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형성 (생물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형성(생물학)은 동일한 종 내에서 유전적 또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두 가지 이상의 뚜렷한 형태가 존재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형태는 외형, 행동, 생리학적 특성 등에서 차이를 보이며, 유전적 다형성은 유전자 내의 다양한 대립 유전자의 존재로, 조건적 발달 전략은 환경 신호에 의해, 혼합 발달 전략은 무작위 할당으로 발생한다. 다형성은 자연 선택의 중요한 연구 대상이며, 유전적 다형성은 균형 선택 메커니즘에 의해 유지된다. 다형성은 생태학적 틈새 다양성과 종 분화에 기여하며, 진화 이론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형성 (생물학) - 의태
    의태는 생물이 생존과 번식을 위해 다른 생물이나 무생물과 유사한 형태, 색깔, 행동 등을 갖추는 전략으로, 베이츠 의태와 뮬러 의태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시각적 외형 외에 화학적 신호나 행동도 포함되지만, 효과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생물학적 적응의 한 형태이다.
  • 다형성 (생물학) - 다윈의 핀치
    다윈의 핀치는 갈라파고스 제도에 서식하며 자연 선택에 의한 진화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는 핀치새들로,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부리 모양과 크기가 다른 여러 종으로 분화되었고, 뼈 형태 형성 단백질 4(BMP4) 및 칼모듈린 유전자와 같은 분자적 기반 연구를 통해 부리 형태 변이의 유전적 메커니즘이 밝혀지고 있다.
다형성 (생물학)
개요
밝은 색 재규어
밝은 색 재규어
어두운 색 재규어
어두운 색 (흑색종) 재규어 (남아메리카 재규어의 약 6%를 차지한다.)
정의종 내에서 두 개 이상의 뚜렷하게 다른 형태 또는 형질이 나타나는 현상
영어 명칭Polymorphism
진화적 맥락
관련 분야진화 생물학
관련 개념개체군 유전학
유전적 다양성
돌연변이
자연 선택
적응
유전적 부동
유전자 흐름
종 분화
공진화
멸종
특성
특징여러 형태가 공존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현 조절 가능
유지 메커니즘
빈도 의존 선택특정 형태의 빈도가 높을수록 선택에 불리해져 다양한 형태 유지
공간적 이질성서식지 내 환경 조건의 차이가 다양한 형태의 적응을 유도
시간적 변동환경 조건의 주기적 변화가 다양한 형태의 번갈아 나타남을 유도
예시
재규어밝은 색과 어두운 색 (흑색종) 형태 존재

2. 용어

다형성은 여러 학문 분야에서 나타나며, 동일한 개념에 대해 다른 용어가 사용되거나, 다른 개념에 동일한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E.B. 포드는 생태 유전학에서, 존 메이너드 스미스는 고전 유전학에서 다형성(polymorphism) 용어를 정립했다.[7] 줄리안 헉슬리는 더 짧은 용어인 형태(morphism)를 선호했다.[8]

다양한 유기체의 다형적 형태에 대해 여러 동의어가 존재한다. 가장 일반적인 용어는 형태(morph)와 형태형(morpha)이며, 더 공식적인 용어는 형태형(morphotype)이다. 형태(form)와 단계(phase)도 사용되지만, 동물학에서 "형태"는 동물 개체군의 형태, "단계"는 환경 조건에 따른 유기체의 변화를 의미하여 혼동될 수 있다.

동물학 분류학의 명명법에서는 "morpha"라는 단어와 형태를 나타내는 라틴어 이름을 이명법 또는 삼명법 이름에 추가할 수 있지만, ICZN에서 공식적인 지위는 없다. 식물학 분류학에서는 형태형의 개념이 "변종", "아변종" 및 "형태"라는 용어로 표현되며, ICN에 의해 공식적으로 규제된다.

3. 메커니즘

다형성은 세 가지 메커니즘으로 발생할 수 있다.[9]


  • 유전적 다형성 – 각 개체의 표현형이 유전적으로 결정되는 경우. 청색꼬리잠자리(Ischnura elegans)가 이에 대한 예시이다.
  • 조건적 발달 전략 – 각 개체의 표현형이 환경적 단서에 의해 설정되는 경우
  • 혼합 발달 전략 – 표현형이 발달 과정에서 무작위로 할당되는 경우

4. 상대적 빈도

Endler의 자연 선택에 대한 조사는 자연 선택을 보여주는 연구에서 다형성의 상대적 중요성을 시사했다.[10]

연구 대상
자연 선택을 입증하는 종141
양적 형질을 보이는 종56
다형성 형질을 보이는 종62
양적 형질과 다형성 형질을 모두 보이는 종23



이는 다형성이 자연 선택 연구에서 연속 변이만큼 흔하게 발견되며, 따라서 진화 과정의 일부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5. 유전학

일반적으로 보통과 다른 유전자의 빈도가 전체의 1% 이상인 경우를 다형성이라 하며, 그보다 적은 경우는 돌연변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같은 종의 효소에 다른 것이 있다면 "효소 다형성"이라고 부른다.

