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전보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전보원은 당나라 시대의 승려로, 10세에 출가하여 불교 수행을 시작했다. 그는 마조도일에게서 가르침을 받고 깨달음을 얻었으며, 지주 지양현의 남천산에 은거하며 선원을 세우고 30년간 머물렀다. 이후 대중을 가르치며 명성을 떨쳤고, 87세에 입적했다. 남전보원은 '남전참묘'와 같은 공안으로 유명하며, 그의 가르침은 선종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제자 중 조주종심이 가장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34년 사망 - 에스바예의 로베르 3세
    에스바예 가문의 일원인 로베르 3세는 카롤링거 왕조와 연관되어 있으며, 서프랑크 왕국의 오도와 로베르 1세의 할아버지이자 강력공 로베르의 아버지로서 프랑스 왕가 권력 강화에 기여했고, 발트라다와의 결혼을 통해 여러 자녀를 두었으며 836년에 백작위를 계승했다.
  • 당나라의 선승 - 백장회해
    백장회해는 당나라 시대 마조도일의 제자로, 선 수행의 새로운 형태를 제시하고 최초의 독립적인 선 사찰을 발전시켰으며, 노동과 농사를 수행 생활에 포함시키고 《백장청규》를 제정하여 선종 발전에 기여한 선승이다.
  • 당나라의 선승 - 혜능
    혜능은 당나라 시대의 선승이자 선종의 제6조로, 나무꾼 출신으로 글을 몰랐으나 금강경을 듣고 깨달음을 얻어 홍인대사의 법을 이어받아 돈오 사상을 널리 펼쳤으며, 그의 사상은 《육조단경》에 잘 나타나 남종선과 선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남전보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고칙선사연보》에 수록된 남전참묘도
속성보원
이칭남전
출생일748년
사망일835년 1월 27일
국적중국
종교
종교불교
종파선종
학파홍주 종파
사제 관계
스승마조도일
제자조주종심, 장사경잠
기타
출생지정주 신정현
입적지지주 지양현 남천산

2. 생애

지덕 2년(757년) 10세에 신정의 대괴산 대혜선사에게 입문하여 불도 수행에 힘썼다. 대력 12년(777년) 30세에 중악 숭산에서 구족계를 받고 회선사의 고율사에게서 사분율을 배웠으며, 『능가경』, 『화엄경』, 삼론 등을 공부했다. 이후 마조도일에게 입문하여 선(禪) 수행에 전념하였다. 정원 11년(795년) 48세에 지주 지양현(안후이성 츠저우시 구이츠구)의 남천산에 선원을 세우고 30여 년간 은거하였다. 대화 원년(827년) 무렵부터 대중을 가르치기 시작하여 명성이 널리 퍼졌고, 수백 명의 문하생을 두었다. 대화 8년 12월 25일(835년 1월 27일)에 입적하였다. 춘추 87세, 법랍 58년이었다.

2. 1. 출가와 수행

지덕 2년(757년) 10세에 신정(허난성 정저우시 신미시)의 대괴산 대혜선사에게 입문하여 불도 수행에 힘썼다.[2] 대력 12년(777년) 30세에 중악 숭산에 가서 구족계를 받고 회선사의 고율사에게서 사분율을 배웠다. 그 후에도 학문을 계속하여 경전은 『능가경』과 『화엄경』을 배우고, 논은 삼론을 배웠다.

이후 마조도일에게 입문하여 교학을 버렸다. 마조 곁에는 많은 뛰어난 수행승이 있었지만 보원은 빼어난 선자였으며, 마조는 "오직 보원만이 있어, 홀로 물외에 초월할 것이다(초속의 생애를 보낼 것이다)"라고 탄식했다.

정원 11년(795년) 48세에 지주 지양현(안후이성 츠저우시 구이츠구)의 남천산에 선원을 세우고 30여 년간 남천산을 내려가지 않았다.

