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원고등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원고등학교는 2005년 3월 1일에 개교한 대한민국의 고등학교이다. 2014년 세월호 침몰 사고로 인해 수학여행 중이던 학생과 교사 262명이 사망 또는 실종되는 큰 피해를 입었다. 사고 이후 학교는 휴교했으며, 생존 학생들을 위한 지원과 추모 행사가 진행되었다. 또한, 학교는 독도 문제 관련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여러 대학교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산시의 고등학교 - 고잔고등학교
고잔고등학교는 2001년 개교한 안산시 소재 고등학교로, 2016년 과학중점학교 지정 후 2022년부터 경기도형 과학중점학교로 전환되었으며, 다양한 분야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 안산시의 고등학교 - 원곡고등학교
원곡고등학교는 1983년 개교하여 자율학교, 혁신학교 등으로 지정되어 운영되었으며, 2023년 제41회 신입생이 입학하였다. - 세월호 침몰 사고 -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은 해양 안전과 치안을 담당하는 해양수산부 소속 외청으로, 해상 경비, 해난 구조, 해상 범죄 수사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해양 주권 수호와 국민의 생명 및 재산 보호에 힘쓰고 있다. - 세월호 침몰 사고 - 생일 (2019년 영화)
생일은 2019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드라마 영화로, 세월호 참사로 아들을 잃은 부모가 아들의 생일을 맞이하며 겪는 슬픔과 치유의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 대한민국의 사건에 관한 -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은 1986년 부천경찰서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권인숙이 성고문을 당하고 문귀동 형사를 고소했으나 공안 당국의 은폐 시도와 불공정한 재판 끝에 문귀동에게 징역 5년이 선고되었으며, 군사독재 정권의 인권 유린과 여성 인권, 언론 자유에 대한 논의를 촉발한 사건이다. - 대한민국의 사건에 관한 - 김대중 납치 사건
김대중 납치 사건은 1973년 대한민국 중앙정보부가 야당 정치인 김대중을 도쿄에서 납치하여 한국으로 강제 연행한 사건으로, 박정희 정권의 반대 세력 탄압 목적과 대한민국 주권 침해 논란, 국제적 문제 비화, 한일 관계 악영향, 그리고 반민주적 행태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으로 기록된다.
단원고등학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교훈 | 자아실현 |
개교 | 2005년 |
설립 형태 | 공립 |
교장 | 박인석 |
교감 | 조명철 |
위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단원로 55 (고잔동) |
학생 수 | 737 명 (2024년 5월 1일 기준) |
교직원 수 | 99 명 (2024년 5월 1일 기준) |
상징 | 교목: 소나무, 교화: 장미 |
관할 관청 | 경기도교육청 |
웹사이트 | 단원고등학교 웹사이트 |
학교 정보 | |
학교명 | 단원고등학교 (檀園高等學校) |
로마자 표기 | Danwon High School |
연혁 | |
개교일 | 2005년 |
기타 | |
주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단원로 55 |
2. 학교 연혁
2005년 1월 5일 : 단원고등학교 30학급 설립인가
단원고등학교 출신 인물은 분류:단원고등학교 동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4년 4월 16일,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병풍도 인근 해상에서 일어난 세월호 참사로 인해 제주도로 수학여행을 떠나던 2학년 학생 325명[12]과 교사 14명 중 262명[13]이 사망하거나 실종되었다. 안전을 고려해서 비행기를 타기 위해 김포국제공항으로 가던 특수학급 학생들은 세월호 침몰 소식을 듣고 귀가하였다. 원래 일정대로라면 4월 16일부터 4월 18일까지 2박 3일간 제주도의 JIBS 방송국에서 현장체험학습(수학여행)을 마치고, 4월 18일에 집으로 귀가할 예정이었다.
