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비그라드 (스릅스카 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비그라드는 "새로운 도시"라는 뜻을 가진 도시로, 현재는 스릅스카 공화국에 속해 있으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정부에서는 노비그라드와 보산스키 노비라는 명칭을 모두 사용한다. 우나강과 사나강 유역에 위치하며 온대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1280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보스니아 전쟁을 거치며 지명이 변경되었다. 경제는 관광, 목재 가공, 식품 생산 등을 기반으로 하며, 여러 스포츠 클럽이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릅스카 공화국의 도시 - 즈보르니크
즈보르니크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동부, 드리나 강변에 위치하여 세르비아와 국경을 접하며, 교역 요충지이자 즈보르니크 산자크의 중심지였고, 현재는 난민 귀환이 진행 중이며 제조업, 도소매업, 운송업이 주요 산업인 도시이다. - 스릅스카 공화국의 도시 - 비셰그라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비셰그라드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드리나 강과 르자프 강 합류 지점에 자리하며, "상부 도시/성/요새"를 뜻하는 남슬라브어 지명에서 유래했고, 온대 기후를 띠며,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 다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랜드마크이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도시 - 사라예보
사라예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수도이자 연방 수도로, 터키어에서 유래한 지명을 가지며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 원인이 된 사라예보 사건과 보스니아 전쟁의 장기 포위 공격을 겪었으며, 다양한 문화와 종교가 공존하는 다문화 도시이자 1984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이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도시 - 투즐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동부에 위치한 투즐라는 6,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정착지 중 하나로, 소금 매장지로 번성했으나 지반 침하 문제를 겪었고, 여러 제국을 거쳐 보스니아 전쟁의 아픔을 겪었으며, 현재는 산업 및 문화 중심지이자 염호 관광지로 발전하고 있다.
노비그라드 (스릅스카 공화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노비그라드/보산스키노비 |
공용어 명칭 | "세르비아어: " "보스니아어: " "크로아티아어: " "세르비아어: " "보스니아어: " "크로아티아어: " |
다른 이름 | |
![]() | |
![]() | |
![]() | |
![]() | |
행정 구역 | 스릅스카 공화국 |
지역 | 보산스카 크라이나 |
시장 | 미로슬라브 드를랴차 |
시장 소속 정당 | 독립사회민주동맹 |
면적 (시가지) | 알 수 없음 |
면적 (기초 자치단체) | 472.72 km² |
인구 (2013년 기준, 시가지) | 11063명 |
인구 밀도 (시가지) | 자동 계산 |
인구 (2013년 기준, 기초 자치단체) | 27115명 |
인구 밀도 (기초 자치단체) | 자동 계산 |
시간대 | 알 수 없음 |
UTC 오프셋 | 알 수 없음 |
하계 시간 | 알 수 없음 |
하계 UTC 오프셋 | 알 수 없음 |
우편 번호 | +387 052 |
지역 번호 | 알 수 없음 |
웹사이트 | http://www.opstina-novigrad.com/ |
2. 지명
노비그라드는 1280년 라틴어 이름 Castrum Novum|카스트룸 노붐la으로 처음 언급되었으며, 이는 '새로운 요새'를 의미한다.[2] 1895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오스트리아-헝가리 통치 동안, 이 도시는 공식적으로 보산스키 노비(Bosanski Novi|보산스키 노비bs)라는 이름을 받았다.
노비그라드는 우나 강 우안과 사나 강 양안에 위치하며, 그르메치 산과 코자라 산의 경사면, 그리고 도시를 둘러싼 두 강 유역의 충적지 사이의 두 지리적 구역에 걸쳐 있다. 도시 자체는 해발 122m 높이에 위치하며, 북위 45° 부근에 위치한다. 관할하는 지방 자치 단체의 면적은 470km2이다.
1992년부터 1995년까지 이어진 보스니아 전쟁 중, 이 지역을 장악한 세르비아계 정부는 도시를 보스니아 역사와 문화적 뿌리로부터 분리하려는 시도의 일환으로[3] 도시 이름을 노비그라드(Нови Град / Novi Grad|노비그라드sr)로 변경했다. 이러한 명칭 변경은 전쟁 중 자행된 보스니아인과 크로아티아인 주민에 대한 민족 청소와 맞물려 진행되었으며, 해당 주민들의 비판을 받았다.
보스니아 전쟁 이후에도 명칭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공식적으로는 보산스키 노비 또는 간단히 노비(Novi|노비bs)로도 알려져 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중앙 정부는 자치단체의 명칭으로 '노비그라드'와 '보산스키 노비' 두 가지를 모두 사용하고 있으나, 스릅스카 공화국 정부는 '노비그라드'만을 공식 명칭으로 사용하고 있다.
