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은 한국기원이 주최하고 농심이 후원하며, 대한민국, 중국, 일본 3개국이 각 5명의 대표팀을 구성하여 연승 방식으로 대결하는 바둑 대회이다. 1999년부터 시작되어 각자 1시간의 제한 시간과 6집 반의 덤으로 진행되며, 우승 상금은 5억원, 연승 상금은 3연승부터 추가 지급된다. 대한민국이 16회, 중국이 8회, 일본이 1회 우승했으며, 신진서 9단은 22회부터 25회까지 16연승을 기록했다. 2021년에는 바둑 레전드 국가대항전이, 2022년에는 한중 클래식 슈퍼 매치가 특별 이벤트로 개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9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AFC 풋살 아시안컵
    AFC 풋살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풋살 국가대표팀 간의 대륙 선수권 대회로, 1999년부터 시작되어 2006년부터 FIFA 풋살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겸하며, 2022년 명칭 변경을 통해 AFC 주관 주요 대회의 명칭을 통일했고, 이란이 최다 우승국이다.
  • 1999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슈퍼컵 (대한민국)
    슈퍼컵 (대한민국)은 1999년부터 2006년까지 K리그와 FA컵 우승팀 간의 단판 승부로 우승팀을 가리는 대회였으며,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최다 우승 구단이다.
  •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 10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10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은 2008년 9월부터 2009년 2월까지 한중일 순회로 열린 바둑 대회로, 한국이 우승, 중국이 준우승, 일본이 3위를 기록했다.
  •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 11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11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은 2009년 9월부터 2010년 2월까지 한중일 바둑 기사들이 참가하여 진행된 국제 바둑 대회로, 세 단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한국이 우승했다.
  • 국제 바둑 기전 - 진로배 SBS 세계 바둑 최강전
    진로배 SBS 세계 바둑 최강전은 SBS 주최, 진로그룹 후원으로 1991년부터 1997년까지 5회 개최된 한국, 중국, 일본 대표 기사들의 국가대항전 바둑 단체전으로, 한국 바둑의 위상을 높이고 바둑계에 활력을 불어넣었으며 우승 상금은 20만 달러였다.
  • 국제 바둑 기전 - 취저우 난가배 세계바둑오픈
    취저우 난가배 세계바둑오픈은 32명의 프로 기사가 단판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쟁하며 결승전은 3번기로 진행되고, 우승 상금은 180만 위안인 바둑 대회이다.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대회 정보
정식 명칭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영문 명칭Nongshim Cup
주최농심
주관한국기원
중국위기협회
일본기원
대회 방식
방식국가대항전 (연승전)
참가국대한민국
중국
일본
(과거) 타이완
상금
우승 상금5억원
연승 상금1승당 5천만원
역대 대회 결과
1회제1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2회제2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3회제3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4회제4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5회제5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6회제6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7회제7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8회제8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9회제9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10회제10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11회제11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12회제12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13회제13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14회제14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15회제15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16회제16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17회제17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18회제18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19회제19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20회제20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21회제21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22회제22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23회제23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24회제24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2. 대회 방식

한국기원이 주최/주관하고, 농심이 후원하며, 중국위기협회와 일본기원이 협력하는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은 대한민국, 일본, 중국의 최고 기사들이 모여 경쟁하는 대회이다.

각 팀은 5명의 대표 기사를 출전시키며, 연승전 방식으로 대국이 진행된다. 대국 시간은 각자 1시간에 1분 초읽기 1회가 주어지며, 덤은 6집 반이다.

