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낯선 땅 이방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낯선 땅 이방인"은 로버트 A. 하인라인의 소설로, 화성에서 태어나 지구로 돌아온 발렌타인 마이클 스미스의 이야기를 다룬다. 스미스는 지구 문화를 접하며 겪는 갈등과, 화성적 사상을 바탕으로 "만물 교회"라는 종교를 창시하는 과정을 통해 자유주의, 개인주의, 종교, 성 해방 등 다양한 주제를 탐구한다. 소설은 사회적 규범에 도전하고, "그록"과 같은 독특한 개념을 제시하며 문화적,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1962년 휴고상을 수상했으며, 다양한 판본으로 출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1년 소설 - 캐치-22
    조지프 헬러의 소설 캐치-22는 제2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부조리한 군사 규정 "캐치-22"를 통해 관료주의와 권력 남용을 비판하고 전쟁의 허무함과 인간 소외를 탐구하는 20세기 미국 문학의 중요한 작품이다.
  • 1961년 소설 - 의천도룡기
    의천도룡기는 김용의 무협 소설로, 원나라 말기를 배경으로 의천검과 도룡도를 둘러싼 이야기를 다루며, 주인공 장무기가 성장하여 명교의 교주가 되어 원나라 전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야기를 그린다.
  • 워싱턴 D.C.를 배경으로 한 소설 - 양들의 침묵
    토머스 해리스의 스릴러 소설이자 조너선 드미 감독의 영화인 양들의 침묵은 FBI 수습 요원 클라리스 스탈링이 식인 살인마 한니발 렉터 박사의 도움을 받아 연쇄 살인범 '버팔로 빌'을 쫓는 이야기를 그리며, 영화는 아카데미상을 휩쓸었지만 트랜스포비아적 묘사로 비판받기도 했다.
  • 워싱턴 D.C.를 배경으로 한 소설 - 로스트 심벌
    로스트 심벌은 댄 브라운의 소설로, 하버드 대학교 기호학 교수 로버트 랭던이 워싱턴 D.C.에서 프리메이슨과 관련된 사건에 휘말려 고대 비밀을 파헤치며 납치된 스승을 구하고 CIA와 협력하여 프리메이슨의 숨겨진 진실에 접근하는 이야기를 다룬다.
  • 히피 운동 - 해프닝
    해프닝은 1950년대 후반 뉴욕 예술가들이 시작한 즉흥적이고 참여적인 공연 예술 형식으로, 관객 참여를 통해 예술과 삶의 경계를 허물고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며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 히피 운동 - 헤어 (뮤지컬)
낯선 땅 이방인 - [서적]에 관한 문서
서지 정보
제목낯선 땅의 이방인
원제Stranger in a Strange Land
저자로버트 A. 하인라인
삽화가해당사항 없음
표지 화가해당사항 없음
국가미국
언어영어
장르SF
출판사G. P. Putnam's Sons
한국어 출판사마티
발행일1961년 6월 1일
한국어 발행일2008년 6월 9일
미디어 유형인쇄 (하드커버 및 페이퍼백)
페이지 수408쪽 (208,018 단어)
ISBN978-0-441-79034-0
번역가장호연
기타
관련 작품해당사항 없음
표지 정보
낯선 땅 이방인 표지
하드커버, 로댕의 조각품 돌을 나르는 여인상

2. 줄거리

제3차 세계 대전 이전, 유인 우주선 '엔보이'가 화성을 향해 발사되었지만 연락이 두절된다. 25년 후, 우주선 '챔피언'은 화성에서 유일한 생존자인 발렌타인 마이클 스미스를 발견한다. 그는 '엔보이'에서 태어나 화성인에 의해 양육되었다. 스미스는 화성인의 명령으로 지구로 돌아가는 탐험대에 동행한다.[6]

스미스는 베데스다 병원에 갇히지만, 간호사 질리언 보드먼의 도움으로 탈출하여 저명한 작가이자 의사, 변호사인 주발 하쇼의 보호를 받는다. 하쇼는 스미스의 자유를 되찾아주고, 화성이 스미스의 소유임을 인정받도록 한다. 스미스는 지구의 언어, 관습, 종교를 배우며 지구 문화를 접하고, 유명 인사가 되어 지구 엘리트들에게 환영받는다. 그는 포스터파 교회를 포함한 다양한 종교를 탐구하고, 유원지에서 마술사로 잠시 활동하기도 한다.

