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메이너드 스미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메이너드 스미스는 영국의 생물학자이자 이론 생물학자로, 1920년 런던에서 태어나 2004년 사망했다. 그는 진화 게임 이론, 성의 진화, 신호 이론 등 다양한 분야를 개척했으며, 특히 조지 R. 프라이스와 함께 진화적으로 안정한 전략(ESS) 개념을 개발하여 진화 생물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공학을 전공하고, 런던 대학교에서 J. B. S. 홀데인의 지도 아래 초파리 유전학을 연구했으며, 서섹스 대학교의 창립 멤버로 생물과학부 학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진화와 게임 이론》, 《진화의 주요 전환》 등이 있으며, 1977년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다윈 메달, 린네 메달, 크라포드 상, 교토 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린네 메달 수상자 - 휘호 더프리스
휘호 더프리스는 네덜란드의 식물학자이자 유전학자로, 식물 생리학 연구와 멘델의 유전 법칙 재발견, 그리고 돌연변이설을 통해 유전학 발전에 기여했다. - 린네 메달 수상자 - 아서 크론퀴스트
미국의 식물학자이자 분류학자인 아서 크론퀴스트는 속씨식물 분류에 대한 통합적인 체계인 '크론퀴스트 체계'를 제시하여 식물 분류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잉글랜드의 유전학자 - 로널드 피셔
로널드 피셔는 통계학의 기초를 다지고 집단유전학 발전에 기여한 영국의 통계학자, 유전학자, 진화생물학자이지만, 우생학적 관점과 흡연 옹호 등의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잉글랜드의 유전학자 - 폴 너스
폴 너스는 세포 주기 연구를 통해 2001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영국의 생물학자이자 유전학자이다. - 이론생물학자 - 바버라 매클린톡
바버라 매클린톡은 옥수수 연구를 통해 트랜스포존의 존재를 최초로 밝혀내 198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세포유전학자로, 염색체 구조 및 기능 연구, 유전자 조절 메커니즘 연구 등을 통해 유전학 분야에 혁신적인 기여를 했다. - 이론생물학자 - 르네 톰
프랑스 수학자 르네 톰은 코보디즘 이론으로 다양체 분류에 기여하여 필즈상을 수상하고, 특이점 이론의 일부인 카타스트로프 이론을 창시했으며, 이후 생물학, 철학, 인식론 등으로 연구 분야를 넓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연구하고 "반이오물리학"을 주창했다.
존 메이너드 스미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존 메이너드 스미스 |
출생일 | 1920년 1월 6일 |
출생지 | 영국, 런던 |
사망일 | 2004년 4월 19일 |
사망지 | 잉글랜드, 이스트서식스 주, 루이스 |
국적 | 영국 |
분야 | 진화생물학 및 유전학 |
근무 기관 |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서식스 대학교 |
학력 | 케임브리지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
지도 교수 | J. B. S. 홀데인 |
지도 학생 | 숀 니, 앤드루 포미안코프스키 |
알려진 업적 | 게임 이론 진화적으로 안정한 전략 신호 이론 유성 생식의 진화 |
수상 | 멘델 메달 (1985년) 프링크 메달 (1990년) 발잔 상 (1991년) 슈얼 라이트 상 (1995년) 린네 메달 (1995년) 로열 메달 (1997년) 웰던 기념상 (1998년) 코플리 메달 (1999년) 크라포르드 상 (1999년) 교토상 기초과학부문 (2001년) 린네 협회의 다윈-월리스 메달 (사후, 2008년) |
왕립 학회 회원 | 1977년 |
2. 생애
영국 런던 출생으로, 이튼 칼리지를 거쳐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공학을 전공했다.[20][3]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항공기 설계 기술자로 일했으나[20], 전쟁 후 생물학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에서 J. B. S. 홀데인에게 유전학을 배웠다.[3][20] 젊은 시절 영국 공산당원이었으나 1956년 헝가리 혁명을 계기로 탈당했으며[5], 루이센코 사건 등을 겪으며 마르크스주의와도 결별했다.[6] 스승 홀데인에 대해서는 평생 존경심을 표했다.
