 신체적으로 성인 남성에 대한 성적 관심
4. 남성애 및 여성애 척도
남성애와 여성애는 각각 신체적으로 성숙한 남성과 여성에 대한 성적 관심을 의미한다.[18] 이는 존 머니가 연대기성애라고 부른, 연령대를 기준으로 성적 관심사를 분류하는 체계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16][17] 심리학자 데니스 하위트는 이러한 용어 사용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정의는 단순한 분류가 아니라, 이론의 문제이다. 왜냐하면 분류는 아무리 초보적인 이론이라도 함축하기 때문이다. 커트 프로이트 외 (1984)는 성과 연령의 차원을 따라 성적 매력을 분류하기 위해 라틴어에서 파생된 단어를 사용했다.
여성애. 신체적으로 성인 여성에 대한 성적 관심
남성애. 신체적으로 성인 남성에 대한 성적 관심[18]
이러한 남성애와 여성애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가 개발되었다. 1982년 커트 프로이트와 베티 스타이너는 신체적으로 성숙한 여성에 대한 성적 관심을 측정하는 9개 항목의 여성애 척도와 신체적으로 성숙한 남성에 대한 성적 관심을 측정하는 13개 항목의 남성애 척도를 개발했다.[19]
이후 1985년 레이 블랜차드가 이 척도를 수정하여 수정된 남성애-여성애 지수(Modified Androphilia-Gynephilia Index, MAGI)를 만들었다.[20]
5. 성 정체성과 표현


남성애(Androphilia)와 여성애(Gynephilia)는 개인의 성 정체성이나 복장에 관계없이 선호하는 파트너의 유형을 나타내기 위해 1980년대 심리학자 론 랭그빈이 제안하고 대중화한 용어이다.[35][36]
이 용어들이 제안되기 전, 마그누스 히르슈펠트와 같은 초기 성학자들은 여성애, 양성애, 남성애, 무성애 등으로 성별 변이를 구별했다.[21][22] 이후 일부 심리학자들은 트랜스젠더의 성적 지향을 설명하기 위해 '동성애 트랜스젠더', '이성애 트랜스젠더'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기도 했다. 심리생물학자 제임스 D. 와인리치는 남성에게 끌리는 트랜스여성을 '동성애자' 또는 '남성애자'로, 여성에게 끌리는 트랜스여성을 '이성애자' 또는 '여성애자'/'레즈비언'으로 부르는 등 학자들 간의 용어 사용 차이를 언급했다.[23]
그러나 '동성애 트랜스젠더'와 같은 용어는 20세기 중반부터 사용되었지만, 많은 비판에 직면했다. 해리 벤자민은 이미 1966년에 이러한 용어가 개인의 해부학적 성과 심리적 성 정체성 중 무엇을 우선시하느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음을 지적했다.[24] 여러 비평가들은 이 용어가 개인의 성 정체성보다 생물학적 성별을 우선시하며([28] 브루스 배게밀),[25][26][27] 혼란스럽고 모욕적일 수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이 용어가 이성애주의적이고([28] 배게밀), 낡았으며([31]), 출생 시 지정된 성별이 아닌 성 정체성으로 사람들에게 딱지를 붙이는 것이 굴욕적이라는(리비트와 버거[29][30], [32]) 비판이 제기되었다. 성학자 존 뱅크로프트와 찰스 앨런 모저 역시 이러한 용어 사용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33][34]
이러한 배경에서 남성애와 여성애라는 용어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정신과 의사 아닐 아그라왈은 이 용어가 트랜스남성과 트랜스여성의 성적 지향을 기술하는 데 따르는 어려움, 예를 들어 남성에게 끌리는 트랜스남성이나 여성에게 끌리는 트랜스여성을 기존의 이성애/동성애 틀로 분류하기 어려운 문제를 극복하는 데 유용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매력을 느끼는 대상의 성별이나 성 정체성보다는 매력의 '대상'(남성성 또는 여성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주장했다.[37] 성학자 밀턴 다이아몬드 역시 이성애자, 동성애자, 양성애자라는 용어보다 남성애, 여성애, 양성애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하며, 특히 트랜스젠더나 간성 개인의 파트너에 대해 논의할 때 유용하고 기존 용어가 가진 사회적 편견의 무게를 덜 수 있다고 강조했다.[1]
심리학자 레이첼 앤 히스와 작가 헬렌 보이드도 남성애와 여성애가 더 정확한 용어라는 데 동의하며, 기존 용어가 특정 맥락에서는 이해하기 쉬울 수 있지만 편견과 연관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38][39]
한편, 남성애와 여성애는 존 머니가 연대기성애라고 부른 연령 기반 성적 관심 분류 체계에서도 사용된다. 이 맥락에서는 성인에 대한 성적 매력(텔레이오필리아 또는 성인애)의 성별 특정 변형으로 사용되어, 각각 '성인 남성에 대한 매력'과 '성인 여성에 대한 매력'을 의미한다.[16][17][18]
5. 1. 비서구 문화권의 성
