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화는 그리스어 'διά' (통하여)와 'λόγος' (말)의 합성어로, 둘 이상의 화자가 언어를 통해 의사를 소통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플라톤의 저작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공손성, 순서 교대, 협력의 원리 등 특정한 원리를 따른다. 고대부터 철학,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으며, 현대에는 교육, 비즈니스, 정치 등 사회 전반에서 문제 해결 및 합의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다이얼로그(dialogue)는 그리스어 διά|다이아el(~을 통하여)와 λόγος|로고스el(낱말, 말, 이성)가 결합된 합성어이다. 다이얼로그는 대화, 독백, 방백, 침묵 모두를 포함하지만, 대부분 말로 하는 대화를 의미한다.
원활한 의사소통과 원만한 인간관계 형성을 위해서는 대화에 특정한 원리가 필요하다.
교육과 비즈니스 등 다양한 환경에서 대화가 실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파울루 프레이리와 라몬 플레차는 대화 교육의 영향력 있는 이론가들이다.
2. 어원
"대화"라는 용어는 그리스어 διάλογος|dialogosel(대화)에서 유래했으며, 그 어원은 διά|diael(~을 통하여)와 λόγος|logosel(말, 이성)이다. 이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현존하는 작가는 플라톤이며, 그의 저작에서 대화는 변증법 기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3] 라틴어에서는 이 단어를 dialogusla로 사용하였다.[4]
3. 대화의 원리
3. 1. 공손성의 원리 (정중어법)
공손성의 원리란 대화를 할 때 상대방을 배려하고 존중하면서, 공손하고 예절 바르게 말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이는 나이가 어린 사람만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며, 남녀노소와 상관없이 공손성의 원리에 따라 상대방과 대화해야 한다.3. 2. 순서 교대의 원리
적절하게 순서를 교대하면서 말을 주고받아야 한다.
3. 3. 협력의 원리
'''협력의 원리'''란 대화를 할 때, 현재 이야기되고 있는 대화의 목적이나 요구에 맞도록 말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4. 역사
20세기 초중반 미국에서는 위대한 고전 운동에서 소규모 수업을 통해 서양 고전의 기초 텍스트를 이해하는 방법으로 평등한 대화를 강조하는 초기 형태의 대화 학습이 등장했다.[26] 위대한 고전 재단, 시카고의 시머 칼리지,[27] 애나폴리스와 산타페의 세인트 존스 칼리지[28] 등이 이 모델을 따르고 있다.
4. 1. 고대
대화 형식은 중동과 아시아에서 기원전 3천 년 후반에 사본으로 보존된 수메르 논쟁,[5] 리그베다 찬가, 마하바라타와 같은 고대 작품에서 시작되었다.
서양에서는 플라톤이 대화를 독립적인 문학 형식으로 체계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고대 자료에 따르면 플라톤의 대화는 반세기 전에 시칠리아 시인 소프론과 에피카르무스가 발전시킨 '미메'를 기반으로 한다. 플라톤이 존경하고 모방했던 이 작품들은 현존하지 않으며, 어떻게 공연되었는지에 대한 가장 모호한 생각만 가지고 있다. 1891년 파피루스에서 발견된 헤로다스의 '미메'는 그 특징에 대한 몇 가지 아이디어를 제공한다.[6]
플라톤은 이 형식을 더욱 단순화하여 순수한 논증 대화로 축소하는 동시에 인물 묘사의 재미있는 요소를 유지했다.[7] 기원전 400년경에 그는 소크라테스 대화를 완성했다.[8] 그의 현존하는 모든 저술은 ''변론''과 서간을 제외하고 이 형식을 사용한다.[9] 플라톤 이후 대화는 고대 시대의 주요 문학 장르가 되었으며, 라틴어와 그리스어로 여러 중요한 작품이 쓰여졌다. 플라톤 직후 크세노폰은 자신의 ''향연''을 썼으며, 아리스토텔레스도 플라톤 스타일로 여러 철학적 대화를 썼다고 한다(그 중 단편만 남아 있다).[10]
동양에서도 불교나 유교 등의 경전에서 석가·공자와 그 제자들과의 대화(문답) 형식의 작품이 많다. 힌두교의 중요 경전인 『바가바드 기타』도 대부분이 크리슈나와 아르주나의 대화로 진행된다.
4. 2. 중세
중세 시대의 대화에 대한 내용은 현재 자료에 충분히 설명되어 있지 않다. 내용 추가가 필요하다.
4. 3. 근대
근대 시기의 대화에 대한 내용은 아직 추가적인 편집이 필요한 상황이다. 추가 편집을 통해 내용을 보강해야 한다.
