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의 국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뉴질랜드의 국장은 뉴질랜드를 대표하는 공식 문장으로, 1911년 제정되었다. 1907년 뉴질랜드 자치령 지위 획득 후 새로운 문장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공모전을 통해 디자인이 선정되었고, 1956년에는 여성 지지자의 모습이 변경되는 등 일부 수정되었다. 국장은 방패, 지지자, 왕관, 두루마리, 고사리 가지 등으로 구성되며, 방패는 뉴질랜드의 주요 섬과 해상 무역, 농업, 광업 등을 상징한다. 국장은 국가 주권의 상징으로 정부 기관에서 주로 사용되며, 특별한 경우에는 문화유산부의 허가를 받아 개인이나 사설 단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마 문장 -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장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장은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장으로, 여러 차례 디자인이 변경되었으며 1926년 처음 제정된 국장은 붉은 방패에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라는 문구와 망치와 낫, 밀 이삭을 묘사했고, 1950년에는 붉은 별, 망치와 낫, 떠오르는 해, 농업 생산물, 벨라루스어와 러시아어 문구, 'БССР' 약자를 포함했으며, 1991년 독립 후 파호니아 문장이 사용되다 1995년 국민 투표를 통해 소련 시대 국장이 다시 채택되었다. - 아마 문장 - 벨라루스의 국장
벨라루스의 국장은 금색 태양 광선 위에 주황색 윤곽선의 벨라루스 지도가 있는 디자인으로, 지구본, 밀 이삭, 클로버와 아마 꽃, 벨라루스 국기 색상의 리본, 붉은 별 등의 요소로 구성되며, 1995년에 제정되어 여러 차례 수정되었다. - 뉴질랜드의 상징 - 키위 (새)
키위는 뉴질랜드를 상징하는 날지 못하는 조류로, 야행성이며 후각과 촉각이 발달했고, 5종으로 분류되며 뉴질랜드의 국조로 사용되고 개체 수 감소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뉴질랜드의 상징 - 뉴질랜드의 국기
뉴질랜드 국기는 로열 블루 바탕에 유니온잭과 남십자성 별이 그려져 있으며, 각각 영국의 역사와 남태평양 위치를 상징하고, 2016년 국민투표를 통해 현재의 국기로 유지되고 있다.
뉴질랜드의 국장 | |
---|---|
국장 정보 | |
사용 국가 | 뉴질랜드 |
채택 년도 | 1911년, 1956년 |
방패 | 4분할: 아주르와 규울즈 바탕에 페일 아르장 세 척의 림파드 세이블, 첫 번째 4분면에는 검은색의 4개의 멀릿이 십자형으로 배열되어 있고, 각 멀릿 위에는 두 번째 색상의 멀릿이 얹혀 있음 (남십자자리를 나타냄), 두 번째 4분면에는 양털, 세 번째 4분면에는 곡물 다발, 네 번째 4분면에는 소금 십자 모양의 채광 망치가 금색으로 그려져 있음. |
지지자 | 오른쪽에는 은색 옷을 입고 오른손에 뉴질랜드 자치령의 기가 게양된 깃대를 들고 있는 유럽 여성, 왼쪽에는 오른손에 타이아하 (할버드)를 들고 있는 마오리족 랑가티라 (추장) |
받침대 | 실버 펀 잎 |
모토 | "New Zealand" (뉴질랜드) |
이전 버전 | |
기타 정보 |
2. 역사
1911년까지 뉴질랜드는 영국의 왕실 문장과 동일한 문장을 사용했다.[4] 뉴질랜드의 자치령 지위가 결정되면서, 1908년에 새로운 문장 디자인 공모전이 열렸고 78개의 디자인이 출품되었다.[4] 이 공모전의 당선작은 제임스 맥도날드(James McDonald)의 디자인이었다.