UCL 강사를 거쳐 1965년 서식스 대학교 생물과학부 창립에 참여하고 초대 학부장을 맡았다. 그는 주로 이론 생물학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동물학, 식물학, 유전학, 생화학 등 분과 학문의 통합적 교육을 모색했다. 1977년 왕립 학회 펠로우로 선출되었고[21], 1985년 은퇴 후 명예 교수로 활동했다. SF 소설 읽기를 즐겼으며, 2004년 4월 19일 자택에서 폐암으로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920-1941)
존 메이너드 스미스는 런던에서 외과 의사 시드니 메이너드 스미스의 아들로 태어났다. 1928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가족과 함께 엑스무어로 이사했고, 그곳에서 자연사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이튼 칼리지에 진학했으나 형식적인 과학 교육에는 큰 불만을 느꼈다. 대신 이튼 칼리지 출신인 J. B. S. 홀데인의 저서를 읽으며 스스로 다윈의 진화론과 수학에 깊은 흥미를 갖게 되었다. 홀데인의 책은 그의 공산주의 성향 때문에 학교 내에서 평판이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도서관에 비치되어 있었다. 메이너드 스미스는 14세에 무신론자가 되었다.[2]
이튼 칼리지를 졸업한 후 영국 공산당에 입당했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공학을 공부하기 시작했다.[3]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그는 당의 방침과 달리 자원 입대를 시도했다. 그러나 좋지 않은 시력 때문에 거절당했고, 대신 공학 학사 학위를 마치라는 권고를 받았다.
1941년에 공학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훗날 자신의 약한 시력에 대해 "상황을 고려할 때, 나의 좋지 않은 시력은 선택적 이점이었다. 총에 맞지 않게 해주었으니까"라고 회고하기도 했다. 같은 해 쉴라 매튜와 결혼했고, 나중에 두 아들과 딸 한 명(토니, 캐롤, 줄리안)을 두었다.
2. 2. 항공 공학 기술자 (1942-1947)
1941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공학부를 졸업한 후, 항공기 설계 사무소에 설계 기술자로 취직했다.[20] 이 시기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이었으나, 시력이 약해 징병을 면제받았다. 그는 약 6년간 항공 기술자로 일했으며(대략 1941/42년~1947년), 특히 군용 항공기 설계와 리버스 엔지니어링 기법에 대한 경험을 쌓았다. 이러한 공학적 경험은 훗날 그의 생물학 연구에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20] 설계 기술자로서의 직업에 만족감을 느꼈지만, 전쟁이 끝난 후 평생 이 일을 하고 싶지는 않다고 생각하여 연구자의 길을 걷기로 결심했다.[20]2. 3. 생물학으로 전향 (1947-1965)
항공기 설계 기술자로 일하던 메이너드 스미스는 비행기가 "시끄럽고 구식"이라고 판단한 후,[4] 직업을 바꿔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에 입학하여 J. B. S. 홀데인의 지도 아래 초파리 유전학을 공부하기로 결심했다.[3] 1951년 UCL 동물학부에 학부생으로 입학했으며, 당시 대학 동료 대부분은 그와 비슷한 연배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들이었다. 스승 홀데인처럼 그 역시 영국 공산당의 당원이었다.졸업 후 1952년부터 1965년까지 모교인 UCL에서 동물학 강사로 재직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초파리'' 연구소를 이끌며 개체군 유전학 분야의 연구를 수행했다. UCL 강사 시절, 훗날 부인이 되는 셰일라 로렌스를 만났다.
