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의천도룡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천도룡기》는 원나라 말기에서 명나라 초기를 배경으로 하는 김용의 무협 소설이다. 주인공 장무기를 중심으로, 무림의 갈등과 사랑, 배신을 그린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장무기, 조민, 주지약 등이 있으며, 무당파, 아미파, 소림파 등 다양한 문파와 명교 세력 간의 대립이 펼쳐진다. 소설 속에는 의천검과 도룡도를 둘러싼 무림 고수들의 쟁탈전, 구양진경, 건곤대나이 등 강력한 무공, 그리고 다양한 미디어 믹스 작품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세기를 배경으로 한 소설 - 장미의 이름
    《장미의 이름》은 14세기 이탈리아 수도원에서 벌어지는 살인 사건을 프란체스코회 수사 윌리엄과 조수 아드소가 조사하며, 장서관의 비밀, 가난론 논쟁, 그리고 지식과 권력의 관계 등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는 추리소설로, 여러 매체로 각색되었다.
  • 원나라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의천도룡기 (영화)
    김용의 무협 소설 『의천도룡기』를 원작으로 왕정 감독이 연출하고 이연걸이 제작 및 출연한 1993년 홍콩 영화 의천도룡기는 원나라 말기 의천검과 도룡도를 둘러싼 무림 고수들의 다툼 속에서 부모를 잃은 장무기가 복수를 위해 강호를 누비는 이야기이다.
  • 1961년 소설 - 캐치-22
    조지프 헬러의 소설 캐치-22는 제2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부조리한 군사 규정 "캐치-22"를 통해 관료주의와 권력 남용을 비판하고 전쟁의 허무함과 인간 소외를 탐구하는 20세기 미국 문학의 중요한 작품이다.
  • 1961년 소설 - 낯선 땅 이방인
    로버트 A. 하인라인의 과학 소설 《낯선 땅 이방인》은 화성에서 자란 인간 발렌타인 마이클 스미스가 지구로 돌아와 문화 충돌을 겪고 만물교회를 창시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으로, 자유 연애 등의 파격적인 묘사로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나 휴고상 수상 및 베스트셀러 등극으로 현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의천도룡기 - [서적]에 관한 문서
개요
원제倚天屠龍記
장르무협 소설
작가진융
국가영국령 홍콩
언어중국어
시리즈사조삼부곡
출판사밍파오 (홍콩)
광주출판사 (중국)
원류출판사 (대만)
발표일1961년 7월 6일
이전 작품사조영웅전
다음 작품소오강호

2. 역사적 배경

''의천도룡기''는 원나라 말기에서 명나라 초기에 이르는 격동의 시기를 배경으로 한다. 몽골족이 세운 원나라의 지배력이 약화되고 한족의 저항이 거세지던 14세기 중반의 중국 대륙이 주요 무대이다.[3] 작품은 송나라 멸망 약 100년 후의 시점에서 시작하며, 원나라의 쇠퇴와 주원장에 의한 명나라 건국 과정을 강호의 이야기와 엮어 흥미진진하게 그려낸다.[3]

이 시기 한족몽골족 사이의 민족적 갈등은 작품의 중요한 축을 이루며, 원나라의 통치에 맞서는 한족의 투쟁이 중심 서사로 전개된다. 이는 사조영웅전신조협려에서 곽정, 황용 부부가 의천검과 도룡도에 원나라에 항거하는 데 도움이 될 비밀을 숨긴 설정과도 연결된다. 소설은 명교를 중심으로 한 강호 세력과 주원장, 서달, 상우춘 등 실존 역사 인물들이 원나라에 맞서 싸우는 과정을 통해 역사적 사실과 허구적 상상력을 결합시킨다. 주인공 장무기는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명교의 지도자가 되어 반원(反元) 투쟁을 이끌지만, 결국 권력 투쟁의 현실에 환멸을 느끼고 강호를 떠난다. 그의 퇴장 이후 주원장이 명나라를 건국하게 된다.

2. 1. 시대적 배경

작품의 시대적 배경은 원나라 말기에서 명나라가 건국될 즈음인 명나라 초기이며, 주요 이야기는 원나라 말기 토곤 테무르 황제 치하에서 전개된다.[3] 이야기는 14세기 중반 무렵, 전작인 신조협려로부터 약 100년이 지난 시점의 중국 대륙을 무대로 한다.[3]

당시는 몽골족이 세운 원나라가 중국을 지배하던 시기로, 소설은 원나라의 쇠퇴기부터 주원장이 명나라를 건국하기까지의 과정을 파란만장하게 그리고 있다. 작품 속에서는 한족몽골족의 갈등, 그리고 원나라의 지배에 대한 한족의 저항이 중요한 축을 이룬다. 이는 전편인 사조영웅전신조협려의 주요 인물인 곽정·황용 부부가 장차 송나라 멸망 후 한족원나라에 항거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의천검과 도룡도를 만든 취지와도 연결된다.

김용은 소설 속에 훗날 명 태조가 되는 주원장과 항원 투쟁의 선봉장인 서달, 상우춘 등 실제 역사 인물들을 등장시켜 허구의 주인공들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게 한다. 이를 통해 역사적 사실과 허구적 상상력을 결합하여 역사소설의 깊이와 무협소설의 재미를 동시에 추구했다.

한편, 소설은 원나라한족이 극복해야 할 대상으로 그리고 있는데, 이는 당시 몽골 제국이 형성했던 세계 질서인 '팍스 몽골리카(Pax Mongolica)'의 관점에서 보면 다소 한족 중심적인 시각이라는 해석도 있다. 즉, 한족의 패권 확립을 위해 몽골족원나라에 저항하는 과정이 결과적으로 더 큰 세계 체제 내에서의 영향력 확대 가능성을 스스로 제한한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이는 작가 김용이 후기 작품에서 보여주는 '오족공화(五族共和)'와 같은 다민족 통합 국가관과는 차이가 있으며, 초기 작품의 대한족중심주의적 경향을 보여주는 부분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2. 2. 원나라 말기의 상황

''의천도룡기''는 원나라 말기, 몽골족중국 대륙을 지배하던 14세기 중반경을 배경으로 한다.[3] 이 시기는 송나라가 멸망한 후 한족원나라의 통치에 저항하며 몽골족과의 갈등이 깊어지던 때였다. 소설은 이러한 원나라 쇠퇴기부터 명나라 건국까지의 과정을 파란만장하게 그리고 있다.

작품 속에서 원나라한족 주인공들이 맞서 싸워야 할 극복 대상으로 묘사된다. 주인공 장무기는 명교의 교주가 되어 여러 강호 세력과 반란군을 이끌고 원나라를 몰아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과정에서 훗날 명나라 태조가 되는 주원장을 비롯해 서달, 상우춘 등 실제 역사 인물들이 등장하여 허구의 인물들과 관계를 맺으며 이야기에 현실감을 더한다. 작가 김용은 이처럼 역사적 사실과 허구를 교묘하게 결합하여 역사소설의 깊이와 무협소설의 재미를 동시에 추구했다.