스미스는 화성인의 철학과 포스터파 종교의 요소를 결합하여 "만물 교회"라는 새로운 종교를 창시한다. 이 교회는 프리 섹스를 포함한 자유로운 성, 공동체 생활을 추구하며, '그로크(grok)'라는 개념을 통해 세계를 깊이 이해하는 것을 중시한다. 그러나 만물 교회의 교리는 기존의 도덕, 상식과 충돌하여 사회적 논란을 야기하고, 특히 대형 교회인 포스터파 교회와 갈등을 빚는다. 결국 스미스는 포스터파 교도들이 일으킨 폭동으로 인해 살해당한다.[17]

스미스 사후, 주발 하쇼를 비롯한 남은 교회 구성원들은 새로운 신도들을 모아 만물 교회를 이어간다. 스미스는 대천사 미카엘의 화신으로 나타나 포스터파 교회의 창시자를 대체한다는 암시를 남긴다.[17]

2. 1. 화성에서 온 이방인

제3차 세계 대전 발발 전, 화성으로 향하던 유인 우주선 '엔보이'호가 실종되었다. 25년 후, 우주선 '챔피언'호가 화성에 도착하여 '엔보이'호의 유일한 생존자인 발렌타인 마이클 스미스를 발견한다.[6] 그는 화성에서 태어나 화성인들에 의해 양육되었다.

2. 2. 지구 문화와의 충돌

베데스다 병원에 격리된 스미스는 간호사 질리언 보드먼의 도움으로 지구 문화를 접하게 된다. 화성에서는 물이 매우 귀했기 때문에, 스미스는 보드먼과 물을 나눠 마시는 행위를 통해 그녀를 '물 형제'로 여기는 깊은 관계를 맺는다. 보드먼의 연인인 기자 벤 캑스턴은 스미스가 엄청난 부자라는 사실을 알게 되고, 이로 인해 정부에 체포된다. 보드먼은 스미스를 설득하여 함께 병원을 탈출하고, 작가이자 의사, 변호사인 주발 하쇼에게 데려간다. 하쇼는 스미스의 자유를 돕고, 화성이 스미스의 소유임을 인정받도록 한다.

스미스는 지구의 언어, 관습, 종교 등을 배우며 문화적 충격과 혼란을 경험한다. 그는 지구의 엘리트들에게 환영받으며 유명 인사가 된다. 포스터파 교회는 , 도박, 음주 등 유사한 활동을 허용하고 심지어 장려하며 교회 관할 하에 있지 않을 때만 "죄"로 간주하는 대형 교회인데, 스미스는 이 교회를 포함한 많은 종교를 탐구한다. 스미스는 유원지에서 마술사로 잠시 활동하며 질리언과 쇼의 문신 여인을 친구로 사귄다.

2. 3. 만물 교회의 탄생과 갈등

스미스는 화성인의 철학과 지구의 종교, 특히 포스터파 교회의 요소들을 결합하여 '만물 교회'를 창시한다. 만물 교회는 프리 섹스를 포함한 자유로운 성, 공동체 생활을 추구하며, '그로크(grok)'라는 개념을 통해 인간과 세계를 깊이 이해하는 것을 중시한다.[17] '그로크'는 단순한 표면적 이해를 넘어선 내면적인 이해를 의미한다.

만물 교회의 교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범신론: 살아있는 모든 것은 신이라는 "너는 신이다"라는 믿음을 갖는다.
  • 쾌락주의: 포스터파의 영향을 받아 쾌락, 특히 성적 쾌락("화합 생성")을 긍정한다.
  • 공동체 생활: '둥지(네스트)'라 불리는 곳에서 이누이트와 같은 공동체 생활을 하며, 아이들은 공동으로 양육한다.
  • 식인 풍습: 신자가 죽으면("분열했다"라고 표현) 그를 "그리워하고 사랑하면서" 먹는 풍습이 있다.
  • 물 형제: 신자가 될 때 한 컵의 물을 함께 마시며, 서로를 "물 형제"라고 부른다.


이러한 만물 교회의 급진적인 교리는 기성 종교, 특히 대형 교회인 포스터파 교회와 갈등을 일으킨다.[17] 포스터파 교도들은 만물 교회를 "신성 모독"을 행한다며 포위하고, 교회 건물을 파괴한다. 또한, 기존의 도덕과 상식에 반하는 교리는 사회적으로 큰 논란을 야기하고, 결국 스미스는 비판자들에게 살해당한다.

하지만 스미스의 추종자들은 순간이동으로 안전하게 피신하고, 스미스는 대천사 미카엘의 화신으로 나타나 포스터파 교회의 창시자를 대체한다는 암시를 남긴다. 주발 하쇼를 비롯한 남은 교회 구성원들은 새로운 신도들을 모아 만물 교회를 이어간다.