우승 상금은 5억이며, 매 경기마다 300만의 대국료가 지급된다. 3연승 이상을 기록한 기사에게는 세 번째 승리부터 각 승리마다 1000만의 연승 상금이 추가로 지급된다.[6]

3. 역대 대회 결과

회차연도연승 순위
11999년~2000년목진석 (산하 게이고, 추쥔)
구도 노리오 (목)
뤄시허 (구도)
김영삼 (뤄)
이다 노리모토 (김, 왕레이)
조훈현 (이다)
창하오 (조, 야마다 키조세이, 류창허)
자오선진 (창)
이창호 (자오, 마샤오춘)
22000년~2001년최철한 (위핑, 왕밍완, 류징)
고바야시 사토루 (최)
사오웨이강 (고바야시)
목진석 (사오)
다케미야 마사키 (목)
창하오 (다케미야, 최명훈)
야마시타 게이고 (창)
조훈현 (야마시타, 위빈)
가토 마사오 (조)
이창호 (가토)
32001년~2002년사오웨이강 (아와지 슈조)
최철한 (사오, 고바야시 고이치)
뤄시허 (최, 야마시타 게이고, 최규병)
나카노 히로야 (뤄)
류창허 (나카노)
위빈 (류, 가토 마사오)
조훈현 (위)
창하오 (조)
이창호 (창, 저우허양)
42002년~2003년박영훈 (구리, 왕리청, 창하오, 장쉬)
공제 (박)
고바야시 고이치 (공, 윤현석)
후야오위 (고바야시, 김승준, 가토 마사오, 조훈현, 이다 노리모토)
이창호 (후, 뤄시허)
52003년~2004년장쉬 (위빈, 허영호)
왕레이 (장, 훙민뱌오)
고바야시 고이치 (왕, 박지은, 저우허양)
원성진 (고바야시, 후야오위, 유시훈)
구리 (원)
가토 마사오 (구)
이창호 (가토, 린하이펑)
62004년~2005년미무라 지호 (한종진)
저우허양 (미무라, 안달훈)
다카오 신지 (저우, 류창허)
펑취안 (다카오)
최철한 (펑)
조치훈 (최)
뤄시허 (조)
이창호 (뤄, 장쉬, 왕레이, 왕밍완, 왕시)
72005년~2006년하네 나오키 (강동윤, 왕야오)
류자이싱 (하네)
류싱 (류)
미무라 지호 (류)
원성진 (미무라)
셰허 (원, 야마다 키조세이)
자오한승 (셰, 다카오 신지, 창하오)
이다 노리모토 (자오, 공제, 이창호)
82006년~2007년하네 나오키 (왕레이, 조훈현)
펑취안 (하네, 최철한, 이마무라 토시야, 원성진, 야마다 키조세이)
박영훈 (펑, 다카오 신지, 천야오예, 이다 노리모토)
공제 (박)
이창호 (공, 구리)
92007년~2008년하네 나오키 (펑취안)
홍민표 (하네)
왕시 (홍, 가와노 린, 자오한승)
야마다 키조세이 (왕)
목진석 (야마다, 후야오위, 이다 노리모토)
창하오 (목, 다카오 신지, 이창호, 박영훈) (잔류: 구리)
102008년~2009년퉈자시 (허영호, 야마시타 게이고, 윤준상, 가와노 린)
강동윤 (퉈, 야마다 키조세이, 박문요, 하네 나오키, 추쥔)
다카오 신지 (강)
창하오 (다카오)
이세돌 (창, 구리) (잔류: 이창호)
112009년~2010년김지석 (야마시타 게이고, 딩웨이, 다카오 신지)
셰허 (김, 이야마 유타, 김승재, 야마다 키조세이, 윤준상)
하네 나오키 (셰, 박영훈)
류싱 (하네)
이창호 (류, 구리, 창하오)
122010년~2011년이세돌 (왕시, 이야마 유타)
셰허 (이, 사카이 슈지, 린청화, 하네 나오키)
목진석 (셰)
다카오 신지 (목, 퉈자시)
최철한 (다카오, 저우루이양, 유키 사토시, 공제) (잔류: 이창호)
132011년~2012년저우루이양 (다카오 신지)
안국현 (저우루이양, 사카이 슈지)
단샤오 (안국현, 하네 나오키, 강유택, 유키 사토시)
김지석 (단샤오, 야마시타 게이고, 박문요, 구리)
셰허 (김지석, 원성진, 이창호)
142012년~2013년단샤오 (다카오 신지, 이동훈, 이다 아츠시)
이호범 (단)
후지타 아키히코 (이)
왕시 (후지타, 김지석, 안자이 노부아키)
최철한 (왕, 무라카와 다이스케, 천야오예)
셰허 (최)
박정환 (셰, 장웨이제)
152013년~2014년판팅위 - 야오즈텅, 최기훈, 안자이 노부아키
강동윤 - 판팅위, 가와노 린
천야오예 - 강동윤, 유키 사토시, 최철한
장쉬 - 천야오예
김지석 - 장쉬
단샤오 - 김지석
박정환 - 단샤오, 저우루이양
스위에 - 박정환
162014년~2015년이치리키 료 - 변상일
