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서양콩고어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서양콩고어파는 로저 블렌치에 따른 분류로, 세누포어군, 크루어군, 대서양 제어, 볼타콩고어군 등을 포함하는 언어군이다. 탈로디·헤이반어군, 세누포어군, 크루어군, 대서양 제어, 볼타콩고어군 등으로 분류되며, 글로톨로그는 날루어와 누녜스강어군을 니제르콩고어족 안의 미분류 언어로 본다. 세네감비아어군, 멜어군, 수아어, 골라어, 림바어는 대서양 제어에 속하며, 각 언어군의 특징적인 어휘를 비교하여 제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서양콩고어파 - 크루어군
크루어군은 라이베리아와 코트디부아르에 분포하며 나이저콩고어족과의 관계가 불분명하여 독립된 어족으로 간주되고, 동부 및 서부 크루어군으로 나뉘어 디다어, 그레보어, 바사어 등을 포함하며, 복잡한 음조 체계와 주어-동사-목적어(SVO) 어순을 사용한다. - 대서양콩고어파 - 세누포어군
세누포어군은 지리적 요인에 따라 북부, 중부, 남부로 분류되며, SIL International에 의해 6개 그룹으로 세분화되고, 1980년대부터 음운론, 문법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 니제르콩고어족 - 풀라어
풀라어는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며 서아프리카에서 9천 5백만 명 이상이 사용하고, 명사류 체계와 자음 교체 등의 문법적 특징을 가지며, 라틴 문자, 아랍 문자, 아들람 문자로 표기되고 기니의 공용어이다. - 니제르콩고어족 - 만데어파
만데어파는 서아프리카의 다양한 언어 어족으로, 11개의 하위 어파로 나뉘며 니제르-콩고어족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있지만 독립된 어족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대서양콩고어파 | |
---|---|
개요 | |
유형 | 어족 |
어족 | 니제르콩고어족 |
ISO 639-5 | alv |
Glotto code | atla1278 |
Glottolog | atla1278 |
분포 | |
지역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
![]() | |
하위 어족 | |
1 | 탈로디헤이반어군? (코르도판어족) |
2 | 세네감비아어군 |
3 | 날루어 |
4 | 리오누녜스어군? |
5 | 멜어군 |
6 | 수아어 |
7 | 골라어 |
8 | 볼타콩고어군 |
2. 분류
니제르콩고어족의 분류는 학자마다 이견이 있으며, 특히 일부 어군의 귀속 관계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다음은 로저 블렌치의 분류를 따른 것으로, 보다 이질적인 분기군부터 나열하였다.[13]
대서양 제어는 분기군이 아니라 전통적인 지리적 구분이다. 세누포어군과 크루어군은 볼타콩고어군의 일부로 보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독립적인 분기군으로 보았다.[13]
추가로 귈데만(Güldemann, 2018)은 날루어와 누녜스강어군을 니제르콩고어족 안의 미분류 언어라고 본다.[14]
글로톨로그는 탈로디어군과 헤이반어군이 독립된 어족이라고 본다.[12]
2. 1. 탈로디·헤이반어군
로저 블렌치에 따르면, 탈로디·헤이반어군은 수단 남부 코르도판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들로 구성된다.[13] 글로톨로그는 탈로디어군과 헤이반어군이 각각 독립된 어족이라고 본다.[12]2. 2. 세누포어군
세누포어군은 볼타콩고어군의 일부로 보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독립적인 분기군으로 보았다.[13]2. 3. 크루어군
로저 블렌치에 따른 분류에서 크루어군은 대서양콩고어파의 한 분기군으로, 볼타콩고어군의 일부로 보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독립적인 분기군으로 간주된다.[13]2. 4. 대서양 제어
로저 블렌치에 따르면, 대서양 제어는 분기군이 아니라 전통적인 지리적 구분이다.[13] 여기에는 세네감비아어군, 멜어군, 수아어, 골라어, 림바어가 속한다.2. 4. 1. 세네감비아어군
로저 블렌치에 따르면, 대서양 제어는 분기군이 아니라 전통적인 지리적 구분에 해당하며, 세네감비아어군은 대서양 제어에 속한다.[13]2. 4. 2. 멜어군