당시 원나라는 13세기 '팍스 몽골리카'로 불리는 광대한 세계 체제의 일부였으나, 소설에서는 한족의 관점에서 원나라에 대한 저항을 강조한다. 이는 초기 김용 작품에서 나타나는 한족 중심적 시각을 반영하는 것으로, 몽골족이나 거란족 등을 이민족으로 간주하고 극복 대상으로 설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팍스 몽골리카라는 세계 체제를 약화시키는 데 일조했다는 해석도 존재한다. 이는 훗날 ''천룡팔부''나 ''녹정기''에서 보이는 여러 민족의 공존을 강조하는 오족공화 사상과는 차이를 보인다.

강호 세계 역시 이러한 시대적 배경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무당파, 소림사 등으로 대표되는 소위 정파와 명교로 대표되는 사파 사이의 오랜 갈등이 존재했지만, 원나라 타도라는 공동의 목표 아래 이들 사이의 오해가 풀리고 협력하는 모습이 그려지기도 한다. 특히 명교는 단순한 강호 문파를 넘어 원나라에 맞서는 반란 세력의 중심 역할을 수행한다.

2. 3. 명나라 건국 과정

원나라 말기, 몽골족의 지배에 저항하는 한족의 움직임이 거세지는 시기를 배경으로, 주인공 장무기는 여러 기연과 시련을 거쳐 명교의 제34대 교주로 추대된다. 그는 분열되었던 명교를 통합하고 강호의 여러 세력과 힘을 합쳐 원나라에 맞서는 반란 세력의 중심 인물로 부상한다.[3]

장무기의 휘하에는 훗날 명나라 건국의 핵심 인물이 되는 주원장, 서달, 상우춘 등이 있었다. 이들은 소설 속에서 장무기와 함께 원나라와의 싸움에 참여하며 활약한다. 장무기는 뛰어난 무공과 덕망으로 흩어져 있던 반원 세력을 규합하여 원나라를 몰아내는 데 결정적인 공헌을 한다.

그러나 장무기는 권력 자체에는 큰 욕심이 없었던 반면, 그의 부하였던 주원장은 남다른 정치적 야심을 품고 있었다. 주원장은 명교 내에서 세력을 키우고, 때로는 권모술수를 사용하여 경쟁자들을 제거하며 실권을 장악해 나간다. 소설은 주원장을 목적 달성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냉혹한 인물로 묘사하며, 이는 '독하지 않으면 대장부가 될 수 없다(無毒不丈夫)'는 속담으로 집약될 수 있다.

결국 장무기는 주원장을 비롯한 일부 세력의 권력욕과 변질된 모습에 실망하고 환멸을 느낀다. 소설의 판본에 따라 장무기가 명교 교도들의 배신 음모를 오해하거나(제2판), 한림아의 죽음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 것에 대한 자책감 등으로(제3판) 지도자 자리를 내려놓는 계기가 묘사된다.[3] 그는 명나라 건국이 가시화되는 시점에서 모든 것을 뒤로하고 사랑하는 여인 조민과 함께 강호를 떠나 은둔한다.

장무기가 사라진 후, 주원장은 반란 세력의 주도권을 완전히 장악하고 남경을 점령하여 명나라를 건국, 스스로 황제(홍무제)의 자리에 오른다. 아이러니하게도 홍무제는 자신이 성장하는 데 기반이 되었던 명교의 세력이 황권에 위협이 될 것을 경계하여, 결국 명교를 탄압하고 해체시키는 정책을 편다. 이는 권력을 쟁취하는 과정에서 도움을 주었던 세력마저 제거하는 정치의 비정한 단면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3. 주요 등장인물

중국몽골이 이끄는 원나라 말기(대략 14세기 중반)를 배경으로 하는 이 이야기는 무림의 지배권을 가져다준다고 알려진 두 개의 강력한 무기, 의천검(倚天劍)과 도룡도(屠龍刀)를 둘러싸고 펼쳐진다. 당시 무림은 무당파, 소림파 등이 속한 '정파(正派)'와 명교로 대표되는 '사파(邪派)'로 나뉘어 대립하고 있었다. 이야기 시작 시점에서 의천검은 아미파의 장문인 멸절사태가, 도룡도는 명교의 법왕인 '금모사왕' 사손이 가지고 있었다.

소설의 주인공 '''장무기'''는 무당파 장취산과 명교 천응교 은소소 사이에서 태어났다. 외딴 빙화도에서 의부(義父)인 사손과 함께 자랐으나, 중원으로 돌아온 후 부모를 잃고 고아가 된다. 여러 기연을 통해 구양진경과 명교의 비기 '건곤대나이' 등 절세 무공을 익히고 강력한 고수가 된다. 그는 명교를 멸망시키려는 6대 문파의 공격을 막아내고 오해를 풀도록 도우면서 명교의 새로운 교주로 추대된다. 명교 교주가 된 장무기는 교단을 개혁하고, 원나라에 맞서는 반란 세력을 이끄는 중심인물이 된다.[3]

장무기는 모험 과정에서 네 명의 여성과 복잡한 관계를 맺게 된다. 외사촌인 '''은리'''(주아), 그를 헌신적으로 돕는 페르시아계 하녀 '''소소''', 어린 시절 친구이자 아미파 제자인 '''주지약''', 그리고 처음에는 적이었으나 그를 사랑하게 되는 몽골 공주 '''조민'''이 그들이다.

이 외에도 명교의 주요 인물들, 장무기의 태사부인 무당파 창시자 장삼봉과 무당칠협, 아미파의 멸절사태, 그리고 모든 사건의 배후에서 음모를 꾸미는 성곤 등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여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소설의 결말에서 장무기는 주원장 등 부하들의 정치적 야심과 강호의 암투에 환멸을 느끼고 명교 교주 자리에서 물러나, 진정한 사랑이라 깨달은 조민과 함께 은둔한다.[3] 장무기가 떠난 후, 그의 부하였던 주원장이 명교의 세력을 이용해 명나라를 건국하고 황제가 된다.

3. 1. 장무기와 그 주변 인물


  • '''장무기''': 소설의 주인공. 무당파의 장취산과 명교 천응교의 은소소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외딴 섬 빙화도에서 의부인 사손과 함께 자랐으며, 중원으로 돌아온 후 부모를 잃고 현명이로에게 현명신장을 맞아 한독으로 고생한다. 그러나 뛰어난 자질과 여러 기연을 통해 구양진경, 건곤대나이, 태극권, 태극검 등 절세 무공을 익히게 된다.[3] 천성이 순수하고 자비로우며 다른 사람의 단점을 기억하기보다 장점을 보려 한다. 심지어 부모의 원수에게도 자비를 베푸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성품 덕분에 여러 위기를 넘기고, 광명정 전투에서 6대 문파의 공격을 막아내며 분열된 명교를 통합하고 제34대 교주로 추대된다. 명교 교주로서 원나라에 대항하는 반란 세력을 이끌지만, 사랑 앞에서는 조민, 주지약, 은리, 소소 사이에서 갈등하며 우유부단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결국 주원장 등 부하들의 정치적 야심과 강호의 암투에 환멸을 느끼고 교주 자리를 양소와 범요에게 넘긴 뒤, 조민과 함께 은둔한다.[3] 그의 성장은 착하지만 병약했던 아이가 시련을 통해 명교 교주이자 무림 고수로 거듭나는 과정이며, '부드러움(柔)'과 '외유내강(外柔內剛)'으로 요약될 수 있다.

