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데어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데어파는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는 언어 그룹으로,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사용된다. 기원전 4천년기 후반 남부 사하라 사막에서 기원했다는 추정이 있으며, 1854년 지그문트 빌헬름 쾰레에 의해 처음 인식되었다. 만데어파는 크게 남동부 만데어와 서부 만데어로 분류되며, 남동부 만데어는 남부 만데어와 동부 만데어로, 서부 만데어는 남서부, 북서부, 중서부 만데어로 나뉜다. 만데어파의 특징으로는 명사 등급 체계와 동사 확장형이 없으며, 어두 자음 교체와 성조 사용 등의 특징을 보인다. 현재 가나, 기니, 나이지리아, 라이베리아, 말리 등 서아프리카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하위 언어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각 언어는 ISO/DIS 639-3 부호로 식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제르콩고어족 - 풀라어
풀라어는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며 서아프리카에서 9천 5백만 명 이상이 사용하고, 명사류 체계와 자음 교체 등의 문법적 특징을 가지며, 라틴 문자, 아랍 문자, 아들람 문자로 표기되고 기니의 공용어이다. - 니제르콩고어족 - 대서양콩고어파
대서양콩고어파는 로저 블렌치의 분류에 따라 탈로디·헤이반어군, 세누포어군, 크루어군, 대서양 제어, 볼타·콩고어군 등으로 나뉘는 어파이며, 일부 학자들은 세누포어군과 크루어군을 볼타콩고어군의 일부로 보기도 한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만데어파 |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만데어파 |
다른 이름 | West Sudanic (웨스트 수단어) |
사용 지역 | 서아프리카 지역 |
사용자 | 만데인 |
추정 조어 | Proto-Mande (원시 만데어) |
계통 | 니제르콩고어족? |
ISO 639-5 | dmn |
Glottolog | mand1469 |
Glottolog 이름 | Mande |
하위 분류 | |
주요 하위 그룹 | Manding–Kpelle (Central & Southwest) (만딩-크펠레 (중앙 및 남서부)) Samogo–Soninke (Northwest) (사모고-소닌케 (북서부)) Dan–Busa (East) (단-부사 (동부)) |
하위 그룹 상세 | 동부 만데어군 서부 만데어군 |
2. 역사
발렌틴 비드린은 만데어족의 고향이 기원전 4천년기 후반, 사하라 사막 남부(북위 16°~18°, 서경 3°~12° 사이)에 위치했다고 보았다.[4][22] 이 지역은 현재의 모리타니와 서사하라 남부에 해당한다.
만데어족은 1854년 지그문트 빌헬름 쾰레가 그의 저서 《아프리카 다언어집》에서 "북서 고지-수단어족, 또는 만데가어족"이라는 이름 아래 13개 언어를 묶어 처음으로 하나의 언어 집단으로 인식되었다. 이후 1901년 모리스 들라포스는 만데어족을 크게 북부의 '만데-탄' 그룹과 남부의 '만데-푸' 그룹으로 나누었는데, 이는 숫자 10을 나타내는 단어의 차이에 기반한 것이었다.[6] 1924년 루이 토지에르는 이 구분이 명확하지 않으며 '만데-부'라는 제3의 그룹이 존재할 수 있다고 지적했고, 1950년 앙드레 프로스트가 이를 지지하며 구체화했다.
만데어족에 대한 학문적 인식은 1854년 지그문트 빌헬름 쾰레가 그의 저서 《아프리카 다언어집》(Polyglotta Africana)에서 "북서 고지-수단어족" 또는 "만데가어족"이라는 이름 아래 13개 언어를 언급하면서 시작되었다. 1901년 모리스 들라포스는 만데어족을 크게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6][24] 그는 북부 언어에서 숫자 10을 '탄'(tan)으로, 남부 언어에서 '푸'(fu)로 표현하는 것에 착안하여 각각 '만데-탄'(mandé-tan)과 '만데-푸'(mandé-fu)로 명명했다. 그러나 1924년 루이 토지에르(Louis Tauxier)는 이러한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고 지적하며, '만데-부'(mandé-bu)라고 명명한 세 번째 하위 그룹의 존재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후 1950년 앙드레 프로스트가 토지에르의 견해를 지지하며 이를 더욱 구체화했다.