4. 4. 현대
20세기에는 미하일 바흐친, 파울로 프레이리, 마틴 부버, 데이비드 보엠 등 여러 사상가들이 대화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전개했다.[13] 이들은 세부적인 내용에서는 차이가 있었지만, 대화에 대한 전체론적인 관점을 제시했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특히, 프레이리와 라몬 플레차 같은 교육자들은 평등한 대화를 교육 도구로 활용하는 이론과 기술을 발전시켰다.[14]
5. 철학적 관점
마틴 부버는 자신의 신학에서 대화에 중요한 위치를 부여했다. 그의 가장 영향력 있는 저서는 ''나는 너다''이다.[15] 부버는 결론에 도달하거나 단순한 관점을 표현하기 위한 목적 지향적인 시도가 아닌, 인간과 인간 사이, 그리고 인간과 신 사이의 진정한 관계 형성에 필수적인 것으로서 대화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장려했다. 부버의 사상은 개방성, 정직성, 상호 헌신을 특징으로 하는 "진정한 대화"에 집중되어 있다.[16]
물리학자 데이비드 보엄은 사람들이 사고, 의미, 소통 및 사회적 영향에 대한 가정을 탐구하기 위해 함께 이야기하는 대화 형식을 만들었다. 이 그룹은 정기적으로 몇 시간 또는 며칠 동안 만나는 10명에서 30명으로 구성된다. 보엄 대화에서 대화자들은 설득하려는 토론 전술을 버리고, 대신 즉흥적으로 이루어지는 주제에 대해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야기하기로 동의한다.[22]
러시아 철학자 미하일 바흐친은 대화의 본질과 의미를 분석하기 위한 언어 외적 방법론을 제시했다.[23] 그는 대화적 관계가 순수한 논리적 (변증법적일지라도) 또는 순수한 언어적 (구성-통사론)으로 축소될 수 없으며, 다양한 말하는 주체의 완전한 발화 사이에서만 가능하다고 보았다. 또한 단어나 언어가 없는 곳에는 대화적 관계가 있을 수 없으며, 객체나 논리적 양 (개념, 판단 등) 사이에는 존재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대화적 관계는 언어를 전제하지만, 언어 체계 내에 존재하지 않으며 언어의 요소들 사이에서는 불가능하다.[24]
6. 문학적 활용
플라톤의 ''국가'',[5]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두 개의 주요 세계 체제에 관한 대화'' 등 철학, 과학 저술에 대화 형식이 사용되었다.[7] 베르나르 르 보비에 드 퐁트넬, 프랑수아 페넬롱 등은 ''죽음의 대화''와 같은 문학 작품을 통해 대화 형식을 활용했다.[7]
7. 현대적 응용
현대 사회에서 대화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평등한 대화는 대화 학습의 개념으로, 어떤 사람의 지위나 권력이 아니라 그 주장의 타당성에 따라 의견이 평가되는 대화 방식이다.[29]
구조화된 대화는 문제 이해와 합의 의사 결정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며, 대화적 리더십은 조직 관리의 한 형태로 활용된다.
도덕적 대화는 사회나 공동체가 새로운, 공유된 도덕적 이해를 형성할 수 있게 해주는 사회적 과정이다. 도덕적 대화는 충분한 수의 사람들이 도덕적 입장을 바꾸게 하여, 이전에는 거의 지지를 받지 못했거나 많은 사람들에게 도덕적으로 옳지 않다고 여겨졌던 행동과 정책에 대해 광범위한 승인을 이끌어낼 수 있다. 아미타이 에치오니는 역사적 사례를 바탕으로 도덕적 대화의 반복되는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분석 틀을 개발했다. 도덕적 대화의 요소는 다음과 같다.
- 도덕적 기준선 설정
- 새로운, 공유된 도덕적 이해를 발전시키는 과정을 시작하는 사회학적 대화의 시작점
- "메갈로그" 형태의 여러 그룹 토론 연결
- (합리적 숙고 또는 문화 전쟁과는 구별되는) 도덕적 대화의 뚜렷한 속성 구별
- 널리 문제에 대한 관심을 끌기 위한 극화
- 새로운, 공유된 도덕적 이해의 확립을 통한 종결[41]
도덕적 대화를 통해 주어진 공동체의 사람들은, 공동체 내 다수에게 무엇이 도덕적으로 용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7. 1. 교육
평등한 대화는 대화 학습의 개념으로, 어떤 사람의 지위나 권력이 아니라 그 주장의 타당성에 따라 의견이 평가되는 대화 방식이다.[29]7. 2. 비즈니스
구조화된 대화는 문제 이해와 합의 의사 결정을 위한 도구로 사용된다. 대화적 리더십은 조직 관리의 한 형태로 활용된다.독일의 철학자이자 고전학자인 카를-마틴 디츠는 토마스 크라흐트와 함께 조직 관리의 한 형태인 대화적 리더십을 개발했다.[39] 이는 독일 dm-drogerie markt와 같은 드럭스토어 체인 등 여러 기업 및 조직에서 전통적인 인적 자원 관리를 대체했다.[39]
7. 3. 정치 및 사회
평등한 대화는 대화 학습의 한 개념이다. 이는 기여한 사람의 지위나 권력에 상관없이, 그 주장의 타당성에 따라 의견이 고려되는 대화를 말한다.[29]도덕적 대화는 사회나 공동체가 새로운, 공유된 도덕적 이해를 형성할 수 있게 해주는 사회적 과정이다. 도덕적 대화는 충분한 수의 사람들이 도덕적 입장을 바꾸게 하여, 이전에는 거의 지지를 받지 못했거나 많은 사람들에게 도덕적으로 옳지 않다고 여겨졌던 행동과 정책에 대해 광범위한 승인을 이끌어낼 수 있다. 공동체주의 철학자 아미타이 에치오니는 역사적 사례를 바탕으로 도덕적 대화의 반복되는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분석 틀을 개발했다. 도덕적 대화의 요소는 다음과 같다.
