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부스 호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부스 호모(Novus homo)는 로마 공화정 시대에 조상 중에 집정관급 공직자를 배출한 적이 없는 평민 출신으로, 최고위 공직인 집정관에 오른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초기 로마 공화정에서는 귀족이 원로원 의원과 공직을 독점했으나, 평민의 신분 투쟁을 통해 평민도 이러한 지위에 오르게 되었다. 노부스 호모는 공직 선거에서 불리함을 겪기도 했지만, 로마 제정 시기에는 신분 유동성이 나타나면서 그 의미가 약화되었다. 이 용어는 문학적 주제로도 활용되어, '새로운 인간'이 탁월한 존재로 성장하는 과정을 다루는 데 사용되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인문주의자들이 이 주제를 활용하여 귀족의 명성을 위한 문화적 선전을 펼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노부스 호모 | |
---|---|
개요 | |
정의 | 원로원 의석을 가진 가문 출신이 아닌 사람으로서, 로마 공화정 시대에 쿠르수스 호노룸을 거쳐 집정관에 당선된 첫 번째 사람 |
어원 | 라틴어 "새로운 사람" (novus homo) |
특징 | |
배경 | 로마 사회에서 정치적 영향력이 미미한 평민 또는 기사 계급 출신 |
사회적 위치 | 귀족 계급이 아니었기 때문에, 정치 경력을 쌓는 데 어려움이 많았음 |
성공 요인 | 뛰어난 능력, 대중적 지지, 후원자 (patronus)의 지원 등을 통해 사회적 장벽을 극복하고 고위 관직에 오름 |
대표적 인물 | 가이우스 마리우스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마르쿠스 포르키우스 카토 (대 카토) |
역사적 중요성 | |
정치적 의미 | 기존 귀족 세력의 독점을 깨고, 능력 있는 평민에게도 고위 관직의 기회를 제공 로마 공화정의 유연성과 사회 이동성을 보여주는 사례 |
사회적 영향 | 새로운 인물의 등장으로 로마 사회의 역동성이 증가 능력주의 사회로의 변화를 촉진 |
같이 보기 | |
관련 용어 | 쿠르수스 호노룸 노빌레스 옵티마테스 포풀라레스 |
2. 역사
"새로운 인간" 또는 "낮은 출신이지만 본질적으로 가치 있는 사람이 어떻게 세상에서 탁월한 존재로 올라설 수 있는가"라는 문학적 주제는 세네카의 영향력 있는 서한 XLIV의 ''토포스''였다.[4] 후기 고대 시대의 종착점에서, 이것은 보에티우스의 ''철학의 위안''(iii, vi)에서도 주제였다. 중세 시대에는 단테의 ''향연''(4권)과 페트라르카의 ''De remediis utriusque fortunae''(I.16; II.5)에서 이 주제를 다루었고, 초서의 "바스의 아내 이야기"에서도 다루었다.