1961년, 미주리주 웨스트민스터 단과 대학교의 학생이었던 오베론 젤-레이븐하트와 그의 아내 모닝 글로리 젤-레이븐하트는 소설에 영감을 받아 '만물 교회'라는 동명의 종교 단체를 설립했다.[19] 이들은 소설 속 교리와 마찬가지로 "너는 신이다"라고 인사하며, 신으로서의 책임을 강조한다. 현재 이 교단은 오하이오주 톨레도에 본부를 두고 활동 중이다.

2. 4. 스미스의 죽음과 유산

스미스는 포스터파 교도들이 일으킨 폭동으로 인해 살해된다.[17] 주발 등 일부 교회 구성원들은 재집결하여 새로운 만물 교회 신도들을 창립하기 위해 주발의 집으로 돌아간다.[17] 스미스는 대천사 미카엘의 화신이었다는 암시와 함께 내세에서 포스터파 교회의 창시자를 대체하기 위해 다시 나타난다.[17]

스미스가 창설한 종교 운동인 "만물교회"는 서양 밀교의 신비 종교로, 이교주의와 기독교 부흥 운동의 요소를 혼합하고, 초능력 훈련과 화성어 교육을 포함한다.[17] 1968년, 오베론 젤-레이븐하트(당시 팀 젤)는 소설 속의 단체를 여러 면에서 본떠 만든 신이교주의 종교 단체인 만물교회를 설립했다.[17] 이 영적인 길에는 폴리아모리, 비주류 가족 형태, 사회적 자유주의, 물을 나누는 의식, 하나의 전통 안에서 모든 종교적 길을 수용하는 것, 그리고 "그록", "너는 신이다", "결코 목마르지 않다"와 같은 소설에서 따온 여러 아이디어가 포함되어 있다.[17]

하인라인은 만물교회의 회원이 아니었고 홍보자도 아니었지만, 젤과 하인라인 사이에는 빈번한 서신 교환이 있었으며, 하인라인은 교회의 잡지 ''그린 에그''의 유료 구독자였다.[19] 이 교회는 현재 캘리포니아에 법인으로 등록된 501(c)(3) 공인 종교 단체로, 전 세계에 회원을 두고 있으며, 신이교주의 공동체의 활동적인 일부로 남아 있다.[19]

마이크는 지구인을 이해한 후, 화성인의 영향을 짙게 받은 독자적인 종교인 '''세계의 모든 교회''' (Church of All World) 를 연다. 그러나 그의 교리는 지구(의 미국)에서의 기존의 도덕, 상식, 교리에 반하여 인류에게 받아들여지지 않고, 박해를 받아 비판자들에게 능욕당해 살해당한다.

그의 종교는 범신론적인 생각을 극단까지 밀어붙여, 살아있는 모든 것은 신이라고 생각한다. 마이크는 이 생각을 "너는 신이다"라는 말로 표현했다. 표면적인 이해가 아닌 내면적인 이해("그로크(grok)")를 얻는 것을 중시한다. 또한 포스터라이트파의 영향을 받은 그의 종교는 쾌락주의적인 측면이 강하며, 프리 섹스 (섹스를 "화합 생성"이라고 부름)를 긍정한다. 둥지(네스트)라고 불리는 곳에서 이누이트와 같은 공동체적 생활을 하며, 화합 생성의 결과로 태어난 아이는 공동체 모두가 키운다. 또한 그의 종교에서는 종교 의식으로 뱀춤을 중시한다. 더 나아가 그의 종교는 식인에 긍정적이며, 신자가 죽었을 때("분열했다"라고 말함)는 "고인을 그리워하고 사랑하면서" 고인을 먹는다. 입신 시에는 신자로부터 한 컵의 물을 받아 마신다. 이 때문에 이 종교의 신자는 다른 신자를 "물 형제"라고 부른다.

3. 등장인물

등장인물은 크게 발렌타인 마이클 스미스를 중심으로 한 인물들과, 포스터파 교회 관련 인물, 그리고 그 외의 인물들로 나눌 수 있다. 주요 등장인물의 이름은 줄거리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신중하게 선택되었다.[2] 유발은 '모든 것의 아버지'를, 미카엘은 '누가 하나님과 같으랴?'를 의미한다.


