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누벨칼레도니의 국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벨칼레도니의 국가는 2010년 누벨칼레도니 의회에서 공식 채택되었다. 이 곡은 1998년 누벨칼레도니 협정에 따라 지정된 5가지 정체성 징표 중 하나로, 2008년 공모전을 통해 선정되었다. 프랑스어 가사를 사용하며, 후렴은 프랑스어와 넹고네어로 불린다. 또한, 여러 원주민 언어로 번역된 후렴 가사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누벨칼레도니의 상징 - 누벨칼레도니의 기
    누벨칼레도니의 기는 독립을 지지하는 FLNKS 깃발, 프랑스 국기와 함께 사용되는 누벨칼레도니 의회 깃발, 지역 고유 깃발 등을 포함하여 누벨칼레도니의 정치적, 문화적 정체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깃발들을 포괄적으로 설명한다.
  • 오세아니아 - 나우루
    나우루는 남서 태평양의 작은 섬나라 공화국으로, 미크로네시아와 폴리네시아 민족의 역사를 가지며 인광석 채굴 호황 이후 자원 고갈과 환경 파괴로 어려움을 겪고, 현재는 난민 수용 시설 운영 등으로 경제 회복을 모색하는 대통령 중심제 국가이다.
  • 오세아니아 - 팔라우
    팔라우는 태평양에 위치한 섬나라로, 스페인, 독일, 일본의 지배를 거쳐 미국의 신탁통치를 받았으며 1994년 독립하여 대통령 중심의 민주 공화국 체제를 갖추고 관광 산업, 특히 스쿠버 다이빙과 스노클링이 발달했으며 팔라우어와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모계 사회의 전통이 강하다.
  • 국가 - 국가 (노래)
    국가는 국민 통합을 위해 한 나라를 상징하는 공식적인 노래로, 근대 초기 유럽 왕가 국가에서 기원하여 국민 국가 발흥과 함께 채택이 일반화되었고, 국제 스포츠 행사와 탈식민화 시대에 중요성이 더욱 커졌으며, 법적 지위와 가사는 국가마다 상이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며, 정치적 변화에 따라 변경되기도 한다.
  • 국가 - 남오세티야의 국가
    남오세티야의 국가인 《남오세티야 공화국의 국가》는 조국 오세티야에 대한 사랑과 헌신, 평화와 번영에 대한 염원을 담은 오세티야어 노래로, 신과 조상, 땅에 대한 찬양과 미래를 향한 오세티야 국민의 의지를 표현한다.
누벨칼레도니의 국가
일반 정보
명칭Soyons unis, devenons frères (우리 하나 되어 형제가 되자)
유형공동 국가
국가누벨칼레도니
작사멜로디아 합창단
작곡멜로디아 합창단
채택일2008년
공식 지정일2010년 8월 18일

2. 역사

1998년 누벨칼레도니 협정은 누벨칼레도니에 더 큰 자치권을 부여했으며, 늦어도 2014년, 빠르면 2018년에 주민들이 완전한 독립을 투표할 권리를 갖도록 규정했다. 이 협정은 국가, 표어, 누벨칼레도니 통화의 지역 상징, 국기 및 이 지역의 잠재적인 새 이름 등 5가지 "정체성 징표"를 점진적으로 인정하도록 규정했다.[3]

2008년 누벨칼레도니 정부는 국가 공모전을 개최했다. 우승작은 2008년 1월 10세에서 13세 사이의 누벨칼레도니 어린이 7명으로 구성된 어린이 합창단 멜로디아가 작사했다.[1][2] 이 곡은 2008년 6월 26일에 처음 연주되었다.[2]

2010년 8월 18일, 누벨칼레도니 의회는 이 곡을 공식 국가로 채택했으며, 공식 표어("Terre de parole, terre de partage|말의 땅, 공유의 땅프랑스어")와 누벨칼레도니 통화의 지역 상징도 함께 채택했다. 당시에는 국기나 이 지역의 새 이름에 대한 합의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의회 의원들은 나중에 국가 가사를 수정할 가능성을 열어두었다.[3]

3. 가사

누벨칼레도니의 국가는 3절과 후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절은 프랑스어로, 후렴은 넹고네어와 프랑스어로 불린다. 짧은 버전은 3절과 넹고네어 및 프랑스어 후렴으로 구성된다.[5] 국가가 만들어진 후 수년 동안 다른 누벨칼레도니의 언어로 번역하려는 계획이 있었다.[4]

공식 가사[5][6][7]비공식 직역


3. 1. 프랑스어 및 넹고네어 가사

가사는 프랑스어이지만, 후렴은 프랑스어 이외에 넹고네어로도 되어 있다. 절은 프랑스어로 불리고, 후렴은 넹고네어로 불린 다음 프랑스어로 불린다.[4]

공식 가사[5][6][7]



IPA 넹고네어 후렴의 음역



다음은 2008년 멜로디아 합창단이 작사한 누벨칼레도니 국가의 원본 후렴구이다.

네곤어 원본[5]IPA 표기


3. 2. 기타 언어 가사

2016년 9월 24일, 누벨칼레도니아의 날(또는 시민의 날)에 멜로디아 합창단은 원주민 언어, 중국어, 레위니옹 크레올어, 표준 독일어, 스페인어, 러시아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로 후렴 부분을 부른 국가를 공연했다.[8]

이아이어, 은드룸베아어, 드레후어 등 누벨칼레도니 원주민 언어로 된 후렴 가사는 다음과 같다.[4][8]

이아이어 합창IPA 표기
은드룸베아어 합창IPA 표기
드레후어 합창IPA 표기


4. 한국과의 관계

누벨칼레도니는 프랑스의 해외 영토이므로, 한국과의 직접적인 외교 관계는 없다. 한국은 프랑스와의 외교 관계를 통해 누벨칼레도니와 간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누벨칼레도니는 한국의 주요 광물 자원 수입국 중 하나이다. 특히 니켈은 전기차 배터리 생산에 필수적인 광물로, 한국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5.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De l'écriture ... à la création https://melodia.nc/h[...] 2022-02-09
[2] 웹사이트 Soyons Unis, Devenons Frères - l'Hymne pour la Nouvelle-Calédonie présenté par ses auteurs-compositeurs https://melodia.nc/h[...] 2022-02-10
[3] 뉴스 La Nouvelle-Calédonie se dote d'un hymne et d'une devise http://www.lemonde.f[...] Le Monde 2010-08-18
[4] 웹사이트 Soyons Unis, Devenons Frères - l'Hymne pour la Nouvelle-Calédonie en audio et vidéo https://melodia.nc/h[...] 2022-02-10
[5] 웹사이트 Soyons unis, devenons frères https://melodia.nc/h[...] 2022-02-09
[6] 웹사이트 Partition de l'Hymne de la Nouvelle-Calédonie https://denc.gouv.nc[...] 2022-02-10
[7] 웹사이트 Album Art Dans Tous Ses éTats https://en.calameo.c[...] 2022-02-10
[8] Youtube hymne de la Nouvelle-Calédonie https://www.youtube.[...] 2017-0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