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375년경 ~ 444년)는 이집트 출신의 기독교 신학자이자 알렉산드리아의 대주교였다. 그는 삼촌인 알렉산드리아의 테오필로스 밑에서 수사학, 철학, 신학을 배우며 성경을 암송할 정도로 익혔으며, 412년 삼촌의 뒤를 이어 대주교가 되었다. 키릴로스는 알렉산드리아의 다른 종교 및 종파들과의 과격한 투쟁을 벌였으며, 특히 네스토리우스와의 교리 논쟁에서 '테오토코스'(하느님의 어머니) 칭호를 옹호하며, 에페소스 공의회에서 네스토리우스를 이단으로 단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또한 히파티아 살해 사건에 연루되었으며, 저술 활동을 통해 마리아론 발전에 기여했다. 동방 정교회와 가톨릭 교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44년 사망 - 유의경
남북조 시대 송나라의 황족이자 문학가인 유의경은 유유의 총애를 받아 남군공, 임천왕에 봉해졌고, 시중, 중서령, 형주자사 등을 역임했으며, 《세설신어》를 저술했다. - 444년 사망 - 저거무휘
저거무휘는 흉노족 출신으로 북량 멸망 후 주천에서 자립하여 고창을 점령하고 남조 유송에 칭신하여 하서왕에 책봉되었으며 승평으로 개원하기도 한 북량의 장수이자 하서왕이다. - 5세기 이집트 사람 - 논노스
논노스는 4~5세기에 활동한 고대 로마 시대의 그리스 시인으로, 48권의 서사시 《디오니시아카》를 저술했으며, 후기 그리스 문학에 영향을 미쳤다. - 5세기 이집트 사람 - 알렉산드리아의 헤시키오스
알렉산드리아의 헤시키오스는 5만 개 이상의 항목을 담은 고대 그리스어 어휘집을 저술했으며, 이 어휘집은 고대 그리스어 방언, 고전 작가, 잊혀진 언어 연구 등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경받는 곳 | 천주교회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성공회 루터교회 |
축일 | 1월 18일, 6월 9일 (동방 정교회) 6월 27일 (콥트 정교회, 천주교회, 루터교회) 2월 9일 (서방 의례 정교회, 이전 천주교회, 1882–1969) 6월 27일 (잉글랜드 성공회) |
칭호 | 신앙의 기둥 모든 교부의 봉인 주교, 고백자 알렉산드리아 주교 신앙의 스승 (천주교회) 교회 박사 |
상징 | 주교 복장을 하고 펠로니온과 오모포리온을 착용하며, 이집트 수도자처럼 머리를 가리는 경우가 많음 (때로는 머리 덮개에 폴리스타브리온 무늬가 있음). 보통 복음서 또는 두루마리를 들고 오른손을 들어 축복함. |
수호 성인 | 알렉산드리아 |
인물 정보 | |
출생 | 기원전 376년경 |
출생지 | 디두세야, 이집트 속주, 비잔티움 제국 |
사망 | 444년 |
사망지 | 알렉산드리아, 이집트 속주, 비잔티움 제국 |
교회 정보 | |
관구 | 알렉산드리아 |
교구 | 알렉산드리아 |
이전 | 알렉산드리아의 테오필로스 |
이후 | 알렉산드리아의 디오스코루스 |
기타 정보 |
2. 생애
키릴로스는 375년경 이집트의 테오도시오스라는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5] 그의 삼촌은 테오필로스로,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와의 대결로 유명한 알렉산드리아 대주교였다. 외삼촌 밑에서 수사학, 철학, 신학을 배워 성경을 거의 암송할 정도였다.[7] 412년 삼촌이 죽자 곧바로 알렉산드리아의 대주교로 서품되었다.[6] 403년, 그는 삼촌을 따라 콘스탄티노플에서 열린 "오크 공의회"에 참석하여 요한 크리소스토모스를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 자리에서 폐위시키는데 함께했다.[8][9]
키릴로스는 알렉산드리아의 국제적인 분위기 속에서 다른 기독교 종파, 유대교, 이교도들과의 과격한 투쟁에 나섰다. 특히 기독교 분파인 노바티아누스파와 유대인에 대한 폭력적인 공격에 앞장섰다. 노바티아누스파 교회의 문을 닫게 하고 재산을 몰수했으며,[14] 415년에는 무장한 병력을 이끌고 유대인 회당들을 습격하여 일부 유대인을 처형하고 나머지는 추방했다. 군중들이 그들의 재산을 나누어 가지도록 허용하여 알렉산드리아 총독 오레스테스와의 갈등을 초래했다.[33][34][35][36][37][38]