1958년 웰머스(Welmers)는 어휘통계학 연구를 바탕으로 만데어족을 북서부, 남부, 동부의 세 하위 그룹으로 나누는 분류를 제시했다.[7][25] 조셉 그린버그는 그의 저서 《아프리카의 언어》(The Languages of Africa, 1963)에서 이 분류를 따랐다. 롱(Long, 1971)과 제라르 갈티에(Gérard Galtier, 1980) 역시 세 그룹 분류를 따랐지만, 세부적인 내용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만데어족과 니제르-콩고어족의 관계는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 되어왔다. 조셉 그린버그는 만데어족을 니제르-콩고어족에 포함시키고, 이 어족이 대략 7000년 전에 분화되기 시작했으며, "소", "염소", "경작"에 대한 원시 니제르-콩고 어족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신석기 시대 문화를 가진 집단이었을 것으로 추정했다.[5][23] 그러나 만데어족은 니제르-콩고어족의 특징적인 형태론적 요소(예: 명사 등급 시스템)를 공유하지 않으며, 핵심 어휘에서도 유사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 이 때문에 딤멘달(Gerrit Dimmendaal, 2008)과 귈데만(Tom Güldemann, 2018) 등 일부 학자들은 만데어족을 독립된 어족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8][3] 반면, 발렌틴 비드린(2016)은 원시 만데어의 기본 어휘가 니제르-콩고어족과 비교적 잘 부합하며, 형태론적 차이만으로 관계를 부정할 수는 없다고 지적한다. 그는 만데어족이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한다면 가장 먼저 분기된 오래된 갈래일 것이라고 보았다.[9] 블렌치(Roger Blench) 역시 명사 등급 시스템이 발달하기 전에 분화된 초기 분파로 간주하며, 드와이어(David Dwyer, 1998)는 만데어족이 니제르-콩고어족 내에서 가장 이질적이면서도 독자적인 어족을 형성한다고 평가했다. 1950년대 이후 만데어족을 니제르-콩고어족의 일부로 보는 견해가 여러 차례 제기되었으나, 아직 학계의 통일된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3. 분류
1958년 웰머스는 어휘통계학 연구에 기반하여 만데어족을 북서부, 남부, 동부의 세 하위 그룹으로 나누는 분류를 제시했으며,[7] 조셉 그린버그 역시 그의 저서 《아프리카의 언어》(1963)에서 이 구분을 따랐다. 롱(1971)과 제라르 갈티에(1980) 또한 세 그룹 분류를 따랐으나 세부 내용에는 차이가 있었다.
현재는 만데어족을 크게 남동부 만데어군과 서부 만데어군의 두 주요 분기로 나누는 것이 널리 받아들여진다.[1] 만데어족 내부의 세부 분류는 주로 스와데시 목록과 같은 어휘통계학적 방법을 사용하거나,[10] 라이문트 카스텐홀츠(1996)처럼 어휘 혁신과 비교 언어학에 기반하여 이루어진다.[11] 만데어족의 다양성과 내부 분화의 깊이는 인도유럽어족에 비견될 정도이다.[1]
한편, 만데어족이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만데어는 니제르-콩고어족의 특징적인 형태론(예: 명사 등급 시스템)을 공유하지 않으며, 핵심 어휘에서도 유사성이 적다는 점 때문에 딤멘달(2008)과 귈데만(2018) 등은 만데어족을 독립된 어족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8][3] 반면, 비드린(2016)은 원시 만데어의 기본 어휘가 니제르-콩고어족과 비교적 잘 맞으며, 형태론적 차이는 결정적 증거가 될 수 없다고 지적한다. 만약 만데어족이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한다면, 이는 가장 먼저 분화된 오래된 분기일 것으로 추정된다.[9] 블렌치나 드와이어(1998) 역시 만데어족을 니제르-콩고어족 내에서 가장 이질적이면서도 초기에 분화된 그룹으로 본다.
3. 1. 만데어족의 하위 분류 (상세)
만데어족의 다양성과 깊이는 인도유럽어족과 비교할 만하다. 만데어족은 일반적으로 11개의 하위 분기(남부 만데어, 동부 만데어, 사모고어, 보보어, 소닌케-보조, 서남부 만데어, 소소-얄룽카, 조고어, 바이-코노, 모콜레어, 만딩어)로 나뉘며, 이들이 크게 남동부 만데어군과 서부 만데어군의 두 주요 분기를 형성한다는 점이 널리 받아들여진다.[1][22]
대부분의 만데어족 내부 분류는 스와데시 목록과 같은 어휘통계학에 기반한다.[10][31] 반면, 라이문트 카스텐홀츠(Kastenholz, 1996)의 분류는 어휘 혁신과 비교 언어학에 기반하지만, 객관적인 기준에 근거하지 않으므로 엄밀한 의미의 계통 분류는 아니라고 언급된다.[11][32] 다음은 이러한 연구들을 종합한 분류 체계 중 하나이다.