퉈자시 - 이치리키 료
강동윤 - 퉈자시, 이다 아츠시
왕시 - 강동윤, 무라카와 다이스케, 안성준, 가와노 린
박정환 - 왕시
이야마 유타 - 박정환, 미위팅
김지석 - 이야마 유타
롄샤오 - 김지석
172015년~2016년이치리키 료 - 백찬희, 판윈뤄, 민상연
우광야 - 이치리키 료
최철한 - 우광야, 이다 아츠시
구리 - 최철한, 가와노 린, 박정환
무라카와 다이스케 - 구리
이세돌 - 무라카와 다이스케, 롄샤오, 이야마 유타
커제 - 이세돌
1-4국(10/20-23)은 충칭에서, 5-9국(11/27-12/1)은 부산에서, 10-14국(3/1-5)은 상하이에서 개최.
182016년~2017년이치리키 료 - 이세돌
판팅위 - 이치리키 료, 이동훈, 장쉬, 강동윤, 가와노 린, 김지석, 무라카와 다이스케
박정환 - 판팅위, 이야마 유타
판윈뤄 - 박정환 (잔류:커제, 퉈자시, 롄샤오)
1-4국(9/27-30)은 안투 현에서, 5-9국(11/25-29)은 부산에서, 10-11국(2/21-22)은 상하이에서 개최.
192017년~2018년신민준 - 판팅위, 위정치, 저우루이양, 쉬자위안, 천야오예, 야마시타 게이고
탕웨이싱 - 신민준, 이치리키 료, 김명훈, 이야마 유타, 신진서
김지석 - 탕웨이싱, 커제 (잔류:박정환)
1-4국(9/19-22)은 선양에서, 5-9국(11/24-28)은 부산에서, 10-11국(2/26-3/1)은 상하이에서 개최.
202018년~2019년시노바 야스히로 - 안국현
판팅위 - 시노바 야스히로, 신민준, 모토키 야스시, 최철한, 쉬자위안, 이세돌, 이치리키 료
박정환 - 판팅위, 이야마 유타
탕웨이싱 - 박정환 (잔류:구쯔하오, 커제, 스위에)
1-4국(10/16-19)은 베이징에서, 5-9국(11/23-27)은 부산에서, 10-11국(2/18-19)은 상하이에서 개최.
212019년~2020년원성진 - 무라카와 다이스케
양딩신 - 원성진, 야마시타 게이고, 김지석, 이치리키 료, 이동훈, 쉬자위안, 신진서
이야마 유타 - 양딩신
박정환 - 이야마 유타, 미위팅, 판팅위[8], 셰얼하오
커제 - 박정환
1-4국(10/15-18)은 베이징, 5-9국(11/22-26)은 부산, 10-14국(8/18-22)은 인터넷 대국으로 개최.
(*)박정환-판팅위 대국은 컴퓨터 불량으로 인해 무승부가 되어, 다음날 선후를 바꾸어 재대국.
222020년~2021년홍기표 - 판팅위
쉬자위안 - 홍기표
구쯔하오 - 쉬자위안, 강동윤, 무라카와 다이스케
신민준 - 구쯔하오
시노바 야스히로 - 신민준
탕웨이싱 - 시노바 야스히로
신진서 - 탕웨이싱, 이야마 유타, 양딩신, 이치리키 료, 커제 (잔류:박정환)
(전국 인터넷 대국으로 개최)
232021년~2022년원성진 - 시노바 야스히로
리웨이칭 - 원성진
쉬자위안 - 리웨이칭
박정환 - 쉬자위안
판팅위 - 박정환
이야마 유타 - 판팅위, 변상일, 리친청, 신민준
미위팅 - 이야마 유타
신진서 - 미위팅[9][10], 위정치, 커제, 이치리키 료
(전국 인터넷 대국으로 개최)
(*)신진서-미위팅 대국은 컴퓨터 반응 지연으로 인해 시간 초과가 발생했지만, 다음날 선후를 바꾸어 재대국.
242022년~2023년판팅위 - 이치리키 료, 신민준, 쉬자위안
강동윤 - 판팅위, 시노바 야스히로, 퉈자시[11], 위정치
롄샤오 - 강동윤
이야마 유타 - 롄샤오
박정환 - 이야마 유타, 커제
구쯔하오 - 박정환, 변상일
신진서 - 구쯔하오
(전국 인터넷 대국으로 개최)
(*)강동윤-퉈자시 대국은 4코 묘수로 인해 무승부가 되어, 같은 날 재대국.
252023년~2024년쉬자위안 - 설현준
셰얼하오 - 쉬자위안, 변상일, 시노바 야스히로, 원성진, 이치리키 료, 박정환, 위정치
신진서 - 셰얼하오, 이야마 유타, 자오천위, 커제, 딩하오, 구쯔하오
(1-4국(10/17-20)은 베이징, 5-9국(11/30-12/4)은 부산, 10-14국(2/19-23)은 상하이에서 개최)
262024년~2025년커제 - 설현준, 히로세 유이치
김명훈 - 커제, 이야마, 판팅위, 쉬
셰얼하오 - 김명훈, 이치리키, 신민준


