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망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망치는 인류가 사용하는 가장 오래된 도구 중 하나로, 물체를 때리거나, 고정하거나, 변형시키는 데 사용된다. 초기에는 돌이나 나무를 사용했지만, 점차 손잡이가 달린 형태로 발전했다. 망치는 머리 부분과 손잡이로 구성되며,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제작되어 다양한 작업에 활용된다. 망치의 종류는 볼핀 해머, 목수 망치, 슬레지해머 등 매우 다양하며, 인체공학적 설계와 안전을 고려하여 제작된다. 망치는 역사적으로 노동, 권력, 정의 등을 상징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신화, 정치,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망치 - 슬레지해머
    슬레지해머는 양손으로 휘둘러 큰 힘을 내는 쇠망치로, 산업 현장에서 물체를 파괴하거나 변형시키는 데 사용되며, 특수 목적, 보디빌딩, DIY 용품 등으로 활용되지만 안전사고 및 범죄 도구로 사용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망치 - 워해머
    워해머는 중세 유럽에서 판금 갑옷에 대항하기 위해 개발된 긴 자루와 묵직한 머리를 가진 망치로, 갑옷을 입은 적에게 강력한 타격을 주거나 관통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유럽과 동아시아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대중문화에서도 재해석되고 있다.
  • 목공구 - 송곳
    송곳은 물건에 구멍을 뚫거나 넓히는 도구로, 나무, 가죽, 금속 등에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구석기 시대부터 사용되었고, 다양한 종류와 날 끝 형태로 나뉘며, 날카로운 통찰력이나 저항 정신을 비유하는 문화적 의미도 지닌다.
  • 목공구 - 스패너
    스패너는 볼트나 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렌치라고도 불리며 15세기부터 사용되었고, 체결구 치수 표준화에 따라 입구 폭 치수 또한 표준화되었으며, 다양한 형태와 기능으로 나뉜다.
  • 금속가공공구 - 스패너
    스패너는 볼트나 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렌치라고도 불리며 15세기부터 사용되었고, 체결구 치수 표준화에 따라 입구 폭 치수 또한 표준화되었으며, 다양한 형태와 기능으로 나뉜다.
  • 금속가공공구 - 줄 (도구)
    줄은 선사시대부터 사용된 수공구로, 재료를 깎거나 다듬는 데 사용되며, 산업 혁명 이후 사용 빈도가 줄었으나 버 제거 작업이나 정밀한 금형 제작 등에 여전히 사용되고 재료, 형태, 절삭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망치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망치
다른 이름마치, 장도리, 해머
용도을 박거나, 물체를 파쇄
사용 정보
사용 시기알 수 없음
사용 기간알 수 없음
사용 장소알 수 없음
재료 및 제작
재료알 수 없음
만든 사람알 수 없음
만들어진 시기알 수 없음
만들어진 곳알 수 없음
기타
웹사이트알 수 없음

2. 역사

망치는 인류가 도구를 사용하기 시작한 시점과 거의 일치한다. 초기에는 단순한 돌멩이나 나무를 사용하여 물건을 두드리거나 깨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기원전 240만 년 전에는 다양한 모양의 돌이 나무나 뼈 등을 두드려 모양을 만드는 데 이용되었다.[5][6]

기원전 8000~3000년경, 북아메리카 아르카이크 시대에 미네소타주 도버 타운십(Dover Township, Minnesota)에서 발견된 돌망치


기원전 3만 년경 구석기 시대 중반에는 나무 손잡이에 돌을 묶은 망치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는 돌을 막대기에 끈으로 묶어 타격력을 높이는 방식으로, 손잡이가 있어 사용자가 더 잘 제어할 수 있었고 사고도 줄었다.[7] 망치는 건축, 식량 확보, 방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인류의 주요 도구로 자리 잡았다.