  • '''우주선 챔피언 호 선원'''
  • * '''판 트롬프''' - 챔피언 호 선장[2]
  • * '''넬슨 박사''' - 챔피언 호 의사[2]
  • * '''마움드 박사(스틴스키)''' - 챔피언 호 언어학자[2]

3. 1. 발렌타인 마이클 스미스와 그의 물 형제들


  • '''발렌타인 마이클 스미스 (마이크):''' 화성에서 태어나 화성인에게 양육된 주인공이다. 지구로 돌아온 후, 주발 하쇼, 질리언 보드먼 등과 교류하며 지구 문화를 배우고, '만물교회'라는 종교를 창시한다.[2] 마이크는 지구의 기존 도덕관념에 얽매이지 않는 순수한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너는 신이다"라는 말로 모든 생명의 신성함을 강조한다.
  • '''질리언 보드먼 (질):''' 베데스다 병원의 간호사로, 마이크를 정부의 감시에서 빼내고 그를 돕는다.[2] 마이크의 연인이자 가장 가까운 친구 중 한 명이 되며, 만물교회의 핵심 인물이 된다.
  • '''벤 캑스턴:''' 질의 초기 연인이자 탐사 저널리스트로, 마이크의 탈출을 돕고 그의 행적을 기록한다. 처음에는 마이크의 사상에 회의적이었으나, 점차 그의 측근에 합류한다.
  • '''주발 하쇼:''' 작가, 변호사, 의사로, 마이크의 보호자이자 조언자 역할을 한다.[5] 그는 하인라인의 자유주의적 사상을 대변하는 인물로 여겨지며, 마이크에게 현실적인 조언을 제공한다.
  • '''앤, 미리엄, 도르카스:''' 주발 하쇼의 비서들로, 마이크의 추종자가 된다. 앤은 공정 증인 자격을 갖춘 인물로, 객관적인 증언을 제공한다.
  • '''듀크, 래리:''' 주발 하쇼의 저택에서 일하는 잡역부로, 만물교회의 핵심 구성원이 된다.
  • '''"스티키" 마흐무드 박사:''' 의미론자이자 '챔피언'호의 승무원으로, 마이크 다음으로 화성어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 이슬람 신앙을 유지하면서 만물교회의 회원이 된다.

3. 2. 포스터파 교회 관련 인물


  • 딕비 - 포스터파 교단의 최고 지도자.[2]
  • 토머스 분 - 포스터파 교단의 신자이자 상원 의원.[2]
  • 패트리샤 베이원스키 - 포스터파 교단의 신자. 서커스에서 "문신을 한 여자"로 일한다.[2]
  • 포스터 - 포스터파 교단의 창시자. 사후 대천사로 추앙받는다.[2]
  • 돈 아덴트 - 포스터파 교단의 신자. 스트리퍼.

3. 3. 기타 등장인물


  • '''조셉 더글라스:''' 자유 국가 연합의 사무총장이다. 자유 국가 연합은 국제 연합에서 발전된 세계 정부 형태이다.[2]
  • '''앨리스 더글라스:''' 조셉 더글라스의 아내로, 영부인 역할을 한다. 남편에게 주요 결정에 대해 영향을 미치며, 점성가와 상담하기도 한다.[2]
  • '''마담 알렉산드라 부잔:''' 점성가이다.[2]

4. 소설의 주제와 사상

소설에서 마이크의 종교는 범신론적인 생각을 바탕으로, 살아있는 모든 것을 신으로 여긴다. 마이크는 "너는 신이다"라는 말로 이를 표현했다. 이 종교는 쾌락주의적인 측면이 강하며, 프리 섹스를 "화합 생성"이라 부르며 긍정한다. 이들은 둥지(네스트)라는 곳에서 이누이트와 같은 공동체 생활을 하며, 화합 생성으로 태어난 아이는 공동체가 함께 키운다.[1]

지구로 돌아온 마이크는 주벌 하쇼, 질리언 보드먼 등의 친구와 연인을 얻고, 그들과의 논의를 통해 지구인을 이해하여 화성인의 영향을 짙게 받은 독자적인 종교인 '''세계의 모든 교회''' (Church of All World)를 연다. 마이크의 종교는 범신론적인 생각을 극단까지 밀어붙여, 살아있는 모든 것은 신이라고 생각하며, 표면적인 이해가 아닌 내면적인 이해("그로크(grok)")를 얻는 것을 중시한다. 또한 그의 종교는 쾌락주의적인 측면이 강하며, 식인에 긍정적이다. 신자가 죽었을 때("분열했다"라고 말함)는 "고인을 그리워하고 사랑하면서" 고인을 먹는다. 입신 시에는 신자로부터 한 컵의 물을 받아 마신다. 이 때문에 이 종교의 신자는 다른 신자를 "물 형제"라고 부른다.

오베론 젤-레이븐하트(당시 팀 젤)는 소설 속 단체를 본떠 1968년에 신이교주의 종교 단체인 만물교회를 설립했다.[17] 이 영적인 길에는 소설에서 따온 여러 아이디어가 포함되어 있다.

