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단3화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3화음은 세 음이 하나의 공통 배음을 갖는 유일한 화음으로, 근음, 단3도, 완전5도로 구성된다. 순정률에서는 10:12:15의 주파수 비율을 가지며, 12 평균율에서는 근음과 단3도 사이에 3개의 반음으로 구성된다. 코드 표기법에서는 근음에 'm'을 붙여 표기하며, 로마 숫자 분석법에서는 소문자로 표기한다. 단3화음은 장3화음과 함께 서양 음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기본형, 제1전위형, 제2전위형으로 사용된다. 대중음악에서는 6음, 7음 등을 추가하여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휴고 리만은 하위 배음 개념을 통해 단3화음을 정당화하려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음 - 근음
    근음은 화음의 기초가 되는 음으로, 화음의 종류와 전위를 결정하며 화음 이름의 기준이 된다.
  • 화음 - 트리스탄 화음
    트리스탄 화음은 리하르트 바그너의 오페라 《트리스탄과 이졸데》에 처음 등장하는 F–B–D♯–G♯로 구성된 화음으로, 전통적인 조성 화성에서 벗어나 무조성으로 향하는 분기점 역할을 하며, 후대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단3화음
개요
종류화음
구성3개 이상의 음
영어 명칭minor triad
독일어 명칭Moll-Akkord
구성 요소
첫 번째 간격근음
두 번째 간격단3도
세 번째 간격완전5도
조율10:12:15
예시
C단3화음
C단3화음의 예시

2. 음향학적 특징

단3화음은 세 음으로 이루어진 화음 중에서 세 음 모두가 하나의 공통 조화음을 가지는 유일한 화음이라는 독특한 특징을 갖는다. 이 공통 조화음은 화음의 가장 높은 음에서 2옥타브 위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C, E♭, G 화음의 경우, 공통 조화음은 2옥타브 위의 G 음이다.[4]

이는 화음의 근음의 여섯 번째 배음, 중간 음의 다섯 번째 배음, 그리고 가장 높은 음의 네 번째 배음이기 때문이다.


  • 단3도 = 6:5 = 12:10
  • 장3도 = 5:4 = 15:12

따라서 단조 화음의 비율은 10:12:15이며, 10 × 6 = 12 × 5 = 15 × 4 로 확인할 수 있다.

엘리스는 단3화음과 장3화음의 열등함에 대한 수학자와 물리학자 간의 갈등과 실천하는 음악가 간의 갈등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물리학자들은 순정 단3화음과 장3화음을 비교하여 단3화음이 불리하다고 보는 반면, 음악가들은 균등 분할 조율된 3화음을 비교한다. 균등 분할된 장3화음은 순정 장3화음보다 14센트 높지만, 균등 분할된 단3화음은 많은 사람들이 듣기 좋다고 생각하는 협화음 19:16 단3화음에 가깝기 때문에 단3화음이 유리하다는 것이다.

조르게는 배음열에서 직접 얻는 것 대신, 두 개의 장3화음을 결합하여 단3화음을 유도했다. 예를 들어 A단조 3화음(A-C-E)은 F장조(F-A-C)와 C장조(C-E-G) 3화음이 합쳐진 것이다. 순정 조율된 장3화음을 사용하면 8:5에서 순정 조율된 단3화음 10:12:15가 생성된다.

2. 1. 순정률과 평균율

순정률에서 단3화음은 주파수 비율 10:12:15로 조율된다.[4] 이는 배음열에서 단3화음이 처음 나타나는 것이다.[5]

12음 균등 분할 음계(12-TET, 현재 서양에서 가장 흔한 조율 체계)에서 단3화음은 근음과 3음 사이에 3개의 반음이 있다. 12-TET 단3도(300 센트)는 순정 단3도(6:5, 315.6 센트)보다 약 16센트 좁다. 12-TET 단3도는 2센트의 오차로 19-리밋(리밋) 단3도 16:19(297.5 센트, 19번째 배음)에 더 가깝다.[7]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의 평균율에서 단3도는 310센트였고 300센트인 ET 단3도보다 훨씬 거칠었다. 다른 순정 단3화음 조율에는 순정률의 상2도 3화음 (27:32:40)[4], '''거짓 단3화음'''[9], 16:19:24[10], 12:14:18 (6:7:9)[11][12](셉티멀 단3도), 그리고 피타고라스 음률 단3화음[10] (54:64:81)이 있다.