고대 로마인들은 주조된 못을 발명하면서 못뽑이 망치도 함께 사용했다. 1840년에는 미국의 한 대장장이가 현대적인 형태의 못뽑이 망치를 개발했다. 금속 망치는 금속 가공 과정에서 대장장이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18세기에는 목재틀의 이음매를 고정하는 데 큰 망치가 사용되었다.[17][18]

망치는 단순한 도구를 넘어 강함과 활력을 상징하기도 한다.[19]

2. 1. 한국의 망치 역사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나무망치인 메와 쇠망치가 사용되었다. 볏짚을 두드려 섬유를 풀어내는 데 사용된 옆망치는 한국의 독특한 망치 형태이다. 여러 명이 함께 사용하는 대형 옆망치인 '문어(타코)'는 토목 공사에 사용되었다. 경행천황 12년, 구마소 정벌 당시 천황군 정예병이 동백나무로 만든 망치를 무기로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3. 구성 및 소재

전통적인 망치는 머리 부분과 손잡이로 구성된다.[2] 머리 부분은 금속(강철, 황동, 청동 등), 나무, 플라스틱, 고무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손잡이는 나무(히코리, 물푸레나무 등), 유리섬유, 금속 등으로 만들어진다. 현대에는 손잡이에 탄성 재료인 고무와 같은 충격 흡수 소재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피로를 줄이기도 한다.[8]

나무 손잡이는 마모되거나 손상되면 교체할 수 있으며, 다양한 손잡이 크기와 디자인을 포함하는 특수 키트와 안전한 부착을 위한 특수 쐐기 및 스페이서가 사용되기도 한다.

일부 망치는 일체형 디자인으로 제작되기도 하며, 머리 부분은 필요에 따라 교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되기도 한다.

4. 종류

망치는 용도와 형태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큰 망치 모양의 도구는 '메이얼'(때로는 "비틀"이라고도 함), 나무 또는 고무 머리 망치는 '말렛', 절단날이 있는 망치 모양의 도구는 '해치'라고 한다. 망치의 핵심 부분은 헤드이며, 변형되지 않고 표적에 타격을 가할 수 있는 고체 덩어리이다.

강철 망치 머리와 충격을 받는 물체 사이의 충격은 스파크를 발생시켜 가연성 또는 폭발성 가스를 점화할 수 있어 위험하다. 이런 환경에서는 알루미늄 또는 베릴륨 구리로 만든 비스파크 금속 도구가 사용된다. 최근에는 손잡이가 내구성 있는 플라스틱이나 고무로 만들어지지만, 나무는 충격 흡수력과 수리 가능성 때문에 여전히 널리 사용된다.

망치는 손잡이와 머리 부분으로 구성된다. 손잡이를 잡고 휘둘러 지렛대 원리와 관성을 이용, 머리 부분을 대상에 쳐서 힘을 가한다. '망치'는 일본어 "つち" 외에 영어 "hammer"도 자주 사용된다.

목수, 건축, 기계 공장, 토목 현장에서는 금망치와 나무망치 등을 작업 도구로 사용한다. 곤봉(玄翁), 망치(トンカチ), 나그리(殴り), 해머(ハンマー), 카케야(掛矢) 등 형태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판금 가공에서는 이를 구분하여 사용한다.[16]

4. 1. 금속 망치 (금추)

금추(金槌)는 머리 부분 또는 전체가 금속으로 만들어진 망치이다. 대표적인 용도는 박기이다. 용도에 따라 많은 종류가 있으며, 개별적으로 이름이 붙는 경우도 있다. 머리 부분의 재질은 탄소공구강이 많지만 구리·구리 베릴륨 합금··스테인리스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23]