분자생물학 및 유전학에서는 DNA 염기서열상의 다형성, 즉 유전적 다형성을 가리킨다. 인간 게놈의 대략적인 디자인이 밝혀짐에 따라, 인간의 다형성과 질병 등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 의학상의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5. 1. 유전적 다형성

모든 다형성은 유전적 기초를 가지므로, ''유전자 다형성''은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유전자 다형성은 동일 개체군에서 특정 유전자좌에 두 개 이상의 대립유전자가 존재하며, 각 대립유전자가 상당한 빈도로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때 최소 빈도는 일반적으로 1%로 간주된다.[11][12]

유전자 다형성의 정의는 다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 동소성: 하나의 상호 교배 집단.
  • 분리된 형태.
  • 돌연변이만으로는 유지되지 않음.


다형성이라는 용어는 원래 종 내의 정상적인 개체를 서로 구별하는 모양과 형태의 변이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현재 유전학자들은 유전자 다형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각 인간 게놈을 고유하게 만드는, 기능적으로 침묵하는 DNA 서열의 차이를 설명한다.[13]

유전자 다형성은 한 형태가 점진적으로 다른 형태로 대체되는 ''일시적 다형성''과는 대조적으로, 자연 선택에 의해 개체군에서 적극적이고 꾸준히 유지된다.[14] 유전자 다형성은 형태 사이의 균형 또는 평형과 관련이 있으며, 이를 보존하는 메커니즘은 균형 선택의 유형이다.

일반적으로 보통과 다른 유전자의 빈도가 전체의 1% 이상인 경우를 유전적 다형성이라 하며, 그보다 적은 경우는 돌연변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같은 종의 효소에 다른 것이 있다면 "효소 다형성"이라고 부른다.

분자생물학 및 유전학에서는 DNA 염기서열상의 다형성, 즉 '''유전적 다형성'''을 가리킨다. 인간 게놈의 대략적인 디자인이 밝혀짐에 따라, 인간의 다형성과 질병 등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 의학상의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유전적 다형성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종류설명
VNTR (Variable Number Tandem Repeat)염기~수십 염기로 구성된 배열이 반복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게놈 내에 수백~수천 군데 존재한다. 이 반복 횟수가 개체에 따라 다르다(즉, 다형성이 나타난다). 게놈 내에서 목표 유전자의 위치를 밝히기 위한 마커로서 연쇄 분석 등에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더 많이 분포하는 STR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STRP (Short Tandem Repeat Polymorphism, 마이크로새틀라이트라고도 함)2~7개의 염기로 구성된 배열이 2~수십 회 반복되는 것으로, 이 횟수에 다형성이 나타난다. VNTR에 비해 많이 존재하며, 돌연변이에 의해 변화하는 비율이 높다. 또한 특정 유전자 또는 인접 부위에서 반복 횟수의 이상이 질병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예도 알려져 있다. 현재 연쇄 분석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단일 염기 다형성('SNPs또는 SNPs''')단일 염기의 치환(점 돌연변이)에 의해 생기는 다형성이다. 돌연변이율은 STRP보다 낮지만, 게놈 중에 고빈도로 분포하고 다형성이 없어지는 경우가 적기 때문에, 연쇄 분석이나 연관 분석에 사용된다. 또한 아미노산 서열이나 전사 조절 영역의 염기 서열 변화에 의해 유전자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높으므로, 질환 관련 유전자 연구에서 특히 주목받고 있다.