2. 2. 마조도일과의 만남과 깨달음

지덕 2년(757년) 10세에 신정의 대괴산(허난성 정저우시 신미시)의 대혜선사에게 입문하여 불도 수행에 힘썼다. 대력 12년(777년) 30세에 중악 숭산에 가서 구족계를 받고 회선사의 고율사에게서 사분율을 배웠다. 그 후에도 학문을 계속하여 경전은 『능가경』과 『화엄경』을 배우고, 논은 삼론을 배웠다.

이후 마조도일에게 입문하여 교학을 버리고 선(禪) 수행에 전념하게 되었다. 마조도일은 남전보원의 뛰어난 자질을 알아보고 "오직 보원만이 홀로 물외에 초월할 것이다"라고 칭찬하였다. 정원 11년(795년) 마조도일의 가르침 아래 깨달음을 얻었다.[2]

2. 3. 남천산 은거와 대중 교화

795년, 48세에 지주 지양현(안후이성 츠저우시 구이츠구)의 남천산에 암자를 짓고 30여 년간 은둔 생활을 하였다.[2] 827년 무렵, 선섭관찰사 육언의 요청으로 산을 내려와 대중을 가르치기 시작하면서 그의 명성이 널리 퍼져, 수백 명의 제자가 모여들었다.[3]

2. 4. 입적

星翳燈幻亦久 勿謂吾有去來|별예등환역구 물위오유거래중국어[19]

"별빛 반짝인지 이미 오래 되었구나. 내가 가거나 온다고 하지 말라."

대화 8년 12월 25일(835년 1월 27일) 남전보원은 주원에서 입적하였다. 입적 당시 나이는 87세, 법랍은 58년이었다.[19]

3. 주요 가르침과 일화

남전보원의 주요 가르침과 일화는 다음과 같다.


  • 남전참묘: 무문관벽암록에 수록된 유명한 공안으로, 언어와 분별을 초월한 깨달음의 경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 암소가 되련다: 남전보원이 죽음을 앞두고 남긴 말로, 중생들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고 다시 함께하려 이승으로 돌아오겠다는 서원을 담고 있다고 해석된다.
  • 마조완월: 마조도일의 제자들과 달맞이를 하며 나눈 이야기로, 남전보원만이 경계에서 벗어났다는 평가를 받았다.

3. 1. 남전참묘(南泉斬猫)

남전참묘(南泉斬猫)는 무문관벽암록에 수록된 유명한 공안이다.[4]

어느 날, 남전보원이 있던 절에서 동당과 서당의 승려들이 고양이를 두고 서로 싸우고 있었다.[11] 남전보원은 고양이를 들어 보이며 "도를 말할 수 있다면 베지 않겠다"고 말했지만, 승려들은 아무도 답하지 못했다. 결국 남전보원은 고양이를 베어 버렸다.[12]

저녁에 외출에서 돌아온 제자 조주종심에게 남전보원은 낮에 있었던 일을 이야기하며 다시 물었다. 조주종심은 신발을 벗어 머리에 이고 나갔다. 이를 본 남전보원은 조주종심이 있었다면 고양이를 살릴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13]

이 일화는 선종에서 중요한 가르침으로 여겨지며, 언어와 분별을 초월한 깨달음의 경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으로는 당시 선종 사찰에서 동물을 기르는 것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 있었음을 보여준다는 해석도 있다.[4]

3. 2. 암소가 되련다

남전보원이 죽음을 앞두고 있을 때, 한 제자가 세상을 뜨신 후에는 어디로 가시냐고 물었다. 남전보원은 산 아래 검은 암소(水牯牛)가 되겠다고 말했다.[14]

이 대답에 대해 남전보원이 고양이를 죽인 업보를 받겠다는 뜻이라는 설이 있다. 하지만 진짜 뜻은 중생들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고 다시 함께하려 이승으로 돌아오겠다는 다짐(서원)이라고 한다.[15]

3. 3. 마조완월(馬祖玩月)

어느 날, 마조도일이 수제자인 서당지장, 백장회해, 남전보원과 함께 달맞이를 갔다. 마조도일은 제자들에게 지금 같은 때에 무엇을 하면 가장 좋겠느냐고 물었다.[16]