별칭인 '''톤카치'''(とんかち)라는 이름은 이 금추로 못을 박을 때 나는 소리의 의성어에서 유래한다.[20][21]
일반적인 용도

  • 현옹(玄翁, げんのう, 겐노우): 머리 부분 한쪽은 끌을 두드리거나 못을 박기 위한 평면이고, 대부분 반대쪽은 「나무죽이는 면」이라고 불리며 볼록한 곡면으로 되어 있어, 나무를 두드려 고정하거나(나무죽이기), 나무에 상처를 내지 않도록 못을 마지막으로 박는 데 사용한다. 명칭은 금추로 살생석을 물리친 현옹 화상(源翁心昭)에서 유래한다고 한다.[22]
  • 한손 해머(철공 해머·볼핀 해머, ball peen hammer): 한쪽이 평평(평두)하고, 반대쪽이 구형(원두)인 금속 가공용이다. 평두도 100R의 곡면으로 되어 있다. 크기는 머리 부분의 무게에 따라 달라지며, 파운드 단위(1/4, 1/2, 3/4, 1, 3…파운드)로 표시하고, 미터법 보급 후에는 파운드를 생략하고 번호로 부른다. 1번(1파운드 해머)이 표준 크기이다. 철강 재료를 단련하거나, 리벳을 박는 데 사용되며, 원두는 강판에 곡면을 만들 수 있다.[23]
  • 양구 해머와 편구 해머: 철공소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토목·건축 관계에서도 사용되는, 한손 해머보다 크고 무거운 해머이다. 큰 것은 자루를 길게 하여 양손으로 다룬다. 양구와 편구가 있으며, 무게 중심 때문에 편구 해머가 더 안정적이다. 기계 공장에서는 편구 해머가, 토목·건축 관계에서는 양구 해머가 많이 사용된다. 주력은 10파운드(4.5kg)이다. 크기 번호는 한손 해머와 마찬가지로 파운드를 의미한다.[23]
  • 대형 해머(슬레지 해머, sledgehammer): 크고 무거운 부품을 삽입하거나 꺼낼 때 사용한다. 머리 부분은 양면 모두 평평한 것이 많으며, 2~20파운드 정도이고, 양손으로 잡고 휘두른다.[23]
  • 끝자르기 금추: 한쪽이 평평하고, 다른 한쪽이 가늘고 뾰족한 모양이다. 뾰족한 쪽은 못을 고정하거나 작은 것을 두드릴 때 사용한다. 큰 끝자르기(블록 해머)는 벽돌, 블록, 석재를 깨는 데 사용한다.[23]
  • 상자용 금추(はこやかなづち): 한쪽이 못뽑이로 되어 있는 타입. 나무 상자 조립·분해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23]
  • 네일 해머: 서양식으로 한쪽이 못뽑이로 되어 있는 금추. 머리 부분 무게 중심이 타격 쪽에 있어 못을 박을 때 안정적이다. 클로 해머라고도 한다.[23]
  • 타격면 교환식 해머(콤비네이션 해머): 양쪽에 다른 타격면을 부착할 수 있다. 고무와 플라스틱, 고무와 철 등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조합 가능하다.[23]
  • 구리 해머·납 해머: 작업물에 상처를 내지 않도록 부드러운 금속인 구리로 머리 부분을 만든 해머. 불꽃이 튀면 위험한 곳에서도 사용된다. 납 해머는 자루 없이 사용하기도 한다.[23]

특수 용도

  • 테스트 해머: 기계 부품을 두드려 반향으로 고정 상태를 조사하는 도구. 머리 부분은 한쪽이 뾰족하고 1/4~3/4파운드이다. 자루가 머리 부분에 비해 길어 닿기 힘든 부품도 두드릴 수 있다.[23]
  • 슈미트 해머: 콘크리트 압축 강도 측정 기기. 슈미트 해머법에 사용된다.[23]
  • 개못 해머(스파이크 해머(JIS E 1501)): 철도 레일 개못을 박는 머리가 가늘고 긴 해머. 스파이크 해머로 통칭된다. 현재는 콘크리트 침목에 볼트 고정이 많아 일부 측선에서만 사용된다.[23]
  • 슬라이딩 해머(sliding hammer): '두드리거나', '밀어넣는' 것이 아닌 '뽑아내는' 용도의 해머. 원통형 무게추에 막대가 꽂혀 있고, 한쪽은 갈고리, 다른 한쪽은 스톱퍼가 있다. 갈고리를 걸고 무게추를 스톱퍼에 두드려 뽑아낸다.[23]
  • 비샨: 석재 표면에 질감을 내기 위해 사용하는, 면이 사각형이고 격자 모양 스파이크가 달린 해머.[23]
  • 비상 탈출용 망치: 자동차 안에 갇혔을 때 사이드 윈도우를 깨는 해머(프런트 윈도우는 접합 유리이므로 깨지지 않음). 시트벨트 커터가 달린 경우도 있다.[23]
  • 고기 두드리는 망치: 고기 섬유를 두드려 부드럽게 하는 망치.[23]
  • 페그 해머: 텐트 설치 시 페그를 땅에 박는 해머. 한쪽이 페그 뽑이로 되어 제거에도 사용한다. 타격면에 구리가 사용된 해머도 많다.[23]


