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영 왕립아시아학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영 왕립아시아학회는 1823년 런던에서 설립된 학술 단체로, 아시아의 과학, 문학, 예술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1824년 조지 4세로부터 왕립 칭호를 부여받았으며, 1834년부터 학술지인 《왕립 아시아 학회 저널》을 발행하고 있다. 학회는 런던에 본부를 두고 인도, 스리랑카, 말레이시아, 중국, 대한민국 등에 지부를 운영하며, 도서관과 아카이브를 통해 8만 권의 장서와 사본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 또한 동양 번역 기금을 통해 학술 연구를 지원하며, 조지 스톤턴 경 상, 수리야 수베디 상 등 다양한 상을 수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24년 설립된 단체 - 인디언 사무국
인디언 사무국은 미국 내무부 산하 기관으로, 미국 내 아메리카 원주민 관련 업무를 총괄하며, 부족에 대한 감독 및 지원, 신탁 토지 관리, 법 집행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왕실 후원을 받는 영국의 단체 - 영국 왕립 공군
영국 왕립 공군(RAF)은 1918년 창설되어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냉전을 거치며 다양한 분쟁에 참여해 왔으며, 현재 차세대 전투기 개발을 추진하고 공군참모장이 지휘하는 영국, 해외 영토, 해외 기지에 주둔하는 독립된 공군이다. - 왕실 후원을 받는 영국의 단체 - 영국 왕립 해군
영국 왕립 해군은 1546년 헨리 8세에 의해 공식 창설되었고 이전부터 해군력을 보유했던 잉글랜드 왕국과 합병된 스코틀랜드 왕립 해군을 기원으로, 분쟁 예방, 해상 안보 제공, 국제적 파트너십 강화, 경제 보호, 인도적 지원 제공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전 세계 해양에서 활동하는 영국의 해군이다. - 영국의 학회 - 영국 학사원
영국 학사원은 인문학 및 사회과학 연구를 지원하고 학문적 성과를 높이며 사회적 문제 논의를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1902년 설립된 영국의 연구 지원 기관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연구 활동을 지원하고 상과 메달을 수여하며 공개 강연과 학술 행사를 개최하지만, 구성원의 다양성 및 연구 지원 과정의 투명성 부족에 대한 비판도 있다. - 영국의 학회 - 왕립화학회
왕립화학회는 1841년 설립된 화학회를 기원으로 하는 영국의 학술 단체로서, 학술지 출판, 학회 개최, 교육 활동, 자격 인증 등을 통해 화학 분야 발전에 기여하며 공인화학자 자격 수여 및 상과 메달을 수여하는 화학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대영 왕립아시아학회 | |
---|---|
개요 | |
이름 | 대영 왕립아시아학회 |
영문 명칭 |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
유형 | 영국 등록 자선 단체 |
위치 | 전 세계 |
본부 | 영국 잉글랜드 런던 NW1 2HD 스테펀슨 웨이 14 |
웹사이트 | 대영 왕립아시아학회 공식 웹사이트 |
설립 및 주요 인물 | |
설립일 | 1823년 3월 15일 |
설립자 | 헨리 토마스 콜브루크 |
후원자 | 찰스 3세 |
회장 | 노버트 피바디 |
기타 정보 | |
출판사 |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수에즈 운하 동쪽'의 영국의 정치적 패권이 점차 종식되면서, 학회는 아시아에 대한 학문적 초점을 유지했다.
학회 사무실에서 정기적으로 강연이 열리며, 무료로 진행된다. 많은 과거 강연들은 온라인으로 듣거나 볼 수 있다.