로저 블렌치에 따르면, 멜어군은 대서양 제어의 하위 분류 중 하나이다.[13] 기니, 시에라리온 등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이 멜어군에 속한다.2. 4. 3. 수아어
수아어는 로저 블렌치의 분류에 따라 대서양 제어에 속하는 언어이다.[13]2. 4. 4. 골라어
로저 블렌치의 분류에 따르면 골라어는 대서양 제어에 속한다.[13]2. 4. 5. 림바어
로저 블렌치의 분류에 따르면 림바어는 대서양 제어에 속한다.[13]2. 5. 볼타·콩고어군
로저 블렌치에 따르면, 볼타·콩고어군은 니제르콩고어족의 가장 큰 어파로, 다음과 같은 다양한 언어군을 포함한다.[13] 대서양 제어는 분기군이 아니라 전통적인 지리적 구분이다. 세누포어군과 크루어군은 볼타콩고어군의 일부로 보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독립적인 분기군으로 보았다.Güldemann (2018)은 날루어와 누녜스강어군을 니제르콩고어족 안의 미분류 언어로 본다.[14] 글로톨로그는 탈로디어군과 헤이반어군을 독립된 어족으로 본다.[12]
2. 6. 기타 미분류 언어
귈데만(Güldemann, 2018)은 날루어와 누녜스강어군을 니제르콩고어족 안의 미분류 언어로 본다.[14]2. 7. 글로톨로그의 분류
글로톨로그는 탈로디어군과 헤이반어군을 독립된 어족으로 본다.[12]3. 비교 어휘
대서양콩고어파의 여러 분파에 대해 재구성된 원시 언어의 기본 어휘 예시는 다음과 같다.[1][4][5][6][7][8][9]
분파 | 언어 | 눈 | 귀 | 코 | 이 | 혀 | 입 | 피 | 뼈 | 나무 | 물 | 먹다 | 이름 |
---|---|---|---|---|---|---|---|---|---|---|---|---|---|
서부 니그리틱 (대략 대서양콩고어파) | 원시-서부 니그리틱 | *-nín-, *-nínu | *-thúi, *-thú- | *-míl-, *-míla | *-nín- (*-níghin-) | *-líma (*-líami); *-lélum- (*-lúm-) | *-níana; *-níuna (*-núa) | *-ghìá; *-kàl- | *-khwúpà | *-tí | *-lingi | *di- | *-ghínà |
베누에콩고어족 | 원시-베누에콩고어족 | *-lito | *-tuŋi | *-zua | *-nini, *-nino; *-sana; *-gaŋgo | *-lemi; *-lake | *-zi; *-luŋ | *-kupe | *-titi; *-kwon | *-izi; *-ni | *-zina | ||
반투어족 | 원시-반투어족 | *i=jíco | *kʊ=tʊ́i | *i=jʊ́lʊ | *i=jíno; *i=gego | *lʊ=lɪ́mi | *ka=nʊa; *mʊ=lomo | *ma=gilá; *=gil-a; *ma=gadí; *=gadí; *mʊ=lopa; *ma=ɲínga | *i=kúpa | *mʊ=tɪ́ | *ma=jíjɪ; *i=diba (HH?) | *=lɪ́ -a | *i=jína |
요루바어족 | 원시 요루바어 | *é-jú | *é-tí | *ímṵ́ | *éŋḭ́ | 요. ahá̰ | *ɛ́lṵ ? | *ɛ̀-gyɛ̀ | *égbṵ́gbṵ́ | 요. igi | *ó-mḭ | *jɛṵ | *órú- ? |
Gbe어족 | 원시-Gbe어족 | *-tó | *aɖú | *-ɖɛ́ | *-ɖũ; *-ɖũkpá | *-ʁʷũ | *-χʷú | *-tĩ́ | *-tsĩ | *ɖu | *yĩ́kɔ́ | ||
구르어족 | 원시-중앙 구르어 | *me (오티-볼타, 구룬시) | *ye (구룬시, 쿠룸페) | *ñam, *ñim (오티-볼타, 쿠룸페) | *ʔob, *ʔo | *tɪ (오티-볼타, 구룬시) | *ni, *ne; *nã (오티-볼타, 구룬시) | *di | *yɪɗ, *yɪd (오티-볼타, 구룬시) | ||||
그바야어족 | 원시-그바야어족 | *gbà.l̥í/l̥í | *zɛ̀rà | *zɔ̰̀p | *ɲín | *léɓé ~ lémbè | *nú | *tɔ̀k | *gbà̰là̰ | *l̥ì | *tè | *ɲɔŋ/l̥i | *l̥ín ~ l̥íŋ |
3. 1. 서부 니그리틱 (대략 대서양콩고어파)
West Nigritic영어은 대서양콩고어파의 원시 언어로 추정되는 가상의 언어이다.[1]
3. 2. 베누에콩고어족
Benue–Congo영어 원시-베누에콩고어족[4]의 기본 어휘는 다음과 같이 재구성된다.어휘 | 원시 베누에콩고어족 |
---|---|
눈 | *-lito |
귀 | *-tuŋi |
코 | *-zua |
이 | *-nini, *-nino, *-sana, *-gaŋgo |
혀 | *-lemi, *-lake |
입 | (재구성 불가) |
피 | *-zi, *-luŋ |
뼈 | *-kupe |
나무 | *-titi, *-kwon |
물 | *-izi, *-ni |
먹다 | (재구성 불가) |