중앙 방패는 1911년 이후 변경되지 않았으며, 4개의 구획으로 나뉘어져 있다. 각 구획에는 남십자자리, 황금 양털, 밀 이삭, 두 개의 망치가 그려져 있다. 이 모든 것 위에는 넓은 수직 줄무늬인 페일이 있으며, 3척의 배는 해상 무역의 중요성을 나타낸다.[9]
2. 1. 제정
1911년까지 뉴질랜드는 영국의 왕실 문장과 동일한 문장을 사용했다.[4]
뉴질랜드의 자치 정부가 발전하면서, 특히 1907년 자체 지배령 지위를 얻게 되면서 새로운 문장이 필요하다는 결정이 내려졌다. 1908년에 열린 공식 공모전에는 78개의 디자인이 출품되었다.[4] 당선작은 관광 및 보건 휴양부의 제도사였던 제임스 맥도날드(James McDonald)의 디자인이었다. 디자인에 약간의 수정이 가해졌고, 1911년 8월 26일 조지 5세 국왕의 왕실 영장에 의해 문장이 수여되었다. 이 영장은 1912년 1월 11일자 ''뉴질랜드 관보''에 게재되었다.[1][5]
중앙 방패는 1911년 이후 변경되지 않았다. 이 방패는 4개의 구획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첫 번째 구획에는 남십자자리를 나타내는 4개의 별이 (국기에 묘사된 것과 동일하지만 별의 비율은 다름) 들어 있고, 두 번째 구획에는 황금 양털, 세 번째 구획에는 밀 이삭, 네 번째 구획에는 두 개의 망치가 있다(§ 상징 참조). 이 모든 것 위에는 넓은 수직 줄무늬인 페일이 있으며, 3척의 배는 해상 무역의 중요성을 나타내며 "19세기에 유럽 이주민들이 이 나라에 정착한 것을 상기시킨다".[9]
2. 2. 1956년 수정
원래 문장 디자인에서는 데미-사자 (두 발로 일어선 사자의 상반신)가 유니언 잭을 들고 있었고, 방패 아래 두루마리에는 당시 국가의 모토인 "전진"이 적혀 있었다.[6]왕실 칙허서에는 국장 디자인이 명시되어 있었지만, 1940년대 중반까지 최소 20가지 변형이 사용되었다.[2] 1947년 9월 25일 뉴질랜드가 웨스트민스터 헌장 채택 (영국 의회가 제공한 완전한 대외 자율성을 공식적으로 수락)을 채택하기 한 달 전, 당시 총리 피터 프레이저에 의해 특별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국장의 재설계 및 표준화"를 담당한 이 위원회는 앨리스터 매킨토시, 조 히넌, 콜린 에이크먼, 프랭크 코너, 포스 섀너핸, 존 코트 비글홀 교수로 구성되었다.[7] 위원회는 여성 지지자가 너무 "소비에트 영웅"처럼 보인다는 점을 우려했다. 1949년 제1차 국민 정부가 선출된 후, 새로운 법무 장관 잭 마셜 (후에 총리)이 위원회 책임을 맡았다. 마셜은 여성 지지자를 그가 가장 좋아하는 여배우인 그레이스 켈리의 모습을 본떠 다시 그리도록 요청했다.[7]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1956년에 개정된 버전을 승인했고, 국장에 성 에드워드 왕관을 사용할 수 있도록 명시적으로 허가했다.[8] 이 디자인은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2]
2. 3. 구 국장과의 비교
1911년에 제정된 뉴질랜드의 구 국장은 현재의 국장과 디자인은 거의 동일하지만, 다음과 같은 세부 사항에 차이가 있다.[6][2][7][8]구 국장 (1911년 ~ 1956년) | 현행 국장 (1956년 ~ 현재) |
---|---|
영국 국기를 든 사자의 상반신이 방패 상단에 그려져 있다. | 성 에드워드 왕관이 방패 상단에 그려져 있다. |
방패 좌우의 백인 여성과 원주민 남성이 정면을 향하고 있다. | 방패 좌우의 백인 여성과 원주민 남성이 서로 마주보고 있다. |
방패 아래 리본에 표어 "ONWARD"(앞으로)가 적혀 있다. | 방패 아래 리본에 국명이 적혀 있다. |
황금 덩굴과 같은 장식이 방패 하단을 장식하고 있다. | 두 개의 고사리 잎이 방패 하단을 장식하고 있다. |
갈색 머리에 끌어올린 드레스를 입은 백인 여성이 방패 왼쪽에 서 있다. | 금발에 소박한 원피스 차림의 백인 여성이 방패 왼쪽에 서 있다. |
1940년대 중반까지 최소 20가지 변형이 사용되었다. 1947년 뉴질랜드 총리 피터 프레이저에 의해 특별 위원회가 구성되었고, 1949년 제1차 국민 정부가 선출된 후 법무 장관 잭 마셜이 위원회 책임을 맡았다. 위원회는 여성 지지자의 모습을 그레이스 켈리를 본떠 다시 그리도록 요청하는 등 디자인 변경에 관여했다. 1956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개정된 버전을 승인하면서 현재의 디자인이 확정되었다.