니트리아의 수도사들이 오레스테스에 대한 폭동을 선동했다. 이들은 15년 전 키릴로스의 삼촌 테오필로스에게도 이용되었던 자들이다. 수도사들은 오레스테스를 습격하여 이교도라고 비난했지만, 오레스테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에게서 세례를 받았음을 보여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승려 암모니오스가 돌을 던져 오레스테스에게 중상을 입혔다. 암모니오스는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키릴로스는 암모니오스를 순교자로 칭송했으나, 알렉산드리아의 기독교도들은 암모니오스가 신앙 때문이 아니라 장관을 습격했기 때문에 죽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키릴로스는 침묵해야 했다.[39][40]
키릴로스는 알렉산드리아 대주교구가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구보다 우월한 지위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퀘르툼 교회회의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모스 면직안에 찬성하는등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들과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들을 견제하였다. 이러한 양측의 긴장감은 428년 안티오키아 학파의 네스토리우스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대주교직에 오르자 점차 고조되어 결국 교리논쟁으로 번지게 되었다.
2. 1. 총대주교 재임 초기
키릴로스는 375년경 이집트의 테오도시오스라는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5] 그의 삼촌은 테오필로스로,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와의 대결로 유명한 알렉산드리아 대주교였다. 외삼촌 밑에서 수사학, 철학, 신학을 배워 성경을 거의 암송할 정도였다.[7] 403년, 그는 삼촌을 따라 콘스탄티노플에서 열린 "오크 공의회"에 참석하여 요한 크리소스토모스를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 자리에서 폐위시키는데 함께했다.[8][9] 412년 삼촌이 죽자 곧바로 알렉산드리아의 대주교로 서품되었다.[6]키릴로스는 알렉산드리아의 국제적인 분위기 속에서 다른 기독교 종파, 유대교, 이교도들과의 과격한 투쟁에 나섰다. 특히 기독교 분파인 노바티아누스파와 유대인에 대한 폭력적인 공격에 앞장섰다. 노바티아누스파 교회의 문을 닫게 하고 재산을 몰수했으며,[14] 415년에는 무장한 병력을 이끌고 유대인 회당들을 습격하여 일부 유대인을 처형하고 나머지는 추방했다. 군중들이 그들의 재산을 나누어 가지도록 허용하여 알렉산드리아 총독 오레스테스와의 갈등을 초래했다.[33][34][35][36][37][38]
니트리아의 수도사들이 오레스테스에 대한 폭동을 선동했다. 이들은 15년 전 키릴로스의 삼촌 테오필로스에게도 이용되었던 자들이다. 수도사들은 오레스테스를 습격하여 이교도라고 비난했지만, 오레스테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에게서 세례를 받았음을 보여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승려 암모니오스가 돌을 던져 오레스테스에게 중상을 입혔다. 암모니오스는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키릴로스는 암모니오스를 순교자로 칭송했으나, 알렉산드리아의 기독교도들은 암모니오스가 신앙 때문이 아니라 장관을 습격했기 때문에 죽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키릴로스는 침묵해야 했다.[39][40]
키릴로스는 알렉산드리아 대주교구가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구보다 우월한 지위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퀘르툼 교회회의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모스 면직안에 찬성하는등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들과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들을 견제하였다. 이러한 양측의 긴장감은 428년 안티오키아 학파의 네스토리우스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대주교직에 오르자 점차 고조되어 결국 교리논쟁으로 번지게 되었다.