발렌틴 비드린(Valentin Vydrin, 2009)은 위 분류와 다소 다른 견해를 제시한다. 그는 수수-얄룽카를 서남부 만데어군에 포함시키고(앙드레 프로스트(André Prost), 1953의 견해로 회귀), 소닌케-보조, 사모고, 보보를 서부 만데어군의 독립적인 분기로 간주하며, 모콜레를 바이-코노와 같은 수준에 배치한다. 대부분의 분류에서는, 조(조울루어)를 사모고어에 포함시킨다.
4. 주요 특징
만데어파 언어들은 니제르-콩고어족의 다른 언어들, 특히 대서양-콩고어족 언어나 반투어군에서 흔히 나타나는 명사 등급 체계나 동사 확장 체계를 가지고 있지 않다.[12] 하지만 예외적으로 보보어에서는 동사의 사역형과 자동사 형태가 나타나기도 한다.[12] 음운론적으로는 남서 만데어파 언어들과 소닌케어 등 일부 언어에서 단어 첫머리에 자음 교체 현상이 나타난다.[12]
명사의 복수형은 주로 접사(주로 접미사)를 붙여 표시하지만, 셈블라어와 같이 성조의 변화를 통해 복수 의미를 나타내는 언어도 있다.[12] 대명사의 경우, 소유 표현에서 양도 가능성과 양도 불가능성(분리-비분리 소유)을 구분하거나, 1인칭 복수 대명사에서 듣는 사람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포괄형과 배제형을 구분하는 특징이 자주 나타난다.[12]
타동사가 포함된 문장의 기본적인 단어 순서는 주어-목적어-동사 (SOV형) 순서이지만, 실제로는 주어-조동사/서술표지-목적어-동사-기타 성분 (SAuxOVX)의 복잡한 순서를 따르는 경우가 많다.[12] 후치사를 주로 사용하여 문법 관계를 나타낸다.[12] 명사구 안에서는 소유격이 명사 앞에 오고, 형용사와 복수 표지는 명사 뒤에 붙는다. 지시사는 명사 앞이나 뒤 모두 올 수 있다.[12]
5. 지역별 언어 (ISO/DIS 639-3 부호 체계)
가나 지역 언어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ISO/DIS 639-3 |
---|---|---|
리그비어 | Ligbi | lig |
기니 지역 언어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ISO/DIS 639-3 |
---|---|---|
기니 크펠레어 | Kpelle, Guinea | gkp |
동부 마닝카칸어 | Maninkakan, Eastern | emk |
렐레어 | Lele | llc |
리그비어 | Ligbi | lig |
마닝카어 | Maninka | mku (코니앙카), msc (상카란) |
믹시포레어 | Mixifore | mfg |
수수어 | Susu | sus |
얄룽카어 | Yalunka | yal |
자항카어 | Jahanka | jad |
카카베어 | Kakabe | kke |
코노어 | Kono | knu |
토마어 | Toma | tod |
나이지리아 지역 언어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ISO/DIS 639-3 |
---|---|---|
보코바루어 | Bokobaru | bus |
부사어 | Busa | bqp |
샹가어 | Shanga | sho |
키엥가어 | Kyenga | tye |
라이베리아 지역 언어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ISO/DIS 639-3 |
---|---|---|
라이베리아 크펠레어 | Kpelle, Liberia | xpe |
로마어 | Loma | lom |
마니아어 | Manya | mzj |
만어 | Mann | mev |
바이어 | Vai | vai |
반디어 | Bandi | bza |
말리 지역 언어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ISO/DIS 639-3 |
---|---|---|
둥구마어 | Duungooma | dux |
바마낭칸어 | Bamanankan | bam |
방카구마어 | Bankagooma | bxw |
보조어 | Bozo | boo (티에마키에웨), boz (티에야코), bzx (하이니아코), bze (제나마) |
소닝케어 | Soninke | snk |
조월루어 | Jowulu | jow |
카고로어 | Kagoro | xkg |
카송가캉고어 | Xaasongaxango | kao |
키타 마닝카칸어 | Maninkakan, Kita | mwk |
부르키나파소 지역 언어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ISO/DIS 639-3 |
---|---|---|
사모어 | Samo | sbd (남부), sym (마야), stj (마티아) |
마르카어 | Marka | rkm |
보보마다레어 | Bobo Madaré | bwq (남부), bbo (북부) |
볼론어 | Bolon | bof |
비사어 | Bissa | bib |
시닝케레어 | Sininkere | skq |
시쿠어 | Seeku | sos |
잘쿠난어 | Jalkunan | bxl |
줄라어 | Jula | dyu |
중구어 | Dzùùngoo | dnn |
베냉 지역 언어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ISO/DIS 639-3 |
---|---|---|
보코어 | Boko | bqc |
세네갈 지역 언어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ISO/DIS 639-3 |
---|---|---|
만딩카어 | Mandinka | mnk |
서부 마닝카칸어 | Maninkakan, Western | mlq |
시에라리온 지역 언어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ISO/DIS 639-3 |
---|---|---|
로코어 | Loko | lok |
멘데어 | Mende | men |