3. 구성 요소
뉴질랜드 국장은 중앙의 페일로 나뉜 네 개의 사분면을 가진 방패를 중심으로, 양쪽에 지지자가 있고, 방패 위에는 성 에드워드 왕관이, 아래에는 "New Zealand"라고 적힌 두루마리와 두 개의 고사리 가지가 있는 형태이다.[9]
방패 위에는 뉴질랜드 군주의 대관식에 사용되며 영국과의 역사적 유대 관계를 나타내는 성 에드워드 왕관이 묘사되어 있다. 방패 아래에는 "뉴질랜드"라고 적힌 두루마리가 있고, 그 뒤에는 원산지 식물을 나타내는 두 개의 고사리 가지가 있다.
3. 1. 방패
1911년 이후 변경되지 않은 중앙 방패는 4개의 구획으로 나뉘어져 있다. 첫 번째 구획에는 남십자자리를 나타내는 4개의 별이 있는데, 이는 국기에 묘사된 것과 같지만 별의 비율은 다르다.[9] 두 번째 구획에는 황금 양털이,[9] 세 번째 구획에는 밀 이삭이,[9] 네 번째 구획에는 두 개의 망치가 있다.[9] 이 모든 것 위에는 넓은 수직 줄무늬인 페일이 있으며, 3척의 배는 해상 무역의 중요성과 19세기에 유럽 이주민들이 이 나라에 정착한 것을 상징한다.[9]
구획 | 문양 | 의미 |
---|---|---|
-- 첫 번째 구획 | 남십자자리 | 남십자자리 (국기에 묘사된 것과 동일하지만 별의 비율은 다름)[9] |
-- 두 번째 구획 | 황금 양털 | 국가의 농업[9] |
-- 세 번째 구획 | 밀 다발 | 농업[9] |
-- 네 번째 구획 | 교차된 망치 | 광업[9] |
-- X 3 페일 | 3척의 배 | 해상 무역의 중요성과 모든 뉴질랜드인의 이민자적 성격[9] |
방패는 적색과 청색으로 사분할되고, 중앙에 흰색 세로띠를 배치하여 좌우로 분할하는 디자인이다. 방패가 좌우로 나뉘어 있는 것은 뉴질랜드의 주요 섬인 북섬과 남섬을 상징한다. 방패를 좌우로 분할하는 세로띠는 북섬과 남섬 사이를 지나는 쿡 해협을 나타낸다. 쿡 해협을 나타내는 은색 세로띠에 나란히 있는 세 척의 갤리선은 해상 무역의 상징이다.
3. 2. 지지자
국장의 오른쪽 지지자는 뉴질랜드 국기를 들고 있는 유럽계 여성이다. 왼쪽 지지자는 타이아하(무기)를 들고 카이타카(플랙스 망토)를 입은 마오리족 라가티라(족장)이다.[9] 이 여성은 20세기 전반기에 뉴질랜드의 일반적인 국가 의인화였던 질란디아를 묘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가의 모든 비원주민 시민"을 나타낸다.[9] 방패 왼쪽의 백인 여성은 정착민의 자손과 여성을 대표하고, 방패 오른쪽의 마오리족 남성은 타이아하라고 불리는 마오리족의 창 모양 막대기(의장)를 들고 원주민의 자손과 남성을 대표한다.