2. 2. 히파티아 살해 사건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는 알렉산드리아 총독 오레스테스와 갈등을 빚었다.[15] 오레스테스는 히파티아의 정치적 지원을 받고 있었는데,[41]。 일부 기독교인들은 히파티아의 영향으로 오레스테스가 키릴로스의 화해 제안을 거부한다고 생각했다.[42]415년 3월, 파라발라니가 선동한[43] 기독교인 군중은 히파티아를 마차에서 끌어내 굴 껍질로 살을 깎는 방법으로 살해하고 시신을 토막 내어 불태웠다.[43][44][45] 이는 오레스테스파와 키릴로스파 간 투쟁의 결과였다.[46] 키릴로스는 알렉산드리아 대학교[47]와 대립하게 되었다.

콘스탄티노플의 소크라테스에 따르면, 415년 사순절 기간 동안, 베드로라는 독서자가 이끄는 기독교인 폭도들이 히파티아를 납치하여 카이사리움으로 끌고 가 옷을 벗기고 살해했다. 그들은 히파티아의 시신을 조각내어 시나리온이라는 곳으로 옮겨 불태웠는데, 이는 알렉산드리아의 전통적인 방식과 일치했다. 소크라테스 스콜라스티쿠스는 히파티아 살해범들이 파라발라니의 일원이었을 것으로 추정했지만, 크리스토퍼 하스는 살해범들이 알렉산드리아 평신도 무리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주장한다. 소크라테스 스콜라스티쿠스는 이 사건을 비난하며 기독교 정신과 거리가 멀다고 말했다. 신플라톤주의 역사학자 다마스키우스는 히파티아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키릴로스와 그의 기독교 추종자들에게 돌렸다.
3. 네스토리우스와의 논쟁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네스토리우스가 성모 마리아를 '테오토코스'(하느님의 어머니)라 부르는 것에 반대하고 '크리스토토코스'(그리스도의 어머니)라고 주장하는 것에 대하여,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를 통해 네스토리우스를 이단으로 단죄하였다.[7] 키릴로스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신성과 인성의 관계에 대한 논쟁에서, 한 위격 안에서 그리스도의 두 본성이 통일되어 있음을 주장한 반면, 네스토리우스는 예수는 신의 위격과 인간의 위격, 서로 다른 두 위격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였다.[24]
키릴로스는 에페소스 공의회에서 네스토리우스를 공격하기 위해 여러 방법을 동원하였다. 교황 첼레스티노 1세와 공모하고, 황후 풀케리아를 자기편으로 끌어들였다.[7] 자신과 의견을 달리하던 안티오키아의 주교단이 늦게 도착하는 틈을 타 네스토리우스를 파문하고 네스토리우스파를 이단으로 단죄했다.[7]
그러나 안티오키아의 요한과 다른 네스토리우스 지지 주교들이 도착하여, 자체 공의회를 소집하고 키릴로스를 이단으로 정죄하여 그를 교구에서 폐위시키고 "교회의 파괴를 위해 태어나고 교육받은 괴물"로 묘사했다.[27][51] 동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는 공의회의 판결을 무효화하고 키릴로스를 체포했지만, 키릴로스는 이집트로 도망쳐 테오도시우스의 측근들에게 뇌물을 주고, 은둔자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달마티우스가 이끄는 폭도들을 보내 테오도시우스의 궁전을 포위하게 했다.[27][51] 황제는 결국 굴복하여 네스토리우스를 상 이집트로 유배보냈다.[27]
키릴로스는 444년에 죽었지만, 기독교 내부의 교리 논쟁은 에페소스 강도 회의(449년)에서 칼케돈 공의회(451년) 및 그 이후 수십 년 동안 계속되었다.[27]