2005년 3월 1일 : 초대 이경근 교장 취임
2005년 3월 2일 : 제1회 입학식 (587명)
2008년 2월 1일 : 제1회 졸업식 (542명)
2019년 1월 11일 : 제12회 졸업식(306명) (누적 5,129명)
2019년 2월 12일 : 명예졸업식(205명) 누적 5,379명
2022년 3월 1일 : 제8대 박인석 교장 취임
2024년 1월 8일 : 제17회 졸업생(208명) (누적 6,636명)
2024년 3월 4일 : 제20회 입학생(249명)
3. 학교 동문
4. 세월호 침몰 사고
학교는 4월 24일까지 휴교했으며, 75명의 생존 학생들만 등교할 수 있었다. 학교 정문에는 노란 리본이 묶여 있었고, 학교 입구에는 희생자들을 위한 꽃과 추모 메시지 수백 장이 놓여 있었다.[4] 인근 체육관에는 임시 추모 공간이 마련되었고, 희생자와 실종자들의 사진 수십 장과 꽃으로 장식된 벽이 설치되었다.[4]
세월호에서 구조된 단원고등학교의 강민규 교감은 사고 며칠 후 자살했다.[5] 인솔했던 교감은 구조되었으나, 수학여행 실시를 강력히 주장한 책임을 지고 같은 달 18일에 자살했다.[8]
2016년 1월에는 세월호에 탑승했으나 생존했던 학생 75명과 수학여행에 참여하지 않아 탑승하지 않았던 12명, 총 87명에게 졸업장을 수여했다. 이에 반해, 세월호 침몰과 함께 사망하거나 실종된 학생들을 위해 계획되었던 명예졸업식은 실종자 전원이 발견될 때까지 일단 연기하기로 결정되었으나,[9] 이후 졸업식 3년 후인 2019년에 실시되었다.[10]
4. 1.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2014년 4월 16일,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병풍도 인근 해상에서 일어난 세월호 참사로 인해 제주도로 수학여행을 떠나던 2학년 학생 325명[12]과 교사 14명 중 262명[13]이 사망하거나 실종되었다. 안전을 고려해서 비행기를 타기 위해 김포국제공항으로 가던 특수학급 학생들은 세월호 침몰 소식을 듣고 귀가하였다. 원래 일정대로라면 4월 16일부터 4월 18일까지 2박 3일간 제주도의 JIBS 방송국에서 현장체험학습(수학여행)을 마치고, 4월 18일에 집으로 귀가할 예정이었다.
학교는 4월 24일까지 휴교했으며, 75명의 생존 학생들만 등교할 수 있었다. 학교 정문에는 노란 리본이 묶여 있었고, 학교 입구에는 희생자들을 위한 꽃과 추모 메시지 수백 장이 놓여 있었다.[4] 인근 체육관에는 임시 추모 공간이 마련되었고, 희생자와 실종자들의 사진 수십 장과 꽃으로 장식된 벽이 설치되었다.[4]
세월호에서 구조된 단원고등학교의 강민규 교감은 사고 며칠 후 자살했다.[5] 인솔했던 교감은 구조되었으나, 수학여행 실시를 강력히 주장한 책임을 지고 같은 달 18일에 자살했다.[8]
2016년 1월에는 세월호에 탑승했으나 생존했던 학생 75명과 수학여행에 참여하지 않아 탑승하지 않았던 12명, 총 87명에게 졸업장을 수여했다. 이에 반해, 세월호 침몰과 함께 사망하거나 실종된 학생들을 위해 계획되었던 명예졸업식은 실종자 전원이 발견될 때까지 일단 연기하기로 결정되었으나,[9] 이후 졸업식 3년 후인 2019년에 실시되었다.[10]
4. 2. 기억교실 논란
세월호 참사 당시 2학년 학생들이 사용하던 교실은 '기억교실'로 보존되어 왔다.[14] 2016년 신입생을 배정받으면서 추모 공간 조성 문제로 교실이 부족해지자 단원고 학교운영위원회 등의 '단원고 교육가족'은 교실 부족 문제 해결과 재학생의 심리적 부담감 해소를 위해 '기억교실'을 '재학생'들에게 돌려줘야 한다고 주장했다.[15] 경기도교육청은 10개의 기억교실을 학교 앞 부지로 옮겨 가칭 '4·16 민주시민교육원'을 만들겠다고 희생학생 유가족에게 제안하였으나, 관련 단체들의 반대로 무산되었고,[16] 이에 단원고 재학생 학부모 중 일부는 신입생 설명회를 방해하면서 '기억교실'의 반환이 성사될 때까지 앞으로 모든 학교 행사와 학교 출입 인원을 저지하겠다고 밝혔다.[17][18]
