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년은 천문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황도면의 변화와 관련된 여러 가지 현상을 지칭한다. 과학적 정의에 따르면, 대년은 지구 자전축의 세차 운동으로 인해 춘분점이 황도를 따라 이동하는 주기를 의미하며, 약 25,772년마다 한 바퀴를 돈다. 역사적으로 플라톤은 천체의 일주 운동이 원래 위치로 돌아오는 것을 "완전한 해"로 묘사했고, 키케로는 태양, 달, 행성의 주기가 결합된 개념으로 대년을 정의했다. 히파르코스는 세차 운동을 발견했으며, 프톨레마이오스는 대년에 대한 잘못된 수치를 제시하기도 했다. 한국 천문학에서는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 대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점성술적 시대 - 점성술의 시대
    점성술의 시대는 춘분점의 세차 운동에 따른 약 2,150년 주기의 시대로, 현재는 물고기자리에서 물병자리 시대로의 전환기로 여겨지나, 과학적 근거 부족 논쟁과 시대 길이에 대한 합의 부재 등 비판이 존재하며, 역사, 문화 등 다방면에서 논의된다.
  • 점성술적 시대 - 보병궁의 시대
    물병자리 시대는 점성학에서 춘분점의 세차 운동을 기준으로 약 2,147년 동안 지속되는 시대로, 개인의 자율성, 평등, 기술 발전과 정신적 성숙 등 다양한 의미를 가지며 사회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되고 1960년대 대중문화와 한국 사회의 개인주의와도 관련되어 논의된다.
  • 천문학사 - 천문학자
    천문학자는 망원경과 수학적 모델을 사용하여 우주의 기원, 진화, 구조를 연구하는 과학자로서, 대학이나 연구소에 고용되어 연구, 교육, 시설 관리, 대중 과학 활동 등을 수행하며 아마추어 천문학자 또한 천문학 발전에 기여한다.
  • 천문학사 - 별자리
    별자리는 하늘에서 보이는 별들의 집합으로, 동아시아에서는 삼원과 이십팔수를 기반으로, 서양에서는 그리스 신화를 바탕으로 체계화되었으며, 현대에는 국제천문연맹(IAU)에서 88개를 공식 인정하고 천문학, 신화, 점성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대년
개요
다른 이름완전한 해
플라톤의 해
우주의 해
관련 개념점성학
점성술 시대
세차운동
지질 시대
힌두교 우주론
역사 및 정의
정의천문학적 주기 또는 시대
다른 정의행성들이 처음 상대적 위치로 돌아오는 시간
고대 정의여덟 주기가 모두 완료되어 원래 모습으로 측정되는 순간
관련 역사고대부터 다양한 문화권에서 사용됨
히파르코스의 발견기원전 2세기 중반, 항성들의 위치 변화 발견
길이 추정
플라톤36,000년
헤라클레이토스10,800년 (하루는 3개월)
요한네스 케플러25,200년
현재 추정약 25,772년 (지구 자전축의 세차운동 주기)
문화적 의미
철학적 의미시간의 순환과 반복
종교적 의미힌두교의 유가 주기
세계의 순환
점성학적 의미점성술 시대의 변화
같이 보기
관련 항목세계의 나이
세상의 종말
영겁회귀

2. 과학적 정의

현대 천문학에서 대년은 지구 자전축의 세차 운동 주기를 의미한다. 지구 자전축은 약 25,772년 주기로 세차운동을 한다.

2. 1. 세차 운동

하늘에 투영된 북극의 경로는 25,772년이 걸리는 원을 그린다. 빨간색 데이터는 과거 역기점의 극점을 보여주며, 그 당시 춘분점이 위치했던 별자리를 보여준다.


황도면은 별을 배경으로 태양이 움직이는 겉보기 경로로 설명되는 면이다. 이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지구의 자전축은 황도면에 수직이 아니고 현재 23.5도 기울어져 있다. 이 축의 정렬은 일 년 내내 유지되므로, 북극이나 남극 위의 하늘 지점은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변하지 않는다.[3]

지구 적도 돌출부에 작용하는 다른 천체들의 인력 때문에 황도면에 수직인 지구의 극축은 천천히 원뿔 모양으로 움직인다. 이와 비슷한 원뿔 운동은 측면에서 힘을 받는 자이로스코프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지구 축의 운동을 세차 운동이라고 하며, 그 결과 황도상의 춘분점은 1년에 약 50.3초 각도로 황도를 따라 서쪽으로 이동한다. 25,772년 후, 춘분점은 관측이 시작된 하늘의 같은 지점으로 돌아온다.[1]