3. 1. 종합 결과

회차연도우승 (최종 결과)준우승 (최종 결과)3위 (최종 결과)
1회1999년~2000년대한민국 (6-4)중국 (4-5)일본 (4-5)
2회2000년~2001년대한민국 (7-4)일본 (4-5)중국 (3-5)
3회2001년~2002년대한민국 (6-4)중국 (7-5)일본 (1-5)
4회2002년~2003년대한민국 (6-4)중국 (6-5)일본 (2-5)
5회2003년~2004년대한민국 (5-4)일본 (6-5)중국 (3-5)
6회2004년~2005년대한민국 (6-4)중국 (4-5)일본 (4-5)
7회2005년~2006년일본 (6-4)대한민국 (5-5)중국 (3-5)
8회2006년~2007년대한민국 (6-4)중국 (6-5)일본 (2-5)
9회2007년~2008년중국 (7-3)대한민국 (4-5)일본 (2-5)
10회2008년~2009년대한민국 (7-3)중국 (5-5)일본 (1-5)
11회2009년~2010년대한민국 (6-4)중국 (6-5)일본 (2-5)
12회2010년~2011년대한민국 (7-3)중국 (4-5)일본 (2-5)
13회2011년~2012년중국 (8-4)대한민국 (6-5)일본 (0-5)
14회2012년~2013년대한민국 (6-4)중국 (7-5)일본 (1-5)
15회2013년~2014년중국 (8-4)대한민국 (5-5)일본 (1-5)
16회2014년~2015년중국 (6-3)대한민국 (4-5)일본 (3-5)
17회2015년~2016년중국 (5-4)대한민국 (5-5)일본 (4-5)
18회2016년~2017년중국 (8-1)대한민국 (2-5)일본 (1-5)
19회2017년~2018년대한민국 (8-3)중국 (5-5)일본 (0-5)
20회2018년~2019년중국 (8-1)대한민국 (2-5)일본 (1-5)
21회2019년~2020년중국 (8-4)대한민국 (5-5)일본 (1-5)
22회2020년~2021년대한민국 (7-3)중국 (4-5)일본 (2-5)
23회2021년~2022년대한민국 (6-4)일본 (5-5)중국 (3-5)
24회2022년~2023년대한민국 (7-4)중국 (6-5)일본 (1-5)
25회2023년~2024년대한민국 (6-4)중국 (7-5)일본 (1-5)
26회2024년~2025년|


