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콜라이 시베르니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이 시베르니크는 러시아 혁명가이자 소련의 정치가로, 1905년 볼셰비키에 가입하여 혁명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1920년대 요시프 스탈린을 충실히 지지하며 레닌그라드 지방 위원회 서기,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비서국을 역임했고, 1925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식 멤버였다. 스탈린 사후에는 소련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의장을 지냈으며, 니키타 흐루쇼프의 탈스탈린화 정책을 지지하여 대숙청 희생자들의 명예 회복을 담당했다. 1966년 은퇴 후 1970년 사망했으며, 크렘린 벽 묘지에 안치되었다.

2. 초기 생애 및 혁명 활동

니콜라이 시베르니크는 1888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나 1905년 볼셰비키에 가입하며 혁명 활동을 시작했다. 2월 혁명 이후 사마라에서 소비에트 의장으로 선출되었고, 러시아 내전 기간에는 붉은 군대의 정치 위원으로 활동했다. 1921년부터 1923년까지는 노동 조합에서 일했다. 1923년 요시프 스탈린의 라브크린 직원으로 임명된 후, 스탈린을 충성스럽게 지지하며 그의 권력 강화에 기여했다.

이후 스탈린과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사이의 갈등에서 스탈린 편에 서서 레닌그라드 지방 위원회 서기로 임명되는 등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25년부터 중앙위원회 정식 멤버였으며, 공산당 중앙위원회 비서국에서도 활동했다. 1927년에는 레프 트로츠키와 지노비예프 등 주요 반대파 추방에 앞장섰다.

1929년 모스크바로 돌아와 금속 노동자 노동 조합 의장에 임명되었고, 1930년부터 1944년까지 전소련 중앙 노동 조합 평의회 제1서기 및 오르그뷰로 멤버로 활동했다.

2. 1. 출생과 성장 배경

니콜라이 시베르니크는 1888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노동자 계급 러시아인 가정에서 태어났다.[1] 그의 아버지는 퇴역 상사였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공장에서 일했다. 구교도의 후손이라고 알려져 있다.[2] 어머니는 직조공이었다. 그는 공장에서 선반공으로 일했고, 1905년 볼셰비키에 가입했다.

2. 2. 볼셰비키 가입과 초기 경력

슈베르니크는 1888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노동자 계급의 러시아인 가정에서 태어났다.[1] 그의 아버지는 퇴역한 상사였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공장에서 일했다. 그는 구교도의 후손이라고 알려져 있다.[2] 슈베르니크의 어머니는 직조공이었다. 그는 공장에서 선반공으로 일했고, 1905년 볼셰비키에 가입했다. 1917년 2월 혁명 이후, 그는 사마라의 파이 공장에서 소비에트 의장으로, 그리고 사마라 시 소비에트 의장으로 선출되었다.[3] 러시아 내전 중에는 붉은 군대의 정치 위원이었다. 1921년부터 1923년까지 그는 노동 조합에서 일했다.

1923년, 그는 요시프 스탈린이 이끄는 라브크린의 직원으로 임명되었으며, 1920년대 권력 투쟁 동안 스탈린을 충성스럽게 지지했다. 같은 해 그는 밀주 보드카와 코카인 판매, 그리고 도박을 근절하는 일을 담당했다.[2] 1925년 11월, 스탈린과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사이의 갈등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지노비예프의 권력 기반이었던 레닌그라드 지방 위원회의 서기로 그를 임명했다.[4][3]

슈베르니크는 1925년 12월부터 사망하기 45년 전까지 중앙위원회의 정식 멤버였다. 1926년 4월, 그는 스탈린이 이끄는 4명의 비서 팀 중 한 명인 공산당 중앙위원회 비서국에 그리고리 예브도키모프의 후임으로 임명되었는데, 예브도키모프는 지노비예프 지지자였다.