  • '''조민''': 원나라 여양왕 차칸 테무르의 딸이자 소민군주. 몽골 이름은 민민테무르이다. 처음에는 몽골족의 입장에서 강호 문파들을 탄압하며 장무기와 대립하지만, 여러 사건을 겪으며 장무기의 인품에 반해 그를 깊이 사랑하게 된다. 장무기를 돕기 위해 자신의 신분과 동족을 등지며 적극적으로 행동한다. 지략이 뛰어나고 당찬 성격이지만 사랑 앞에서는 헌신적인 모습을 보인다. 결국 장무기의 진정한 사랑으로 선택받아 함께 강호에서 은퇴한다.[3]

  • '''주지약''': 아미파 장문인 멸절사태의 제자이자 장무기의 어린 시절 친구. 아름답고 청순한 외모를 지녔으며 장무기를 사랑하지만, 스승 멸절사태의 강압적인 유언과 명교에 대한 증오심 때문에 장무기를 배신하고 의천검과 도룡도의 비밀을 이용해 악행을 저지른다. 아미파의 장문인이 된 후 구음진경의 무공을 익혀 강력한 힘을 얻지만, 장무기가 결혼식 날 조민을 따라가자 큰 상처를 받고 복수를 다짐하며 어두운 면모를 드러낸다. 소설의 마지막에는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는 듯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 '''은리''' (주아): 장무기의 외사촌 동생이자 은천정의 손녀. 어릴 적 아버지의 첩을 죽이고 가출하여 금화파파의 제자가 되었다. 천주만독수라는 독공을 익혀 외모가 흉측하게 변했지만, 어린 시절 자신을 물었던 장무기를 '못난이'라 부르며 평생 그리워한다. 영사도에서 주지약에게 얼굴을 심하게 다치고 죽은 줄 알았으나 살아 돌아온다. 장무기 본인을 만난 후에도 과거 기억 속의 장무기를 찾아 떠난다.

  • '''소소''': 페르시아 명교 총교 교주인 데이키스의 딸. 어머니의 죄를 갚기 위해 광명정의 시녀로 잠입하여 건곤대나이를 훔치려 했으나, 자신을 친절하게 대해준 장무기를 진심으로 사랑하게 된다. 장무기의 곁에서 그를 헌신적으로 돕지만, 결국 어머니를 대신해 페르시아 명교 총교의 교주가 되어 중원을 떠나야 하는 운명을 받아들인다.

  • '''사손''' (금모사왕): 명교 사대 호교법왕 중 한 명으로, 금색 머리카락 때문에 '금모사왕'이라 불린다. 장무기의 의부. 스승 성곤에게 온 가족이 살해당한 후 복수심에 불타 도룡도를 빼앗고 수많은 살인을 저질렀다. 장취산과 은소소를 빙화도로 데려가 함께 살았으며, 장무기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소설 후반부에 성곤과의 원한을 풀고 지난날의 죄를 참회하며 소림사에 귀의하여 승려가 된다.

  • '''은천정''' (백미응왕): 명교 사대 호교법왕 중 한 명이자 장무기의 외조부. 명교 교주 양정천 사후 교세가 약해지자 독자적으로 천응교를 창설했으나, 외손자 장무기가 교주가 되자 다시 명교에 합류한다. 강직하고 호방한 성격의 노고수였으나, 소림사에서 열린 도사대회에서 삼신승(조민 측 고수)과 싸우다 입은 부상으로 사망한다.

  • '''은야왕''': 은천정의 아들이자 장무기의 외숙부. 은리의 아버지이다. 여러 처첩을 두어 딸 은리와 갈등을 빚었으나, 현명이로에게 중상을 입고 죽을 고비를 넘기면서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후에 은리와 화해한다.

  • '''위일소''' (청익복왕): 명교 사대 호교법왕 중 한 명. 천하제일의 경공술을 지녔다. 한빙면장이라는 무공을 잘못 연마하여 주기적으로 한독이 발작해 사람의 피를 빨아야 하는 부작용을 겪었으나, 광명정 비밀 통로에서 장무기의 구양신공으로 치료받아 완치된다.

  • '''데이키스''' (자삼용왕, 금화파파): 명교 사대 호교법왕 중 첫 번째. 본래 페르시아 명교 총교의 성녀였으나 중원 명교로 와 양정천 교주의 수양딸이 되었다. 뛰어난 미모와 수중전 능력으로 '자삼용왕'이라 불렸다. 명교의 적인 한천엽과 사랑에 빠져 혼인하고 영사도로 숨어들어 딸 소소를 낳았다. 성녀는 혼인할 수 없다는 페르시아 총교의 규율을 어겨 추격을 받게 되자, 흉측한 노파(금화파파)로 변장하고 다니며 신분을 숨겼다. 후에 페르시아 총교 사자들(풍운삼사)에게 붙잡혀 화형당할 위기에 처했으나 장무기의 도움으로 풀려나고, 딸 소소를 총교 교주로 세운 뒤 페르시아로 돌아간다.

  • '''양소''': 명교 광명좌사자. 뛰어난 지략과 무공을 겸비했으며, 교주 공백기에 명교의 실권을 장악했으나 이로 인해 내부 분열을 초래하기도 했다. 아미파 제자 기효부와의 사이에서 딸 양불회를 두었다. 장무기가 교주가 된 후 충성을 다하며 그를 보좌했고, 장무기가 은퇴한 후에는 범요와 함께 명교를 이끌게 된다.[3]

  • '''범요''': 명교 광명우사자. 양소와 함께 '소요이선'으로 불릴 만큼 뛰어난 인물이었으나, 명교를 내부에서 무너뜨리려는 성곤의 음모를 파헤치기 위해 스스로 용모를 훼손하고 원나라 여양왕부에 잠입하여 스파이로 활동했다. 장무기가 교주가 된 후 명교로 복귀하여 활약하며, 장무기 은퇴 후 양소와 함께 명교를 이끈다.[3]

  • '''양불회''': 양소와 기효부의 딸. 이름 '불회(不悔)'는 부모의 사랑에 후회가 없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어머니를 죽게 한 아버지에 대한 원망과 죄책감을 가진 은리정(무당칠협 중 한 명)과 혼인하여 그의 상처를 보듬어준다.