3. 2. 국가별 우승 횟수

국가우승 횟수준우승 횟수
대한민국169
중국813
일본13


4. 주요 기록

기록 종류내용비고
최다 연승신진서 9단 (16연승)22~25회
최다 우승 국가대한민국 (16회)
14연승이창호 (대한민국)제1회 2연승, 제2회 1승, 제3회 2연승, 제4회 2연승, 제5회 2연승, 제6회 5연승. 제7회 요다 노리모토에게 패하기 전까지 6년간 무패 기록.
7연승판팅위 (중국), 양딩신 (중국), 셰얼하오 (중국) 9단제18회(판팅위), 제20회(판팅위), 제21회(양딩신), 제25회(셰얼하오)
6연승신민준 (대한민국)제19회
5연승후야오위 (중국), 펑취안 (중국), 강동윤 (대한민국), 셰허 (중국), 당이페이 (중국), 신진서 (대한민국)제4회(후야오위), 제8회(펑취안), 제10회(강동윤), 제11회(셰허), 제19회(당이페이), 제22회(신진서)



2010년대 이후 한국은 중국에 밀리는 듯했으나, 신진서 9단의 활약으로 다시 우승을 차지하며 바둑 강국의 입지를 굳혔다.

5. 역대 주요 대국

20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2018-2019)에서는 중국의 판팅위 9단이 7연승을 기록하며 중국의 우승을 이끌었다. 판팅위 9단은 일본의 시바노 도라마루, 한국의 신민준, 일본의 모토키 가쓰야, 한국의 최철한, 일본의 쉬자위안, 한국의 이세돌, 일본의 이치리키 료를 연파했다.[2] 한국의 박정환 9단은 판팅위 9단과 일본의 이야마 유타 9단을 꺾으며 2연승을 기록했지만, 중국의 당이페이 9단에게 패했다.[2]

No.날짜승자패자
12018-10-16 시바노 도라마루 안국현
22018-10-17 판팅위 시바노 도라마루
32018-10-18 신민준
42018-10-19 모토키 가쓰야
52018-11-23 최철한
62018-11-24 쉬자위안
72018-11-25 이세돌
82018-11-26 이치리키 료
92018-11-27 박정환 판팅위
102019-02-18 이야마 유타
112019-02-19 당이페이 박정환



중국의 스웨, 구쯔하오, 커제는 출전하지 않고도 우승을 차지했다.

5. 1. 제18회 (2016-2017)

번호날짜승자패자
102020년 8월 18일 박정환 이야마 유타
112020년 8월 19일 미위팅
122020년 8월 21일 판팅위[2]
132020년 8월 21일 셰얼하오
142020년 8월 22일 커제 박정환



박정환 9단은 2020년 8월 18일에 이야마 유타 9단을, 8월 19일에 미위팅 9단을 꺾고 2연승을 기록했다.[2] 8월 21일 판팅위 9단과의 대국에서는 기술적인 문제로 무승부가 발생하여 다음날 재대국을 치렀고, 박정환 9단이 승리했다.[2] 같은 날 셰얼하오 9단에게는 패배했다.[2] 8월 22일, 커제 9단이 박정환 9단을 꺾으면서 중국이 우승을 차지했다.[2]

5. 2. 제19회 (2017-2018)