정치적으로 그는 점차 공산주의에 대한 매력을 잃고 당 활동이 뜸해졌다. 1956년, 소련이 헝가리 혁명을 잔혹하게 진압한 사건을 계기로 많은 다른 지식인들과 마찬가지로 영국 공산당을 탈당했다.[5] 이는 비슷한 이유로 1950년에 먼저 당을 떠났던 스승 홀데인의 길을 따른 것이었다. 또한 그는 마르크스주의에 기반한 진화 생물학 연구 프로그램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판단하여 마르크스주의와도 결별했다.[6]
1958년에는 대중적인 펭귄 북스 시리즈의 일환으로 ''진화론'' (''The Theory of Evolution'')을 출판하여 진화 생물학을 대중에게 소개하는 데 기여했다. 이 책은 이후 1966년, 1975년, 1993년에 개정판이 출간될 정도로 꾸준한 관심을 받았다.
1962년에는 노벨상 수상자인 피터 메다워의 주선으로 브라이턴에 위치한 신생 대학인 서식스 대학교에서도 강의를 시작하며 활동 범위를 넓혔다.
2. 4. 서식스 대학교 (1965-2004)
1962년 피터 메다워의 주선으로 브라이턴의 서식스 대학교에서 가르치기 시작했으며, 같은 해 서식스 대학교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 되었다. 1965년부터 1985년까지 신설된 생물과학부의 초대 학부장을 맡았다. 학부장이 된 후에도 주로 이론 생물학 연구를 수행했으며, 동물학, 식물학, 유전학, 생화학 등이 분리되어 교류하지 않는 것에 불만을 느껴 통일적인 생물학 교육 방법을 모색했다.메이너드 스미스는 젊은 인재를 알아보는 것을 자신의 재능 중 하나로 여겼다. 1970년대에는 조지 프라이스의 아이디어를 학문적으로 지원했으며, 키무라 모토가 저서 출판에 어려움을 겪을 때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에 출판을 주선했다. 그러나 1960년대 초, 빌 해밀턴의 재능을 초기에 알아보지 못한 것을 평생의 큰 실패로 여겼다.
1962년 윈-에드워즈가 집단 선택에 관한 책을 출판하자, 메이너드 스미스는 해밀턴의 아이디어를 '친족 선택'이라고 명명하며 구분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윈-에드워즈의 주장을 수학적으로 검토한 결과, 집단 간 선택이 작용하려면 집단 내 유전적 균일성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후 데이비드 럭, 니코 틴버겐, 아서 케인과 함께 윈-에드워즈의 이론이 흥미롭지만 근본적으로 틀렸다는 데 동의했으며, 해밀턴의 아이디어가 중요함을 강조했다. 이 내용을 담아 '집단 선택과 친족 선택'이라는 제목의 편지를 네이처에 기고했다.
그는 적응주의적 접근법의 주요 옹호자 중 한 명이었으며, 스티븐 제이 굴드 등 적응주의 반대론자들에 대한 강력한 비판자였다. 그는 "인생의 많은 시간을 생물의 복잡하게 설계된 기능과 행동의 해명에 썼다"고 말했다.[20]
1977년 왕립 학회 펠로우로 선출되었다.[21] 1985년 학장에서 은퇴하여 명예 교수가 되었으나, 은퇴 후에도 거의 매일 대학에 나와 연구에 대해 논의했다. 그가 사망하기 전, 서식스 대학교의 생명 과학 관련 시설은 그의 공적을 기려 존 메이너드 스미스 빌딩으로 명명되었다.
2004년 4월 19일, 폐암으로 서식스 자택에서 책에 둘러싸인 채 의자에 앉아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http://www.sussex.ac.uk/newsandevents/pressrelease/media/media399.html 그의 사망을 알리는 보도 자료]
- [http://www.sussex.ac.uk/press_office/bulletin/23apr04/article2.shtml 동료들의 추모]
- [http://www.lifesci.sussex.ac.uk/CSE/members/jms/JMSpublications.pdf 출판물 목록]
3. 주요 연구 업적
존 메이너드 스미스는 당시 최첨단 분석 도구였던 게임 이론을 진화 생물학에 선구적으로 도입하여 생물의 진화와 행동에 나타나는 전략적 측면을 분석하는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이를 통해 진화 생물학 및 동물 행동학 연구의 범위를 크게 확장했으며, 기존에 해결하기 어려웠던 여러 생물학적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 참신한 수리 모델을 개발하는 데 기여했다. 그의 이러한 접근 방식은 진화 생물학을 비롯한 다양한 생물학 분야 발전의 토대가 되었다.