3. 1. 에페소스 공의회 (431년)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네스토리우스가 성모 마리아를 '테오토코스'(하느님의 어머니)라 부르는 것에 반대하고 '크리스토토코스'(그리스도의 어머니)라고 주장하는 것에 대하여,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를 통해 네스토리우스를 이단으로 단죄하였다.[7] 키릴로스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신성과 인성의 관계에 대한 논쟁에서, 한 위격 안에서 그리스도의 두 본성이 통일되어 있음을 주장한 반면, 네스토리우스는 예수는 신의 위격과 인간의 위격, 서로 다른 두 위격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였다.[24]키릴로스는 에페소스 공의회에서 네스토리우스를 공격하기 위해 여러 방법을 동원하였다. 교황 첼레스티노 1세와 공모하고, 황후 풀케리아를 자기편으로 끌어들였다.[7] 자신과 의견을 달리하던 안티오키아의 주교단이 늦게 도착하는 틈을 타 네스토리우스를 파문하고 네스토리우스파를 이단으로 단죄했다.[7]
그러나 안티오키아의 요한과 다른 네스토리우스 지지 주교들이 도착하여, 자체 공의회를 소집하고 키릴로스를 이단으로 정죄하여 그를 교구에서 폐위시키고 "교회의 파괴를 위해 태어나고 교육받은 괴물"로 묘사했다.[27][51] 동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는 공의회의 판결을 무효화하고 키릴로스를 체포했지만, 키릴로스는 이집트로 도망쳐 테오도시우스의 측근들에게 뇌물을 주고, 은둔자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달마티우스가 이끄는 폭도들을 보내 테오도시우스의 궁전을 포위하게 했다.[27][51] 황제는 결국 굴복하여 네스토리우스를 상 이집트로 유배보냈다.[27]
키릴로스는 444년에 죽었지만, 기독교 내부의 교리 논쟁은 에페소스 강도 회의(449년)에서 칼케돈 공의회(451년) 및 그 이후 수십 년 동안 계속되었다.[27]
4. 신학
키릴로스는 교회사에서 "테오토코스"[28]"(하느님의 어머니)라는 칭호를 위한 열정적인 투쟁으로 유명하다.[29] 이 투쟁은 에페소스 공의회 (431년)에서 절정에 달했고, 이후 모든 마리아론적 발전에 대한 교회적으로 정립된 기초를 세웠다.[29]
429년부터 키릴로스는 "테오토코스"의 정통성을 옹호하는 서신을 여러 교회 당국에 보냈다. 그는 아타나시우스 등 초기 신학자들이 이 용어를 사용했음을 들어 정당성을 주장했다. 12 아나테마를 통해 마리아를 테오토코스라 부르기를 거부하는 사람들을 비난했다. 에페소스 공의회에서 키릴로스는 여러 설교를 했는데, 그중 6개가 진본으로 인정된다. 특히 설교 IV는 마리아에 대한 키릴로스의 헌신을 보여주는 중요한 예시이며, 비잔틴 설교 및 찬송가에 영향을 주었다. 여기서 마리아는 정통 기독론의 역설을 구현하는 존재로 묘사되며, "담을 수 없는 자의 용기"와 "무한의 장소"와 같은 칭송을 받는다. 키릴로스는 마리아를 신성한 장소로 보고, "세상의 보물", "처녀성의 왕관", "정통성의 홀" 등의 은유를 사용했다.
키릴로스는 여러 작품에서 예수께서 어머니를 사랑하는 데 중점을 둔다. 십자가에서 그는 고통을 극복하고 어머니를 생각하며, 가나의 혼인 잔치에서 그는 그녀의 소망에 굴복한다. 키릴로스는 마리아론의 핵심을 영원히 굳건하게 하였고, 하느님의 어머니로서의 성모 마리아에 관한 설교를 통해 이후 모든 마리아론 발전의 기초를 닦았다. 키릴로스의 주장은 기독론적 방향이었으며, 그의 성숙한 마리아론은 네스토리우스를 불신하게 하는 데 기여했다.