일부 연구자들은 인간의 성(性)에 대한 서구적 개념에 내재된 편견을 피하기 위해 남성애와 여성애라는 용어 사용을 옹호한다. 사모아의 파아파피네 인구를 연구한 사회학자 요한나 슈미트는 이러한 관점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슈미트는 크리스 포아사, 레이 블랜차드, 케네스 주커 등이 파아파피네를 '트랜스젠더 동성애' 범주로 분류하고 '동성애 트랜스섹슈얼'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을 비판했다. 이들은 남성에게 성적으로 끌리는 트랜스여성을 지칭하기 위해 '동성애 트랜스섹슈얼'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성적 지향과 성별 정체성을 직접적으로 연결했는데, 슈미트는 이러한 접근이 (남성적인) 남성에 대한 성적 지향성이 여성적인 성 정체성을 나타낼 가능성을 간과한다고 지적했다.[41] 슈미트는 제3의 성 개념이 존재하는 문화에서는 '동성애 트랜스섹슈얼'과 같은 서구적 용어가 문화적 범주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42] 그는 폴 베이시와 낸시 바틀렛의 연구를 인용하며, 동성애와 같은 개념의 문화적 특수성을 지적하고, 파아파피네 및 다른 사모아인의 성을 이해하기 위해 남성애(남성 또는 남성성에 대한 성적 매력)와 여성애(여성 또는 여성성에 대한 성적 매력)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다고 보았다.[41]연구자 샘 윈터 역시 비슷한 맥락에서 아시아 문화권을 예로 들며 서구의 성적 지향 용어('동성애', '이성애', '게이', '레즈비언' 등)가 많은 아시아인에게 익숙하지 않고, 모국어나 문화적 세계관으로 쉽게 번역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윈터는 남성에게 성적으로 끌리는 트랜스여성(남성애적 트랜스여성)을 이성애자로, 여성에게 끌리는 트랜스여성(여성애적 트랜스여성)을 동성애자로 간주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주장한다. 이는 이들이 각각 다른 성별과 같은 성별의 구성원에게 끌리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윈터는 이러한 자신의 용법이 많은 서구 문헌, 특히 의학 문헌에서 남성애적 트랜스여성을 '동성애자'(동성애 트랜스섹슈얼 남성)로 지칭하는 것과 상반된다는 점을 명시했다.[43]
6. 한국 사회와 남성애/여성애
한국 사회는 전통적으로 유교적 가치관의 영향 아래 성소수자에 대해 보수적인 시각을 유지해 왔다. 그러나 최근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성소수자에 대한 인식이 점진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성적 다양성을 존중하려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더불어민주당은 성소수자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차별금지법 제정을 통해 성소수자의 권익을 증진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남성애와 여성애와 같은 개념들은 한국 사회가 다양한 성적 지향을 포용하고 성소수자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참조
[1]
서적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John Wiley and Sons
2010
[2]
간행물
Transgender and gender non-conforming youth
https://iacapap.org/[...]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nd Allied Professions
2022-08-31
[3]
서적
Sexual anomalies: the origins, nature and treatment of sexual disorders : a summary of the works of Magnus Hirschfeld
Emerson Books
1948
[4]
서적
Encyclopedia of homosexuality, Volume 1
Garland Publishing
1990
[5]
논문
Hebephilia: quintessence of diagnostic pretextuality
2010
[6]
서적
Bisexual politics: theories, queries, and visions
Psychology Press
1995
[7]
서적
Malaria terminology: Report of a drafting committee appoint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1953
[8]
논문
Tissue androgens and androphilic proteins in rat epididymis during sexual development
1974
[9]
서적
The idylls of Theocritus
G. Bell & Sons
1901
[10]
서적
Erasmud on Women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6
[11]
논문
Depression: A sociologist's view
1979
[12]
서적
Freud and the passions of the voice
Penn State Press
2004
[13]
간행물
Letter from Sigmund Freud to Sándor Ferenczi
https://pep-web.org/[...]