"그로크(grok)"는 단순한 표면적인 이해가 아닌 내면적인 이해를 얻는 것을 중시하는 개념으로, 소설 속에서 '그로크'는 인식하다, 물을 마시다, 사랑하다 등의 의미를 가진다.

''낯선 땅 이방인'' 용어
용어의미
그로크(grok)인식하다, 물을 마시다, 사랑하다
수 형제자신과 같은 컵으로 물을 마신 사람
화합 생성성행위
분열하다죽다
너는 신이다살아있는 모든 것은 신이다


4. 1. 자유주의와 개인주의

하인라인이 의도적으로 도발적인 소설은 상당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34] 문학 평론가 댄 슈나이더는 주발 하쇼의 자유 의지에 대한 믿음은 "마이크, 질, 그리고 포스터파가 범신론적 충동으로 잘못 해석한 것"이며 "'너는 신이다!"라고 썼다.[15]

4. 2. 성 해방과 폴리아모리

소설에서 마이크의 종교는 범신론적인 생각을 바탕으로, 살아있는 모든 것을 신으로 여긴다. 마이크는 "너는 신이다"라는 말로 이를 표현했다. 이 종교는 쾌락주의적인 측면이 강하며, 프리 섹스를 "화합 생성"이라 부르며 긍정한다. 이들은 둥지(네스트)라는 곳에서 이누이트와 같은 공동체 생활을 하며, 화합 생성으로 태어난 아이는 공동체가 함께 키운다.[1]

SF 작가 브라이언 W. 올디스는 저서 『십억 년의 연회』에서 화성에 물과 식량이 부족했기 때문에 화성인들이 물을 중시하고 식인을 하는 풍습이 생긴 것이 아닌가 추측했다.[1]

4. 3. 종교와 영성

오베론 젤-레이븐하트(당시 팀 젤)는 소설 속 단체를 본떠 1968년에 신이교주의 종교 단체인 만물교회를 설립했다.[17] 이 영적인 길에는 소설에서 따온 여러 아이디어가 포함되어 있는데, 폴리아모리, 비주류 가족 형태, 사회적 자유주의, 물을 나누는 의식, 하나의 전통 안에서 모든 종교적 길을 수용하는 것, 그리고 "그로크", "너는 신이다", "결코 목마르지 않다"와 같은 몇몇 용어의 사용 등이 있다.

하인라인은 만물교회의 회원이 아니었고 홍보자도 아니었지만, 젤과 하인라인 사이에는 빈번한 서신 교환이 있었으며, 하인라인은 교회의 잡지 ''그린 에그''의 유료 구독자였다. 이 교회는 현재 캘리포니아에 법인으로 등록된 501(c)(3) 공인 종교 단체로, 전 세계에 회원을 두고 있으며, 신이교주의 공동체의 활동적인 일부로 남아 있다.[19]

지구로 돌아온 마이크는 주벌 하쇼, 질리언 보드먼 등의 친구와 연인을 얻는다. 그들과의 논의를 통해 지구인을 이해한 그는 화성인의 영향을 짙게 받은 독자적인 종교인 '''세계의 모든 교회''' (Church of All World)를 연다.

마이크의 종교는 범신론적인 생각을 극단까지 밀어붙여, 살아있는 모든 것은 신이라고 생각한다. 마이크는 이 생각을 "너는 신이다"라는 말로 표현했다. 표면적인 이해가 아닌 내면적인 이해("그로크(grok)")를 얻는 것을 중시한다. 또한 포스터라이트파의 영향을 받은 그의 종교는 쾌락주의적인 측면이 강하며, 프리 섹스(섹스를 "화합 생성"이라고 부름)를 긍정한다. 둥지(네스트)라고 불리는 곳에서 이누이트와 같은 공동체적 생활을 하며, 화합 생성의 결과로 태어난 아이는 공동체 모두가 키운다. 또한 그의 종교에서는 종교 의식으로 뱀춤을 중시한다. 더 나아가 그의 종교는 식인에 긍정적이며, 신자가 죽었을 때("분열했다"라고 말함)는 "고인을 그리워하고 사랑하면서" 고인을 먹는다. 입신 시에는 신자로부터 한 컵의 물을 받아 마신다. 이 때문에 이 종교의 신자는 다른 신자를 "물 형제"라고 부른다.

4. 4. '그로크(Grok)'의 개념

"그로크(grok)"는 단순한 표면적인 이해가 아닌 내면적인 이해를 얻는 것을 중시하는 개념이다. 소설 속에서 '그로크'는 인식하다, 물을 마시다, 사랑하다 등의 의미를 가진다.

SF 작가 브라이언 W. 올디스는 그의 저서 『십억 년의 연회』에서 화성에서는 물과 식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화성인들이 물을 중시하고 식량 조달 수단으로 식인을 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을 제시했다.