성 키릴로스는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553년)에서 "그리스도인들의 올바른 신앙을 선포한 성 키릴로스" (아나테마 XIV, Denzinger et Schoenmetzer 437)로 인정받았다. 그의 저작에는 에페소스에서의 설교와 그 외의 설교가 포함된다.[52]
4. 1. 마리아론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는 교회사에서 "테오토코스[28]"(하느님의 어머니)라는 칭호를 위한 열정적인 투쟁으로 유명하다.[29] 이 투쟁은 에페소스 공의회 (431년)에서 절정에 달했고, 이후 모든 마리아론적 발전에 대한 교회적으로 정립된 기초를 세웠다.[29]429년부터 키릴로스는 "테오토코스"의 정통성을 옹호하는 서신을 여러 교회 당국에 보냈다. 그는 아타나시우스 등 초기 신학자들이 이 용어를 사용했음을 들어 정당성을 주장했다. 12 아나테마를 통해 마리아를 테오토코스라 부르기를 거부하는 사람들을 비난했다. 에페소스 공의회에서 키릴로스는 여러 설교를 했는데, 그중 6개가 진본으로 인정된다. 특히 설교 IV는 마리아에 대한 키릴로스의 헌신을 보여주는 중요한 예시이며, 비잔틴 설교 및 찬송가에 영향을 주었다. 여기서 마리아는 정통 기독론의 역설을 구현하는 존재로 묘사되며, "담을 수 없는 자의 용기"와 "무한의 장소"와 같은 칭송을 받는다. 키릴로스는 마리아를 신성한 장소로 보고, "세상의 보물", "처녀성의 왕관", "정통성의 홀" 등의 은유를 사용했다.
키릴로스는 여러 작품에서 예수께서 어머니를 사랑하는 데 중점을 둔다. 십자가에서 그는 고통을 극복하고 어머니를 생각하며, 가나의 혼인 잔치에서 그는 그녀의 소망에 굴복한다. 키릴로스는 마리아론의 핵심을 영원히 굳건하게 하였고, 하느님의 어머니로서의 성모 마리아에 관한 설교를 통해 이후 모든 마리아론 발전의 기초를 닦았다. 키릴로스의 주장은 기독론적 방향이었으며, 그의 성숙한 마리아론은 네스토리우스를 불신하게 하는 데 기여했다.
성 키릴로스는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553년)에서 "그리스도인들의 올바른 신앙을 선포한 성 키릴로스" (아나테마 XIV, Denzinger et Schoenmetzer 437)로 인정받았다. 그의 저작에는 에페소스에서의 설교와 그 외의 설교가 포함된다.[52]
5. 평가 및 유산
동방 정교회 및 동방 가톨릭 교회의 성인력에서는 6월 9일과,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오스의 기념일이기도 한 6월 18일이 그의 기념일로 지정되어 있다.
가톨릭교회의 성인력에서는 1882년에 2월 9일을 기념일로 지정했으나, 1969년에 개정하여 콥트 정교회와 마찬가지로 키릴로스의 서거일인 6월 27일을 기념일로 지정했다(임의 기념일).[55] 루터교에서도 같은 날을 그의 기념일로 하고 있다.
2008년 이집트 작가 유스프 지단/Youssef Ziedan영어의 아랍어 소설 『아자지르/Azazeel (novel)영어』는 2009년 국제 아랍 소설상을 수상했다.[56] 이 소설은 5세기 이집트 및 시리아의 초기 기독교 시대를 배경으로 아이깁투스의 초기 기독교인을 그리고 있다. 소설 속 화자인 히파는 히파티아가 린치를 당하는 것을 목격하고, 키릴로스가 네스토리우스를 단죄한 431년에 자신이 싸움에 휘말린 것을 깨닫는다. 키릴로스는 유대인과 고대 전통 신앙에서 기독교로 개종하지 않은 자들을 살해하는 광신적인 인물로 묘사되어 많은 기독교인들을 분노하게 만들었다.[57]
키 롱펠로우의 『Flow Down Like Silver, Hypatia of Alexandria』(2009년)에서는 키릴로스가 히파티아 살해에 수행한 역할을 거리낌 없이 추측하고 있다.
2009년 영화 『알렉산드리아』에서는 사미 사미르가 키릴로스를 연기하며, 알렉산드리아의 서로 다른 공동체를 중재하려 했던 오레스테스에 반대하는 과격론자로 묘사된다.