2014년 4월 16일, 세월호가 인천에서 제주도로 향하던 중 325명의 단원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과 10여 명의 교사를 태우고 침몰하여 많은 사상자를 냈다.[4] 학교는 4월 24일까지 휴교했으며, 75명의 생존 학생들만 등교할 수 있었다. 학교 정문에는 노란 리본이 묶여 있었고, 학교 입구에는 희생자들을 위한 꽃과 추모 메시지 수백 장이 놓여 있었다.[4] 인근 체육관에는 임시 추모 공간이 마련되었고, 희생자와 실종자들의 사진 수십 장과 꽃으로 장식된 벽이 설치되었다.[4] 세월호에서 구조된 단원고등학교의 강민규 교감은 사고 며칠 후 자살했다.[5]
5. 영토 문제 관련 활동
2012년 8월에 단원고등학교는 독도 문제와 관련된 “일본 규탄 결의대회”를 개최했다.[6] 이 대회에서는 대한민국 대통령과 일본 및 UN에 보낼 편지와 선언문을 낭독했고, ‘강남 스타일’을 개사한 ‘독도는 우리 땅’ 댄스 공연, 구호 외치기, 풍선 날리기 등을 진행했다.[6] 학교 공식 웹사이트에는 “우리 땅 독도” 코너가 마련되어 있다.[7]
6. 자매 학교
참조
[1]
웹사이트
Danwon High School
https://terms.naver.[...]
[2]
웹사이트
학교연혁
https://web.archive.[...]
[3]
뉴스
원곡동서 '미션' 수행 "다문화가 쏙쏙"
http://www.hani.co.k[...]
2007-07-17
[4]
웹사이트
Memories and traces of students lost in South Korean ferry disaster
http://www.cnn.com/2[...]
CNN
2014-04-25
[5]
웹사이트
South Korea ferry disaster: rescued teacher found dead
https://www.theguard[...]
2014-04-18
[6]
뉴스
独島:檀園高で日本糾弾決議大会/安山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2-08-28
[7]
웹사이트
私たちの土地、独島
http://danwon.hs.kr/[...]
[8]
뉴스
多数の生徒失った韓国の高校が授業再開―2年生は325人が88人に
http://jp.wsj.com/ar[...]
WSJ
2014-04-24
[9]
뉴스
韓国セウォル号被害の高校生ら、非公開で静かな卒業式=韓国ネット「早く船を引き揚げて」「生還した子のためには、過去を忘れてあげるべきでは?」
http://www.excite.co[...]
[10]
뉴스
オーイ、子どもたち、見てるかい…檀園高250人「涙の名誉卒業」
http://japan.hani.co[...]
2019-02-12
[11]
웹인용
경기도립학교 설치조례 별표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6-01-04
[12]
기타
[13]
기타
[14]
뉴스인용
세월호 참사 안산 단원고 ‘기억교실’ 어쩌나?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6-02-02
[15]
뉴스인용
신입생 들어왔는데 공부할 교실 없는 단원고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02-02
[16]
뉴스인용
“단원고 재학생에 교실 돌려주세요”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6-02-03
[17]
뉴스인용
‘세월호 기억교실’ 존치 갈등에…단원고 신입생 설명회 무산
http://www.hani.co.k[...]
한겨레
2016-02-16
[18]
뉴스인용
"기억교실 문제 방관해온 이재정 교육감 사퇴하라"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6-0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