코노어 | Kono | kno |
쿠랑코어 | Kuranko | knk |
코트디부아르 지역 언어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ISO/DIS 639-3 |
---|---|---|
가구어 | Gagu | ggu |
구로어 | Guro | goa |
단어 | Dan | daf |
마후어 | Mahou | mxx |
므완어 | Mwan | moa |
벵어 | Beng | nhb |
숲 마닝카어 | Maninka, Forest | myq |
야우레어 | Yaouré | yre |
완어 | Wan | wan |
워로두구어 | Worodougou | jud |
워제나카어 | Wojenaka | jod |
제리쿠오어 | Jeri Kuo | jek |
코로어 | Koro | kfo |
코야가어 | Koyaga | kga |
톤존어 | Tonjon | tjn |
투라어 | Toura | neb |
참조
[1]
웹사이트
Mande Languages
https://oxfordre.com[...]
[2]
간행물
Language Ecology and Linguistic Diversity on the African Continen t
2008
[3]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Africa
De Gruyter Mouton
[4]
웹사이트
On the Problem of the Proto-Mande Homeland
http://www.jolr.ru/f[...]
[5]
서적
Papers on the Manding
Indiana University
[6]
서적
Essai de manuel pratique de la langue mandé ou mandingue ...
Institut national de langues et civilisations orientales
[7]
간행물
Niger–Congo, Mande
Mouton
[8]
서적
Historical Linguistics and the Comparative Study of African Languages
John Benjamins
[9]
간행물
Toward a Proto-Mande reconstruction and an etymological dictionary
https://halshs.archi[...]
[10]
웹사이트
Mande language family
http://mandelang.kun[...]
2019-03-25
[11]
서적
Sprachgeschichte im West-Mande: Methoden und Rekonstruktionen
Köppe
1996
[12]
서적
[13]
간행물
Comparative reconstruction of Mandekan
[14]
서적
Eine historische Phonologie der Niger-Volta-Sprachen: Ein Beitrag zur Erforschung der Sprachgeschichte der östlichen Ost-Mandesprachen
R. Köppe
2008
[15]
서적
Аспекты компаративистики 2
https://www.academia[...]
Труды Института восточных культур и античн
[16]
간행물
Towards Proto-Mande phonology
https://llacan.cnrs.[...]
[17]
웹사이트
The Niger-Congo Language Phylum
https://lingweb.eva.[...]
Numeral Systems of the World's Languages
2019
[18]
kotobank
マンデ諸族
[19]
kotobank
マリンケ族
[20]
kotobank
マリンケ
[21]
kotobank
マンディンゴ人
[22]
웹사이트
Mande Languages
https://oxfordre.com[...]
2019-05-12
[23]
서적
Papers on the Manding
Indiana University
[24]
서적
Essai de manuel pratique de la langue mandé ou mandingue ...
Institut national de langues et civilisations orientales
[25]
간행물
Niger–Congo, Mande
Mouton
[26]
간행물
Language Ecology and Linguistic Diversity on the African Continen t
2008
[27]
간행물
http://dx.doi.org/10[...]
2010-02
[28]
서적
Historical linguistics and the comparative study of African languages
J. Benjamins Pub. Co
2011
[29]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Africa
De Gruyter Mouton
[30]
간행물
Toward a Proto-Mande reconstruction and an etymological dictionary
https://halshs.archi[...]
2024-08-04
[31]
웹사이트
Mande language family
http://mandelang.kun[...]
2019-03-25
[32]
서적
Sprachgeschichte im West-Mande: Methoden und Rekonstruktionen
Köppe
1996
[33]
저널
Language Ecology and Linguistic Diversity on the African Continen t
2008
[34]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Africa
De Gruyter Mout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