기독교적 해석에서 이 주제는 ''자연의 사다리'' 또는 존재의 대사슬 내의 긴장을 시사했는데, 이는 인간의 자유 의지에 의해 발생했다.[5]
이 주제는 종종 자신들의 지혜로 일어선 ''호미네스 노비''(homines novi)[6]인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들에게 자연스럽게 다가왔으며, 고도로 문해력이 높은 새로운 인간들이 점점 더 복잡해지는 재무부를 운영하고, 귀족의 명성을 위한 동시대적 수단이었던 문화적 선전을 만들어야 했던 귀족 궁정의 네트워크 내에서였다. 그리고 그 결과 일종의 지적 ''cursus honorum''을 제공했다. 15세기에 부오나코르소 다 몬테마뇨의 ''Dialogus de vera nobilitate''는 가치 있는 개인에게 내재된 "진정한 고귀함"을 다루었고, 포지오 브라촐리니 또한 인문주의의 핵심인 인간의 책임감과 효율성에 대한 르네상스적 관점을 강조하는 ''De nobilitate''를 장황하게 썼다. ''sicut virtutis ita et nobilitatis sibi quisque existit auctor et opifex''.[7]
주제의 보다 간결한 요약은 프란체스코 파트리지의 De institutionae republicaela(VI.1)와 로리고 산체스 데 아레발로의 백과사전적 저서 ''Speculum vitae humanae''에서 찾을 수 있다. 16세기에는 이 책들과 새로운 텍스트들이 널리 인쇄되어 배포되었다. 산체스 데 아레발로의 ''Speculum''은 1468년 로마에서 처음 인쇄되었으며, 20개가 넘는 인쇄본이 있다. 독일어, 프랑스어 및 스페인어 번역본이 인쇄되었다. 발다사레 카스틸리오네의 ''궁정인''(1528)의 등장인물들은 ''cortegiano''이 귀족이어야 한다는 요구사항을 논의한다(I.XIV-XVI). 이것은 프랑스어, 스페인어, 영어, 라틴어 등으로 번역되었다.[8] 제롬 오소리오 다 폰세카의 ''De nobilitate''(리스본 1542, 16세기에 7번 재판), ''propria strennuitas''("자신의 확고한 노력")를 강조한 책은 1576년에 영어 번역본으로 출판되었다.
''전형''(exemplum)으로 가장 자주 언급되는 로마 인물은 가이우스 마리우스이며, 그의 자기 변호 연설은 살루스티우스의 ''유구르타 전쟁'', 85에 나오는 정해진 내용으로 독자들에게 친숙했다. 르네상스 논문의 가장 친숙한 형식은 귀족의 두 가지 원천을 대조하는 대화이며, 증거는 "새로운 인간"에게 유리하게 편향되어 있다.
2. 1. 초기 로마 공화정
로마 공화정 초기 원로원 의원과 각 공직은 혈통 귀족인 파트리키가 독점했지만, 세력을 늘린 플레브스도 신분 투쟁을 거쳐 이러한 지위에 취임하게 되었다. 그렇다고 해도 로마 사회에서 모든 성인 남성에게 원로원 의원의 길이 열려 있었다고는 말하기 어려웠고, 실질적으로는 기존의 파트리키 이외에 부유한 상층 플레브스만 원로원을 구성했다. 이러한 원로원을 구성하는 파트리키와 상층 플레브스가 일체화된 것이 노빌레스이며, 공화정 중기 이후 노빌레스 가문 출신이 아닌 사람이 로마의 지배 계층에 참가하는 것은 어려워졌다.[2] 노빌레스 가문 출신이 아닌 사람으로서 최고위 공직인 집정관이 된 사람을 ‘노부스 호모’라고 부른다.초기 공화정 시대에는 원로원 의원 자격과 집정관직이 귀족에게만 제한된다는 전통이 있었다. 평민들이 신분 투쟁 기간 동안 이 직책을 얻게 되자, 새로 선출된 모든 평민들은 자연스럽게 ''노부스 호모''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일부 평민 가문들이 귀족 동료들만큼이나 원로원에 자리를 잡게 되면서 ''노부스 호모''는 점점 더 희귀해졌다. 제1차 포에니 전쟁 당시 ''노부스 호모''가 2년 연속으로 집정관으로 선출된 것은 이미 큰 센세이션이었다. (기원전 243년의 가이우스 푼다니우스 푼둘루스와 기원전 242년의 가이우스 루타티우스 카툴루스)[2]
2. 2. 노부스 호모의 등장
로마 공화정 초기에는 원로원 의원과 각 공직을 혈통 귀족인 파트리키가 독점했지만, 세력을 늘린 플레브스도 신분 투쟁을 거쳐 이러한 지위에 취임하게 되었다. 그렇다고 해도 로마 사회에서 모든 성인 남성에게 원로원 의원의 길이 열려 있었다고는 말하기 어려웠고, 실질적으로는 기존의 파트리키 이외에 부유한 상층 플레브스만 원로원을 구성했다. 이러한 원로원을 구성하는 파트리키와 상층 플레브스가 일체화된 것을 노빌레스라고 하였으며, 공화정 중기 이후 노빌레스 가문 출신이 아닌 사람이 로마의 지배 계층에 참가하는 것은 어려워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 어려움을 극복하고 노빌레스 가문 출신 이외의 지배 계층에 참가한 자, 구체적으로는 최고위 공직인 집정관이 된 사람을 ‘노부스 호모’라고 부른다.[2]노부스 호모의 정의는 노빌레스의 정의에 따라 달라진다. 어느 시대까지 지배 계층에 참여한 사람이 노빌레스에 포함되었는지, 어느 시대 이후 노빌레스에 포함되지 않고 노부스 호모로 취급되는지에 대해 명확한 구분은 어렵다. 그러나 대개 조상 중에 집정관급 공직자를 배출한 적이 없는 플레브스 계열 가문 출신이 노부스 호모로 정의된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가이우스 마리우스와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가 꼽힌다.

