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니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니기노미코토는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아마테라스의 명을 받아 삼종신기를 가지고 지상으로 내려온 천손강림의 주인공이다. 그는 다카마가하라에서 아시하라노 나카쓰쿠니로 내려와 고노하나노사쿠야비메와 결혼하여 세 아들을 낳았으며, 그의 손자는 진무 천황이 된다. 니니기는 농업의 신으로 숭배받으며, 일본 각지에 그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장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농경의 신 - 야비네
- 농경의 신 - 폴리힘니아
폴리힘니아는 그리스 신화에서 찬가, 웅변, 기하학, 명상을 관장하는 무사이 여신으로, 제우스와 므네모시네의 딸이며 트립톨레모스와 오르페우스의 어머니로도 전해지고, 그녀의 이름을 딴 소행성과 여러 작품이 존재한다. - 아마쓰카미 - 이자나기
이자나기는 일본 신화에서 아내 이자나미와 함께 천지창조와 신들을 낳았지만, 이자나미의 죽음 후 요미노쿠니에서 그녀를 되찾으려다 실패하고, 목욕을 통해 아마테라스, 쓰쿠요미, 스사노오를 낳은 뒤 은거한 신으로, 인간의 탄생과 죽음, 일본 신화의 기원을 설명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아마쓰카미 - 고토아마쓰카미
고토아마쓰카미는 일본 신화에서 천지개벽 시 고천원에 나타난 조화의 삼신, 우마시아시카비히코지, 아메노토코타치노카미를 포함하는 다섯 신을 지칭하며, 신대칠대보다 먼저 나타나는 존재로 묘사된다. - 신토의 신 - 야마토타케루
야마토타케루는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게이코 천황의 아들로, 『고사기』와 『일본서기』에 기록된 전설적인 영웅이며, 구마소 정벌과 동쪽 정벌 등 여러 전투에서 활약하며 일본 문화와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신토의 신 - 카미
카미는 일본어로 신, 신성, 영을 뜻하며, 신토에서 숭배의 대상이 되는 존재를 총칭하는 말로, 자연, 영웅, 조상 등 다양한 대상이 포함되고 인간에게 은혜와 재앙을 동시에 가져다 주는 존재이다.
니니기 |
---|
2. 신화 속의 서술
니니기노미코토는 여러 고문헌에서 다양한 한자로 표기되는데, 이는 그의 신성함과 다면적인 성격을 반영한다.
아마테라스의 손자이자 아메노오시호미미노미코토(天忍穂耳尊)와 다카미무스비노미코토(高皇産靈尊)의 딸 다쿠하타치지히메노미코토(栲幡千千姫命) 사이에서 태어난 니니기는 천손강림(天孫降臨)을 통해 지상에 내려왔다.[1] 고노하나노사쿠야비메(木花之開耶)와 결혼하여 야마사치히코 등 세 아들을 두었으며, 이들의 후손이 진무 천황(神武天皇)으로 이어진다. 니니기는 사망 후 '가와이 산릉(可愛山陵)'에 묻혔다고 전해진다.