또한, 지구 축의 기울기, 즉 경사는 일정하지 않고 자체적인 주기로 변한다. 평균 약 40,000년의 주기 동안 축의 기울기는 22.1도에서 24.5도 사이에서 변한다.[4]

자이로스코프에서 작은 규모로 볼 수 있는 회전체 축의 세차 운동

2. 2. 장동(章動)

지구 축의 기울기( 경사)는 일정하지 않고 자체적인 주기로 변한다. 평균 약 40,000년의 주기로 22.1도에서 24.5도 사이에서 변한다.[4]

3. 역사적 정의

고대 철학자들은 대년을 천체의 운행 주기로 정의했다. 플라톤은 모든 천체와 항성이 원래 위치로 돌아오는 주기를 "완전한 해"라고 묘사했으며, 키케로는 태양, 달, 행성 주기의 조합으로 대년을 정의했다. 히파르코스는 춘분점 세차운동을 발견했고, 이후 "대년"이라는 용어는 세차운동의 기간에 적용되었다. 그러나 프톨레마이오스는 세차운동의 기간을 실제보다 길게 계산하여 혼동을 야기했다.

마크로비우스(5세기 초)는 키케로의 스키피오의 꿈에 대한 주석에서 '철학자들'이 대년을 15,000년으로 계산한다고 언급했다.[9] 켄소리누스(3세기)는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가 대년을 2484년으로 계산했다고 썼지만, 이는 2434년의 오기라고 주장된다.[9][10]

3. 1. 플라톤의 대년

플라톤(기원전 360년경)은 모든 천체(행성)와 항성이 원래 위치로 돌아오는 주기를 "완전한 해"라고 묘사했다. 그는 지축의 세차운동에 대해 알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5] 플라톤이 설명하는 주기는 행성과 별의 결합으로, 지축의 세차운동에 대한 인식 없이도 가정할 수 있다.

키케로(기원전 1세기)는 플라톤의 뒤를 이어 대년을 태양, 달, 행성 주기의 조합으로 정의했다.[6][7]

플라톤의 완전한 해에 대한 설명은 그의 대화편인 ''티마이오스''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이 몸들의 방황, 그 수가 너무 많고 놀랍도록 다양하다는 사실에 대해 거의 무지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간의 완전한 수가 여덟 개의 모든 기간의 상대적 속도가 함께 완료되어 균일하게 움직이는 같은 원에 의해 측정되어 완성되는 순간에 완전한 해를 완성한다는 것을 식별하는 것은 가능하다.|그래서 사람들은 이 천체들의 움직임, 그 수가 너무 많고 놀랍도록 다양하다는 사실에 대해 거의 알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천체의 상대적 속도가 함께 완료되어 같은 주기로 측정되어 완성되는 순간에 완전한 해가 완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grc

키케로는 ''신들의 본성에 관하여''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행성의 다양한 움직임에 대해 수학자들은 대년이라고 부르는 것을 기반으로 했다. "이것은 태양, 달, 그리고 다섯 행성이 모두 과정을 마치고 서로 상대적인 동일한 위치로 돌아갈 때 완료된다. 이 기간의 길이는 격렬하게 논쟁되지만, 반드시 고정되고 결정된 시간이어야 한다."|행성의 다양한 움직임에 대해 수학자들은 대년이라는 것을 만들었다. "이것은 태양, 달, 그리고 다섯 행성이 모두 제자리를 찾고 서로 동일한 위치로 돌아갈 때 완료된다. 이 기간은 매우 길지만, 반드시 정해진 시간이어야 한다."la

플라톤의 해의 기원은 플라톤 시대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춘분점의 세차운동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11]

3. 2. 히파르코스의 발견

기원전 2세기경, 히파르코스는 춘분점 세차운동의 기간을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12] 히파르코스는 고정된 별들이 춘분과 하지에 태양의 연간 결정된 위치에 비해 전체적으로 점차적으로 위치를 이동한다는 것을 발견했다.[13] 오토 노이게바우어는 히파르코스가 36,000년이 최대치라고 믿었으며, 26,000년이 조금 안 되는 한 완전한 세차 운동의 실제 속도를 계산했다고도 주장했다.[13]

3. 3. 키케로의 대년

키케로(기원전 1세기)는 플라톤의 뒤를 이어 대년을 태양, 달, 행성의 주기가 모두 일치하는 시기로 정의했다.[6][7]

키케로는 ''신들의 본성에 관하여''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3. 4. 프톨레마이오스의 오류