5. 2. 균형 선택의 메커니즘

균형 선택은 자연 선택에 의해 개체군에서 다형성이 적극적이고 꾸준히 유지되도록 하는 메커니즘이다. 균형 선택의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14]

  • 잡종 강세 (또는 이형접합자 우위): 한 좌위에서 이형접합자가 어느 동형접합자보다 더 적합한 경우를 의미한다.[6][7][15]
  • 빈도 의존적 선택: 특정 표현형의 적합성이 주어진 개체군 내에서 다른 표현형에 대한 빈도에 따라 달라지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포식자가 더 흔한 변이를 집중하기 때문에 드문 먹이 변이가 실제로 더 적합해지는 먹이 전환이 있다.[6][14]
  • 적합성의 시공간적 변화: 유전형의 적합성은 유충 단계와 성충 단계 사이, 또는 서식지 범위의 일부 지역 간에 크게 다를 수 있다.[15]
  • 다수준 선택: 유전형의 적합성은 개체군 내 다른 유전형의 적합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생존과 번식의 관점에서 무엇을 하는 것이 가장 좋은지는 당시 개체군의 다른 구성원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달려 있는 많은 자연적 상황을 포괄한다.[7]

5. 3. 다면발현 (Pleiotropism)

대부분의 유전자는 유기체의 표현형에 대해 하나 이상의 영향을 미치는데, 이를 다면발현이라고 한다. 이러한 영향 중 일부는 눈에 띄지만, 다른 일부는 숨겨져 있다. 따라서 다른 영향을 식별하기 위해 유전자의 가장 분명한 영향 너머를 살펴보는 것이 종종 중요하다. 유전자가 중요하지 않은 가시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적합성의 변화가 기록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유전자의 잠재적인 영향이 적합성의 변화를 초래했을 수 있다. 다면발현은 단일 근본적인 원인 인자만으로 하나 이상의 기관계를 침범하는 선천적 결손을 설명하려는 많은 임상 기형학자들에게 지속적인 난제를 제기하고 있다. 많은 다면발현성 장애의 경우, 유전적 이상과 그 발현 사이의 연관성은 명확하지도 않고 이해되지도 않는다.[16]

:"중립적 특성이 이로운 특성과 다면발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자연 선택의 과정 때문에 나타날 수 있다. 선택은 되었지만, 이것이 적응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선택은 되었지만, 해당 특성에 대한 선택은 없었기 때문이다."[17]

5. 4. 상위성 (Epistasis)

상위성은 한 유전자의 발현이 다른 유전자에 의해 수정될 때 발생한다. 예를 들어, 유전자 A는 (다른 유전자좌의) 대립유전자 B1이 존재할 때만 효과를 나타내고, 존재하지 않으면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이것은 두 개 이상의 유전자가 결합하여 둘 이상의 특성에서 조율된 변화를 생성하는 방식 중 하나이다(예: 모방). 슈퍼진과 달리, 상위성 유전자는 밀접하게 연관될 필요가 없으며 같은 염색체에 있을 필요도 없다.

다면발현과 상위성은 유전자가 한때 생각했던 것처럼 간단한 방식으로 특성과 관련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5. 5. 슈퍼유전자 (Supergene)

슈퍼유전자는 단일 염색체 상에 여러 개의 밀접하게 연관된 유전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함께 유전되어 복잡한 다형성을 조절한다. 베이츠 의태를 보이는 나비와 이형예를 보이는 속씨식물이 그 예시이다. 이러한 슈퍼유전자가 어떻게 발생했는지에 대한 논쟁은 오랫동안 계속되었으며,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18][19]

유전자 계열은 유사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개의 밀접하게 연관된 유전자로, 단일 원래 유전자의 복제에 의해 발생한다. 그러나 슈퍼유전자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슈퍼유전자를 구성하는 유전자들은 서로 뚜렷한 기능을 가지므로, 선택에 의해 함께 묶여야 한다. 이 과정에는 교차 제거의 억제, 염색체 조각의 전위, 때로는 시스트론 복제가 포함될 수 있다. 교차 제거가 선택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다.[18][19]

슈퍼유전자 구성 유전자가 처음에는 별도의 염색체에서 시작하여 이후에 재배열되었는지, 아니면 동일한 염색체에서 시작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핵심이다. 원래는 염색체 재배열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여겨졌다.[20] E. B. 포드(E. B. Ford)는 이러한 설명을 받아들여 자신의 생태 유전학 설명에 포함시켰다.[6][15]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유전자가 동일한 염색체에서 시작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믿는다.[21] 이들은 슈퍼유전자가 "제자리에서" 발생했다고 주장하며, 이를 터너의 체 가설(Turner's sieve hypothesis)이라고 부른다.[22] 존 메이너드 스미스(John Maynard Smith)는 자신의 교과서에서 이 견해에 동의했지만,[7] 이 문제는 아직 결정적으로 해결되지 않았다.