2. 1. 설립 배경
1823년 런던에서 대영 왕립아시아학회가 설립되었으며, 첫 번째 총회는 3월 15일 런던 세인트 제임스 거리의 Thatched House에서 헨리 토마스 콜브룩의 주재 하에 열렸다.[1] 이 회의에서 임원(초대 회장으로 찰스 윌리엄스-윈 포함)과 이사회를 선출하고, 학회의 명칭을 대영 및 아일랜드 아시아 학회로 정의했으며, 회원들은 아시아 학회 회원(MAS)으로 지정되었다.[1] 또한 이사회에 규정을 제정할 권한을 부여하고(규정은 4월 19일 다음 총회에서 승인), 학회 회의에 적합한 장소를 물색하며, 법인 허가를 요청하도록 했다.[1] 그해 6월 7일에 열린 총회에서 윌리엄스-윈은 이미 학회의 후원이 되기로 동의한 조지 4세 국왕이 학회에 "왕립(Royal)"이라는 칭호를 부여하여 대영 및 아일랜드 왕립아시아학회라는 명칭을 부여하고 회원들에게 왕립아시아학회 회원(MRAS)이라는 지위를 부여했다고 발표했다.[1] 학회는 1824년 8월 11일에 그 명칭으로 헌장을 받았다.[1]왕립아시아학회는 주로 저명한 학자들과 식민 행정가들로 구성된 그룹에 의해 설립되었다.[2] 이는 1784년 저명한 산스크리트어 학자이자 법학자인 윌리엄 존스 경에 의해 설립된 캘커타 아시아학회의 영국 측 대응 기구로 의도되었다.[2] 왕립아시아학회의 설립에 주도적인 인물은 헨리 토마스 콜브룩이었는데, 그는 중요한 산스크리트 학자였으며 캘커타 아시아학회의 전 회장이기도 했다.[2] 또 다른 인물은 중국에서 활동했던 중국어 구사 외교관인 조지 스턴턴 2세 경이었다.[2]
1824년 런던의 오리엔탈 클럽이 결성되었을 때, 왕립아시아학회의 회원 자격은 새로운 클럽의 회원 자격 요건 중 하나로 명시되었다.[3]
대영 제국과 동방의 밀접한 관계 때문에 학회에서 시작된 많은 연구는 인도 아대륙과 관련된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4] 그러나 학회의 관할 범위는 인도를 훨씬 넘어 아시아 전체, 이슬람의 북아프리카, 에티오피아까지 포함한다.[4] 학회는 최근의 정치사나 시사에 대한 관심 분야에 몇 가지 제한이 있는데,[4] 이러한 특정 유예 조치로 인해 중앙아시아학회가 설립되었고, 이는 나중에 왕립 아시아 문제 학회가 되었다.[4]
2. 2. 초기 역사
1823년 3월 15일, 런던 세인트 제임스 거리의 Thatched House에서 헨리 토마스 콜브룩의 주재 하에 대영 왕립아시아학회의 첫 총회가 열렸다. 이 회의에서 초대 회장으로 찰스 윌리엄스-윈을 포함한 임원과 이사회를 선출하고, 학회 명칭을 '대영 및 아일랜드 아시아 학회'로 정했다. 회원들은 '아시아 학회 회원(MAS)'으로 지정되었다. 이사회에는 규정 제정 권한이 부여되었고(규정은 4월 19일 다음 총회에서 승인), 학회 회의 장소 물색 및 법인 허가 요청도 결정되었다.[1]같은 해 6월 7일 총회에서 윌리엄스-윈은 학회 후원에 동의한 조지 4세 국왕이 학회에 "왕립(Royal)" 칭호를 부여하여 '대영 및 아일랜드 왕립아시아학회'라는 명칭과 '왕립아시아학회 회원(MRAS)' 지위를 부여했다고 발표했다. 학회는 1824년 8월 11일에 해당 명칭으로 헌장을 받았다.[1]
왕립아시아학회는 주로 저명한 학자들과 식민 행정가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는 1784년 산스크리트어 학자이자 법학자인 윌리엄 존스 경이 설립한 캘커타 아시아학회의 영국 측 대응 기구로 의도되었다. 왕립아시아학회 설립 주도 인물은 헨리 토마스 콜브룩로, 그는 산스크리트 학자이자 캘커타 아시아학회 전 회장이었다. 또 다른 인물은 중국에서 활동했던 중국어 구사 외교관인 조지 스턴턴 2세 경이었다.[1]
1824년 런던의 오리엔탈 클럽이 결성되었을 때, 왕립아시아학회 회원 자격은 새로운 클럽의 회원 자격 요건 중 하나로 명시되었다.[1]
학회는 인도 아대륙과 관련된 주제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많이 진행했지만, 학회의 관할 범위는 아시아 전체, 이슬람의 북아프리카, 에티오피아까지 포함한다. 학회는 최근 정치사나 시사에 대한 관심 분야에는 몇 가지 제한을 두었다. 이러한 유예 조치로 인해 중앙아시아학회가 설립되었고, 이는 나중에 왕립 아시아 문제 학회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수에즈 운하 동쪽'의 영국의 정치적 패권이 종식되면서, 학회는 아시아에 대한 학문적 초점을 유지했다.[1]
2. 3. 발전 과정
왕립 아시아 학회는 인도학자 헨리 토마스 콜브룩에 의해 1823년 3월 15일에 설립되었으며, 1824년에 조지 4세로부터 특허장을 받았다. 이 학회는 아시아에 관한 과학, 문학, 예술 분야의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1834년부터는 기관지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JRA 또는 JRAS로 약칭)를 발행하고 있으며, 현재는 계간으로 발행된다. 이 기관지는 1864년부터 New Series, 1991년부터 Third Series로 이어져 오고 있다.