이름 | *-zina |
3. 3. 반투어족
원시 반투어족bnt[5]에서 재구된 기본 어휘는 다음과 같다.어휘 | 한국어 번역 |
---|---|
*i=jíco | 눈 |
*kʊ=tʊ́i | 귀 |
*i=jʊ́lʊ | 코 |
*i=jíno; *i=gego | 이 |
*lʊ=lɪ́mi | 혀 |
*ka=nʊa; *mʊ=lomo | 입 |
*ma=gilá; *=gil-a; *ma=gadí; *=gadí; *mʊ=lopa; *ma=ɲínga | 피 |
*i=kúpa | 뼈 |
*mʊ=tɪ́ | 나무 |
*ma=jíjɪ; *i=diba (HH?) | 물 |
*=lɪ́ -a | 먹다 |
*i=jína | 이름 |
3. 4. 요루바어족
원시 요루바어는 다음과 같은 어휘 체계를 가졌던 것으로 재구된다.[6]
3. 5. Gbe어족
Gbe어족은 원시 Gbe어족에서 재구된 언어로, 다음의 어휘를 참고할 수 있다.[7]귀 | 이 | 혀 | 입 | 피 | 뼈 | 나무 | 물 | 먹다 | 이름 |
---|---|---|---|---|---|---|---|---|---|
*-tó | *aɖú | *-ɖɛ́ | *-ɖũ; *-ɖũkpá | *-ʁʷũ | *-χʷú | *-tĩ́ | *-tsĩ | *ɖu | *yĩ́kɔ́ |
3. 6. 구르어족
구르어족men은 부르키나파소, 코트디부아르, 가나, 토고, 말리 등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들로 구성된다.[8] 원시-중앙 구르어men의 재구된 기본 어휘는 다음과 같다.단어 | 원시-중앙 구르어[8] |
---|---|
코 | *me (오티-볼타, 구룬시) |
이 | *ye (구룬시, 쿠룸페) |
뼈 | *ʔob, *ʔo |
나무 | *tɪ (오티-볼타, 구룬시) |
물 | *ni, *ne; *nã (오티-볼타, 구룬시) |
먹다 | *di |
이름 | *yɪɗ, *yɪd (오티-볼타, 구룬시) |
3. 7. 그바야어족
눈 | 귀 | 코 | 이 | 혀 | 입 | 피 | 뼈 | 나무 | 물 | 먹다 | 이름 |
---|---|---|---|---|---|---|---|---|---|---|---|
gbà.l̥í/l̥ízba[9] | *zɛ̀rà | *zɔ̰̀p | *ɲín | *léɓé ~ lémbè | *nú | *tɔ̀k | *gbà̰là̰ | *l̥ì | *tè | *ɲɔŋ/l̥i | *l̥ín ~ l̥íŋ |
참조
[1]
서적
A study of Western Nigritic
Institut für Ägyptologie und Afrikanistik, Universität Wien.
[2]
웹사이트
Niger-Congo: an alternative view
http://www.rogerblen[...]
[3]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Africa
De Gruyter Mouton
[4]
서적
The Noun-Class System of Proto-Benue-Congo
1971
[5]
서적
The Bantu Languages
Routledge
[6]
웹사이트
Proto-Yoruba-Igala Swadesh list
http://sumale.vjf.cn[...]
Langage, Langues et Cultures d’Afrique (LLACAN), Centre National de la Récherche Sciéntifique (CNRS).
[7]
서적
A Comparative Phonology of Gbe
1991
[8]
서적
Contribution à la classification généalogique des langues voltaïques
Peeters Publishers
1979
[9]
서적
Lexique comparatif des langues oubanguiennes
Laboratoire de langues et civilisations à tradition orale, Dép. "Langues et parole en Afrique centrale"
1988
[10]
간행물
"'Isolates' in 'Atlantic'"
Language Isolates in Africa workshop, Lyon
2010-12-04
[11]
기타
Niger-Congo: an alternative view
http://www.rogerblen[...]
[12]
웹사이트
glottolog
https://glottolog.or[...]
[13]
기타
Niger-Congo: an alternative view
http://www.rogerblen[...]
[14]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Africa
De Gruyter Mout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