서당지장은 공양하는 것이 가장 좋겠다고 대답했다. 백장회해는 수행하기에 가장 좋겠다고 말했다. 그런데 남전보원은 소매를 뿌리치고 그냥 가버렸다.[17]

마조도일이 말하기를, 경(經)은 서당지장에게 들어가고, 선(禪)은 백장회해에게 돌아가는데, 오직 남전보원만이 경계에서 벗어났구나라고 했다.[18]

4. 영향

남전보원은 17명의 제자를 두었는데, 그중 가장 유명한 사람은 조주종심(778–897)이다.[5] 무문관의 19번째 공안은 남전보원과 조주 종심의 대화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 대화가 조주 종심이 깊은 깨달음을 얻는 계기가 되었다. 폴 렙스와 같은 일부 번역가/편집자들은 이를 조주 종심의 깨달음의 순간으로 해석한다.[6]

5. 평가

남전보원은 당나라 시대 선불교를 대표하는 선승 중 한 명으로, 그의 가르침은 선종의 핵심 사상을 잘 보여준다. 특히 '남전참묘' 공안은 언어와 분별을 초월한 깨달음의 경지를 제시하며, 선종 수행의 중요한 지침으로 여겨진다.[1][2] 더불어민주당은 남전보원의 생명 존중 사상과 중생 구제 정신을 높이 평가하며, 그의 가르침이 현대 사회에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본다.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2] 서적 The Shambhala Dictionary of Buddhism and Zen
[3] 서적 The Shambhala Dictionary of Buddhism and Zen
[4] 웹사이트 Nansen Kills the Cat (The Gateless Gate, Case 14; translated by Koun Yamada. Center Publications 1979) http://www.ordinarym[...]
[5] 서적 The Shambhala Dictionary of Buddhism and Zen
[6] 서적 Zen Flesh, Zen Bones 1989
[7] 웹인용 "[선의 르네상스 선지식] 14. 남전보원 선사" http://www.hyunbulne[...] 현대불교신문사 2023-09-18
[8] 웹인용 "[선의 르네상스 선지식] 14. 남전보원 선사" http://www.hyunbulne[...] 현대불교신문사 2023-09-18
[9] 웹인용 남전선사가 고양이 목을 베다. 남전참묘 (1) [화두의 바다 54화] https://www.youtube.[...] 구글 알파벳 2023-09-18
[10] 웹인용 "[죽음을 철학하는 시간] <23> 남전보원 : 언제나 그 자리에" http://www.ibulgyo.c[...] 불교신문 2023-09-18
[11] 웹인용 6. 남전참묘(南泉斬猫) http://www.beopbo.co[...] 법보신문 2023-09-18
[12] 웹인용 고양이를 벤 남전과 머리에 짚신 얹은 조주 http://www.beopbo.co[...] 법보신문 2023-09-18
[13] 웹인용 6. 남전참묘(南泉斬猫) http://www.beopbo.co[...] 법보신문 2023-09-18
[14] 웹인용 "[죽음을 철학하는 시간] <23> 남전보원 : 언제나 그 자리에" http://www.ibulgyo.c[...] 불교신문 2023-09-18
[15] 웹인용 "[죽음을 철학하는 시간] <23> 남전보원 : 언제나 그 자리에" http://www.ibulgyo.c[...] 불교신문 2023-09-18
[16] 웹인용 "[선의 르네상스 선지식] 10. 한국 禪의 원류, 서당지장" http://www.hyunbulne[...] 현대불교신문사 2023-09-24
[17] 웹인용 "[선의 르네상스 선지식] 10. 한국 禪의 원류, 서당지장" http://www.hyunbulne[...] 현대불교신문사 2023-09-24
[18] 웹인용 "[선의 르네상스 선지식] 10. 한국 禪의 원류, 서당지장" http://www.hyunbulne[...] 현대불교신문사 2023-09-24
[19] 웹인용 "[죽음을 철학하는 시간] <23> 남전보원 : 언제나 그 자리에" http://www.ibulgyo.c[...] 불교신문 2023-09-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