수학 분야에서도 중요한 공헌을 했는데, 특히 조지 프라이스와 함께 게임 이론의 새로운 균형 개념인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ESS)을 고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화 게임 이론을 정립한 것이 대표적이다. ESS 개념은 생물학뿐만 아니라 경제학과 심리학의 학습 이론 등 여러 학문 분야에 도입되어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현상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분석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혁신적인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 그는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유럽 진화 생물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학회는 그의 공헌을 기리기 위해 1997년 존 메이너드 스미스상을 제정했다. 또한 오랫동안 노벨 경제학상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3. 1. 진화 게임 이론
1973년 존 메이너드 스미스는 조지 R. 프라이스와의 논의를 바탕으로 진화 게임 이론의 핵심 개념인 진화적으로 안정한 전략(ESS)을 정립했다.[7] 이 연구는 1982년 그의 저서 ''진화와 게임 이론'' 출간으로 이어졌으며, 특히 매파-비둘기 게임은 그의 가장 영향력 있는 게임 이론 모델 중 하나로 꼽힌다.스미스는 게임 이론이라는 당시로서는 새로운 분석 도구를 진화 생물학에 선도적으로 도입하여, 생물의 진화와 행동에서 나타나는 전략적 측면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이를 통해 진화 생물학과 동물 행동학의 분석 범위를 크게 넓혔으며, 기존에 해결하기 어려웠던 생물학적 문제들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 새로운 수리 모델을 고안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의 이러한 공헌은 진화 생물학을 비롯한 여러 생물학 분야 발전의 기초가 되었다.
수학적인 측면에서도 조지 프라이스와 함께 게임 이론의 새로운 균형 개념인 ESS를 개발하여 진화 게임 이론을 확립한 것은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ESS 개념은 이후 경제학과 심리학의 학습 이론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도입되어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경제학에서는 여러 현상을 설명하는 데 성공적으로 적용되어 해당 분야 연구에 기여했다.
3. 2. 성의 진화
존 메이너드 스미스는 성행위의 두 배 비용 개념을 수학적으로 탐구한 책 『성의 진화』를 출판했다.[3]3. 3. 진화의 주요 전환
1980년대 후반부터 존 메이너드 스미스는 개체성의 진화적 전환 문제에 주목하여 진화 생물학자 외르스 사트머리와 공동 연구를 진행했다.[3] 두 사람은 1995년에 중요한 저서인 『진화의 주요 전환』을 함께 펴냈다. 이 책은 진화 생물학 분야에서 획기적인 업적으로 평가받으며, 현재까지도 관련 연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8][9] 1999년에는 이 책의 내용을 보다 쉽게 풀어쓴 대중 과학 서적인 『생명의 기원: 생명의 탄생에서 언어의 기원까지』가 출판되었다.3. 4. 신호 이론
존 메이너드 스미스의 마지막 저서는 신호 이론에 관한 책인 《동물 신호》(Animal Signals)이다. 이 책은 데이비드 하퍼와 공동으로 집필하여 2003년에 출판되었다.[3]4. 논란과 비판
(내용 없음)
4. 1. 윌리엄 도널드 해밀턴과의 관계
또 다른 진화 생물학자인 윌리엄 도널드 해밀턴은 1963년 자신이 ''The 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에 제출한 논문을 메이너드 스미스가 처리한 방식에 대해 불만을 가졌다. 이 논문은 결국 1964년 7월에 두 편으로 나뉘어 출판되었다.[10][11] 메이너드 스미스는 다른 두 심사자가 논문을 이해하지 못하자 직접 심사에 참여했으며, 논문이 "매우 난해하다"고 판단하여 해밀턴에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수정할 것을 요청했다.[11][12]1964년 3월, 메이너드 스미스는 해밀턴의 논문에 담긴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집단 선택과 친족 선택"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Nature''에 발표했다.[13] 메이너드 스미스는 ''American Naturalist''에 실린 해밀턴의 이전 논문을 인용했지만, 해밀턴은 메이너드 스미스가 자신의 공로를 충분히 인정해주지 않았다고 생각했다.[10][11]