목공용 못뽑이 달린 해머(네일 해머·클로 해머)


볼핀 해머의 머리 부분


끝자르기 금추


슬레지 해머

4. 2. 나무 망치 (목추)

목추


木槌|기즈치일본어 (Wooden mallet영어)는 머리가 목재로 된 망치이다. 주로 대상물에 상처를 내지 않기 위해 사용된다.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큰 것은 '''망치'''라고 불리며, 결구부나 기둥 등의 목재를 박을 때 사용된다. 과거에는 해체 공사 시 토건 중장비가 보급되기 전, 목조 주택을 망치로 부수기도 했다.

기계 공장에서는 프레스 머신, 보링 머신, 플레이너 등에 부착하여 피삭재에 상처를 내지 않고 가벼운 타격력을 줄 때 사용하며, 판금 가공에도 사용된다.[16]

나무 망치는 머리에 자루를 넣는 구멍이 한쪽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며, 손잡이 쪽에서 끝 쪽으로 자루를 박아 마찰력으로 고정한다. 이는 금속 망치와 달리 머리에 나무 자루를 꽂은 후 쐐기를 박아 벌려 고정하는 방식과 다르다.

일본서기』의 「경행천황기」와 『붕고국풍토기』에는 목추가 과거 무기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주는 기록이 있다. 경행천황 12년 10월, 구마소 정벌 중 현재의 오이타현 벳푸시 부근에 진주한 경행천황군이 석굴에 틀어박혀 천황에게 복종하지 않는 도구모들을 몰살할 때, 정예병이 근처 해석류로 만든 망치를 무기로 사용했다고 한다.

벤케이의 일곱 가지 도구에도 큰 망치가 포함되어 있다. (큰 톱과 도끼도 포함) 이는 나무를 베어 땅에 말뚝을 박아 울타리나 담을 쌓는 축성 작업뿐만 아니라, 적이 만든 문이나 울타리를 파괴하는 공병 장비로도 사용되었음을 의미하며, 상황에 따라 무기로도 활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의장용 망치(gavel)


그 외에도 목추는 전통적으로 여러 사람이 모인 장소에서 대표자가 호소, 정숙을 요구하거나 집회의 시작, 종료를 선언하기 위해 사용되는 작은 망치를 의미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참의원에서는 참의원 의장이 본회의 시작 신호로 목추를 사용하며, 경매장에서는 주최자가 낙찰 선언 시 사용한다. 일본 법정에서는 사용되지 않지만,[24][25] 재판장이 출정자 등에게 무질서한 발언을 자제시키거나 개정 연설을 하기 위해 두드리는 목추도 알려져 있다.

4. 3. 플라스틱/고무 망치

머리가 플라스틱으로 된 플라스틱 망치와 고무로 된 고무 망치가 있다. 타격 대상에 상처가 나기 어렵기 때문에 부품의 조립이나 분해에 자주 사용된다.