6. 생태학

다형성은 종이 환경에 적응하는 방식과 깊이 관련되어 있으며, 색깔 변화, 먹이 획득, 포식 회피, 성적 괴롭힘 회피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다형성은 주어진 기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이며,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수식 유전자(modifier gene)의 선택은 다형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으며, 종 분화율을 높이는 것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선택은 자연적이든 인위적이든 개체군 내에서 형태의 빈도를 변화시키는데, 이는 형태가 서로 다른 성공률로 번식할 때 발생한다. 유전적 (또는 균형 잡힌) 다형성은 보통 여러 세대에 걸쳐 지속되며, 두 개 이상의 반대되고 강력한 선택 압력에 의해 유지된다.[5] 중석기 시대 홀로세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선 화석 껍질에서 ''Cepaea nemoralis''의 띠 모양 형태가 발견되기도 한다.[23][24] 사람 외의 유인원은 인간과 유사한 혈액형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이러한 종류의 다형성이 적어도 유인원과 인간의 마지막 공통 조상만큼이나 오래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형태의 상대적 비율은 변동될 수 있으며, 실제 값은 특정 시점과 장소에서 형태의 유효 적합성에 의해 결정된다. 이형 접합자 우위 메커니즘은 관련된 유전자 좌위 또는 좌위에서 일부 대체 대립 유전자를 개체군에 보장한다. 경쟁 선택이 사라질 경우에만 대립 유전자가 사라진다. 그러나 이형 접합자 우위가 다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아니다. 포식자가 드문 형태를 간과하면서 흔한 형태를 소비하는 이형 선택이 가능하며 발생하는데, 이는 멸종으로부터 드문 형태를 보존하는 경향이 있다.

진사회성 동물인 개미의 계급제는 표현형 다형성의 전형적인 예이며, 매우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이는 생물 다양성, 유전적 변이, 적응과 관련되어 유지된다. 곤충, 포유류 및 조류에서 나타나는 성적 이형성, 나비의 무늬(의태 참조), 나방의 날개 모양, 달팽이의 껍질 모양, 사람의 혈액형 등도 다형성의 전형적인 예이며, 개체군 밀도의 변화에 따라 생기는 상변이 등도 다형성이다. 다형성은 진화적 과정의 결과로 생기며 유전되고, 선택에 의해 수정된다. 같은 유전자형이 다른 표현형의 다형성을 만들어내는 경우, 그 성질을 표현형 가소성이라고 한다.

6. 1. 틈새 다양성과 다형성

다형성은 종이 환경에 적응하는 방식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여기에는 색깔 변화, 먹이 획득, 포식 회피, 성적 괴롭힘 회피 등 다양한 방식이 포함될 수 있다. 다형성은 주어진 기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이며,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수식 유전자(modifier gene)의 선택은 다형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으며, 다형성은 종 분화율을 높이는 것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26]

G. 이블린 허친슨(G. Evelyn Hutchinson)은 틈새 연구의 선구자로서, "생태학적 관점에서 볼 때, 모든 흔한 종은 하나 이상의 틈새에 적응된 개체군으로 구성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언급했다. 그는 성적 이형성과 의태를 그 예로 들었다.[26] 예를 들어, 수컷의 수명이 짧고 암컷보다 크기가 작은 경우, 수컷은 암컷의 성장 후기 및 성체 시기에 암컷과 먹이 경쟁을 하지 않는다. 이러한 크기 차이는 암수 모두 서로 다른 틈새를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아프리카 나비 ''Papilio dardanus''와 같은 정교한 의태의 경우, 암컷 형태는 베이츠 의태(Batesian mimicry)라 불리는 불쾌한 모델 종을 모방하며,[27] 이는 종종 같은 지역에서 나타난다. 각 모방 형태의 적합도는 그 수가 많아질수록 감소하는데, 이는 다형성이 빈도 의존적 선택(frequency-dependent selection)에 의해 유지됨을 의미한다. 즉, 모방의 효율성은 전체 개체군 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한쪽 성별 내에서만 나타날 수 있다.[6]

'''암컷 한정 다형성과 성폭력 회피'''