  • '''명교 오산인''': 명교의 고수들로, 각기 다른 개성을 지녔다.
  • '''설불득''' (포대화상): 항상 큰 포대를 메고 다니며 익살스러운 성격이다. 장무기를 광명정으로 데려와 구양신공을 완성하고 성곤과 대면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 '''팽형옥''' (팽화상): 정민군에게 한쪽 눈을 잃은 애꾸눈이다.
  • '''장중''' (철관도인): 명교를 위해서라면 체면을 가리지 않는 강직한 인물이다.
  • '''냉겸''' (냉면서생): 과묵하고 냉철하며 뛰어난 행정 능력을 지녔다. 장무기 집권 후 명교의 행정을 총괄한다.
  • '''주전''': 입이 가볍고 방정맞아 양소와 자주 충돌한다.

  • '''호청우''' (접곡의선): '죽어도 구하지 않는다(見死不救)'는 별명을 가진 천하의 명의. 명교 소속이 아니면 아무리 위급해도 치료해주지 않는 괴팍한 성격이지만, 장무기의 순수한 마음에 감동하여 현명신장의 한독을 치료해주고 자신의 의술을 전수한다. 후에 금화파파에게 아내 왕난고와 함께 살해당한다.

  • '''왕난고''': 호청우의 아내이자 독술의 대가. 남편과 서로 독을 쓰고 해독하는 기이한 경쟁을 벌여왔다. 금화파파에게 살해당하기 전, 장무기에게 자신의 독술 비전을 전수한다.

  • '''주원장''': 본래 황각사의 승려였으나 명교에 투신하여 반원 의병장으로 활동한다. 뛰어난 지략과 야심을 가졌으며, 장무기와 조민의 관계를 빌미로 교주 자리를 빼앗으려 시도했으나 실패한다. 소설 말미에는 명교의 세력을 이용하여 명나라를 건국하고 황제가 되지만, 과정에서 권모술수를 서슴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 '''상우춘''', '''서달''': 주원장과 함께 명교 소속으로 활동한 반원 영웅들. 상우춘은 한수에서 장삼봉에게 구해진 인연으로 어린 장무기를 호청우에게 데려다주었다. 서달은 의협심이 강하여 위험에 처한 장무기와 양불회를 구해주었다. 두 사람 모두 후에 명나라 건국에 큰 공을 세우지만, 상우춘은 요절한다.

  • '''성곤''' (혼원벽력수): 사손의 사부이자 불구대천의 원수. 과거 연인을 명교 교주 양정천에게 빼앗겼다는 오해(실제로는 성곤이 먼저 양정천의 부인과 불륜 관계였다)로 명교에 깊은 증오심을 품고 복수를 계획한다. 제자 사손의 일가를 몰살하고, 강호 곳곳에서 이간질과 음모를 꾸며 명교와 정파 간의 갈등을 격화시키는 등, 소설 전체의 갈등을 일으키는 주요 악역이다. 혼원벽력수라는 강력한 무공을 사용한다.

  • '''현명 이로''': 녹장객과 학필옹 형제. 음한하고 강력한 현명신장이라는 무공을 사용하며, 조민의 수하로 활동한다. 어린 장무기에게 현명신장을 적중시켜 오랫동안 고통받게 만들었다.

  • '''장삼봉''': 무당파의 창시자이자 태극권의 창시자로 추앙받는 전설적인 인물. 100세가 넘는 나이에도 무림 최고수 중 한 명으로 존경받는다. 곽양(아미파 창시자)과도 안면이 있다. 장무기의 태사부로서 그에게 큰 가르침과 영향을 준다.

  • '''무당 칠협''': 장삼봉의 일곱 제자(송원교, 유연주, 유대암, 장송계, 장취산, 은리정, 막성곡)로, 의형제를 맺고 무림에서 높은 명성을 떨쳤다. 장무기의 아버지 장취산도 그중 한 명이다.

3. 2. 명교

페르시아조로아스터교 혹은 마니교에서 유래한 종교 문파로, 작중 원나라 말기 한족몽골족 지배에 대한 저항 운동의 중심 세력으로 그려진다. 소림사, 무당파를 위시한 중원 무림의 6대 문파로부터 '마교(魔敎)' 또는 '사교(邪敎)'로 불리며 적대시되었으나, 이는 원나라 지배 세력과의 관계 및 오랜 오해와 편견에 기인한 측면이 크다. 훗날 명나라를 건국하는 주원장이 명교 출신이었기에 국호를 '명(明)'으로 정했다는 설정이 있다. 본부는 곤륜산의 광명정(光明頂)에 위치한다.

33대 교주 양정천(陽頂天) 사후 교주 자리가 오랫동안 공석이었으나, 장무기가 6대 문파의 광명정 총공격을 막아낸 공로로 제34대 교주로 추대된다. 장무기의 지도 아래 명교는 내부 분열을 수습하고 원나라에 대항하는 의병 활동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명교의 힘을 바탕으로 성장하여 명나라를 건국한 주원장은 황제가 된 후 오히려 명교의 세력을 경계하여 탄압하고 결국 조직을 와해시킨다. 이는 권력을 위해 동지였던 명교를 배신하고 제거하는 주원장의 냉혹한 정치적 면모를 보여준다.[3]

역사적으로 백련교한산동이 명교군의 총사령관으로 등장하는 등, 실제 원말 홍건적의 난과 같은 역사적 사건과 인물들이 소설 내용에 반영되어 있다.

=== 주요 인물 ===

'''명교 주요 인물'''
직책인물설명
제34대 교주장무기장취산과 은소소의 아들. 구양진경, 건곤대나이 등 절세 무공을 익히고 명교를 이끌어 원나라에 항거한다.
광명좌사(光明左使)양소소요 이선(逍遙二仙) 중 한 명. 교주 공백기에 명교를 실질적으로 이끌었다. 기효부와의 사이에서 딸 양불회를 두었다. 후에 제35대 명교 교주가 된다.
광명우사(光明右使)범요소요 이선(逍遙二仙) 중 한 명. 양소와 함께 명교의 핵심 인물이다.
자삼용왕(紫衫龍王)다이치스사대 호교 법왕 중 첫째. 페르시아 총교의 성녀 출신으로, 중원 명교 33대 교주 양정천의 수양딸이 되었다. 한천엽과 혼인하여 규율을 어긴 후, 신분을 숨기고 금화파파(金花婆婆)로 활동했다. 딸은 소소이다.
백미응왕(白眉鷹王)은천정사대 호교 법왕 중 둘째. 명교와 분리되어 천응교(天鷹敎)를 창설했으나, 광명정 전투 후 명교와 합류한다. 장무기의 외조부이다.
금모사왕(金毛獅王)사손사대 호교 법왕 중 셋째. 도룡도를 소유했으며, 성곤에게 일가족을 잃은 원한으로 복수를 추구한다. 장무기의 의부(義父)이다.
청익복왕(青翼蝠王)위일소사대 호교 법왕 중 넷째. 뛰어난 경공술을 지녔다.
백미응왕의 딸은소소은천정의 딸이자 장무기의 어머니. 천응교 소속이었다.
백미응왕의 아들은야왕은천정의 아들이자 장무기의 외숙부. 천응교 소속이었다.
관련 인물양불회양소와 기효부의 딸. 후에 무당파의 은리정과 혼인한다.
관련 인물소소다이치스의 딸. 장무기를 연모했으나, 어머니를 대신해 페르시아 총교 교주가 되어 떠난다.
의병장 / 명나라 황제주원장원래 황각사 승려였으나 명교에 가담하여 세력을 키웠다. 장무기의 부하였으나, 후에 명나라를 건국하고 초대 황제가 된다. 권모술수에 능하며 명교를 탄압했다.
명나라 개국공신서달, 상우춘주원장 휘하의 명교 출신 장수들. 원나라와의 전쟁에서 활약했다.