; 플라스틱 망치 (플라스틱 매릿, Plastic mallet)

: 머리가 플라스틱으로 덮여 있어 대상을 손상시키지 않는 망치이다. 타격력을 확보하기 위해 머리의 중심은 철로 되어 있고 양쪽 타격 부분만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다. 플라스틱 망치를 줄여서 플라스틱 해머라고 부른다.[23]

: 타격 대상을 손상시키지 않지만, 사람에게 사용할 경우 충분히 부상을 입힐 수 있다.

: 장난감 피코피코 해머(등록상표)의 일반 명칭으로 장난감 "플라스틱 해머"가 있지만, 이것은 별개의 것이다.

; 고무 망치 (러버 매릿, Rubber Mallet)

: 상대에게 찍힌 자국이 남지 않으므로 목재를 조립할 때 직접 두드려 사용할 수 있다. 판금 작업[23] 외에도 메쉬 철제 선반을 조립할 때도 사용된다. (철 망치로 치면 선반이 휘어진다.)

플라스틱 망치


고무 망치

4. 4. 옆망치

머리 부분 바닥면에서 자루가 뻗어 나와 머리와 자루의 축이 일직선상에 있는 망치이다. 간단히 망치라고 하면 이것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었다. 목재로 만들어져 을 두드려 섬유를 풀어내는 데 사용되었다.[26] 일반적인 망치에 비해 지점에서 타격점(작용점)까지의 거리가 짧아 타격력은 약하지만 제어성이 뛰어나다. 두더지가 망치와 비슷하다고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토목 공구로서 문어(タコ|타코일본어)라고 불리는 대형 옆망치가 있다. 통나무를 잘라 만든 망치 머리를 둘러싸듯이 4개의 긴 자루(2개인 경우도 있음)가 붙어 있어, 여러 사람이 함께 들고 땅에 박아 흙을 다지는 작업에 사용한다. 노반 정비 외에 판축 건설 등 과거에는 널리 사용되었다. 현재는 거의 기계화되었지만, 씨름판 설치 및 유지 보수에서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옆망치

5. 물리학적 원리

망치는 지렛대 원리와 운동 에너지 변환 원리를 이용하여 힘을 증폭시키는 도구이다. 망치 머리는 각 타격에 앞선 스윙에서 일정량의 운동 에너지를 저장하는데, 이는 스윙의 길이에 팔의 근육중력에 의해 발생하는 힘을 곱한 것과 같다. 망치가 타격할 때, 머리는 목표물에서 나오는 반대 방향의 힘에 의해 멈추는데, 이 힘은 머리가 목표물에 가하는 힘과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다. 목표물이 단단하고 무거운 물체이거나 모루 위에 놓여 있다면, 머리는 멈추기 전에 매우 짧은 거리만 이동할 수 있다. 정지 힘에 그 거리를 곱한 값은 머리의 운동 에너지와 같아야 하므로, 정지 힘은 원래의 구동력보다 훨씬 크다.

망치가 대상에 전달하는 에너지는 머리의 질량에 비례하고,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E={mv^2 \over 2})). 티타늄 헤드는 가볍기 때문에 더 긴 손잡이를 사용할 수 있어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무거운 강철 헤드 망치보다 덜 피로하면서도 같은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14] 데드 블로우 해머는 충격 후 망치 헤드가 튀어 오르는 대신 특수 고무 또는 강철 샷을 사용하여 반발 에너지를 흡수한다.

망치의 손잡이는 사용자의 손을 충격 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뜨려 보호하고, 손으로 잡기에 더 적합한 넓은 면적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각 타격 시 머리 부분의 속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손잡이 길이를 더 늘리는 데 대한 주된 제약은 망치를 휘두를 공간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디자인은 실용성과 에너지 효율 사이의 절충안이다.