또한 해밀턴은 1976년 ''New Scientist''에 실린 서평에서 메이너드 스미스가 언급한 일화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 해당 일화는 메이너드 스미스의 멘토였던 홀데인이 1950년대에 이미 해밀턴의 포괄 적합도 개념을 이해하고 있었다는 내용이었다.[11][12] 해밀턴은 그 일화가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서평에 반박했지만, 나중에 메이너드 스미스에게 일화를 의심했던 것에 대해 사과했다.[10][11]
5. 수상 및 영예
- 왕립 학회 회원 (1977)
-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1977)
- 미국 철학회 회원 (1980)
-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 (1982)
- 1985년 멘델 메달
- 1986년 다윈 메달
- 1990년 프링크 메달
- 1991년 발잔 상
- 1995년 린네 메달
- 1995년 슈얼 라이트 상
- 1997년 왕립 메달
- 1998년 웰던 기념상
- 1999년 크라포드 상
- 1999년 코플리 메달
- 2001년 교토상 - "진화적으로 안정적인 전략의 개념 제시를 통한 진화 생물학에의 공헌"에 대해[22]
- 2008년 다윈-월리스 메달 - 사후 수여. 이 상은 과거 런던 린네 학회에서 50년마다 수여되었으며, 메이너드 스미스는 13명의 공동 수상자 중 한 명이었고, 사후에 수여된 두 명의 수상자 중 한 명이었다. 2010년부터 이 메달은 매년 수여되고 있다.
6. 유산 및 영향
존 메이너드 스미스는 게임 이론을 진화 생물학에 선구적으로 도입하여, 생물의 진화와 행동을 전략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이를 통해 그는 진화 생물학 및 동물 행동학의 분석 범위를 크게 확장했으며, 생물학적 난제들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 다수의 새로운 수리 모델을 개발하는 데 기여했다.[20] 그의 연구는 현대 진화 생물학을 비롯한 여러 생물학 분야 발전의 중요한 기초를 마련했다.
특히 조지 프라이스와 함께 고안한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Evolutionarily Stable Strategy, '''ESS''') 개념은 진화 게임 이론을 정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ESS는 어떤 전략이 집단 내에서 다수를 차지했을 때, 소수의 다른 전략이 침입하여 퍼져나갈 수 없는 안정된 상태를 설명하는 개념이다. 이 개념은 생물학을 넘어 경제학, 심리학의 학습 이론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도입되어 큰 영향을 미쳤으며, ESS 개념을 활용한 연구로 노벨 경제학상 후보에 오르는 경제학자들도 다수 배출되었다. 메이너드 스미스 자신도 생전에 노벨 경제학상 후보로 꾸준히 거론되었다.
그의 학문적 기여는 학계에서 널리 인정받았다.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유럽 진화 생물학회(European Society for Evolutionary Biology, '''ESEB''') 회장을 역임했으며, ESEB는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97년 '존 메이너드 스미스 상'을 제정하여 뛰어난 젊은 진화생물학자들에게 수여하고 있다. 또한 그는 적응주의적 접근법의 주요 옹호자로서, 스티븐 제이 굴드 등 비판자들과의 논쟁을 통해 진화 이론의 심화에 기여하기도 했다.[20]
메이너드 스미스는 젊은 연구자들의 잠재력을 알아보는 데에도 능력을 발휘하여, 조지 프라이스의 아이디어를 학문적으로 체계화하고 키무라 모토의 저서 출판을 지원하는 등 후학 양성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그의 저서와 연구는 오늘날까지도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진화 생물학 연구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존 메이너드 스미스의 방대한 연구 기록들은 대영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으며(Add MS 86569-86840), 도서관 카탈로그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7. 저서
- ''진화 이론'' (The Theory of Evolution). 1958.