1927년 10월, 중앙위원회와 소련 공산당 중앙통제위원회가 합동 회의를 열어 레프 트로츠키와 지노비예프를 포함한 주요 반대파들을 추방할지 여부를 논의했을 때, 슈베르니크는 스탈린에 대한 충성을 과시했다.[5]

1927년 12월, 농민들이 가격 상승을 예상하여 생산품을 비축하면서 도시에 갑작스러운 식량 부족 사태가 발생했을 때, 슈베르니크는 지역 당 서기로서 우랄로 파견되었다.[6] 그는 소련 경제의 급속한 산업화 동안 스탈린을 충성스럽게 지지했으며, 이는 노동 조합 지도부 거의 전체가 반대했다. 그는 1929년 모스크바로 소환되어 금속 노동자 노동 조합의 의장으로 임명되었다. 1930년 7월부터 1944년 3월까지 그는 전소련 중앙 노동 조합 평의회의 제1서기였으며 오르그뷰로의 멤버였다.

3. 스탈린 시대의 경력

1944년부터 1946년까지 러시아 SFSR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의장을 지냈다. 1946년 미하일 칼리닌의 뒤를 이어 소련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의장이 되었다. 1952년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당시 당 중앙위원회 간부회)의 위원이 되었지만, 1953년 기구가 축소되면서 강등되었다.[9]

3. 1. 스탈린의 충복

슈베르니크는 1923년 요시프 스탈린이 이끄는 라브크린의 직원으로 임명되어, 1920년대 권력 투쟁 동안 스탈린을 충성스럽게 지지했다.[2] 1925년 11월, 스탈린과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사이의 갈등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그를 지노비예프의 권력 기반이었던 레닌그라드 지방 위원회의 서기로 임명했다.[4][3]

1925년 12월부터 사망하기 45년 전까지 중앙위원회의 정식 멤버였던 슈베르니크는 1927년 10월 중앙위원회와 소련 공산당 중앙통제위원회 합동 회의에서 레프 트로츠키와 지노비예프를 포함한 주요 반대파들을 추방할지 여부를 논의했을 때, 스탈린에 대한 충성을 과시했다.[5]

1927년 12월, 농민들이 가격 상승을 예상하여 생산품을 비축하면서 도시에 갑작스러운 식량 부족 사태가 발생했을 때, 지역 당 서기로서 우랄로 파견되었다.[6] 그는 소련 경제의 급속한 산업화 동안 스탈린을 충성스럽게 지지했으며, 이는 노동 조합 지도부 거의 전체가 반대했다. 1929년 모스크바로 소환되어 금속 노동자 노동 조합의 의장으로 임명되었고, 1930년 7월부터 1944년 3월까지 전소련 중앙 노동 조합 평의회의 제1서기이자 오르그뷰로의 멤버였다.

슈베르니크는 1931년 멘셰비키 재판을 주재했고,[7] 1937년 2월에는 니콜라이 부하린알렉세이 리코프를 조사하는 위원회의 위원으로, 이들을 중앙위원회에서 추방하고 체포하여 총살해야 한다고 투표했다.[8]

1953년 3월 스탈린의 죽음에 너무 괴로워하여, 독재자의 장례식에서 울고 있는 유일한 저명한 당 지도자로 알려져 있다.[2]

3. 2. 중앙위원회와 노동조합 활동

슈베르니크는 1925년 12월부터 사망하기 45년 전까지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정식 위원이었다.[3] 1926년 4월, 이오시프 스탈린이 이끄는 4명의 비서 팀 중 하나인 공산당 중앙위원회 비서국에 임명되었다.[4] 그는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지지자였던 그리고리 예브도키모프의 후임이었다.

1927년 10월, 중앙위원회와 소련 공산당 중앙통제위원회의 합동 회의에서 레프 트로츠키와 지노비예프를 포함한 주요 반대파들을 추방할지 여부를 논의했을 때, 슈베르니크는 스탈린에 대한 충성을 과시했다.[5]

1929년 모스크바로 소환되어 금속 노동자 노동조합의 의장으로 임명되었다. 1930년 7월부터 1944년 3월까지는 전소련 중앙 노동조합 평의회의 제1서기였으며 오르그뷰로의 위원이었다.