=== 페르시아 총교 ===

중원 명교의 뿌리가 되는 본산이다. 다이치스는 원래 페르시아 총교의 성녀였으나, 규율을 어기고 혼인하여 교단의 추격을 받게 된다. 페르시아 총교는 사절단인 풍운삼사(流雲使, 妙風使, 輝月使)를 파견하여 다이치스를 체포하려 했으며, 이들은 성화령(聖火令) 신공이라는 특이한 무공을 사용하며 장무기와 대결한다. 장무기는 인질 교환을 통해 다이치스를 구출하고, 이후 다이치스의 딸인 소소가 페르시아 총교의 교주가 되어 중원을 떠난다.

=== 관련 무공 ===


  • '''건곤대나이(乾坤大挪移)''': 명교 교주에게만 비밀리에 전수되는 최상위 심법이자 무공. 극도로 익히기 어려워 역대 교주 중에서도 끝까지 연성한 이가 드물었으나, 장무기는 구양진경의 깊은 내공을 바탕으로 단시간에 7단계까지 익혀낸다.
  • '''성화령 신공(聖火令神功)''': 페르시아 총교의 무공. 기이하고 예측 불가능한 초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3. 3. 페르시아 명교


  • '''다이치스''': 명교 사대 호교법왕 중 첫 번째인 '''자삼용왕'''이다. 보라색 옷을 입고 수중전에 능하여 자삼용왕이라 불린다. 본래 페르시아 명교 성녀였으나 중원 명교에 들어와 제33대 교주 양정천의 양녀가 되었다. 이후 영사도에서 온 한천엽이 아버지의 복수를 위해 명교 광명정에 찾아오자, 다이치스는 양정천의 허락을 받고 얼음처럼 차가운 벽수한담에서 한천엽과 수중 비무를 벌였다. 수중전에서 패배한 한천엽이 병석에 눕자 다이치스가 그를 간호하던 중 연민을 느껴 혼인하게 되었고, 돌연 한천엽과 함께 영사도로 떠났다. 그러나 성녀는 혼인할 수 없다는 페르시아 명교의 규율을 어겨 교단의 추격을 받게 되었다. 추격을 피하기 위해 철가면을 쓰고 할머니 모습으로 변장하여 '''금화파파'''로 불리게 된다. 훗날 풍운삼사에게 붙잡혀 화형당할 위기에 처했으나, 장무기가 평등보수왕을 인질로 삼아 교환하여 풀려났다. 이후 딸 소소를 페르시아 명교 총교주로 세우고 중원을 떠났다.
  • '''소소''': 다이치스의 딸이다. 어머니를 대신하여 명교 광명정에 잠입해 건곤대나이를 훔치려 하였다. 양불회에게 학대받던 자신을 구해준 장무기를 사랑하게 되었으나, 어머니의 죄값을 치르기 위해 페르시아 명교 교주가 되어 중원을 떠나야 했다.
  • '''평등보수왕''': 페르시아 명교 총교주 바로 아래 직위인 십이보수왕 중 한 명이다. 십이보수왕은 명교 경전을 연구하는 대경사(大經師) 역할을 한다. 다이치스가 페르시아 명교 사자들에게 붙잡혀 화형당할 위기에 처했을 때, 장무기에게 인질로 잡혀 다이치스와 교환되었다.
  • '''풍운삼사''': 페르시아 명교의 사절단이자 다이치스를 체포하기 위해 파견된 세 명의 사신이다. 모두 페르시아인으로, 푸른 눈의 유운사, 노란 수염의 묘풍사, 검은 머리에 옅은 눈동자색을 가진 휘월사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성화령 신공을 바탕으로 장무기와 대적했으며, 성화령을 무기로 사용했다. 장무기는 도룡도로 맞섰으나 고전했고, 조민의 도움을 받아 겨우 이들을 물리칠 수 있었다.

3. 4. 무당파

무술의 천재 장삼봉이 창설한 문파로, 소림사, 아미파, 곤륜파, 화산파, 공동파와 함께 중국 무림의 6대 문파 중 하나로 꼽힌다.[3] 태극권의 창시자이기도 한 장삼봉과 그의 뛰어난 제자들인 무당칠협은 '당대 제일의 고수'로서 무림에 이름을 떨치고 있다.

; 장삼봉

: 무당파의 창시자이자 초대 장문인. 태극권을 창시했으며, 나이가 백 살이 넘은 무림의 태산북두와 같은 존재이다. 아미파의 창시자인 곽양(『사조영웅전』 주인공 곽정과 황용의 딸)과도 안면이 있을 정도로 오랜 세월 무림의 존경을 받아왔다.

; 무당칠협

: 장삼봉의 일곱 제자들로, 서로 의형제의 의를 맺었다. 각자의 무공 실력이 뛰어나 무림에서 명성이 높다.

순서이름비고
맏제자송원교장삼봉의 뒤를 이을 2대 장문인으로 여겨졌다. 아들로 송청서가 있다.
둘째 제자유연주
셋째 제자유대암무당산으로 돌아가던 중 도룡도를 둘러싼 싸움에 휘말려 중상을 입고, 이후 정체 모를 인물들에 의해 온몸의 뼈가 부러져 재기 불능 상태가 된다.
넷째 제자장송계
다섯째 제자장취산주인공 장무기의 아버지. 스승의 명으로 유대암 사건의 진상을 조사하러 강남으로 갔다가 명교 천응교 교주의 딸 은소소와 만나 사랑에 빠진다. 이후 사손과 함께 외딴 섬에서 지내다 중원으로 돌아오지만, 사손과 도룡도의 행방을 캐묻는 무림 문파들의 압박에 못 이겨 아내와 함께 자결한다.
여섯째 제자은리정
막내 제자막성곡



; 기타 관련 인물


  • 송청서: 송원교의 아들.
  • 장무기: 장취산과 은소소의 아들. 무당파와 명교 모두에 깊은 관련이 있다. 비록 무당파에서 직접 무공을 배우지는 않았으나, 장삼봉에게 큰 사랑을 받는다.

3. 5. 아미파

아미파는 중국 무림의 6대 문파 중 하나로 꼽힌다.[3] 6대 정파 중 유일하게 역대 장문인이 여성인 문파라는 특징을 가진다.

초대 장문인은 『사조영웅전』의 주인공 곽정과 황용의 딸인 곽양이다. 곽양은 무당파의 창시자 장삼봉과도 안면이 있는 인물로 알려져 있다. 아미파는 곽양 대부터 의천검을 소유했다.