2. 1. 이름의 표기
《고사기(古事記)》에는 '''天邇岐志国邇岐志天津日高日子番能邇邇芸命''', '''天邇岐志''', '''国邇岐志''', '''天日高日子'''로, 《일본서기(日本書紀)》에는 '''天饒石国饒石天津日高彦火瓊瓊杵尊''', '''天津日高彦瓊瓊杵尊''', '''彦火瓊瓊杵''', '''火瓊瓊杵''' 등으로 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瓊瓊杵尊''' 또는 '''瓊々杵尊''', '''邇邇芸命'''(ににぎのみこと)으로 표기한다.2. 2. 탄생과 강림
아마테라스의 아들인 아메노오시호미미노미코토(天忍穂耳尊)와 다카미무스비노미코토(高皇産靈尊)의 딸인 다쿠하타치지히메노미코토(栲幡千千姫命, 요로즈하타토요아키쓰시히메노 미코토萬幡豊秋津師比賣命로도 부름)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형은 아메노호아카리노미코토(天火明命)가 있다(《일본서기》 일서一書에는 아메노호아카리노미코토의 아들이라 했다).아마테라스의 명으로 아시하라노 나카쓰쿠니(葦原中國)을 다스리고자 삼종신기를 받아 다카마가하라(高天原)에서 지상으로 내려왔다. 이것을 일본 신화에서는 천손강림(天孫降臨)이라고 부르는데, 강림한 장소를 《고사기》는 "쓰쿠시의 히무카(日向)의 다카치바(高千穂)의 구시후루다케(久士布流多気)에 천강(天降)하였다"고 기술했고, 《일본서기》에는 "히무카소(日向襲)의 다카치바타케(高千穗峯)" 또는 "쓰쿠시 히나타의 다카치바타케(筑紫日向高千穗)"로 기술하였다. 이러한 천손강림의 해석에 대해서는 기록에서는 휴가국(日向國)의 다카치바타케(高千穂峰)에 내려와서 나가야(長屋)의 가사사노미사키(笠狭碕)에 도달했다고 보나, 한반도 관련 기록을 보면 실제로는 규슈 북부에 천손강림을 한 것이며 정책상 규슈 남부로 이동한 것으로 보는 것이 유력하다. 나가야의 가사사노미사키의 위치 비정은 지금의 일본 미야자키현 사이토시(西都市)의 사이토하라 고분군(西都原古墳群) 부근(히토쓰세 강一ツ瀬川 부근)이나 같은 현의 노베오카시(延岡市), 또는 미야자키시(宮崎市) 소재 전방후원분(前方後円墳)인 나고 신사(奈古神社, 옛 나가야 신사長屋神社) 부근이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으며, 가고시마현(鹿児島県)의 미나미사쓰마시(南さつま市) 일대에도 전설이 남아있다.
2. 3. 결혼과 후손
오야마쓰미노 카미(大山祇神)[1]의 딸인 고노하나노사쿠야비메(木花之開耶|고노하나노사쿠야일본어)[2]와 이와나가히메 가운데 고노하나노사쿠야를 아내로 맞아 호데리노 미코토(火照命, 우미사치히코海幸彦), 호스세리노 미코토(火闌降命), 히코호호데미노 미코토(彦火火出見尊, 야마사치히코山幸彦)[3] 세 아들을 낳았다. 이 가운데 히코호호데미노 미코토(야마사치히코)의 손자가 야마토이와레히코(훗날 진무 천황)이며, 그는 미야자키현 미야자키시 미야자키 신궁 경내 섭사 고구야에 수도를 정하고 훗날 동쪽을 정벌(진무 동정)하여 나라현 가시하라에 야마토 조정을 세웠다고 전해진다.2. 4. 죽음과 무덤
사망 뒤 니니기는 '가와이 산릉(可愛山陵)'에 묻혔다고 전한다.[1] 그의 무덤 위치는 규슈 남부 각지에 여러 전승지가 있으며, 메이지 시대 이후 가고시마현 사쓰마센다이시의 닛타 신사(新田神社)가 유력한 후보지로 비정되었다. 그러나 궁내청의 조사 결과, 미야자키현 히가시우스키군의 에노다케 산기슭의 무덤이 '가와이 산릉 전승지'로, 사이토시의 오사호즈카 고분이 '가와이 산릉 참고지'로 지정되었다.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아버지 | 아메노오시호미미노미코토 또는 아메노호아카리노미코토 |
어머니 | 다쿠하타치지히메노미코토(萬幡豊秋津師比売命|만하타토요아키쓰시히메노미코토일본어) |
배우자 | 고노하나노사쿠야비메(木花之開耶|고노하나노사쿠야일본어) |
장남 | 호스세리노미코토 |
차남 | 호데리노미코토(海幸彦|우미사치히코일본어) |
삼남 | 호오리( 彦火火出見尊|히코호호데미노미코토일본어) (山幸彦|야마사치히코일본어) |
4. 해석
니니기의 이름은 한자로 여러 가지로 표기되는데, '천지가 풍성하게 베푼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아마쓰히코(天津日高)'는 하늘의 신(天津神)을 의미하고, '히코(日子)'는 남성을 뜻한다. '호노니니기'는 곡식이 풍성하게 여물었다는 의미이며, '니니기'는 '북적거리다'라는 뜻으로, '번화하다, 크게 떨치다'라는 단어와 어원이 같다.