3. 3. 대숙청과 제2차 세계 대전

슈베르니크는 1931년 멘셰비키 재판을 주재했는데, 이 재판에서 14명의 러시아 경제학자들이 반역 혐의로 기소되었다.[7] 1937년 2월, 그는 니콜라이 부하린알렉세이 리코프를 조사하는 위원회의 위원이었다. 이들은 소련에 남아있는 가장 저명한 전직 반대파였고, 위원회는 그들을 중앙위원회에서 추방하고 체포하여 총살해야 한다고 투표했다.[8]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슈베르니크는 진격하는 국방군으로부터 소련 산업을 대피시키는 책임을 맡았다.[9] 그는 1938년부터 1946년까지 민족 소비에트 의장을 역임했다.

4.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의장 재임

1946년 미하일 칼리닌이 사망하면서 그의 뒤를 이어 소련의 국가 원수에 해당하는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의장이 되었다. 1952년 당 간부회원(정치국원)으로 승격되었지만, 이듬해 1953년 이오시프 스탈린이 사망한 후 간부회원 후보로 강등되었다. 1953년 클리멘트 보로실로프에게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의장직을 넘겨주었다.

4. 1. 국가 원수 취임

Никола́й Миха́йлович Шве́рник|니콜라이 미하일로비치 시베르니크ru는 1946년 미하일 칼리닌의 뒤를 이어 소련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의장이 되었다.[9] 소련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의장은 소련의 국가 원수에 해당하는 직책이었다. 1952년에는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당시 당 중앙위원회 간부회)의 정식 위원이 되었지만, 1953년 기구가 축소되면서 후보 위원으로 강등되었다.

1953년 3월, 이오시프 스탈린이 사망하자 시베르니크는 큰 슬픔에 잠겼다. 스탈린의 장례식에서 눈물을 흘린 유일한 주요 당 지도자로 알려져 있다.[2] 스탈린 사후 며칠 만에 시베르니크는 간부회의 '후보' 멤버로 다시 강등되었고,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의장에서 해임되어 1953년 3월 15일 클리멘트 보로실로프로 교체되었다.

4. 2. 스탈린 사후

슈베르니크는 1953년 3월 스탈린이 사망하자, 그의 장례식에서 눈물을 보인 유일한 고위 당 지도자로 알려져 있다.[2] 그는 곧 간부회의 '후보' 위원으로 강등되었고,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의장에서 해임되어 1953년 3월 15일 클리멘트 보로실로프로 교체되었다. 이후 전소련 중앙 노동 조합 평의회 의장으로 복귀하였다. 1953년 12월, 슈베르니크는 전 경찰청장 라브렌티 베리야와 다른 6명에게 사형을 선고한 재판의 재판관을 맡았다.

스탈린에게 오랫동안 충성했음에도 불구하고, 슈베르니크는 니키타 흐루쇼프가 스탈린의 범죄를 비난하는 "비밀 연설"을 한 후 흐루쇼프를 지지한 가장 고위급 구 볼셰비키 중 한 명이었다. 1956년, 그는 중앙 통제 위원회 의장으로 임명되어 스탈린 시대에 부당하게 유죄 판결을 받은 수많은 사람들의 '재활'을 감독했다.[3] 1957년 7월, 슈베르니크는 16년 이상 '후보' 위원으로 활동한 후 다시 간부회의 정식 위원이 되었다.[10] 그는 1966년 은퇴할 때까지 간부회에 남아 있었다.