초기 공화정 시대에는 원로원 의원 자격과 집정관직이 귀족에게만 제한된다는 전통이 있었다. 평민들이 신분 투쟁 기간 동안 이 직책을 얻게 되자, 새로 선출된 모든 평민들은 자연스럽게 ''노부스 호모''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일부 평민 가문들이 귀족 동료들만큼이나 원로원에 자리를 잡게 되면서 ''노부스 호모''는 점점 더 희귀해졌다. 제1차 포에니 전쟁 당시에는, ''노부스 호모''가 2년 연속으로 집정관으로 선출된 것은 이미 큰 센세이션이었다. (기원전 243년의 가이우스 푼다니우스 푼둘루스와 기원전 242년의 가이우스 루타티우스 카툴루스). 기원전 63년에 키케로는 30년 이상 만에 집정관이 된 최초의 ''노부스 호모''가 되었다.[2]
후기 공화정 시대에는 신분 간의 구분이 덜 중요해졌다. 집정관들은 새로운 엘리트인 ''노빌레스'' (귀족) 출신이 되었는데, 이들은 집정관의 직계 남자 후손임을 증명할 수 있는 모든 사람들의 인공적인 귀족이었다.[3]
신인들은 공직자 선거 등에서 노빌레스 후보에게 불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로마 제국의 제정기로 접어들면서 황제를 중심으로 한 지배 구조 안에서 신분의 유동화도 볼 수 있었고, 공화정 기간만큼 특별한 존재가 없어졌다.
2. 3. 후기 로마 공화정
후기 공화정 시대에는 신분 간의 구분이 덜 중요해졌다. 집정관들은 새로운 엘리트인 노빌레스(귀족) 출신이 되었는데, 이들은 집정관의 직계 남자 후손임을 증명할 수 있는 모든 사람들을 일컫는 인위적인 귀족이었다.[3] 로마 공화정 사회에서 초기에는 원로원 의원 및 각 공직은 혈통 귀족인 파트리키가 독점했지만, 이후 세력을 키운 플레브스도 신분 투쟁을 거쳐 이들 직위에 취임하게 되었다. 그렇다고는 해도 로마 사회에서 모든 성인 남성에게 원로원 의원이 될 길이 열려 있었다고는 보기 어려우며, 실질적으로는 종래의 파트리키와 부유한 상층 플레브스만이 원로원을 구성했다. 이러한 원로원을 구성한 파트리키와 상층 플레브스는 일체화되어 노빌레스라고 불렸고, 공화정 중기 이후 노빌레스 가문 출신 외에는 로마의 지배 계층에 참여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 어려움을 극복하고 노빌레스 가문 출신이 아닌 자로서 지배 계층에 참여한 자, 구체적으로 최고위 공직인 집정관이 된 자를 "노부스 호모"라고 부른다.노부스 호모의 정의는 노빌레스의 정의에 따라 변동이 있다. 언제까지 지배 계층에 가담한 자가 노빌레스에 포함되고, 언제 이후에는 노빌레스에 포함되지 않고 노부스 호모로 취급되는지 명확한 구분은 어렵다. 그러나 대개 조상 중에 집정관급 공직자를 배출한 적이 없는 플레브스계 가족 출신이 노부스 호모로 정의된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가이우스 마리우스와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가 있다.