''낯선 땅 이방인'' 용어
용어의미
그로크(grok)인식하다, 물을 마시다, 사랑하다
수 형제자신과 같은 컵으로 물을 마신 사람
화합 생성성행위
분열하다죽다
너는 신이다살아있는 모든 것은 신이다


5. 소설의 영향과 평가

로버트 A. 하인라인1948년 어스타운딩 사이언스 픽션에 게재한 단편 『Gulf (novel)|심연영어』을 쓰기 위해 브레인스토밍을 하던 중 한 가지 아이디어를 얻었다. 그러나 이 아이디어는 단편으로 하기에는 너무 길었기 때문에 결국 『심연』으로는 다른 이야기를 게재하고, 이때 얻은 아이디어를 후에 『낯선 땅 이방인』으로 발표했다. 하인라인은 당초 80만 단어에 달하는 장편을 썼지만, 편집자에게 "길다"는 불만을 들어 22만 단어까지 줄였다. 그러나 그래도 길다는 말을 들어서 더욱 줄여 17만 단어로 만들었다. 현재 출판되고 있는 『낯선 땅 이방인』은 이 17만 단어 버전이다. 미국에서는 『낯선 땅 이방인』의 "완전판"이 출판되고 있는데, 이것은 22만 단어 버전이다.

『낯선 땅 이방인』은 히피의 경전으로 추앙받을 정도로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소설에 등장하는 "그로크"라는 단어가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실리기도 했다.

5. 1. 사회적 영향

《낯선 땅 이방인》은 1960년대 히피 문화와 반문화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자유 연애, 공동체 생활, 영성 탐구 등의 주제를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17] 소설에 등장하는 '만물 교회(Church of All Worlds)'는 오베론 젤-레이븐하트가 실제로 동명의 신이교주의 종교 단체를 창설하는 계기가 되었다.[17] 이들은 소설에서 따온 폴리아모리, 비주류 가족 형태, 사회자유주의, 물을 나누는 의식, 그리고 "그로크", "너는 신이다", "결코 목마르지 않다"와 같은 용어를 사용한다.[17]

하인라인은 자신의 소설이 특정 사회 조직 방식을 설명한다고 생각하는 독자들에게 놀라며, 독자가 스스로 생각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목적이었다고 설명했다.[18] 그는 독자에게 질문을 던지고 각자가 스스로 답을 찾기를 기대했다.[18]

소설에서 창조된 '그로크(grok)'는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등재될 정도로 널리 사용되었다.

한편, 《낯선 땅 이방인》은 찰스 맨슨에게 영향을 주었다는 소문이 있다. 맨슨은 "패밀리"라는 컬트 교단을 만들어 쾌락주의를 긍정하고, LSD를 사용한 프리 섹스를 행했으며, 신도를 교사하여 여러 명을 살해했다. 그러나 하인라인의 변호사는 맨슨이 소설의 애독자라는 증거를 찾지 못했으며, 실제로 맨슨은 글을 거의 읽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5. 2. 한국 사회에 대한 시사점

이 소설은 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존중되는 사회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획일적인 가치관과 집단주의적 문화에 대한 성찰을 요구한다. 소설에 등장하는 '만물 교회'와 포스터파 교회의 갈등은 종교의 자유와 다양성이 보장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소설 후반부의 핵심 요소는 스미스가 창설한 종교 운동인 "만물교회(Church of All Worlds)"이다. 이 교회는 서양 밀교의 신비 종교로, 이교주의와 기독교 부흥 운동의 요소를 혼합하고 초능력 훈련과 화성어 교육을 포함한다.[17] 화성인의 교육을 받고 자란 발렌타인 마이클 스미스(마이크)는 지구와는 크게 다른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지구로 돌아온 마이크는 주벌 하쇼, 질리언 보드먼 등의 친구와 연인을 얻는다. 그들과의 논의를 통해 지구인을 이해한 그는 '''세계의 모든 교회''' (Church of All World)라는, 화성인의 영향을 짙게 받은 독자적인 종교를 연다.