천손강림 신화에 따르면, 니니기는 아마테라스의 명으로 아시하라노 나카쓰쿠니(葦原中國)를 다스리기 위해 삼종신기를 받아 다카마가하라(高天原)에서 지상으로 내려왔다. 강림 장소는 기록에 따라 휴가국(日向國)의 다카치바타케(高千穂峰) 또는 큐슈 북부 등으로 전해진다.
니니기는 고노하나노사쿠야비메(ja)[2]를 아내로 맞아 호데리노 미코토(火照命), 호스세리노 미코토(火闌降命), 히코호호데미노 미코토(彦火火出見尊, 야마사치히코山幸彦)[3], 이렇게 세 아들을 낳았다. 이 가운데 야마사치히코의 손자가 진무 천황(神武天皇)이 되어 야마토 조정을 확립했다고 한다.
4. 1. 이름의 의미
아마테라스의 아들인 아메노오시호미미노미코토(天忍穂耳尊)와 다카미무스비노미코토(高皇産靈尊)의 딸인 다쿠하타치지히메노미코토(栲幡千千姫命) 사이에서 태어난 니니기의 이름은 여러 한자로 표기된다. 《고사기》에는 天邇岐志国邇岐志天津日高日子番能邇邇芸命, 天邇岐志, 国邇岐志, 天日高日子 등으로, 《일본서기》에는 天饒石国饒石天津日高彦火瓊瓊杵尊, 天津日高彦瓊瓊杵尊, 彦火瓊瓊杵, 火瓊瓊杵 등으로 표기되며, 일반적으로 瓊瓊杵尊, 瓊々杵尊, 邇邇芸命(ににぎのみこと)로 표기한다.'아메니기시쿠니니기시'는 "천지가 풍성하게 베푼다"는 뜻이며, '아마쓰히코(天津日高)'는 아마쓰노카미(天津神)로서 '히코(日子)'는 남성을 의미한다. '호노니니기'란 곡식이 풍성하게 여물었다는 의미이다. '니니기'는 '북적거리다'라는 뜻으로, '번화하다, 크게 떨치다'라는 단어와 뿌리가 같다.[1]
4. 2. 신격
니니기노미코토는 농업의 신으로 숭배되며, 특히 벼농사와 관련이 깊다. '아메니기시쿠니니기시'는 "천지가 풍성하게 베푼다"는 뜻이며, '아마쓰히코(天津日高)'는 아마쓰노카미(天津神)로서 '히코(日子)'는 남성을 의미한다. '호노니니기'란 곡식이 풍성하게 여물었다는 의미이다. '니니기'는 '북적거리다'라는 뜻으로, '번화하다, 크게 떨치다(にぎやか)'라는 단어와 뿌리가 같다.[1]황실의 조상신으로 여겨지며, 그의 후손들이 일본을 통일하고 지배했다는 신화는 일본 건국 신화의 핵심을 이룬다.
니니기노미코토를 신으로 모시는 주요 신사는 다음과 같다.
신사 이름 | 위치 |
---|---|
나고 신사 | 미야자키 현 미야자키 시 |
기리시마 신궁 | 가고시마 현 기리시마시 |
다카치호 신사 | 미야자키 현 니시우스키 군 다카치호마치 |
닛타 신사 | 가고시마 현 사쓰마 센다이 시 |
쓰쿠토 신사 | 도쿄도 치요다구 |
이미즈 신사 | 도야마현 다카오카시 |
자안 신사 | 미에현 미나미무로 군 기호마치 |
히타치국 총사궁 | 이바라키현 이시오카시 |
참조
[1]
문서
오야마쓰미즈카(大山づみ塚)의 피장자 관련 정보
[2]
문서
메사호즈카(女狭穂塚)의 피장자 관련 정보
[3]
문서
오시마 신사의 주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