2. 4. 로마 제정 시대
로마 제국 제정기에 들어서면서 황제를 중심으로 한 지배 구조 안에서 신분의 유동성도 나타났고, 노부스 호모는 로마 공화정 기간만큼 특별한 존재가 아니게 되었다.3. 정의
로마 공화정 초기에는 원로원 의원 및 각 공직을 혈통 귀족인 파트리키가 독점했지만, 이후 세력을 키운 플레브스도 신분 투쟁을 거쳐 이들 직위에 취임하게 되었다. 그렇다고는 해도 로마 사회에서 모든 성인 남성에게 원로원 의원이 될 길이 열려 있었다고는 보기 어려우며, 실질적으로는 종래의 파트리키와 부유한 상층 플레브스만이 원로원을 구성했다. 이러한 원로원을 구성한 파트리키와 상층 플레브스는 일체화되어 노빌레스라고 불렸고, 공화정 중기 이후 노빌레스 가문 출신 외에는 로마의 지배 계층에 참여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 어려움을 극복하고 노빌레스 가문 출신이 아닌 자로서 지배 계층에 참여한 자, 구체적으로 최고위 공직인 집정관이 된 자를 "노부스 호모"라고 부른다.
노부스 호모의 정의는 노빌레스의 정의에 따라 변동이 있다. 언제까지 지배 계층에 가담한 자가 노빌레스에 포함되고, 언제 이후에는 노빌레스에 포함되지 않고 노부스 호모로 취급되는지 명확한 구분은 어렵다. 그러나 대개 조상 중에 집정관급 공직자를 배출한 적이 없는 플레브스계 가족 출신이 노부스 호모로 정의된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가이우스 마리우스와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가 있다.
신인들은 공직자 선거 등에서 노빌레스의 후보에 비해 불리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제정기에 들어서면서 황제를 중심으로 한 지배 기구 내에서 신분의 유동성도 나타났고, 공화정 시대만큼 드문 존재는 아니게 되었다.
4. 주요 인물
로마 공화정에서 조상 중에 집정관급 공직자를 배출한 적이 없는 플레브스계 가문 출신으로 집정관이 된 인물들을 "노부스 호모"라고 불렀다. 이들은 노빌레스(귀족) 후보에 비해 불리했지만, 능력을 인정받아 최고위직인 집정관에 올랐다.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선출 연도 |
---|---|
루키우스 뭄미우스 | |
마르쿠스 포르키우스 카토 | |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 |
가이우스 마리우스 | |
가이우스 코르넬리우스 타키투스 | |
가이우스 플라미니우스 | |
루키우스 섹스티우스 라테라누스 | 기원전 366년 |
가이우스 리키니우스 스톨로 | 기원전 361년 |
마르쿠스 포필리우스 라에나스 | 기원전 359, 356, 350, 348년 |
가이우스 플라우티우스 프로쿨루스 | 기원전 358년 |
가이우스 마르키우스 루틸루스 | 기원전 357, 352, 344, 342년 |
푸블리우스 데키우스 무스 | 기원전 340년 |
루키우스 볼룸니우스 플라머 비올렌스 | 기원전 307년, 296년 |
스푸리우스 카르빌리우스 막시무스 | 기원전 293년, 272년 |
마니우스 오타킬리우스 크라수스 | 기원전 263년 |
가이우스 두일리우스 | 기원전 260년 |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코타 | 기원전 252년, 248년 |
가이우스 푼다니우스 푼둘루스 | 기원전 243년 |
가이우스 루타티우스 카툴루스 | 기원전 242년 |
가이우스 플라미니우스 | 기원전 223년, 217년 |
마르쿠스 포르키우스 카토 | 기원전 195년 |