1949년 제1차 국민 정부가 선출된 후, 법무 장관 잭 마셜 (후에 총리)은 여성 지지자를 그가 가장 좋아하는 여배우인 그레이스 켈리의 모습을 본떠 다시 그리도록 요청했다.[7]
3. 3. 기타
원래 디자인에서 문장은 유니언 잭을 들고 있는 데미-사자(두 발로 일어선 사자의 상반신)였고, 방패 아래 두루마리에는 당시 국가의 모토인 "전진"이 적혀 있었다.[6]왕실 칙허서에는 국장의 디자인이 명시되어 있었지만, 1940년대 중반까지 최소 20가지 변형이 사용되었다.[2] 1947년 9월 25일 뉴질랜드가 웨스트민스터 헌장 채택을 통해 영국 의회로부터 완전한 대외 자율성을 공식적으로 수락하기 한 달 전, 당시 총리 피터 프레이저에 의해 특별 위원회가 구성되었다.[7] "국장의 재설계 및 표준화"를 담당한 이 위원회는 앨리스터 매킨토시, 조 히넌, 콜린 에이크먼, 프랭크 코너, 포스 섀너핸, 존 코트 비글홀 교수로 구성되었다.[7] 위원회의 관심사 중 하나는 여성 지지자가 너무 "소비에트 영웅"처럼 보인다는 것이었다. 1949년 제1차 국민 정부가 선출된 후, 새로운 법무 장관 잭 마셜(후에 총리)이 위원회 책임을 맡았다. 마셜은 여성 지지자를 그가 가장 좋아하는 여배우인 그레이스 켈리의 모습을 본떠 다시 그리도록 요청했다.[7]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1956년에 개정된 버전을 승인했고, 국장에 성 에드워드 왕관을 사용할 수 있도록 명시적으로 허가했다.[8] 이 디자인은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2]
국장에는 중앙 페일로 나뉜 네 개의 사분면이 있는 방패가 묘사되어 있다.[9]
- 첫 번째 사분면은 국기에 있는 별 4개를 묘사하며, 이는 남십자자리 내의 성단을 나타낸다.
- 두 번째 사분면은 국가의 농업을 나타내는 금색 양털을 묘사한다.
- 세 번째는 농업을 위한 밀 다발을, 네 번째 사분면은 광업을 위한 교차된 망치를 묘사한다.
- 페일은 해상 무역의 중요성과 모든 뉴질랜드인의 이민자적 성격을 나타내는 세 척의 배를 묘사한다.
- 오른쪽 지지자는 뉴질랜드 국기를 들고 있는 유럽 여성이고, 왼쪽 지지자는 타이아하(무기)를 들고 카이타카(플랙스 망토)를 입은 마오리족 라가티라(족장)이다.
- 이 여성은 20세기 전반기에 뉴질랜드의 일반적인 국가 의인화였던 질란디아를 묘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광범위하게 "국가의 모든 비원주민 시민"을 나타낸다.[9]
- 방패 위에는 세인트 에드워드 왕관의 묘사가 있으며, 이는 뉴질랜드 군주의 대관식에 사용되었다. 왕관은 또한 영국과의 뉴질랜드의 역사적 유대 관계를 나타낸다.
- 그 아래에는 "뉴질랜드"라고 적힌 두루마리가 있고, 그 뒤에는 (지지자가 서 있는 "문장 구획"을 구성하는) 두 개의 고사리 가지가 있으며, 이는 원산지 식물을 나타낸다.