중력은 망치 머리에 힘을 작용하여 망치질의 가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아래쪽으로 망치질을 할 경우, 중력은 가속도를 증가시켜 각 타격에 전달되는 에너지를 증가시킨다. 반대로 위쪽으로 망치질을 할 경우, 중력은 가속도를 감소시켜 각 타격에 전달되는 에너지를 감소시킨다.[17]

6. 인체공학 및 부상 위험

망치는 신체에 부딪히면 심각한 부상을 입힐 수 있다. 수동식 및 전동식 망치 모두 부적절하게 사용하면 말초 신경병증이나 기타 여러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불편한 손잡이는 손과 팔 관절에 반복성 긴장성 손상(RSI)을 유발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충격으로 인한 통제되지 않은 충격파는 신경과 골격을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망치로 금속 물체를 치면 작은 금속 파편이 생겨 눈에 박힐 수 있으므로 안전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2]

망치로 손가락 끝을 치면 분쇄(다중 파편) 손가락 골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문화와 상징

일본에서는 대흑천이 우치데노코즈치라는 나무망치를 쥐고 있는데, 이것을 흔들면 복을 가져다준다고 한다.

피코피코 해머는 머리 부분이 부드러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주름이 져 있고, 자루에는 피리가 내장되어 있어 물건을 두드리면 '피' 소리가 나는 장난감이다.

7. 1. 일반적인 상징

망치는 인류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도구 중 하나로, 깃발, 문장 등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중세 시대에는 대장장이 조합의 로고와 여러 가문의 상징으로 자주 사용되었다. 망치와 곡괭이는 광산업의 상징으로 사용된다.

신화에서는 토르(북유럽)와 수켈루스(켈트 및 갈로-로마) 신, 그리고 영웅 헤라클레스(그리스)가 모두 전설에 등장하는 망치를 가지고 있으며, 각기 다른 의미를 지닌다. 천둥과 번개의 신인 토르는 묠니르라는 망치를 휘두른다. 장식용 망치 유물이 많이 발견되어 현대 이 종교의 신봉자들은 종종 이를 재현한 것을 믿음의 표시로 착용한다.

미국 민속에서는 존 헨리의 망치가 인간의 힘과 인내를 상징한다.

싱가포르의 싱가포르 노동당은 당의 시민적 민족주의와 사회민주주의 이념을 상징하는 망치를 로고로 사용했다.

망치가 들어간 잘 알려진 변형된 상징으로 낫과 망치가 있는데, 이는 소비에트 연방의 상징이었으며 공산주의와 초기 사회주의와 강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상징에서 망치는 산업 노동 계급(낫은 농업 노동 계급)을 나타낸다. 망치는 동독과 같은 전 사회주의 국가의 일부 문장에도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망치와 칼은 노동 계급에 호소하려는 나치즘의 한 갈래인 슈트라서주의를 상징한다. 북한의 조선로동당은 가운데 먹붓을 포함한 이 상징의 변형을 사용했는데, 이는 주체와 선군 이념을 모두 상징한다.

핑크 플로이드 - 벽에서 두 개의 망치가 교차된 것은 "인 더 플레시"에서 콘서트의 파시스트 장악을 상징한다. 이는 또한 튀어나온 "못"을 내려치는 망치의 의미도 지닌다.

작은 나무 망치인 의사봉은 회의나 사법 절차를 주재할 권한을 상징하며, 이것의 그래픽 이미지는 입법부 또는 사법부의 의사결정 권한의 상징으로 사용된다.

유다 막카베우스는 전투에서의 그의 맹렬함을 인정받아 "망치"라는 별명을 얻었다. "막카베우스"라는 이름은 아람어 ''maqqaba''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

"내게 망치가 있다면"이라는 노래의 망치는 전국에 전파되는 끊임없는 정의의 메시지를 나타낸다. 이 노래는 미국 시민권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7. 2. 신화 속 망치

북유럽 신화의 토르는 묠니르라는 망치를 사용한다. 고대 켈트 종교의 수켈루스도 망치를 들고 다녔으며, 그리스 신화의 영웅 헤라클레스 역시 망치를 사용했다.[5][6][7]