가이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 기원전 180년 |
그나이우스 옥타비우스 | 기원전 165년 |
루키우스 무미우스 아카이쿠스 | 기원전 146년 |
퀸투스 폼페이우스 | 기원전 141년 |
가이우스 마리우스 | 기원전 107, 104–100, 86년 |
그나이우스 말리우스 막시무스 | 기원전 105년 |
티투스 디디우스 | 기원전 98년 |
가이우스 켈리우스 칼두스 | 기원전 94년 |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스트라보 | 기원전 89년 |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 기원전 63년 |
마르쿠스 비니키우스 | 기원전 19년 |
가이우스 폼포니우스 그라이키누스 | 16년 |
가이우스 코르넬리우스 타키투스 | 97년 |
5. 문학적 주제
"새로운 인간" 또는 "낮은 출신이지만 본질적으로 가치 있는 사람이 어떻게 세상에서 탁월한 존재로 올라설 수 있는가"라는 문학적 주제는 세네카의 영향력 있는 서한 XLIV의 ''토포스''였다.[4] 후기 고대 시대의 종착점에서, 이것은 보에티우스의 ''철학의 위안''(iii, vi)에서도 주제였다. 중세 시대에는 단테의 ''향연''(4권)과 페트라르카의 ''De remediis utriusque fortunae''(I.16; II.5)에서 이 주제를 다루었고, 초서의 "바스의 아내 이야기"에서도 다루었다.
기독교적 해석에서 이 주제는 ''자연의 사다리'' 또는 존재의 대사슬 내의 긴장을 시사했는데, 이는 인간의 자유 의지에 의해 발생했다.[5]
이 주제는 종종 자신들의 지혜로 일어선 ''호미네스 노비''(homines novi)[6]인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들에게 자연스럽게 다가왔으며, 고도로 문해력이 높은 새로운 인간들이 점점 더 복잡해지는 재무부를 운영하고, 귀족의 명성을 위한 동시대적 수단이었던 문화적 선전을 만들어야 했던 귀족 궁정의 네트워크 내에서였다. 그리고 그 결과 일종의 지적 ''cursus honorum''을 제공했다. 15세기에 부오나코르소 다 몬테마뇨의 ''Dialogus de vera nobilitate''는 가치 있는 개인에게 내재된 "진정한 고귀함"을 다루었고, 포지오 브라촐리니 또한 인문주의의 핵심인 인간의 책임감과 효율성에 대한 르네상스적 관점을 강조하는 ''De nobilitate''를 장황하게 썼다. sicut virtutis ita et nobilitatis sibi quisque existit auctor et opifexla.[7]
주제의 보다 간결한 요약은 프란체스코 파트리지의 De institutionae republicaela(VI.1)와 로리고 산체스 데 아레발로의 백과사전적 저서 ''Speculum vitae humanae''에서 찾을 수 있다. 16세기에는 이 책들과 새로운 텍스트들이 널리 인쇄되어 배포되었다. 산체스 데 아레발로의 ''Speculum''은 1468년 로마에서 처음 인쇄되었으며, 20개가 넘는 인쇄본이 있다. 독일어, 프랑스어 및 스페인어 번역본이 인쇄되었다. 발다사레 카스틸리오네의 ''궁정인''(1528)의 등장인물들은 ''cortegiano''이 귀족이어야 한다는 요구사항을 논의한다(I.XIV-XVI). 이것은 프랑스어, 스페인어, 영어, 라틴어 등으로 번역되었다.[8] 제롬 오소리오 다 폰세카의 ''De nobilitate''(리스본 1542, 16세기에 7번 재판), propria strennuitasla("자신의 확고한 노력")를 강조한 책은 1576년에 영어 번역본으로 출판되었다.