- ''생물학의 수학적 아이디어'' (Mathematical Ideas in Biology). 1968.[18]
- ''진화에 관하여'' (On Evolution). 1972.
- ''생태학의 모델'' (Models in Ecology). 1974.
- ''성의 진화'' (The Evolution of Sex). 1978.
- ''지금의 진화'' (Evolution Now). 1981. (편집)
- ''진화와 게임 이론'' (Evolution and the Theory of Games). 1982.
- ''생물학의 문제점'' (The Problems of Biology). 1986.
- ''다윈의 말이 맞았는가?: 게임, 성, 그리고 진화에 관한 에세이'' (Did Darwin Get it Right?: Essays on Games, Sex and Evolution). 1988.
- ''진화 유전학'' (Evolutionary Genetics). 1989.
- ''진화의 주요 전환점'' (The Major Transitions in Evolution). 1997. (외르스 사트마리와 공저)
- ''생명의 기원: 생명의 탄생부터 언어의 기원까지'' (The Origins of Life: From the Birth of Life to the Origin of Language). 1999. (외르스 사트마리와 공저)
- ''동물 신호'' (Animal Signals). 2003. (데이비드 하퍼와 공저)[19]
참조
[1]
논문
John Maynard Smith. 6 January 1920 - 19 April 2004: Elected F.R.S. 1977
[2]
웹사이트
John Maynard Smith
https://humanism.org[...]
British Humanist Association
2017-03-24
[3]
논문
John Maynard Smith
https://doi.org/10.1[...]
2023-02-27
[4]
논문
John Maynard Smith
2004-11-01
[5]
논문
Anecdotal, historical and critical commentaries on genetics. John Maynard Smith: January 6, 1920–April 19, 2004
[6]
서적
Defenders of the Truth
[7]
논문
John Maynard Smith (1920–2004)
http://www.ias.ac.in[...]
2015-09-01
[8]
서적
Dawkins vs. Gould: Survival of the Fittest
Icon Books
[9]
서적
Evolution: The First Four Billion Year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Nature's oracle : the life and work of W.D. Hamilton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1]
학위논문
John Maynard Smith and the Fact(s) of Evolution. A Study of Scientific Working Life in Post War Britain.
https://etheses.whit[...]
University of Leeds
2023-04-07
[12]
Youtube
John Maynard Smith - Bill Hamilton (36/102)
https://www.youtube.[...]
2023-04-07
[13]
논문
Group Selection and Kin Selection
https://www.nature.c[...]
2023-04-07
[14]
문서
John Maynard Smith Archive
http://searcharchive[...]
[15]
웹사이트
John Maynard-Smith
https://www.amacad.o[...]
2022-06-21
[16]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2-06-21
[17]
웹사이트
John Maynard Smith
http://www.nasonline[...]
2022-06-21
[18]
논문
Review of ''Mathematical Ideas in Biology'' by J. Maynard Smith
1969-05-09
[19]
논문
Review of ''Animal Signals'' by John Maynard Smith and David Harper
2005-03
[20]
뉴스
Genes, Memes, & Minds
http://www.nybooks.c[...]
NYRB
1995-11-30
[21]
기타
Smith; John Maynard (1920 - 2004)
2011-12-11
[22]
기타
第17回(2001年)受賞者 / 基礎科学部門 / 生物科学(進化・行動・生態・環境)
http://www.inamori-f[...]
稲森財団
[23]
문서
"스미스"가 아니고 "메이너드 스미스"가 성이다.
[24]
논문
John Maynard Smith. 6 January 1920 - 19 April 2004: Elected F.R.S. 197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