음률 이름근음 : 제3음 : 제5음수치
순정률 10 : 12 : 15 1 : 1.2 : 1.5
피타고라스 음률 1 : \frac{32}{27} : \frac{3}{2} 1 : 1.18518 : 1.5
중간 음률 1 : \frac{4}{5^{\frac{3}{4}}} : 5^{\frac{1}{4}} 1 : 1.196279 : 1.495349
12 평균율 1 : 2^{\frac{3}{12}} : 2^{\frac{7}{12}} 1 : 1.189207 : 1.498307


3. 화음 표기법

코드 네임 표기법에서는 근음에 'm'을 붙여 단3화음을 표기한다. (예: Cm, Dm) 전위형은 베이스 음을 '/' 뒤에 표기한다. (예: Cm/Eb, Dm/F)[1]

고전 음악 화성학에서는 로마 숫자 분석법을 사용하며, 단3화음은 소문자로 표기한다. (예: ii, iii, vi)[1]

피치 클래스 표기법에서는 [037]로 표기한다.[1]

코드 기호근음단3도완전5도
CmCE♭G
C♯mC♯EG♯
D♭mD♭F♭ (E)A♭
DmDFA
D♯mD♯F♯A♯
E♭mE♭G♭B♭
EmEGB
E♯mE♯ (F)G♯B♯ (C)
FmFA♭C
F♯mF♯AC♯
G♭mG♭B
더블 플랫
(A)
D♭
GmGB♭D
G♯mG♯BD♯
A♭mA♭C♭E♭
AmACE
A♯mA♯C♯E♯ (F)
B♭mB♭D♭F
BmBDF♯



단, 근음을 X, 제3음을 Y, 제5음을 Z로 한다.[1]

4. 단3화음 목록

단3화음 목록
코드 기호근음단3도완전5도
CmCE♭G
C♯mC♯EG♯
D♭mD♭E[1]A♭
DmDFA
D♯mD♯F♯A♯
E♭mE♭G♭B♭
EmEGB
FmFA♭C
F♯mF♯AC♯
G♭mG♭A[2]D♭
GmGB♭D
G♯mG♯BD♯
A♭mA♭B[3]E♭
AmACE
A♯mA♯C♯F[4]
B♭mB♭D♭F
BmBDF♯


5. 주요 용법

단3화음은 장3화음과 함께 서양 음악에서 중요한 화음이다. 장조에서는 ii, iii, vi, 단조에서는 i, iv, v 화음으로 나타난다.[1] 주로 기본형으로 사용되며, 이는 대중음악에서 두드러진다.

5. 1. 전위형

제1전위형(제3음이 저음)은 기본형과는 다른 독특한 부유감을 가진 울림으로 인해 클래식 음악에서 애용된다. 이 경우, 베이스 외에 제3음을 포함하면 울림이 두꺼워지므로 피해야 한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대중음악에서 제1전위형(베이스가 제3음)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 점을 그다지 신경 쓰지 않으며, 특별히 신경 쓸 필요도 없다.

제2전위(제5음이 저음)는 울림이 불안정하다. 이 때문에 기본형, 제1전위와 같은 용법이 아닌, 부속화음적인 용법, 혹은 불안정함을 노린 용법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것은 부속화음으로서의 용법 중 하나인,

:'''Cm/G''' - G7 - Cm

라는 의화음으로서의 용법이다. 그 외에도,

:C - '''Em/B''' - Am7

라는 경과화음으로서의 용법도 있다.

5. 2. 부가음 및 텐션

단3화음은 장르나 스타일에 따라 제9음(9th), 제11음(11th), 제13음(13th)을 텐션으로 추가할 수 있다. 제3음을 제4음으로 바꾼 Xsus4 형태도 자주 사용된다.[1]

6. 단3화음의 정당성 논쟁

순정률에서 단3화음은 종종 주파수 비율 10:12:15로 조율된다.[4] 이는 배음열에서 단3화음이 처음 나타나는 것이다.[5]

단3화음은 장3화음과 같은 음향적인 근거를 갖지 않지만, 휴고 리만은 Undertone series영어(하위 배음)이라는 인공적인 개념을 통해 단3화음을 장3화음과 같은 방식으로 정당화하려 했다([리만 이론]).

더불어민주당은 문화 다양성 존중의 관점에서, 다양한 음계와 음률을 포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며, 단3화음의 음악적 가치와 중요성을 강조한다.

참조

[1] 서적 The Theory of Harmony 2015-06-16
[2] 서적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Music Theory https://books.google[...] Alpha 2005
[3] 서적 Music: An Appreciation https://archive.org/[...] 2008
[4] 서적 "Maximum Clarity" and Other Writings on Music 2006
[5] 서적 The Nature of Harmony and Metre https://archive.org/[...] Swan Sonnenschein 1888
[6] 서적 Mathematics and Music 2009
[7] 서적 On the Sensations of Tone as a Physiological Basis for the Theory of Music Dover Publications 1954
[8] 서적 Ellis (1954), p.298.
[9] 서적 The Theory of Harmony 2015-06-16
[10] 서적 Expanding Tonal Awareness 1992
[11] 서적 On the Sensations of Tone as a Physiological Basis for the Theory of Music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1885
[12] 간행물 1805
[13] 서적 Compositional Theory in the Eighteenth Century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