''전형''(exemplum)으로 가장 자주 언급되는 로마 인물은 가이우스 마리우스이며, 그의 자기 변호 연설은 살루스 티투스의 ''유구르타 전쟁'', 85에 나오는 정해진 내용으로 독자들에게 친숙했다. 르네상스 논문의 가장 친숙한 형식은 귀족의 두 가지 원천을 대조하는 대화이며, 증거는 "새로운 인간"에게 유리하게 편향되어 있다.
6. 르네상스 시대의 노부스 호모
"새로운 인간" 또는 "낮은 출신이지만 본질적으로 가치 있는 사람이 어떻게 세상에서 탁월한 존재로 올라설 수 있는가"라는 문학적 주제는 세네카의 영향력 있는 서한 XLIV의 ''토포스''였다.[4] 후기 고대 시대의 종착점에서, 이것은 보에티우스의 ''철학의 위안''(iii, vi)에서도 주제였다. 중세 시대에는 단테의 ''향연''(4권)과 페트라르카의 ''De remediis utriusque fortunae''(I.16; II.5)에서 이 주제를 다루었고, 초서의 "바스의 아내 이야기"에서도 다루었다.
이 주제는 종종 자신들의 지혜로 일어선 ''호미네스 노비''(homines novi)[6]인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들에게 자연스럽게 다가왔다. 15세기에 부오나코르소 다 몬테마뇨의 ''Dialogus de vera nobilitate''는 가치 있는 개인에게 내재된 "진정한 고귀함"을 다루었고, 포지오 브라촐리니 또한 인문주의의 핵심인 인간의 책임감과 효율성에 대한 르네상스적 관점을 강조하는 ''De nobilitate''를 장황하게 썼다. sicut virtutis ita et nobilitatis sibi quisque existit auctor et opifexla.[7]
주제의 보다 간결한 요약은 프란체스코 파트리지의 De institutionae republicaela(VI.1)와 로리고 산체스 데 아레발로의 백과사전적 저서 ''Speculum vitae humanae''에서 찾을 수 있다. 16세기에 이 책들과 새로운 텍스트들이 널리 인쇄되어 배포되었다. 발다사레 카스틸리오네의 ''궁정인''(1528)의 등장인물들은 ''cortegiano''이 귀족이어야 한다는 요구사항을 논의한다(I.XIV-XVI). 이것은 프랑스어, 스페인어, 영어, 라틴어 등으로 번역되었다.[8] 제롬 오소리오 다 폰세카의 ''De nobilitate''(리스본 1542, 16세기에 7번 재판), propria strennuitasla("자신의 확고한 노력")를 강조한 책은 1576년에 영어 번역본으로 출판되었다.
''전형''(exemplum)으로 가장 자주 언급되는 로마 인물은 가이우스 마리우스이며, 그의 자기 변호 연설은 살루스 티투스의 ''유구르타 전쟁'', 85에 나오는 정해진 내용으로 독자들에게 친숙했다. 르네상스 논문의 가장 친숙한 형식은 귀족의 두 가지 원천을 대조하는 대화이며, 증거는 "새로운 인간"에게 유리하게 편향되어 있다.
참조
[1]
논문
The Republican City State in Florence: An Inquiry into it origin and survival (1280-1434)
1960
[2]
서적
De lege agraria
[3]
논문
Nobiles and Novi Reconsidered
1986
[4]
논문
Lázaro de Tormes and the "Homo Novus" Tradition
1969
[5]
논문
The Scale of nature and Renaissance treatises on nobility
1964
[6]
간행물
Gleanings for the history of a sentiment: Generositas Virtus non Sanguis
1925
[7]
문서
Thus of the road to manly excellence and nobility the author and workmaster
[8]
서적
The Fortunes of the Courtier: The European Reception of Castiglione's Cortegiano
Polity Press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