방패는 적색과 청색으로 사분할하고, 중앙에 흰색 세로띠를 배치하여 좌우로 분할하는 디자인이다. 방패가 좌우로 나뉘어 있는 것은 뉴질랜드의 주요 섬인 북섬과 남섬을 상징한다. 방패를 좌우로 분할하는 세로띠는 북섬과 남섬 사이를 지나는 쿡 해협을 나타낸다. 쿡 해협을 나타내는 은색 세로띠에 나란히 있는 세 척의 갤리선은 해상 무역의 상징이다. 좌상단의 청색 바탕에 떠 있는 네 개의 별은 국기에도 디자인된 남십자자리이다. 우상단에는 적색 바탕에 황금색으로 그려진 양의 털가죽은 축산업의 상징이다. 좌하단의 적색 바탕에 금색으로 그려진 밀 다발은 농업의 상징이다. 우하단의 청색 바탕에 금색으로 그려진 교차된 망치는 공업의 상징이다. 방패의 왼쪽에는 뉴질랜드 국기를 든 백인 여성이 서 있다. 그녀는 정착민의 자손과 여성을 대표한다. 방패의 오른쪽에는 타이아하라고 불리는 마오리족의 창 모양의 막대기(의장)를 든 마오리족 남성이 서 있다. 그는 원주민의 자손과 남성을 대표한다. 방패 상단에는 영국 왕실에서 대관식에 사용되는 성 에드워드 왕관이 그려져 있다. 국가 원수인 영국 군주를 상징한다. 방패 하단에는 실버 펀이 그려져 있다. 실버 펀은 마오리족 사람들의 신앙 대상이었다. 리본에는 국명인 "뉴질랜드"의 문자가 적혀 있다.
4. 상징
국장에는 중앙의 페일로 나뉜 네 개의 사분면이 있는 방패가 묘사되어 있다.[9]
- 첫 번째 사분면은 국기에도 있는 별 4개를 묘사하며, 이는 남십자자리 성단을 나타낸다.
- 두 번째 사분면은 국가의 농업을 나타내는 금색 양털을 묘사한다.
- 세 번째는 농업을 위한 밀 다발을, 네 번째 사분면은 광업을 위한 교차된 망치를 묘사한다.
- 페일은 해상 무역의 중요성과 모든 뉴질랜드인의 이민자적 성격을 나타내는 세 척의 배를 묘사한다.
- 오른쪽 지지자는 뉴질랜드 국기를 들고 있는 유럽 여성이고, 왼쪽 지지자는 타이아하(무기)를 들고 카이타카(플랙스 망토)를 입은 마오리 라가티라(족장)이다.
- 이 여성은 20세기 전반기에 뉴질랜드의 일반적인 국가 의인화였던 질란디아를 묘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광범위하게 "국가의 모든 비원주민 시민"을 나타낸다.[9]
- 방패 위에는 세인트 에드워드 왕관의 묘사가 있으며, 이는 뉴질랜드 군주의 대관식에 사용되었다. 왕관은 또한 영국과의 뉴질랜드의 역사적 유대 관계를 나타낸다.
- 그 아래에는 "뉴질랜드"라고 적힌 두루마리가 있고, 그 뒤에는 (지지자가 서 있는 "문장 구획"을 구성하는) 두 개의 고사리 가지가 있으며, 이는 원산지 식물을 나타낸다.
방패는 적색과 청색으로 사분할하고, 중앙에 흰색 세로띠를 배치하여 좌우로 분할하는 디자인이다.
구성 | 설명 |
---|---|
-- | 좌상단의 청색 바탕에 떠 있는 네 개의 별은 국기에도 디자인된 남십자자리이다. |
-- | 우상단에는 적색 바탕에 황금색으로 그려진 양의 털가죽은 축산업의 상징이다. |
-- | 좌하단의 적색 바탕에 금색으로 그려진 밀 다발은 농업의 상징이다. |
-- | 우하단의 청색 바탕에 금색으로 그려진 교차된 망치는 공업의 상징이다. |
- 방패가 좌우로 나뉘어 있는 것은 뉴질랜드의 주요 섬인 북섬과 남섬을 상징한다.
- 방패를 좌우로 분할하는 세로띠는 북섬과 남섬 사이를 지나는 쿡 해협을 나타낸다.
- 쿡 해협을 나타내는 은색 세로띠에 나란히 있는 세 척의 갤리선은 해상 무역의 상징이다.