''Papilio dardanus''에서 암컷에게만 나타나는 다형성은 성적 갈등의 결과로 설명될 수 있다. Cook et al.(1994)은 탄자니아 펨바 섬의 ''P. dardanus'' 개체군에서 일부 암컷들이 수컷과 유사한 외형을 갖는 것이 짝을 찾으려는 수컷의 인식을 피하는 기능을 한다고 주장했다.[28] 연구자들은 수컷의 짝 선호도가 빈도 의존적 선택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는 희귀한 형태의 암컷이 흔한 형태의 암컷보다 짝짓기 시도로부터 덜 고통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암컷이 수컷의 성희롱을 피하려는 이유는 수컷의 짝짓기 시도가 번식력과 수명 등 여러 측면에서 암컷의 적합성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29][30]

6. 2. 스위치 (Switch)

개체가 여러 형태 중 어떤 형태를 나타낼지 결정하는 메커니즘을 '스위치'라고 부른다. 이 스위치는 유전적일 수도 있고, 환경적일 수도 있다. 성 결정(sex determination)을 예로 들면, 인간의 경우 XY 성 결정 시스템에 의해 유전적으로 결정된다. 벌목(Hymenoptera) (개미, 꿀벌, 말벌)에서는 성 결정이 반수배수성(haplo-diploidy)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암컷은 모두 이배체이고, 수컷은 단상체이다. 그러나 일부 동물에서는 환경적 요인이 성을 결정한다. 앨리게이터가 대표적인 예이다. 개미의 경우, 일개미와 경비병의 구분은 유충에게 먹이를 주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환경적 요인에 의해 일어나는 다형성을 다상현상이라고 한다.

다상현상 시스템은 유전적 다형성에는 없는 어느 정도의 환경적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적 요인은 두 가지 방법 중 덜 흔한 방법이다.

7. 연구 방법

다형성 연구에는 현장 조사와 실험실 연구가 모두 필요하다.

현장 조사에서는 다음을 수행한다.


  • 발생, 습성 및 포식에 대한 상세한 조사
  • 경계가 명확하게 정의된 생태학적 지역 선택
  • 포획, 표지, 방생, 재포획 데이터
  • 형태의 상대적인 개체수 및 분포
  • 개체군 크기 추정


실험실 조사에서는 다음을 수행한다.

  • 교배를 통한 유전 데이터
  • 개체군 사육장
  • 가능하다면 염색체 세포학
  • 형태가 숨겨져 있는 경우 크로마토그래피, 생화학 또는 이와 유사한 기술 사용


적절한 현장 조사가 없으면, 해당 종에 대한 다형성의 중요성은 불확실해지며, 실험실 번식이 없으면 유전적 기초는 불분명해진다. 곤충의 경우에도 연구에 여러 해가 걸릴 수 있으며, 19세기에 언급된 베이츠 의태의 예는 아직도 연구가 진행 중이다.

8. 진화 이론과의 관련성

다형성 연구는 20세기 중반 진화 종합설과 현재의 진화 이론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31][32] 이 연구는 자연 선택이 진화의 주요 원인으로 거의 무시되던 시기에 시작되어, 부동에 대한 소월 라이트의 아이디어가 주목받던 시기를 거쳐, 기무라의 중립 진화 이론과 같은 아이디어가 많은 관심을 받던 20세기 마지막까지 이어졌다.[33]

E. B. 포드(E. B. Ford)와 그의 동료들은 1920년대 중반부터 1970년대까지 생태 유전학 연구를 통해 다형성이 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이와 유사한 연구는 오늘날에도 의태를 중심으로 계속되고 있다. 생태 유전학 연구는 자연 개체군 진화에서 자연 선택의 중요성을 보여주었으며, 홀데인과 로널드 피셔와 같이 자연 선택을 지지했던 학자들이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음을 입증했다.[33]

피셔, 포드, 아서 케인, 필립 셰퍼드, 시릴 클라크의 연구는 단 몇십 년 만에 자연 개체군의 변이에 대한 주요 설명으로 유전적 부동 대신 자연 선택을 제시했다. 이러한 증거는 메이어(Mayr)의 『동물 종과 진화』[34]와 포드(Ford)의 『생태 유전학』[6]에서 찾아볼 수 있다. 스테빈스와 테오도시우스 도브잔스키와 같이 진화적 종합에 참여한 다른 사람들 대부분에서도 비슷한 변화가 나타났다.[3][35][36][37]

기무라분자 진화와 표현형 특성을 구분하여, 분자 진화는 선택적으로 중립적인 돌연변이가 지배하고, 표현형 특성은 부동보다는 자연 선택에 의해 지배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38]

Endler의 자연 선택에 대한 연구는 자연 선택을 보여주는 데 있어 다형성의 상대적 중요성을 시사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10]