순번날짜승자패자
12020-10-13홍기표|洪基杓한국어판팅위|范廷鈺중국어
22020-10-14쉬자위안|許家元일본어홍기표|洪基杓한국어
32020-10-15구쯔하오|辜梓豪중국어쉬자위안|許家元일본어
42020-10-16강동윤|姜東潤한국어
52020-11-20무라카와 다이스케|村川大介일본어
62020-11-21신민준|申旻埈한국어구쯔하오|辜梓豪중국어
72020-11-22시바노 도라마루|芝野虎丸일본어신민준|申旻埈한국어
82020-11-23탕웨이싱|唐韦星중국어시바노 도라마루|芝野虎丸일본어
92020-11-24신진서|申眞諝한국어탕웨이싱|唐韦星중국어
102021-02-22이야마 유타|井山裕太일본어
112021-02-23양딩신|杨鼎新중국어
122021-02-24이치리키 료|一力遼일본어
132021-02-25커제|柯洁중국어



신민준 9단은 판팅위 9단을 꺾고 6연승을 기록하며 한국의 초반 기세를 이끌었다. 출전하지 않고도 우승한 한국팀 멤버는 박정환 9단이다.

5. 3. 제20회 (2018-2019)

판팅위중국어 9단(중국)은 7연승을 기록하며 중국의 우승을 이끌었다. 박정환한국어 9단(한국)은 판팅위중국어 9단과 이야마 유타일본어 9단(일본)을 꺾으며 2연승을 기록했지만, 당이페이중국어 9단(중국)에게 패했다.

5. 4. 제21회 (2019-2020)

제21회 대회는 2022년 10월 11일부터 2023년 2월 24일까지 진행되었다.

번호날짜승자패자
12022년 10월 11일판팅위|판팅위중국어 9단 ( 중국)이치리키 료|이치리키 료일본어 9단 ( 일본)
22022년 10월 12일신민준|신민준한국어 9단 ( 대한민국)판팅위|판팅위중국어 9단 ( 중국)
32022년 10월 13일쉬자위안|쉬자위안일본어 9단 ( 일본)신민준|신민준한국어 9단 ( 대한민국)
42022년 10월 14일강동윤|강동윤한국어 9단 ( 대한민국)쉬자위안|쉬자위안일본어 9단 ( 일본)
52022년 11월 25일강동윤|강동윤한국어 9단 ( 대한민국)시바노 도라마루|시바노 도라마루일본어 9단 ( 일본)
62022년 11월 26일강동윤|강동윤한국어 9단 ( 대한민국)퉈자시|퉈자시중국어 9단 ( 중국)
72022년 11월 27일강동윤|강동윤한국어 9단 ( 대한민국)위정치|위정치일본어 9단 ( 일본)
82022년 11월 28일롄샤오|롄샤오중국어 9단 ( 중국)강동윤|강동윤한국어 9단 ( 대한민국)
92022년 11월 29일이야마 유타|이야마 유타일본어 9단 ( 일본)롄샤오|롄샤오중국어 9단 ( 중국)
102023년 2월 20일박정환|박정환한국어 9단 ( 대한민국)이야마 유타|이야마 유타일본어 9단 ( 일본)
112023년 2월 21일박정환|박정환한국어 9단 ( 대한민국)커제|커제중국어 9단 ( 중국)
122023년 2월 22일구쯔하오|구쯔하오중국어 9단 ( 중국)박정환|박정환한국어 9단 ( 대한민국)
132023년 2월 23일구쯔하오|구쯔하오중국어 9단 ( 중국)변상일|변상일한국어 9단 ( 대한민국)
142023년 2월 24일신진서|신진서한국어 9단 ( 대한민국)구쯔하오|구쯔하오중국어 9단 ( 중국)


5. 5. 제22회 (2020-2021)