- 도덕적 기준선 설정
- 새로운, 공유된 도덕적 이해를 발전시키는 과정을 시작하는 사회학적 대화의 시작점
- "메갈로그" 형태의 여러 그룹 토론 연결
- (합리적 숙고 또는 문화 전쟁과는 구별되는) 도덕적 대화의 뚜렷한 속성 구별
- 널리 문제에 대한 관심을 끌기 위한 극화
- 새로운, 공유된 도덕적 이해의 확립을 통한 종결[41]
도덕적 대화를 통해 주어진 공동체의 사람들은, 공동체 내 다수에게 무엇이 도덕적으로 용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ialogue (n)
https://www.oed.com/[...]
2024-09-01
[1]
웹사이트
dialog (n & v)
https://www.ahdictio[...]
2024-09-01
[2]
서적
The Ways of Thinking of Eastern Peopl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
학술지
From Dialogos to Dialogue: The Use of the Term from Plato to the Second Century CE
http://grbs.library.[...]
2015-06-01
[4]
서적
Dialogue
Oxford English Dictionary
[5]
서적
Dispute Poems and Dialogues in the Ancient and Mediaeval Near East: Forms and Types of Literary Debates in Semitic and Related Literatures
Department Oriëntalistiek
[6]
서적
The Mimes of Herodas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7]
백과사전
Dialogue
[8]
서적
Merriam-Webster's Encyclopedia of Literature
https://archive.org/[...]
Merriam-Webster, Inc
[9]
서적
Ancient Science Through the Golden Age of Greece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10]
서적
Cosmic and Meta-Cosmic Theology in Aristotle's Lost Dialogues
https://books.google[...]
BRILL
[11]
서적
English Prose of the Nineteenth Century
[12]
서적
Iris Murdoch and the Art of Imagining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13]
서적
The Promise of Dialogue: The dialogic turn in the production and communication of knowledge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14]
서적
Sharing Words: Theory and Practice of Dialogic Learning
Rowman and Littlefield
[15]
서적
Beacons of the Light: 100 Holy People Who Have Shaped the History of Humanity
https://books.google[...]
John Hunt
[16]
서적
Dialogical Philosophy from Kierkegaard to Buber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7]
웹사이트
Lumen gentium
https://www.vatican.[...]
Holy See
2024-09-02
[18]
웹사이트
Nostra aetate
https://www.vatican.[...]
Holy See
2024-09-02
[19]
웹사이트
Unitatis redintegratio
https://www.vatican.[...]
Holy See
2024-09-02
[20]
웹사이트
Gaudium et spes
https://www.vatican.[...]
Holy See
2024-09-01
[21]
웹사이트
Dignitatis humanae
https://www.vatican.[...]
Holy See
2024-09-02
[22]
서적
Dialogue and The Art Of Thinking Together
https://books.google[...]
Crown
[23]
서적
(출처 미상)
[24]
서적
(출처 미상)
[25]
서적
Critical Narrative as Pedagog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6]
서적
Encyclopedi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7]
뉴스
Shimer College: The Worst School in America?
https://www.theguard[...]
2014-12-06
[28]
웹사이트
Why SJC?
http://www.sjc.edu/a[...]
St. John's College
2015-01-18
[29]
서적
Sharing Words. Theory and Practice of Dialogic Learning
Rowman and Littlefield
[30]
서적
Family Business and Social Capital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31]
서적
The Onlife Manifesto
Springer
2014-11-16
[32]
서적
Theory and Practice of Dialogical Community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33]
서적
Youth Policy Manual: How to Develop a National Youth Strategy
https://books.google[...]
Council of Europe
[34]
웹사이트
Definition of structured dialogue focused on youth matters
http://www.youthweek[...]
2010-01-10
[35]
서적
Marriage Enrichment: Preparation, Mentoring, and Outreach
https://archive.org/[...]
Psychology Press
[36]
서적
Acting Independently for the Good of the Whole. From Dialogical Leadership to a Dialogical Corporate Culture
Menon
[37]
서적
Acting Independently for the Good of the Whole
[38]
서적
Dialog die Kunst der Zusammenarbeit
Heidelberg
[39]
서적
Dialogische Führung. Grundlagen - Praxis Fallbeispiel: dm-drogerie markt
Campus
[40]
서적
De organisatie als verhaal
https://books.google[...]
Koninklijke Van Gorcum
[41]
서적
Happiness is the Wrong Metric
[42]
백과사전
日本国語大辞典
[43]
백과사전
対話篇
2022-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