작품 시점의 아미파 장문인은 3대 장문인인 멸절사태이다. 멸절사태는 자신의 의형이 명교의 사대호교법왕 중 한 명인 금모사왕 사손에게 살해당한 일 때문에 명교를 마음속 깊이 증오한다. 그녀는 제자인 주지약에게 장무기에 대한 감정을 이용하여 의천검과 도룡도를 손에 넣으려는 계획을 세우기도 한다.

주지약은 멸절사태의 제자이자 장무기의 어린 시절 친구이다. 그녀는 장무기를 사랑하지만, 스승인 멸절사태의 강압적인 명령 때문에 그를 배신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멸절사태 사후 아미파의 제5대 장문인이 된다.

멸절사태의 또 다른 제자로는 기효부가 있다. 그녀는 명교 광명좌사 양소와의 사이에서 딸 양불회를 낳았으며, 본래 무당파의 은리정과 약혼한 사이였다.

3. 6. 소림파

소림사무림에서 수백 년간 맹주를 자처해 온 문파이다. 72가지 절기를 가지고 있으며, 그중 하나인 '금강지력'으로 무당파의 유대암은 온몸의 뼈가 부러지는 큰 부상을 입었다.

방장 공문의 사형인 공견은 명교의 호교법왕인 "금모사왕" 사손에게 칠상권을 13번 맞고 쓰러졌다. 이 때문에 소림사는 사손을 원수로 여기며 그를 추격한다.

3. 7. 기타 문파

; 곤륜파

: '검술에 있어서 6대 정파 중 가장 정묘하다'고 일컬어지는 문파이다. 장문인 하태충은 첩을 5명이나 둔 호색한으로, 아내에게 독살당할 뻔한 것을 어린 시절의 장무기가 구해주었다.

; 화산파

: 이 작품에서는 비중이 크지 않은 문파이다. 화산이로(華山二老)라고 불리는 키가 큰 고수와 작은 고수가 있다고 묘사된다. 장문인 선우통은 실력은 뛰어나지 않으나 머리가 좋으며, 독으로 남을 해치려다 실수로 자신이 독을 마시게 된다.

; 공동파

: 칠상권을 사용하는 문파이다. 그러나 복수를 위해 칠상권을 익히려던 사손에게 비전 무예서를 빼앗겼다. 공동오로(崆峒五老)라는 고수들이 있다.

; 개방

: 강호에서 큰 세력을 자랑하며, 명교와는 오랜 숙적 관계이다. 4명의 장로가 있다. 방주 사화룡은 아미파 조사 곽양의 아버지 곽정이 사용했다고 알려진 "강룡십팔장" 중 13장을 자유자재로 구사했다. 그러나 부하 진우량과 그의 사부인 혼원벽력수 성곤의 계략에 의해 살해당하고, 개방은 한동안 이들의 음모에 조종당한다. 이후 명교와 화해하고, 사화룡의 외동딸인 사홍석이 방주가 되며, 명교 교주 장무기가 후견인이 된다. 사홍석을 구하는 과정에서 신조협려에 등장했던 고묘파의 계보를 잇는 것으로 보이는 수수께끼의 여인(황삼여인)이 등장하는데, 스스로 "양씨"라고 밝히는 점 등으로 미루어 양과와 소용녀의 후손으로 추정된다.

4. 주요 무공 및 설정

중국몽골이 세운 원나라 말기(14세기 중반)를 배경으로 하는 이 이야기는 강호(무술가들의 세계)를 지배할 수 있다고 알려진 두 개의 강력한 무기, 의천검과 도룡도를 둘러싸고 펼쳐진다. 당시 강호는 무당파, 소림사 등으로 대표되는 '정파'와 명교(때로는 '사교'로 불림)로 대표되는 '사파'로 나뉘어 대립하고 있었다. 이야기 시작 시점에서 의천검은 아미파의 장문인 멸절사태가, 도룡도는 명교의 고위 간부인 '금모사왕' 사손이 가지고 있었다.

주인공 장무기는 무당파 장삼봉의 제자인 장취산과 명교 계열인 천응교 교주 은천정의 딸 은소소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대부인 사손과 함께 외딴 섬에서 자랐으나, 본토로 돌아온 후 도룡도의 행방을 둘러싼 강호의 음모에 휘말려 부모를 잃고 고아가 된다. 이후 여러 기연을 통해 오랫동안 잊혔던 무공 비급인 『구양진경』과 명교의 비기인 '건곤대나이'를 익히게 된다. 장무기는 이 강력한 무공들을 바탕으로 명교를 위기에서 구하고 교주가 되어, 여러 문파 간의 오해를 풀고 원나라에 맞서는 반란 세력을 이끄는 중심인물이 된다.[3]

작품에는 중원 무림 외에 페르시아 명교와 관련된 설정과 인물들도 등장한다.


  • 다이치스: 페르시아 명교의 성녀 출신으로, 중원 명교 교주 양정천의 양녀가 되었다. 보라색 옷을 즐겨 입고 수중전에 능해 '자삼용왕'이라 불리며 명교 사대 호교법왕 중 첫째로 꼽혔다. 영사도에서 온 한천엽과 혼인하여 함께 영사도로 떠났으나, 성녀는 혼인할 수 없다는 교단의 규율을 어겨 추격을 받게 된다. 이를 피하기 위해 할머니로 변장하고 '금화파파'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훗날 페르시아 명교 사자들에게 잡혀 화형당할 위기에 처하지만, 장무기의 도움으로 풀려나 딸 소소를 페르시아 총교주로 세우고 중원을 떠난다.
  • 소소: 다이치스의 딸. 어머니를 대신해 명교의 성지인 광명정에 잠입하여 건곤대나이를 훔치려 했으나, 자신을 구해준 장무기를 연모하게 된다. 그러나 결국 어머니의 죄를 속죄하기 위해 페르시아 명교의 교주가 되어 떠나야만 했다.
  • 평등보수왕: 페르시아 명교 총교주 바로 아래 직위인 십이보수왕 중 한 명. 보수왕들은 명교 경전을 연구하는 학자들이다. 다이치스가 화형 위기에 처했을 때, 장무기에게 인질로 잡혀 다이치스와 교환되었다.
  • 풍운삼사: 다이치스를 체포하기 위해 파견된 페르시아 명교의 사절단. 푸른 눈의 유운사, 노란 수염의 묘풍사, 검은 머리에 옅은 눈동자색의 휘월사 세 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성화령이라는 무기와 '성화령 신공'을 사용하여 장무기와 대적했으나, 조민의 도움을 받은 장무기에게 패배한다.


이 외에도 구음진경 등 다양한 무공들이 이야기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1. 의천검과 도룡도

의천검과 도룡도는 신조협려의 주인공 양과가 사용했던 현철검을 녹여 만든 전설적인 무기이다. 현철검은 과거 위대한 검객 독고구패의 검이었다. 양과와 소용녀가 양양을 떠나면서 곽정과 황용 부부에게 검을 맡겼고, 부부는 여기에 특수한 강철 재료를 더해 두 개의 무기를 만들었다.[3] 소설의 세 번째 판에서는 의천검은 양과의 군자검과 소용녀의 숙녀검으로, 도룡도는 기존처럼 현철검으로 만들어졌다고 설정이 변경되었다.