5. 1. 대한민국에서의 평가
2008년 이집트 작가 유스프 지단/Youssef Ziedan영어의 아랍어 소설 『아자지르/Azazeel (novel)영어』는 2009년 국제 아랍 소설상을 수상했다.[56] 이 소설은 5세기 이집트 및 시리아의 초기 기독교 시대를 배경으로 아이깁투스의 초기 기독교인을 그리고 있다. 소설 속 화자인 히파는 히파티아가 린치를 당하는 것을 목격하고, 키릴로스가 네스토리우스를 단죄한 431년에 자신이 싸움에 휘말린 것을 깨닫는다. 키릴로스는 유대인과 고대 전통 신앙에서 기독교로 개종하지 않은 자들을 살해하는 광신적인 인물로 묘사되어 많은 기독교인들을 분노하게 만들었다.[57]키 롱펠로우의 『Flow Down Like Silver, Hypatia of Alexandria』(2009년)에서는 키릴로스가 히파티아 살해에 수행한 역할을 거리낌 없이 추측하고 있다.
2009년 영화 『알렉산드리아』에서는 사미 사미르가 키릴로스를 연기하며, 알렉산드리아의 서로 다른 공동체를 중재하려 했던 오레스테스에 반대하는 과격론자로 묘사된다.
6. 저작
키릴로스는 학식이 풍부한 총대주교이자 다작의 저술가였다.[31][32] 교회 활동 초기에 그는 여러 주석 문서를 저술했다. 그 중에는 ''구약성경 주석'',[53] ''보물고'', ''아리우스주의 반박 강론'', ''요한 복음서 주석'',[54] 그리고 ''삼위일체에 관한 대화''가 있다. 429년, 기독론 논쟁이 격화되면서 그의 저술량은 방대해져 그의 반대자들이 따라갈 수 없었다. 그의 저술과 신학은 오늘날까지 교부들의 전통과 모든 정교회의 핵심으로 남아 있다.[31][32]
그의 저작들은 다음과 같다:
- ''[http://www.ellopos.net/elpenor/greek-texts/fathers/cyril-temples.asp 하나님의 성전이 되다]''(Ναοὶ θεοῦ χρηματιοῦμεν) (그리스어 원본 및 영어)
- ''[https://web.archive.org/web/20060912150448/http://www.monachos.net/patristics/christology/cyril_to_nestorius_2.shtml 키릴로스가 네스토리우스에게 보낸 두 번째 서신]''
- ''[http://booksfromarmenia.com/item.php?item_id=1540&cur=USD# 히브리서에 대한 주석]''
- ''[https://web.archive.org/web/20120112203517/https://www.monachos.net/content/patristics/patristictexts/135-cyril-of-alexandria-third-epistle-to-nestorius-including-the-twelve-anathemas 키릴로스가 네스토리우스에게 보낸 세 번째 서신 (12개의 아나테마 포함)]''
- ''[https://web.archive.org/web/20060910222342/http://www.monachos.net/patristics/christology/cyril_john_union.shtml 재결합 공식: 요약 (키릴로스와 안티오키아의 요한 사이의 재결합 요약)]''
- ''[https://web.archive.org/web/20051222065429/http://monachos.net/patristics/christology/cyril_johnantioch.shtml "재결합 공식", 키릴로스와 안티오키아의 요한 사이]''
- ''[http://www.tertullian.org/fathers/cyril_against_nestorius_00_intro.htm 네스토리우스 반박 5권 (Adversus Nestorii blasphemias)]''
- ''[http://www.tertullian.org/fathers/cyril_christ_is_one_01_text.htm 그리스도는 한 분이시다 (Quod unus sit Christus)]''
- ''[http://www.tertullian.org/fathers/cyril_scholia_incarnation_01_text.htm 독생자의 성육신에 대한 스콜리아 (Scholia de incarnatione Unigeniti)]''
- ''[http://www.tertullian.org/fathers/cyril_against_diodore_01_text.htm 타르수스의 디오도레와 몹수에스티아의 테오도르 반박 (단편)]''
- ''[http://www.tertullian.org/fathers/cyril_against_synousiasts_01_text.htm 공통 본질론자 반박 (단편)]''