Psychoanalytic Electronic Publishing
2022-08-31
[14]
서적
Venuses Penuses: Sexology, Sexosophy, and Exigency Theory
Prometheus Books
1986
[15]
서적
The Reproduction of Mothering: Psychoanalysis and the Sociology of Gende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9
[16]
논문
Fraternal birth order and sexual orientation in paedophiles
2000
[17]
논문
Reply to Dickemann: The ethology of variant sexology
1992
[18]
서적
Introducing the paedophile
J. Wiley
1995
[19]
논문
Two types of cross-gender identity
1982
[20]
서적
Research Methods for the Typological Study of Gender Disorders in Males
Springer, Boston, MA
1985
[21]
논문
Sexuality of male-to-female transsexuals
2008
[22]
논문
Pedophilia and heterosexuality vs. homosexuality
1984
[23]
서적
Sexual landscapes: why we are what we are, why we love whom we love
Scribner's
1987
[24]
서적
The transsexual phenomenon
https://web.archive.[...]
The Julian Press, Inc.
1966
[25]
논문
Nonhomosexual gender dysphoria
1988
[26]
논문
'"Heterosexual" prior to sex reassignment—"homosexual" afterwards: A case study of a female-to-male transsexual'
1988
[27]
논문
The concept of autogynephilia and the typology of male gender dysphoria
1989
[28]
서적
Surrogate phonology and transsexual faggotry: A linguistic analogy for uncoupling sexual orientation from gender identity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29]
논문
Clinical patterns among male transsexual candidates with erotic interest in males.
1990
[30]
논문
Psychotherapy for transsexual candidates screened out of surgery
1978
[31]
서적
Double Cross: Transamasculinity Asian American Gendering
Indiana University Press
2004
[32]
서적
Principles and Practice of Sex Therapy, third edition
Guilford Press of New York
2000
[33]
논문
Lust or Identity?
2008
[34]
논문
Blanchard's Autogynephilia Theory: A Critique
2010
[35]
서적
Sexual Strands: Understanding and Treating Sexual Anomalies in Men
Routledge
1982
[36]
간행물
Male sexual anomalies: the data (review of ''Sexual Strands'')
APA Review of Books
[37]
서적
Forensic and medico-legal aspects of sexual crimes and unusual sexual practices
CRC Press
[38]
서적
The Praeger handbook of transsexuality: Changing gender to match mindset
Greenwood Publishing Group
[39]
서적
She's not the man I married: My life with a transgender husband
Seal Press
[40]
서적
Brain storm: the flaws in the science of sex differences
Harvard University Press
[41]
서적
Migrating Genders: Westernisation, Migration, and Samoan Fa'afafine
Ashgate Publishing, Ltd.
[42]
웹사이트
Redefining fa'afafine: Western discourses and the construction of transgenderism in Samoa.
http://wwwsshe.murdo[...]
[43]
서적
Lost in Transition: Transpeople, Transprejudice and Pathology in Asia
Routledge
[44]
서적
Migrating Genders: Westernisation, Migration, and Samoan Fa'afafine
Ashgate Publishing, Ltd.
[45]
서적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John Wiley and Sons
[46]
간행물
Transgender and gender non-conforming youth
https://iacapap.org/[...]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nd Allied Professions
2022-08-31
[47]
서적
Migrating Genders: Westernisation, Migration, and Samoan Fa'afafine
Ashgate Publishing, Lt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