곽정 부부가 이 무기들을 만든 이유는 장차 송나라가 멸망한 후 한족원나라의 지배에 항거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함이었다. 이를 위해 두 무기 안에는 각각 중요한 비밀이 숨겨졌다.

  • 도룡도: 칼날 안에 송나라의 명장 악비가 남긴 병법서인 《무목유서》가 숨겨져 있다.
  • 의천검: 칼날 안에 무공 비급인 《구음진경》과 곽정의 필살기인 개방의 강룡십팔장에 대한 두루마리가 숨겨져 있다.


이 비밀 때문에 "무림지존, 보검 도룡, 호령천하, 막감부종. 의천불출, 수여쟁봉(武林至尊, 寶刀屠龍, 號令天下, 莫敢不從. 倚天不出, 誰與爭鋒)"이라는 소문이 강호에 퍼졌다. 이는 도룡도를 가진 자는 천하를 호령할 수 있으며, 오직 의천검을 가진 자만이 그와 맞설 수 있다는 뜻이다.

무기의 소유권은 처음에는 곽정의 자녀에게 주어졌다. 도룡도는 아들 곽파로에게, 의천검은 딸 곽상에게 전해졌다. 이후 의천검과 그 비밀은 아미파의 역대 장문인에게 계승되었으며, 작중에서는 멸절사태가 제자 주지약에게 그 비밀을 물려주었다. 두 무기는 서로 부딪혀야만 부서지도록 만들어졌으며, 주지약은 이 비밀을 이용하여 두 무기를 모두 손에 넣고 부러뜨려 안의 비급을 꺼낸다.

최신 개정판(2005년판)에서는 무기 속 내용물이 변경되었다. 《무목유서》와 《구음진경》 대신, 두 개의 철판 지도 조각이 각각 숨겨져 있다. 이 두 조각을 합치면 비급들이 숨겨진 도화도의 위치를 알 수 있게 된다. 작가 김용은 무기를 부수는 과정에서 비급 두루마리가 손상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하여, 철판 지도가 더 합리적인 설정이라고 보았다.[4]

두 무기의 이름에도 상징적인 의미가 담겨 있다. 중국 문화에서 용(龍)은 황제를 상징하므로, '용을 베는 칼'이라는 뜻의 도룡도(屠龍刀)는 원나라 황제를 몰아내고 한족의 통치를 회복하는 것을 암시한다. 즉, 《무목유서》를 통해 군사적 혁명을 일으키는 것이다. 반면 '하늘에 의지하는 검'이라는 뜻의 의천검(倚天劍)은 하늘의 뜻, 즉 정당성을 상징한다. 만약 새로 등극한 황제가 폭군이 된다면, 의천검 속의 무공(《구음진경》, 《강룡십팔장》)을 익힌 협객이 나타나 그를 제거하고 올바른 통치자를 세울 수 있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4. 2. 구양진경

오랜 세월 동안 잊혀져 있던 무공 비급이다. 장무기는 부상 치료를 위해 방랑하던 중 우연히 외딴 계곡에서 원숭이의 배 속에 숨겨져 있던 『구양진경』(Nine Yang Manualeng)을 발견하게 된다.[3] 총 4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장무기는 5년에 걸쳐 이를 모두 터득한다. 『구양진경』에 묘사된 내공 기술을 익힌 장무기는 이전에 입었던 현명신장의 상처를 스스로 치유하고 강력한 무술 실력을 갖추게 되어, 강호에서 손꼽히는 협객으로 거듭난다.[3]

4. 3. 건곤대나이

명교 교주에게만 대대로 전해지는 강력한 무공 비급이다. 수련 과정이 매우 위험하여, 서두르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장무기는 명교의 비밀 통로에서 우연히 건곤대나이 심법을 발견하고, 구양진경으로 다져진 깊은 내공 덕분에 단기간에 이를 성공적으로 익혔다. 그는 건곤대나이를 사용하여 명교를 멸망시키려던 6대 문파의 공격을 막아내고, 오해를 풀어 양측의 화해를 이끌어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 공로로 그는 명교 교주로 추대되었다.[3]

한편, 페르시아 명교 성녀였던 다이치스의 딸 소소는 어머니를 대신하여 명교 광명정에 잠입했는데, 그 목적 중 하나가 바로 이 건곤대나이를 훔치는 것이었다.

4. 4. 태극권과 태극검

장삼봉이 창시한 무당파의 비기이다.

4. 5. 기타 무공

구양진경오랜 세월을 거쳐, 원숭이 배에 숨겨져 있던 것을 장무기가 입수했다. 총 4권을 5년에 걸쳐 터득했다. 이것으로 현명신장의 상처도 치유되어, 그는 무림 최강의 협객으로 이름을 떨치게 된다.
건곤대나이명교 교주에게 전해지는 강력한 비기이다. 수련을 서두르면 죽음에 이른다. 명교 아지트의 지하에서 장무기가 찾아내, 단기간에 습득해 버렸다.
태극권・태극검장삼봉에 의해 창시된 무당파의 비기이다.
칠상권곤륜파의 필살기이다. 공격한 상대의 경맥을 모조리 파괴한다. 그러나 내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스스로를 상하게 한다.
구음진경전작으로부터 백 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기 때문에, 오랫동안 강호에서 사라졌지만…….

5. 작품의 주제와 특징

김용의 작품에서 자주 나타나는 주제인 "정(正)과 사(邪)의 구분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이 작품의 핵심 주제 중 하나이다.[3] 강호는 흔히 소림, 무당, 아미, 화산, 곤륜, 공동의 육대문파로 대표되는 정파(正派)와 사교(邪敎)로 불리는 명교로 대표되는 사파(邪派)의 대립 구도로 그려진다. 그러나 작가는 정파에도 악인이, 사파에도 선인이 있을 수 있으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정과 사의 구분이 모호해지거나 뒤바뀔 수 있음을 보여준다. 주인공 장무기는 정파인 무당파 장취산의 아들이자, 사파인 명교 계열 천응교 교주 은천정의 외손자라는 배경을 가지고 있어, 양 진영의 갈등 속에서 고뇌하는 모습을 보인다.[3]

작품은 다양한 인물들의 욕망과 집념을 깊이 있게 다룬다. 복수심은 주요 등장인물들을 움직이는 강력한 동기이다. 성곤은 사랑하는 여인을 빼앗긴 것에 대한 복수를, 장무기의 의부인 사손은 가족을 잃은 슬픔에 대한 복수를 위해 일생을 바친다. 아미파의 멸절사태는 명교에 대한 증오와 복수심에 사로잡혀 있으며, 조민의 장무기에 대한 사랑, 송청서의 주지약에 대한 집착, 은리정의 기효부에 대한 집착 등 다양한 형태의 욕망과 집념이 그려진다. 특히 어린 시절의 기억에 집착하는 아리(주아)의 모습은 인간 내면의 복잡한 심리를 보여준다. 명나라를 건국하는 주원장의 야망 역시 중요한 축을 이룬다. 그는 명교 내에서 권모술수를 통해 세력을 키우고 최고 권력자의 자리에 오르는데, 이는 때로는 추악하게 비칠 수 있는 정치적 욕망의 단면을 보여준다.