- ''[http://www.tertullian.org/fathers/cyril_on_luke_00_intro.htm 루카 복음서 주석]''
- ''[http://www.tertullian.org/fathers/cyril_on_john_00_eintro.htm 요한 복음서 주석]''
- ''[http://www.tertullian.org/fathers/index.htm#Cyril_Against_Julian 배교자 율리아누스 반박]''
- [http://roderic.uv.es/uv_ms_0733 ''키릴로스 알렉산드리누스의 보물고, 이단 반박, 조르지오 트라페순티오 번역''] (라틴어 및 그리스어)
- 필립 R. 아미돈 역, ''축제 서한 1-12'', Fathers of the Church vol. 112 (워싱턴 D.C.: 가톨릭 아메리카 대학교 출판부, 2009)
- 로버트 찰스 힐 역, ''이사야 주석'', 서문 포함 (브루클린, 매사추세츠: 호리 크로스 정교회 출판부, 2008)
- 로버트 C. 힐 역, ''열두 예언자 주석'', 2권, Fathers of the Church vols 115-16 (워싱턴 D.C.: 가톨릭 아메리카 대학교 출판부, 2008) [''In XII Prophetas'' 번역]
- 조지 디온 드라가스 신부 역, ''성모 마리아가 데오토코스임을 인정하려 하지 않는 자들에 반하여'', 서문 포함 (롤린스포드, 뉴햄프셔: 정교회 연구소, 2004)
- 노먼 러셀,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런던: 루틀리지, 2000) [''이사야 주석; 요한 복음 주석; 네스토리우스 반대; 12개 장 해설; 율리아누스 반대''에서 발췌한 번역 포함]
- 존 앤서니 맥거킨 역, ''그리스도의 통일성에 관하여'', 서문 포함 (크레스트우드, 뉴욕: 성 블라디미르 신학교 출판부, 1995)
- J. A. 맥거킨, ''알렉산드리아의 성 키릴로스: 기독론 논쟁. 역사, 신학 및 텍스트'' (라이덴: E.J. 브릴, 1994) [네스토리우스에게 보낸 두 번째 및 세 번째 서한, 율로기우스 및 수켄수스에게 보낸 서한, 이집트의 수도사들에게 보낸 키릴로스의 서한, 교황 첼레스티누스에게, 베로이아의 아카키우스에게, 안티오키아의 요한에게 (화해의 서약 포함), 에페소스의 성 요한 대성당에서 설교한 축제 설교, 성육신에 대한 스콜리아 번역 포함]
- 존 I. 맥에너니 역, ''서한 1-110'', Fathers of the Church vols 76-77 (워싱턴: 가톨릭 아메리카 대학교 출판부, 1987)
- 라이오넬 R. 위컴 편,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선별된 서한'' (옥스포드: 클래런던 출판부, 1983). [네스토리우스에게 보낸 두 번째 및 세 번째 서한, 멜리테네의 아카키우스와 율로기우스에게 보낸 서한, 수켄수스에게 보낸 첫 번째 및 두 번째 서한, 신조에 관한 서한 55, 티베리우스에 대한 답변, 교리적 질문과 답변, 칼로시리우스에게 보낸 서한 번역 포함]
참조
[1]
백과사전
Cyril (bishop of Alexandria)
https://wikisource:1[...]
Encyclopædia Britannica
1911
[2]
서적
The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https://catalog.hath[...]
J. B. Lippincott & co
1871
[3]
서적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1969
[4]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5]
서적
Cyril of Alexandria: The Early Church Fathers
https://books.google[...]
Routledge
[6]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saints
Oxford Univ. Press
[7]
웹사이트
St-Takla.org
https://st-takla.org[...]
[8]
웹사이트
Cyril of Alexandria
http://www.ccel.org/[...]
The New Schaff-Herzog Encyclopedia of Religious Knowledge
[9]
웹사이트
"Saint Cyril of Alexandria", Franciscan Media
https://web.archive.[...]