3. 지리
3. 1. 기후
노비그라드의 기후는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해양성 기후(Cfb)와 습윤 아열대 기후(Cfa)의 경계에 해당한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평균 |
---|---|---|---|---|---|---|---|---|---|---|---|---|---|
평균 최고 기온 (°C) | 4.9 | 7.6 | 12.9 | 17.9 | 22.4 | 26.3 | 28.3 | 28.2 | 22.3 | 17.0 | 10.9 | 5.3 | 17.0 |
평균 최저 기온 (°C) | -2.3 | -1.9 | 1.2 | 5.5 | 10.0 | 13.9 | 15.5 | 15.3 | 11.3 | 7.3 | 3.0 | -1.2 | 6.5 |
평균 강수량 (mm) | 84.9 | 83.5 | 87.2 | 99.4 | 113.3 | 110.9 | 89.6 | 75.7 | 126.8 | 104.8 | 112.0 | 103.1 | 1191.1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10.4 | 10.2 | 10.3 | 11.4 | 11.6 | 10.2 | 8.8 | 7.3 | 10.1 | 9.8 | 11.2 | 11.1 | 122.6 |
출처: NOAA[1] |
4. 역사
노비그라드는 1280년에 라틴어 이름 ''Castrum Novum''으로 처음 언급되었는데, 이는 '새로운 요새'를 의미한다. 1483년에는 우나 전투가 이 도시 근처에서 벌어졌다. 이 도시는 바보니치 가문의 분가인 블라가이 백작 가문에 속했으며, 16세기 초에는 니콜라 즈린스키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오스만 제국의 여행가 에브리야 첼레비는 보스니아를 여행하면서 크로아티아 귀족들이 노비그라드를 건설했다고 언급했다.[3] 1693년에는 크로아티아 반 아담 바찬이 노비를 정복했다.[2]
1872년, 노비그라드는 새로운 보스니아 철도에 기차역이 생긴 최초의 지방 자치 단체가 되었으며, 이는 다른 크라이나[4] 지역에 비해 상당한 문화적, 경제적 이점을 제공했다. 최초의 병원도 비슷한 시기에 설립되었다.
1895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오스트리아-헝가리 통치 기간 동안, 이 도시는 공식적으로 보산스키 노비라는 이름을 얻었다. 당시 인구는 약 3,300명, 가구 수는 550호였다. 우나 강과 사나 강에는 나무 다리가 놓여 있었는데, 주민들은 가을과 봄의 홍수로부터 다리를 보호해야 했다. 이러한 이유로 1906년에 현재 도시의 상징 중 하나인 우나 강변 둑이 건설되었다.
1929년부터 1941년까지 보산스키 노비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르바스 바노비나에 속했다.
1992년부터 1995년까지 이어진 보스니아 전쟁 기간 동안, 이 도시는 보스니아인과 크로아티아인 주민들에 대한 민족 청소의 대상이 되어 거의 완전한 세르비아인 거주 지역으로 변모했다. 당시 지역 세르비아계 정부는 도시 이름을 노비그라드로 변경했는데, 이는 보스니아 역사와 문화적 뿌리를 단절시키려는 시도이자 전쟁 중 정치적 목적을 위한 것으로, 크로아티아인과 보스니아인 주민들의 비판을 받았다. 이 결과, 보산스키 노비 출신의 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떠나 유럽, 아메리카 대륙, 호주 등 전 세계 여러 지역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보스니아 전쟁 이후, 코스타이니스차가 이 지방 자치 단체에서 분리되었다.
5. 인구
노비그라드 시의 인구는 역사적 흐름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특히 보스니아 전쟁 전후로 민족 구성에 상당한 변동이 있었다. 자세한 인구 변화 추이와 시기별 민족 구성에 대한 통계는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인구 변화

아래 표는 1948년부터 2013년까지 노비그라드 시의 정착촌별 인구 변화를 보여준다.
정착촌 | 1948년 | 1953년 | 1961년 | 1971년 | 1981년 | 1991년 | 2013년 |
---|---|---|---|---|---|---|---|
합계 | 41,216 | 42,142 | 41,665 | 27,115 | |||
아흐메토브치 | |||||||
블라가이 야프라 | 1,279 | 807 | |||||
블라가이 리예카 | 980 | 488 | |||||
블라트나 | 443 | 367 | |||||
체로비차 | |||||||
츠르나 리예카 | |||||||
차자비차 돈냐 | 408 | 338 | |||||
차자비차 고르냐 | 297 | 240 | |||||
차자비차 스레드냐 | 262 | 192 | |||||
체레 | |||||||
데베타치 | |||||||
도브를린 | 1,141 | 858 | |||||
돈예 보디체보 | 801 | 615 | |||||
돈지 아기치 | 935 | 637 | |||||
돈지 라카니 | 315 | 338 | |||||
고르네 보디체보 | 368 | 278 | |||||
고르니 아기치 | 540 | 244 | |||||
고르니 라카니 | 254 | 249 | |||||
그라바시니차 | |||||||
호지치 | 958 | 610 | |||||
요호비차 | |||||||
요샤바 | |||||||
크르슐레 | 632 | 434 | |||||
쿨랴니 | |||||||
레슐랴니 | |||||||
말라 크룹스카 루이슈카 | 431 | 384 | |||||
말라 노브스카 루이슈카 | 573 | 412 | |||||
말라 쥘레비차 | |||||||
마슬로바레 | 500 | 284 | |||||
마타바지 | 563 | 466 | |||||
마지치 | |||||||
노비그라드 | 4,070 | 4,884 | 7,023 | 9,849 | 12,186 | 13,588 | 11,063 |
페트코바치 | 227 | 205 | |||||
폴랴브니체 | 1,137 | 1,266 | |||||
프루스키 | |||||||
라도미로바치 | 557 | 419 | |||||
라코바치 | |||||||
라슈체 | |||||||
라브니체 | 639 | 581 | |||||
루디체 | 452 | 590 | |||||
소콜리슈테 | 611 | 410 | |||||
수하차 | 1,087 | 506 | |||||
스보드나 | 1,270 | 1,038 | |||||
트르고비슈테 | 377 | 274 | |||||
베도비차 | |||||||
벨리카 루이슈카 | |||||||
벨리카 쥘레비차 | 410 | 224 | |||||
비타소브치 | 385 | 399 |
5. 2. 민족 구성
(알바니아인 85, 로마인 72, 몬테네그로인 24, 슬로베니아인 10, 헝가리인 6, 마케도니아인 3, 기타 116)(알바니아인 26, 몬테네그로인 32, 슬로베니아인 19, 헝가리인 5, 마케도니아인 2, 기타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