'사조영웅전', '신조협려'와 마찬가지로 '의천도룡기' 역시 주인공의 성장을 다루는 이야기이다. 병약하고 착했던 소년 장무기가 온갖 역경을 겪으며 명교의 교주이자 강호의 최고 고수로 거듭나는 과정을 그린다. 장무기의 성격은 '부드러움(柔)'으로 요약될 수 있다. 그는 자비심이 깊고 순리를 따르지만(불가(佛家)적 협객), 필요할 때는 강인한 면모(外柔內剛)를 보인다. 하지만 연애 문제에 있어서는 우유부단함이 두드러진다. 조민, 주지약, 소조, 아리(주아) 등 여러 여성 사이에서 갈등하며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모습은 전작의 주인공들과는 다른 인간적인 면모를 보여준다.[3] 곽정이 한결같은 성실함을(유가(儒家)적 협객), 양과가 자유분방함 속에서도 한 여자만을 향한 순애보를 보인 것(도가(道家)적 협객)과 대조적이다.

작품은 원나라 말기에서 명나라 건국까지 이어지는 격동의 시기를 배경으로 하는 역사소설로서의 특징도 지닌다. 칭기즈 칸 시대를 다룬 '사조영웅전', 남송 멸망기를 그린 '신조협려'에 이어, '의천도룡기'는 몽골족원나라 지배에 맞서 한족이 저항하고 새로운 왕조를 세우는 과정을 그린다. 주인공 장무기는 주원장, 서달, 상우춘 등 실존 역사 인물들과 교류하며 역사적 사건에 깊숙이 관여한다. 작가는 허구의 인물과 실제 역사를 자연스럽게 엮어내어 역사소설의 깊이와 무협소설의 재미를 동시에 추구한다.

주인공 장무기가 익히는 구양진경, 건곤대나이, 태극권·태극검 등의 무공은 단순한 기술을 넘어 그의 성격과 사상을 반영하며 문화적 깊이를 더한다. 특히 초식보다 검의(劍意), 즉 마음으로 검을 부리는 '이의어검(以意馭劍)'의 경지를 강조하면서 무공을 문화이자 사상으로 승화시키는 모습을 보여준다.

6. 미디어 믹스

소설 《의천도룡기》는 그 인기에 힘입어 여러 차례 다양한 매체로 재탄생했다. 대표적으로 영화, 드라마, 만화, 게임 등이 제작되었다.

여러 편의 영화와 드라마가 제작되었으며, 홍콩과 타이완, 중국 본토 등 다양한 지역에서 만들어졌다. 또한 만화게임으로도 각색되어 팬들에게 다양한 즐거움을 선사했다. 각 매체별 상세한 정보는 해당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영화

연도제작사주요 출연진비고
1963 / 1965아미 영화사
(홍콩)
장영, 인백, 람가성, 진호구, 진보주의천도룡기
1978쇼 브라더스
(홍콩)
이자웅, 정리, 유가령의천도룡기
1984이지웅, 적룡, 만자량, 종초홍, 유란의천도룡기
1993윈스 엔터테인먼트
(홍콩)
이연걸, 장민, 여시만, 구숙정, 홍금보의천도룡기: 마검교주
2022메가-비전 픽처스
TVB
쇼 브라더스 픽처스 인터내셔널
(홍콩, 중국)
고천락, 견자단, 임봉, 문영산신 의천도룡기 1신 의천도룡기 2


6. 2. 드라마

연도제작주요 출연진추가 정보
1978TVB (홍콩)정소추, 왕명전, 조아지, Wong Wan-choi, 양반반, 진옥련, 하우, 위영지, 석견의천도룡기 (1978년 드라마) 참조
1984TTV (타이완)류더카이, 류위푸, 위커신, 톈리, 류더슈의천도룡기 (1984년 드라마) 참조
1986TVB (홍콩)양조위, 여미한, 등추문, 소미기, 정유령, 임달화, 증강의천도룡기 (1986년 드라마) 참조
1994TVB (홍콩)원영의, 채가려, 이약동, 이사성, 오위국금모사왕 참조
1994TTV (타이완)마경도, 엽동, 주해미의천도룡기 (1994년 드라마) 참조
2000TVB (홍콩)오계화, 여지, 사시만, 유송인, 미설의천도룡기 (2000년 드라마) 참조
2003베이징 아시아 센트럴 오디오 프로덕션 유한공사.
(공동 제작)
소유붕, 가징산, 고원원, 전은, 곽비려, 장국립, 장철림, 서금강, 왕강, 진자한, 도홍의천도룡기 (2003년 드라마) 참조
2009화의 형제 미디어 공사
베이징 캐세이 미디어 유한공사 (중국 본토)
덩차오, 안이헌, 유경, 하탁언, 장멍, 장철한, 왕원가, 우청후이의천도룡기 (2009년 드라마) 참조
2019베이징 캐세이 미디어 유한공사 (중국 본토)증순희, 진옥기, 주서단, 허아사, 조희월, 주해미의천도룡기 (2019년 드라마) 참조


6. 3. 만화

김용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여 마영성이 그림을 그리고 김용이 작가로 참여한 만화 시리즈로 각색되었다. 2002년에는 코믹스원에서 이 만화의 영어 번역본을 "Heaven Sword & Dragon Sabre"라는 제목으로 출판하였다. 만화는 원작 소설의 줄거리 세부 사항을 대부분 유지하고 있지만, 일부 사건의 전개 순서는 소설과 다르게 제시되기도 했다.

6. 4. 게임

2000년, 소프트월드는 이 소설을 기반으로 한 RPG를 출시했다. 이 게임은 광명정 전투 이후에 끝난다.

2004년, 소프트월드는 또 다른 RPG를 출시했다. 이 버전은 전통적인 턴제 RPG 대신 실시간 전투 시스템(이는 ''디아블로'')과 유사하며, 전체 스토리를 따른다.

참조

[1] 서적 Handbook of Chinese Popular Culture Greenwood Press
[2] 문서 The date conforms to the data published in Chen Zhenhui (陳鎮輝), ''Wuxia Xiaoshuo Xiaoyao Tan'' (武俠小說逍遙談), 2000, Huizhi Publishing Company (匯智出版有限公司), p. 57.
[3] 웹사이트 Heavenly-Sword,-Dragon-Slaying-Sabre/3rd-ed-changes http://wuxiapedia.co[...]
[4] 웹사이트 【倚天屠龍記】金庸鉅著被讀者投訴? 最大秘密竟成漏洞 https://hk.news.yaho[...] 2023-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