申真谞|신진서중국어 9단(한국)은 5연승으로 한국에 우승을 안겼다. 한국의 마지막 주자로 출전하여 5연승을 거두었으며, 특히 중국의 柯洁|커제중국어 9단을 꺾은 것은 한국 바둑 팬들에게 큰 기쁨을 선사했다.[5]

순번날짜승자패자
92023년 12월 4일 신진서 셰얼하오
102024년 2월 19일 신진서 이야마 유타
112024년 2월 20일 신진서 자오천위
122024년 2월 21일 신진서 커제
132024년 2월 22일 신진서 딩하오
142024년 2월 23일 신진서 구쯔하오



신진서의 6연승 무패는 대회 역사상 최장 연승 기록이다. 또한 2020년부터 4번의 농심배를 거치며 농심배 연승 기록을 16승 0패로 늘려, 이창호가 6번의 대회에서 기록한 14승 0패의 기존 기록을 깼다.[6]

5. 6. 제23회 (2021-2022)

No.날짜승자패자
12024년 9월 5일 커제 9단 설현준 8단
22024년 9월 6일 커제 9단 히로세 유이치 5단
32024년 9월 7일 김명훈 9단 커제 9단
42024년 9월 8일 김명훈 9단 이야마 유타 9단
52024년 11월 30일 김명훈 9단 판팅위 9단
62024년 12월 1일 김명훈 9단 쉬자위안 9단
72024년 12월 2일 셰얼하오 9단 김명훈 9단
82024년 12월 3일 셰얼하오 9단 이치리키 료 9단
92024년 12월 4일 셰얼하오 9단 신민준 9단

6. 기타

2021년 1월에는 특별 이벤트로 '바둑 레전드 국가대항전'이 개최되어 한국, 일본, 중국에서 각 2명씩 출전하여 리그전을 2라운드로 진행했다. 우승 상금은 5000만이었다.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

순위국가성적
1한국6승 2패
2중국5승 3패
3일본1승 7패



한국이 우승을 차지했다.[1]

2022년 1월에는 '한중 클래식 슈퍼 매치'라는 이름으로 한국과 중국에서 각 3명씩 출전하는 대항전이 열렸다. 우승 상금은 6000만이었다.

순위국가성적
1한국5승 4패
2중국4승 5패



한국이 우승을 차지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Ke Jie defeated Lee Sedol to win for China -17th Nongshim Cup https://gogameguru.c[...] 2016-03-06
[2] 웹사이트 The Power Report: Iyama regains Meijin title and triple crown; China wins 21st Nong Shim Cup; Ichiriki does well in Ing Cup https://www.usgo.org[...] 2024-02-16
[3] 웹사이트 Korea Go Report: Team Korea wins Nongshim Cup; Shin Jinseo sweeps LG Cup https://www.usgo.org[...] 2024-02-16
[4] 웹사이트 农心杯现疑似超时争议 中国申诉成功双方重赛 https://sports.sina.[...] 2024-02-16
[5] 웹사이트 中日韩棋手上演"三国演弈" https://www.sport.go[...] 2024-02-16
[6] 웹사이트 신진서 '끝내기 6연승' 세계 바둑 새역사...한국 농심배 4연승 https://www.joongang[...] 2024-02-23
[7] 뉴스 CyberORO「농심신라면배, 우승상금 5억원으로 증액!」 https://www.cyberoro[...] 2015-03-05
[8] 뉴스 新浪体育「农心杯戏剧性事件!朴廷桓胜势下突然超时」 http://sports.sina.c[...]
[9] 뉴스 韓国棋院「신진서, 중국 미위팅과 23일 재대국 벌인다」 http://www.baduk.or.[...] 2022-02-22
[10] 뉴스 新浪体育「【冲天】申诉成功!农心杯芈昱廷申真谞明日重赛」 https://sports.sina.[...] 2022-02-22
[11] 뉴스 韓国棋院「강동윤, 중국 퉈자시와 재대국 끝 승리」 http://www.baduk.or.[...] 2022-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