5. 탈스탈린화와 슈베르니크 위원회

니키타 흐루쇼프이오시프 스탈린의 범죄를 비난하는 "비밀 연설"을 한 후, 슈베르니크를 지지한 가장 고위급 볼셰비키 중 한 명이었다. 흐루쇼프는 탈스탈린화 정책의 일환으로 1956년 슈베르니크를 소련 공산당 통제 위원회 의장에 임명하여 대숙청 희생자들의 명예 회복을 담당하게 했다.[3] 이 때문에 이 시기 통제 위원회는 "슈베르니크 위원회"라고 불렸다.

5. 1. 흐루쇼프와의 관계

니키타 흐루쇼프이오시프 스탈린의 범죄를 비난하는 "비밀 연설"을 한 후, 시베르니크를 지지한 가장 고위급 볼셰비키 중 한 명이었다.[3] 흐루쇼프는 탈스탈린화의 일환으로 1956년 시베르니크를 소련 공산당 통제 위원회 의장에 임명하여 대숙청 희생자들의 명예 회복을 담당하게 했다.[3] 이 때문에 이 시기 통제 위원회는 "시베르니크 위원회"라고 불렸다.

5. 2. 슈베르니크 위원회

1956년 니키타 흐루쇼프는 탈스탈린화의 일환으로 시베르니크에게 대숙청 희생자들의 명예 회복을 담당하게 했다. 이 때문에 이 시기 통제 위원회는 "시베르니크 위원회"라고 불렸다.[3]

6. 은퇴와 사망

슈베르니크는 1953년 3월 스탈린의 죽음에 매우 슬퍼했으며, 장례식에서 울고 있는 유일한 주요 당 지도자로 알려져 있다.[2] 며칠 만에 그는 간부회의 '후보' 멤버로 다시 강등되었고,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의장에서 해임되어 1953년 3월 15일 클리멘트 보로실로프로 교체되었다. 이후 전소련 중앙 노동 조합 평의회 의장으로 복귀했다. 1953년 12월, 그는 전 경찰청장 라브렌티 베리야와 다른 6명에게 사형을 선고한 재판관으로 임명되었다.

스탈린에게 수년간 충성했음에도 불구하고, 슈베르니크는 니키타 흐루쇼프가 스탈린의 범죄를 비난하는 "비밀 연설"을 한 후 그를 지지한 가장 고위급의 구 볼셰비키 중 한 명이었다. 1956년 중앙 통제 위원회 의장으로 임명되어, 스탈린 시대에 잘못 유죄 판결을 받은 수많은 사람들의 '재활'을 감독했다.[3] 1957년 7월, 슈베르니크는 '후보' 멤버로 16년 이상 활동한 후 다시 간부회의 정식 멤버가 되었다.[10] 그는 1966년 은퇴할 때까지 이 기구에 남아 있었다.

슈베르니크는 1970년 12월 24일 모스크바에서 82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유해는 크렘린 벽 묘지에 안치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Герои Страны http://www.warheroes[...]
[2] 웹사이트 Отдал Крым, боролся с самогонщиками: чем прославился "президент" СССР Шверник (He gave away Crimea, fought moonshiners: what made Shvernik, the 'president' of the USSR, famous) https://www.gazeta.r[...] 2022-11-06
[3] 웹사이트 Шверник Николай Михайлович 1888–1970, биографический указатель http://www.hrono.ru/[...] 2022-11-04
[4] 서적 Socialism in One Country, 1924–1926 Volume 2 Penguin 1970
[5] 서적 Foundations of a Planned Economy, volume 2 Penguin 1976
[6] 서적 Foundations of a Planned Economy, volume 1 Penguin 1974
[7] 뉴스 NEW MASS TRIAL IN MOSCOW http://www.britishne[...] British Newspaper Archive 2015-05-17
[8] 서적 The Road to Terror: Stalin and the Self-Destruction of the Bolsheviks, 1932–1939 Yale U.P. 1999
[9] 웹사이트 СОЮЗ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http://whp057.narod.[...] 2011-09-28
[10] 서적 Power and Policy in the U.S.S.R. MacMillan 196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