그러나 지구(의 미국)에서의 기존 도덕, 상식, 교리에 반하는 그의 교리는 인류에게 받아들여지지 않고, 박해를 받아 비판자들에게 능욕당해 살해당한다. 그의 종교는 범신론적인 생각을 극단까지 밀어붙여, 살아있는 모든 것은 신이라고 생각한다. 마이크는 이 생각을 "너는 신이다"라는 말로 표현했다. "고양이가 참새를 노리면, 그 양쪽(고양이와 참새) 모두가 신"이며, 그렇기 때문에 고양이와 참새는 "신의 생각을 실행하고 있는 것"이다.[17]

1968년, 오베론 젤-레이븐하트(당시 팀 젤)는 소설 속 단체를 여러 면에서 본떠 만든 신이교주의 종교 단체인 만물교회를 설립했다.[17] 이 영적인 길에는 소설에서 따온 여러 아이디어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폴리아모리, 비주류 가족 형태, 사회적 자유주의, 물을 나누는 의식, 하나의 전통 안에서 모든 종교적 길을 수용하는 것, 그리고 "그록", "너는 신이다", "결코 목마르지 않다"와 같은 몇몇 용어의 사용 등이 있다.

하인라인은 만물교회 회원이 아니었고 홍보자도 아니었지만, 젤과 하인라인 사이에는 빈번한 서신 교환이 있었으며, 하인라인은 교회 잡지 ''그린 에그''의 유료 구독자였다. 이 교회는 현재 캘리포니아에 법인으로 등록된 501(c)(3) 공인 종교 단체로, 전 세계에 회원을 두고 있으며, 신이교주의 공동체의 활동적인 일부로 남아 있다.[19]

포스터라이트파의 영향을 받은 그의 종교는 쾌락주의적인 측면이 강하며, 프리 섹스(섹스를 "화합 생성"이라고 부름)를 긍정한다. 둥지(네스트)라고 불리는 곳에서 이누이트와 같은 공동체적 생활을 하며, 화합 생성 결과로 태어난 아이는 공동체 모두가 키운다. 또한 그의 종교에서는 종교 의식으로 뱀춤을 중시한다. 더 나아가 그의 종교는 식인에 긍정적이며, 신자가 죽었을 때("분열했다"라고 말함)는 "고인을 그리워하고 사랑하면서" 고인을 먹는다. 입신 시에는 신자로부터 한 컵의 물을 받아 마신다. 이 때문에 이 종교 신자는 다른 신자를 "물 형제"라고 부른다.

SF 작가 브라이언 W. 올디스는 그의 저서 『십억 년의 연회』에서 화성에서는 물과 식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물을 중시하거나 식량 조달 수단으로 식인이 행해진 것이 아니냐고 말하고 있다.

6. 판본

1961년 초판은 퍼트넘 출판 그룹(Putnam Publishing Group)의 편집자들이 출판 전에 220,000단어 분량의 책을 160,000단어로 줄여야 한다고 요구하여, 원고의 약 25%가 삭제된 채 출판되었다.[39] 1991년, 하인라인의 사후에 그의 아내 버지니아에 의해 원본 원고를 복원한 무삭제판이 출판되었다.[38] 하인라인은 더 짧은 버전에 몇 가지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기도 했다.[9]

다수의 판본이 존재한다.[38]

출판일출판사판형페이지ISBN
1961년 6월 1일퍼트넘 출판 그룹(Putnam Publishing Group)하드커버[39]
1962년Avon초판 페이퍼백
1965년New English Library Ltd
1968년 3월Berkley Medallion페이퍼백
1970년 7월New English Library Ltd페이퍼백400
1972년Capricorn Books408
1975년 10월Berkley Publishing Group페이퍼백
1977년 11월Berkley Publishing Group페이퍼백
1979년 7월Berkley Publishing Group페이퍼백
1980년 9월Berkley Publishing Group페이퍼백
1982년 7월Berkley Publishing Group페이퍼백
1983년 7월Penguin Putnam페이퍼백
1984년 1월Berkley Publishing Group페이퍼백
1984년 5월 1일Berkley Publishing Group페이퍼백
1984년 12월Berkley Publishing Group
1986년 11월Berkley Publishing Group페이퍼백
1989년이스턴 프레스(Easton Press)가죽 제본 하드커버414
1991년 1월Ace/Putnam오리지널 무삭제판, 하드커버
1992년 5월 3일호더 앤 스토턴(Hodder and Stoughton)오리지널 무삭제판, 대중 시장 페이퍼백655
1995년이스턴 프레스(Easton Press)오리지널 무삭제판, 가죽 제본 하드커버525
1995년 8월 1일ACE Charter페이퍼백438
1996년 4월 1일블랙스톤 오디오(Blackstone Audio)카세트 오디오북
1999년 10월 1일세이지브러시(Sagebrush Corporation)도서관 제본
2002년 6월 1일Blackstone Audio카세트 오디오북
2003년 1월Turtleback Books하드커버
2003년 11월 1일Blackstone AudioCD 오디오북
2005년 3월 14일호더 앤 스토턴(Hodder and Stoughton)페이퍼백655
2016년 10월 25일펭귄 북스(Penguin Books)하드커버498
2020년폴리오 소사이어티(Folio Society)오리지널 무삭제판, 슬립케이스 하드커버616
2021년선탑 프레스(Suntup Press)오리지널 무삭제판, 슬립케이스 하드커버636