프톨레마이오스(서기 170년경)는 히파르코스가 발견한 춘분점 세차운동의 기간을 실제 값인 26,000년보다 훨씬 긴 36,000년으로 잘못 계산했다.[13] 이로 인해 플라톤의 대년(행성 주기)과 세차운동의 대년(별 주기)이 혼동되는 결과가 초래되었다.[14]

일각에서는 프톨레마이오스가 36,000년이라는 수치를 얻기 위해 관측 결과를 조작했다는 비판도 제기한다. 실제로는 26,000년에 가까운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의도적으로 왜곡했다는 것이다.[15]

3. 5. 기타 언급

요세푸스(1세기)는 600년을 '대년'(μέγας ἐνιαυτόςgrc)으로 언급했다.[16] 그는 신이 인간에게 덕행과 천문학 및 기하학적 발견에 대한 선한 사용으로 인해 더 긴 생명을 제공했으며, 600년을 살지 않았다면 별들의 주기를 예견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요세푸스는 대년이 600년 간격으로 완성된다고 보았다.[16] 그는 이 값을 시간을 60년, 600년, 3600년의 간격으로 계산한 베로소스(기원전 3세기경)에게서 얻었을 가능성이 있다.[17]

아이작 뉴턴(1642년 – 1726/27년)은 세차운동의 원인을 규명하고, 세차운동의 속도를 72년당 1도로 계산했는데, 이는 오늘날 측정된 값과 매우 가까워 이전의 1세기당 1도라는 값의 오차를 줄였다.[18]

4. 한국 천문학에서의 대년

조선 시대에는 세차 운동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역법 계산에 활용되었다. 현대 한국 천문학에서도 세차 운동은 여전히 중요한 연구 주제 중 하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Aerospace Science and Technology Dictionary G Section https://web.archive.[...] Hq.nasa.gov 2014-03-02
[2] 서적 A History of Ancient mathematical astronomy Birkhäuser 1975
[3] 웹사이트 Aerospace Science and Technonlogy Dictionary P Section https://web.archive.[...] 2019-02-09
[4] 웹사이트 Milutin Milankovitch https://earthobserva[...] 2019-02-15
[5] 서적 The Platonic Year http://www.oxfordsch[...]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6-24
[6] 웹사이트 Full text with an English translation by H. Rackham https://archive.org/[...] 2019-11-13
[7] 서적 The Great Year: Astrology, Millenarianism and History in the Western Tradition Arkana/Penguin Books 1994
[8] 서적 Plato: Complete Works Hackett Publishing Company 1997
[9] 서적 Stars, Mind & Fate: Essays in Ancient and Mediaeval Cosmolog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10] 간행물 Comments on the Aristarchan Evidence http://www.dioi.org/[...] 2002-05-31
[11] 서적 Macrobius: Commentary on the Dream of Scipio Columbia University Press 1952
[12] 웹사이트 Aerospace Science and Technology Dictionary G Section https://web.archive.[...] Hq.nasa.gov 2015-08-23
[13] 서적 The Great Year: Astrology, Millenarianism and History in the Western Tradition Arkana/Penguin Books 1994
[14] 서적 The Great Year: Astrology, Millenarianism and History in the Western Tradition Arkana/Penguin Books 1994
[15] 논문 The Authenticity of Ptolemy's star data http://adsabs.harvar[...]
[16] 웹사이트 Josephus – Antiquities of the Jews – Book I, Chapter 3, Paragraph 9 http://www.sacred-te[...]
[17] 서적 Jewish Antiquities Loeb
[18] 웹사이트 Internet History Sourcebooks http://www.fordham.e[...] Fordham.edu 2014-03-02
[1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hq.nasa.g[...] 2013-03-07
[20] URL http://archive.org/s[...]
[21] 서적 The Great Year: Astrology, Millenarianism and History in the Western Tradition Arkana/Penguin Books 1994
[22] 서적 Plato: Complete Works Hackett Publishing Company 1997
[23] 서적 A History of Ancient mathematical astronomy Birkhäuser 1975
[24] URL http://books.google.[...]
[25] URL http://www.dioi.org/[...]
[26] 서적 Macrobius: Commentary on the Dream of Scipio Columbia University Press 1952
[27] 서적 The Great Year: Astrology, Millenarianism and History in the Western Tradition Arkana/Penguin Books 1994
[28] 논문 The Authenticity of Ptolemy's star data http://adsabs.harvar[...]
[29] 서적 The Great Year: Astrology, Millenarianism and History in the Western Tradition Arkana/Penguin Books 1994
[30] 웹사이트 http://www.sacred-te[...]
[31] 서적 Jewish Antiquities Loeb
[3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fordham.e[...] 2013-03-07
[33] 서적 Lost Star of Myth and Time St. Lynn's Press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