연구 대상종의 수
자연 선택을 입증하는 종141
양적 형질을 보이는 종56
다형성 형질을 보이는 종62
양적 형질과 다형성 형질을 모두 보이는 종23



이 결과는 다형성이 자연 선택 연구에서 연속 변이만큼 흔하게 발견되며, 따라서 진화 과정의 일부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9. 예시

개미의 진사회성 계급제는 표현형 다형성의 전형적인 예이다. 이러한 다형성은 매우 일반적으로 나타나며, 생물 다양성, 유전적 변이, 적응과 관련되어 유지된다. 곤충, 포유류 및 조류에서 나타나는 성적 이형성도 다형성의 대표적인 예이다. 나비의 무늬(의태도 참조), 나방의 날개 모양, 달팽이의 껍질 모양, 사람의 혈액형 등도 다형성의 전형적인 예이며, 개체군 밀도의 변화에 따라 생기는 상변이 등도 다형성이다. 다형성은 진화적 과정의 결과로 생기며 유전되고, 선택에 의해 수정된다. 같은 유전자형이 다른 표현형의 다형성을 만들어내는 경우, 그 성질을 표현형 가소성이라고 한다.[1]

참조

[1] 문서
[2] 서적 Genetic polymorphism Faber & Faber 1965
[3] 서적 Genetics of the Evolutionary Proces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0
[4] 서적 Natural Selection and Heredity Hutchinson 1975
[5] 서적 The New Systematics Clarendon Pr. 1940
[6] 서적 Ecological Genetics Chapman & Hall 1975
[7] 서적 Evolutionary Genetics Oxford U. Pr. 1998
[8] 논문 Morphism and Evolution 1955
[9] 논문 The evolution of phenotypic polymorphism: randomized strategies versus evolutionary branching 2005-06
[10] 서적 Natural Selection in the Wild Princeton U. Press 1986
[11] 서적 Genetics of Populations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Learning 2011
[12] 서적 The Genetics of Human Populations https://books.google[...] Courier 1999
[13] 서적 The biology of cancer Garland Science, Taylor & Francis 2013
[14] 서적 Ecology: from individuals to ecosystems Blackwell 2006
[15] 서적 Heterozygous Advantage MIT Pr./Faber & Faber 1965
[16] 서적 Genetics in Medicine Thompson & Thompson 2007
[17] 서적 The nature of selection: evolutionary theory in philosophical focus 1984
[18] 논문 Studies on crossing-over I. The effects of selection on crossover values https://zenodo.org/r[...]
[19] 서적 Chromosome Botany Allen & Unwin 1956
[20] 서적 The Elements of Genetics Allen & Unwin 1949
[21] 논문 Theoretical genetics of Batesian mimicry I. single-locus models
[22] 서적 "Mimicry: The Palatability Spectrum and its Consequences" Academic Pr. 1984
[23] 논문 Fossil records of Mendelian mutants
[24] 서적 "Colour and Banding Morphs in Subfossil Samples of the Snail ''Cepaea''" Blackwell 1971
[25] 논문 Predator induced colour polymorphism in Danaus plexippus L. (Lepidoptera: Nymphalidae) in Hawaii
[26] 서적 The evolutionary theater and the evolutionary play Yale 1965
[27] 논문 The effect of distastefulness of the model on the predation of artificial batesian mimics 1977-08
[28] 논문 Mate choice in the polymorphic African swallowtail butterfly, Papilio dardanus: male-like females may avoid sexual harassment 1994-02
[29] 논문 The role of male harassment on female fitness for the dengue vector mosquito Aedes aegypti 2012-06-01
[30] 논문 Density-Dependent Male Mating Harassment, Female Resistance, and Male Mimicry 2009-06
[31] 서적 The Eclipse of Darwinism: Anti-Darwinian Evolutionary Theories in the Decades Around 1900 Johns Hopkins U. Pr. 1983
[32] 서적 Evolution: the History of an Ide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
[33] 서적 "Genes and Ecology in History" Blackwell 1991
[34] 서적 Animal Species and Evolution Harvard U. Pr. 1963
[35] 서적 Variation and Evolution in Plants Columbia U. Pr. 1950
[36] 서적 Processes of Organic Evolution 1966
[37] 서적 Genetics and the Origin of Species Columbia U. Pr. 1951
[38] 서적 The neutral theory of molecular evolution 1983
[39] 문서 Greek 용어 설명
[40] 저널 The evolution of phenotypic polymorphism: randomized strategies versus evolutionary branching 20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