참조

[1] 서적 A Study Guide for Robert A. Heinlein's Stranger in a Strange Land https://books.google[...] Gale, Cengage Learning 2015-03-13
[2] 서적 The Martian Named Smith: Critical Perspectives On Robert A. Heinlein's 'Stranger In A Strange Land' http://www.nitrosync[...] Nytrosyncretic Press 2001
[3] 뉴스 Virginia Heinlein, 86; Wife, Muse and Literary Guardian of Celebrated Science Fiction Writer https://www.latimes.[...] 2003-01-26
[4] 웹사이트 Books that Shaped America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12
[5] 서적 The Robert Heinlein Interview and Other Heinleiniana https://books.google[...] Pulpless.Com 1999-01-31
[6] 문서 Expanded Universe
[7] 웹사이트 Biography: Robert A. Heinlein http://www.heinleins[...]
[8] 뉴스 In the Strange Land Of Robert Heinlein https://www.washingt[...] 1984-09-05
[9] 간행물 Letter from Robert A. Heinlein to Oberon Zell Green Egg magazine 1989
[10] 뉴스 Books of The Times https://timesmachine[...] 1961-08-04
[11] 간행물 Galaxy's 5 Star Shelf https://archive.org/[...] 1962-06
[12] 서적 The Hippie Narrative: A Literary Perspective on the Counterculture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07-02-12
[13] 뉴스 Library of Congress issues list of "Books That Shaped America" https://www.washingt[...]
[14] 서적 Masterplots II.: American fiction series, Volume 4 https://books.google[...] Salem Press
[15] 웹사이트 Review of Stranger In A Strange Land (The Uncut Version), by Robert A. Heinlein http://www.hackwrite[...] 2013-08-04
[16] 웹사이트 The misogyny of ‘Stranger in a Strange Land’ takes on new shame https://theoutline.c[...] 2017-12-21
[17] 논문 Science Fiction as Scripture: Robert A. Heinlein's Stranger in a Strange Land and the Church of All Worlds https://openjournals[...] 2009
[18] 문서 Robert A. Heinlein In Dialogue with His Century 2014
[19] 웹사이트 What is the Church of All Worlds? http://www.caw.org/i[...]
[20] 웹사이트 grok | Logstash Reference [5.4] | Elastic https://www.elastic.[...] 2017-05-08
[21] 웹사이트 grok http://www.catb.org/[...] 2003-12-29
[22] 뉴스 Grok https://en.oxforddic[...]
[23] 논문 Ecologists, Environmental Litigation, and Forensic Ecology
[24] 논문 If It Walks Like a Duck: a Case of Confirmatory Bias 2016-09
[25] 웹사이트 Google Glass, SciFi, Robert Heinlein & the Fair Witness Effect https://www.macobser[...]
[26] 논문 Electronic Document Certification: A Primer on the Technology Behind Digital Signatures https://repository.j[...] 1999-04
[27] 논문 Observation and Cogitation: How Serendipity Provides the Building Blocks of Scientific Discovery 2005
[28] 서적 Leading So People Will Follow https://books.google[...] Jossey-Bass 2012
[29] 서적 The Station of No Station: Open Secrets of the Sufis https://books.google[...] North Atlantic Books 2001
[30] 논문 Librarian as Fair Witness: A Comparison of Heinlein's Futuristic Occupation and Today's Evolving Information Professional https://cpb-us-e1.wp[...] 2011-03
[31] 논문 Transversality and the Role of the Library as Fair Witness 2005-04
[32] 서적 Be Bad First: Get Good at Things Fast to Stay Ready for the Future Routledge 2016
[33] 웹사이트 Geek Trivia: Comic relief http://www.techrepub[...] TechRepublic 2005-02-01
[34] 뉴스 Heinlein Gets the Last Word https://www.nytimes.[...] 1990-12-09
[35] 서적 ''Stranger in a Strange Land'': BookCaps Study Guide https://books.google[...] BookCaps Study Guides 2011
[36] 웹사이트 Heinlein's Original 'Stranger' Restored https://www.chicagot[...] 1990-12-16
[37] 웹사이트 Comment dated 22 Aug 2010 in ''Polyandry in the News!'' https://polyinthemed[...] 2018-03-04
[38] 웹사이트 Title: Stranger in a Strange Land http://www.isfdb.org[...] 2013-06-10
[39] 웹사이트 Stranger in a Strange Land - Robert A. Heinlein https://web.archive.[...] Putnam Adult 2007-07-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