- 방패의 왼쪽에는 뉴질랜드 국기를 든 백인 여성이 서 있다. 그녀는 정착민의 자손과 여성을 대표한다.
- 방패의 오른쪽에는 타이아하라고 불리는 마오리족의 창 모양의 막대기(의장)를 든 마오리족 남성이 서 있다. 그는 원주민의 자손과 남성을 대표한다.
- 방패 상단에는 영국 왕실에서 대관식에 사용되는 성 에드워드 왕관이 그려져 있다. 국가 원수인 영국 군주를 상징한다.
- 방패 하단에는 실버 펀이 그려져 있다. 실버 펀은 마오리족 사람들의 신앙 대상이었다.
- 리본에는 국명인 "뉴질랜드"의 문자가 적혀 있다.
5. 지위와 사용
뉴질랜드의 국장은 국가 주권의 상징이므로, 뉴질랜드 정부만이 공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10] 총리와 내각, 대법원을 포함한 대부분의 법원 등 다양한 정부 기관 및 대표자들이 권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11] 또한 모든 의회 법안에 표시되며, 뉴질랜드 여권 표지에도 은고사리와 함께 나타난다.[12]
5. 1. 특별한 경우
뉴질랜드 왕실 방문이나 희년 축하 행사와 같은 특별한 경우, 개인과 사설 단체는 뉴질랜드의 국장을 일시적으로 전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전시는 문화유산부의 허가를 받아야만 가능하다.[2]5. 2. 왕실 및 총독의 문장
뉴질랜드의 국가 상징—국기, 국가, 국장 등을 포함하여—은 1986년 헌법법에 언급되어 있지 않다. 국장의 공식 사용은 1911년 왕실 영장에 의해 의무화되었다.[5] 국가, 왕실 및 총독 문장의 사용은 1981년 기, 문장 및 이름 보호법에 의해 보호된다.[10]1962년부터 국장의 배너는 왕실 상징으로 훼손되어 군주의 뉴질랜드를 위한 개인 기를 형성하여 뉴질랜드 군주로서 여왕이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13] 뉴질랜드 총독기는 2008년부터 국장의 방패를 파란색 배경에 표시하고 있다.[14]
참조
[1]
웹사이트
New Zealand Coat of Arms
http://library.victo[...]
1912-01-11
[2]
웹사이트
Coat of Arms
http://www.mch.govt.[...]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017-08-23
[3]
웹사이트
Tuakiri o Aotearoa me te kāwanatanga - Te tuakiri o Aotearoa
https://teara.govt.n[...]
Te Ara: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2016-09-16
[4]
웹사이트
National Arms of New Zealand
http://www.ngw.nl/he[...]
Heraldry of the World
2017-08-23
[5]
웹사이트
New Zealand Coat of Arms warranted
https://nzhistory.go[...]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017-07-27
[6]
웹사이트
"New Zealand Coat of Arms 1911-1956'"
https://nzhistory.go[...]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012-12-20
[7]
서적
Onward with Executive Power - Lessons from New Zealand 1947 - 1957
http://ips.ac.nz/pub[...]
Institute of Policy Studies, [[Victoria University of Wellington]]
[8]
웹사이트
Royal approval for revised coat of arms
https://teara.govt.n[...]
2022-03-02
[9]
간행물
Coat of arms - Coat of arms overview
https://teara.govt.n[...]
2012-06-20
[10]
웹사이트
Flags, Emblems, and Names Protection Act 1981 No 47 (as at 03 June 2017), Public Act Contents
http://www.legislati[...]
Parliamentary Counsel Office
2017-08-23
[11]
간행물
Coat of arms, Supreme Court building, Wellington – Coat of arms
https://www.teara.go[...]
2017-08-23
[12]
간행물
New Zealand passport – Coat of arms
https://www.teara.go[...]
2017-08-23
[13]
웹사이트
Other flags
https://mch.govt.nz/[...]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019-01-23
[14]
웹사이트
The Governor-General's Flag
https://gg.govt.nz/o[...]
Government House
2018-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