2018-08-01
[10]
문서
Palladius of Galatia
Dialogus
[11]
백과사전
Theophilus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1912
[12]
문서
Photios
Bibliotheca
[13]
백과사전
St. Cyril of Alexandria
https://wikisource:C[...]
Catholic Encyclopedia
1908
[14]
웹사이트
The Burning of the Library of Alexandria
https://web.archive.[...]
2007-08-23
[15]
문서
John of Nikiu
[16]
문서
Socrates Scholasticus
[17]
서적
Ecclesiastical History
[18]
문서
Socrates Scholasticus
[19]
서적
Alexandria in Late Antiquity: Topography and Social Conflict
JHU Press
[20]
문서
Socrate Scolastico
[21]
문서
Giovanni di Nikiu
[22]
웹사이트
Whitfield, Bryan J., "The Beauty of Reasoning: A Reexamination of Hypatia and Alexandria"
https://web.archive.[...]
1995
[23]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page 537 (V. 2)
https://web.archive.[...]
[24]
서적
The First Seven Ecumenical Councils (325-787): Their History and Theology
The Liturgical Press
[25]
서적
The theology of St. Cyril of Alexandria: a critical appreciation
T&T Clark Ltd
[26]
웹사이트
Monachos.net – Nestorius of Constantinople, Second epistle to Cyril of Alexandria
https://web.archive.[...]
[27]
서적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28]
간행물
The rejection of the term Theotokos by Nestorius Constantinople
https://independent.[...]
2012-01
[29]
서적
The Story of Christianity, Volume 1: The Early Church to the Dawn of the Reformation
https://archive.org/[...]
HarperOne
1984
[30]
서적
The First Christian Hymnal: The Songs of the Ancient Jerusalem Church
https://press.uchica[...]
Brigham Young University Press
[31]
웹사이트
Commentary on Luke (1859)
http://www.tertullia[...]
[32]
웹사이트
Cyril of Alexandria, Commentary on John, LFC 43, 48 (1874/1885). Preface to the online edition
http://www.tertullia[...]
[33]
웹사이트
The Burning of the Library of Alexandria
http://ehistory.osu.[...]
[34]
문서
Wessel
[35]
문서
John of Nikiu
[36]
서적
Socrates Scholasticus, vii.13.6-9
[37]
서적
Socrates Scholasticus, vii.13
[38]
서적
[39]
서적
Socrates Scholasticus, vii.14
[40]
서적
[41]
서적
Alexandria in Late Antiquity: Topography and Social Conflict
JHU Press
2006
[42]
웹사이트
彼女はアレクサンドリア総督オレステスと親密すぎることを責められ、彼女に対する非難が聖職者たちに広がり、彼女がオレステスと彼らの総主教キュリロスとの仲を阻害しているという考えを彼らが持つに至った
http://www.ancientli[...]
[43]
서적
Socrate Scolastico, vii.15
[44]
서적
Giovanni di Nikiu, 84.88-100
[45]
서적
ローマ帝国衰亡史
[46]
서적
Hypatia of Alexandri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47]
문서
en
[48]
서적
The First Seven Ecumenical Councils (325-787): Their History and Theology
The Liturgical Press
1983
[49]
서적
The theology of St. Cyril of Alexandria: a critical appreciation
T&T Clark LTD
2003
[50]
웹사이트
Second Epistle to Cyril
http://www.monachos.[...]
[51]
서적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52]
문서
PG 76,992 , Adv. Nolentes confiteri Sanctam Virginem esse Deiparem
[53]
웹사이트
Cyril of Alexandria, Commentary on Luke (1859) Preface. pp.i-xx
http://www.tertullia[...]
[54]
웹사이트
Cyril of Alexandria, Commentary on John, LFC 43, 48 (1874/1885). Preface to the online edition
http://www.tertullia[...]
[55]
서적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1969
[56]
서적
Azazeel
[57]
뉴스
Meeting the winner of the 'Arabic Booker'
http://www.guardian.[...]
The Guardian
2009-03-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