7. 3. 정치적 상징

낫과 망치는 소비에트 연방의 상징이었으며 공산주의와 초기 사회주의와 강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상징에서 망치는 산업 노동 계급(낫은 농업 노동 계급)을 나타낸다.[1] 망치는 동독과 같은 전 사회주의 국가의 일부 문장에도 사용되었다.[1] 마찬가지로 망치와 칼은 노동 계급에 호소하려는 나치즘의 한 갈래인 슈트라서주의를 상징한다.[1] 북한의 정당인 조선로동당은 가운데 먹붓을 포함한 이 상징의 변형을 사용했는데, 이는 주체와 선군 이념을 모두 상징한다.[1]

7. 4. 기타

탐페레(Tampere) 시의 문장 왼쪽 상단에 있는 T자형 망치


망치는 인류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도구 중 하나로, 깃발이나 문장과 같은 상징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중세 시대에는 대장장이 조합의 로고와 여러 가문의 상징으로 자주 사용되었다. 망치와 곡괭이는 광산업의 상징으로 사용된다.

미국 민속에서 존 헨리의 망치는 인간의 힘과 인내를 상징한다.

작은 나무 망치인 의사봉은 회의나 사법 절차를 주재할 권한을 상징하며, 이것의 그래픽 이미지는 입법부 또는 사법부의 의사결정 권한의 상징으로 사용된다.

유다 막카베우스는 전투에서의 그의 맹렬함을 인정받아 "망치"라는 별명을 얻었다. "막카베우스"라는 이름은 아람어 ''maqqaba''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

"내게 망치가 있다면"이라는 노래의 망치는 전국에 전파되는 끊임없는 정의의 메시지를 나타낸다. 이 노래는 미국 시민권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hammer Meaning in the Cambridge English Dictionary https://dictionary.c[...] 2018-06-09
[2] 웹사이트 How hammer is made - material, making, history, used, components, structure, steps http://www.madehow.c[...] 2018-08-21
[3] 웹사이트 40 Different Types of Hammers and Their Uses https://www.garageto[...] 2018-09-06
[4]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Mind: From Apes to Intellect and Beyond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5] 뉴스 Archaeologists Take Wrong Turn, Find World's Oldest Stone Tools http://blogs.scienti[...] 2015-04-15
[6] 논문 Archaeology: Tools go back in time 2015-05-01
[7]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hammer from its prehistoric beginnings. https://langs.co.uk/[...] 2017-06-30
[8] 웹사이트 A beginner's guide to hammers / Boing Boing https://boingboing.n[...] 2014-08-06
[9] 간행물 British Standard BS 876:1995 Specification for Hand Hammers
[10] 웹사이트 Slaughter of livestock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11] 웹사이트 Tools for Pounding and Hammering https://www.fhwa.dot[...]
[12] 논문 Handling Locomotive Supplies, Part III.--Standardization https://books.google[...] 1909-02-01
[13] 웹사이트 Lathing hammer http://encyclopedia2[...]
[14] 웹사이트 DeWalt's Titanium Hammer Killer? http://toolmonger.co[...] Toolmonger 2011-06-15
[15] 웹사이트 漢字の意味「鎚と槌」 http://www.5ka9.com/[...]
[16] 웹사이트 特集|「日本のクルマづくりを支える職人たち」第4回 板金・溶接職人 吉野栄祐 |トヨタイムズ https://toyotatimes.[...]
[17] 서적 ねじとねじ回し 株式会社早川書房 2003-10-31
[18] 서적 THE HAND TOOLS MANUAL TSTC Publishing 2007
[19] 서적 図説 世界シンボル事典 2015
[20] 웹사이트 用語集 http://www.ibaraki-c[...] 茨城工業高等専門学校
[21] 웹사이트
[22] 웹사이트 語源由来辞典 https://gogen-yurai.[...]
[23] 서적 DIY工具選びと使い方 ナツメ社 2008-11-01
[24] 웹사이트 ■法廷画家のお仕事 法廷雑学 https://yoshitakawor[...]
[25] 블로그 弁護士吉成安友のブログ https://ameblo.jp/yo[...] 2011-04-17
[26] 웹사이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