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카만데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카만데르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강의 신으로, 스카만드로스 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는 오케아노스와 테티스의 아들이자, 트로이 편에 서서 트로이 전쟁에 참여했으며 아킬레우스를 세 번이나 죽이려 했다. 신들은 그를 크산토스라고 불렀으며, 트로이 왕가의 가계도에 등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타모이 - 세이렌
    세이렌은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아름다운 노랫소리로 선원들을 유혹해 파멸시키는 존재로, 본래는 여성의 머리와 새의 몸을 가졌으나 후에는 인어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유혹과 파멸의 상징으로서 여러 예술 작품에 등장하고 현대에는 스타벅스 로고나 사이렌의 어원으로 사용된다.
  • 포타모이 - 아이세포스
    아이세포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오케아노스와 테튀스의 아들이자 아이세포스 강의 강의 신이며, 트로이 전쟁에 참전했다가 에우리알로스에게 살해당했다.
  • 아나톨리아 - 이오니아
    이오니아는 현재 튀르키예 서부 해안의 소아시아 서부에 위치한 고대 그리스 지역으로, 에게해 섬들과 좁은 해안 지역으로 구성되어 고대 그리스 문명의 중요한 중심지였으며, 이오니아 철학 학파의 발전과 뛰어난 예술가 배출 등으로 문화적, 지적으로 번성하며 다양한 역사를 거쳐 그 문화적 유산이 남아있다.
  • 아나톨리아 - 아시아 (신화)
    그리스 신화에서 아시아는 이아페토스의 아내이자 아틀라스 등의 어머니로 알려져 있으나, 헤시오도스의 기록에서는 클리메네가 어머니로 언급되기도 하며, 대륙 아시아의 이름은 프로메테우스 아내 또는 아시에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 제우스의 자식 - 미노스
    미노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크레타의 왕으로 제우스와 에우로파의 아들이며, 크노소스 궁전을 중심으로 에게해를 지배했고, 미노타우로스 신화와 관련되어 잔혹한 면모와 함께 저승의 심판관으로도 묘사되며, 여러 신화적 인물들과 관련되어 문학과 예술 작품에 등장하고 소행성의 이름으로도 남아있다.
  • 제우스의 자식 - 아폴론
    아폴론은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빛, 음악, 예술, 치유, 궁술, 예언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중요한 신으로, 제우스와 레토의 아들이며 포이보스라고도 불린다.
스카만데르
기본 정보
유형강, 강의 신
위치튀르키예
신화적 정보
관장강의 신
부모오케아노스, 테티스
자녀테우크로스, 칼리로에, 스트뤼모, 글라우키아
관련 정보
동일시되는 강카라멘데레스 강

2. 어원

스카만드로스라는 이름의 정확한 의미는 불확실하다. 다만, 이름의 뒷부분에는 '남자의'를 뜻하는 그리스어 "ἀνδρός"(andrós)가 포함된 것으로 추정된다.[1] 이름의 앞부분은 '절뚝거리다'는 뜻의 skázō/σκάζωgrc나 '왼손잡이의, 어색한'을 뜻하는 skaiós/σκαιόςgrc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1] 따라서 "절름발이 남자" 또는 "어색한 남자"라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1] 이는 강의 굽이치는 모양을 비유한 것으로 보인다.[2]

3. 지리

스카만데르 강은 강의 신 스카만데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스카만데르 강은 트로이를 둘러싸고 있던 강이었다. 스카만데르는 트로이 전쟁에서 트로이 편을 들었다.

4. 신화

4. 1. 가족 관계

헤시오도스에 따르면 스카만데르는 티탄족인 오케아노스와 테티스의 아들이다.[3] 그는 제우스의 아들로 묘사되기도 한다.[4]

스카만데르는 물의 님프인 이다이아와의 사이에서 테우크로스 왕을 낳았다. 그는 또한 데이마쿠스의 연인인 글라우키아의 아버지였다. 크산토스는 탄탈로스에게 펠롭스니오베를 낳아준 에우리테미스타의 아버지로도 여겨졌다.[5] 트로이의 왕인 라오메돈의 아내인 스트리모 또는 로이오는 그의 딸이라고도 불렸다.[6] 그는 이름 없는 여자나 님프를 통해 사제 멜루스의 아버지가 되었다.[7]

4. 2. 트로이 전쟁에서의 역할

아킬레우스와 스카만드로


스카만데르는 트로이 전쟁에서 트로이 편에 서서 싸웠다.[8] 그리스 신화 영웅 아킬레우스가 그를 모욕하자, 스카만데르는 아킬레우스를 세 번이나 죽이려 했다.[8] 아킬레우스는 헤라, 아테나, 헤파이스토스의 도움으로 겨우 살아남았다.[8]

호메로스는 아카이오이가 스카만드로스 강 입구 근처에 진을 쳤고, 트로이인과의 전투가 스카만드로스 평원에서 벌어졌다고 기록했다.[8] 또한 강에는 두 개의 샘이 있는데, 하나는 따뜻한 물을, 다른 하나는 계절에 관계없이 차가운 물을 낸다고 묘사했다.[8]

신들은 스카만드로스를 크산토스(Ξάνθος, Xanthos)라고 불렀고, 인간들은 스카만드로스라고 불렀다.[8] 유사-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스카만데르는 레아의 비의에서 미쳐서 크산토스 강에 몸을 던졌고, 그 후 크산토스 강은 스카만데르로 이름이 바뀌었다.[9]

4. 3. 기타

스카만데르는 트로이 전쟁 동안 트로이 편에서 싸웠으며, 그리스 신화 영웅 아킬레우스를 세 번이나 죽이려 했다.[8] 헤라, 아테나, 헤파이스토스의 도움으로 아킬레우스는 겨우 목숨을 건졌다.[8] 그는 트로이 도시 아래 평원을 가로질러 북쪽 헬레스폰토스에 합류하는 스카만드로스 강의 신이다.[8] 호메로스에 따르면 아카이오이는 강의 입구 근처에 진을 쳤고, 트로이인과의 전투는 스카만드로스 평원에서 벌어졌다.[8] 일리아드 22권에서 호메로스는 강에 두 개의 샘이 있는데, 하나는 따뜻한 물을, 다른 하나는 계절에 관계없이 차가운 물을 낸다고 했다.[8]

호메로스는 신들은 그를 크산토스로, 인간들은 스카만데르로 불렀다고 했는데, 이는 전자가 신을, 후자가 강을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8] 유사-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스카만데르는 레아의 의식에서 미쳐 크산토스 강에 몸을 던졌고, 그 후 크산토스 강은 스카만데르로 이름이 바뀌었다.[9]

5. 트로이 왕가 가계도

트로이 왕가 가계도
오케아노스~테튀스
└───────────────┬───────────────┘
아틀라스~플레이오네┌───────────┴───────────┐스카만드로스~이다이아┌───────────┴───────────┐시모에이스
└───────────────┬───────────────┘└───────────────┬───────────────┘
제우스/유피테르~엘렉트라colspan="7" |테우케르colspan="7" |
└───────────┬───────────┘
다르다노스~바테이아
└───────────┬───────────┐
일루스colspan="7" |에리크토니오스~아스티오케
└───────────┬───────────┘
칼리로에~트로스
└───────┬───────┬───────┘
일루스colspan="7" |가니메데colspan="6" |아사라코스~히에로므네메
└───────┬───────┘
라오메돈colspan="7" |테미스테┌───────────┴───────────┐카피스
colspan="10" |└───────────────┬───────────────┘
프리아모스colspan="9" |안키세스~아프로디테/베누스라티누스
colspan="10" |└───────────────┬───────────────┘
크레우사~아이네이아스~라비니아
colspan="10" |└───────────────┬───────────────┘
colspan="9" |아스카니우스colspan="7" |실비우스
└───────────┬───────────┘
colspan="17" |아이네이아스 실비우스
└───────────┬───────────┘
colspan="17" |라티누스 실비우스
└───────────┬───────────┘
colspan="17" |알바
└───────────┬───────────┘
colspan="17" |아티스
└───────────┬───────────┘
colspan="17" |카피스
└───────────┬───────────┘
colspan="17" |카페투스
└───────────┬───────────┘
colspan="17" |티베리누스 실비우스
└───────────┬───────────┘
colspan="17" |아그리파
└───────────┬───────────┘
로물루스 실비우스
└───────────┬───────────┘
colspan="17" |아벤티누스
└───────────┬───────────┘
colspan="17" |프로카스
└───────┬───────┘
colspan="15" |누미토르colspan="3" |아물리우스
└───────────┬───────────┘
레아 실비아/일리아~아레스/마르스
└───────────┬───────────┘
헤르실리아~로물루스레무스


참조

[1] 웹사이트 Skamandros https://www.behindth[...]
[2] 웹사이트 Scamander http://mythologyname[...]
[3]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4] 서적 Imagines
[5] 서적 Orestes https://archive.org/[...]
[6] 서적 Bibliotheca https://www.perseus.[...]
[7] 서적 Bibliotheca
[8]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9] 서적 De fluviis http://www.perseus.t[...]
[10] 서적 345행
[11] 서적 『イーリアス』20巻、21巻
[12] 서적 3巻12・1
[13] 서적 3巻12・2
[14] 서적 3巻12・3
[15] 웹사이트 プルタルコス『ギリシアの諸問題』41 http://web.kyoto-ine[...]
[16] 웹사이트 Plutarch, Quaestiones Graecae 41 http://www.perseus.t[...] Perseus Digital Library 2021-12-03
[17] 서적 『イーリアス』21巻
[18] 서적 摘要(E)4・7
[19] 서적 345
[20] 서적 「이리아스」20권, 21권
[21] 서적 3권 12・1
[22] 서적 3권 12・2
[23] 서적 3권 12・3
[24] 서적 「그리스의 여러 문제」41
[25] 서적 「이리아스」21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