학회 도서관에는 8만 권의 장서와 약 2000부의 사본 컬렉션이 소장되어 있다. 또한, 저명한 동양학자들의 원고도 보관하고 있다.
본부는 런던에 있으며, 인도, 스리랑카, 말레이시아, 중국, 대한민국 등지에 지부를 두고 있다. 일본 아시아 학회는 원래 왕립 아시아 학회의 지부로 설립될 예정이었으나, 미국의 반대로 인해 지부가 아닌 제휴 조직으로서 1872년(메이지 5년) 요코하마에서 설립되었다(현재 본부는 도쿄).
3. 조직 및 활동
원래 학회 회원은 회원(MRAS), 명예 회원(Hon. MRAS), 통신 회원(CMRAS) 및 외국 회원(FMRAS)으로 불렸다.[12] 1870년대에는 학회의 회원 자격을 나타내는 이름 뒤에 붙는 문자 ''FRAS''가 존 포브스 왓슨[13]과 존 디킨슨[14]을 포함한 일부 회원들이 사용했다. 이 사용법은 20세기에도 지속되었으며,[15][16] 학회의 ''저널''에 실린 광고에서도 일부 회원들이 ''FRAS'' 문자를 사용하는 것을 반영했다.[17][18] 1908년 헌법에서는 학회의 모든 회원을 "회원"이라고 지칭했지만,[19] 1967년이 되어서야 기념 회의 보고서에서 "회원" 대신 "펠로우"라고 언급되었다.[20] 현재 회원은 "펠로우" 또는 "학생 펠로우"로 지정된다. 학회 규정에는 이러한 등급에 대한 이름 뒤에 붙는 문자가 지정되어 있지 않지만, 수많은 참고 문헌에서 ''FRAS''의 사용을 인정하고 있다.[2][3][4][5][21] 이 문자는 아시아 관련 분야에서 일하는 일부 학자들이 사용하며,[22][23] 학회의 ''저널''에서는 마이클 D. 윌리스, 윌리엄 래디스, 레너드 루이슨을 언급하는 데 사용되었다.[24][25]
학회의 저명한 회원 및 펠로우에는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오렐 스타인 경, 윌프레드 테시거 경, 조지 V. 체레텔리가 포함되었다.
왕립 아시아 학회는 인도학자 헨리 토마스 콜브룩에 의해 1823년 3월 15일에 설립되었으며, 1824년에 조지 4세에 의해 특허장이 수여되었다. 아시아에 관한 과학, 문학, 예술에 관한 주제의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3. 1. 본부 및 지부
이 학회는 인도에 있는 관련 학회인 캘커타 아시아 학회, 뭄바이 아시아 학회, 방갈로르, 마드라스 문학 학회, 비하르와 제휴하고 있으며, 뭄바이에 있던 지부는 현재 뭄바이 아시아 학회로 알려져 있다.또한 스리랑카 왕립 아시아 학회, 홍콩 왕립 아시아 학회(1847년 설립), 일본 아시아 학회(1875년 설립), 말레이시아 왕립 아시아 학회(1877년 설립), 대한 왕립 아시아 학회(1900년 설립) 및 방글라데시 아시아 학회 (1952년 파키스탄 아시아 학회로 설립, 1972년 이후 방글라데시 아시아 학회로 개칭)와도 제휴하고 있다.[26]
중국에서는 이전의 남중국 지부가 현재 홍콩 왕립 아시아 학회로 알려져 있다. 북중국 지부는 2006년 상하이에 중국 왕립 아시아 학회로 재설립되었으며, 원래 지부는 1857년에 설립되어 1952년에 해산되었다. 이 학회는 쑤저우와 베이징에 지부를 두고 있다.[27]
본부는 런던에 있으며, 그 외에 인도, 스리랑카, 말레이시아, 중국, 대한민국에 지부를 가지고 있다. 일본 아시아 학회도 원래는 왕립 아시아 학회의 지부가 될 예정이었으나, 미국의 반대에 의해 지부가 아닌 제휴 조직으로서 1872년(明治|메이지일본어 5년)에 요코하마에서 설립되었다(현재 본부는 도쿄).
3. 2. 학술 활동
'''왕립 아시아 학회 저널'''(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에서 연 4회 발행되며, 각 호에는 여러 학술 에세이와 서평이 실린다. 1991년부터 현재 이름으로 발행되었으며, 이전에는 ''대영 및 아일랜드 왕립 아시아 학회 저널''(1834-1991) 및 ''대영 및 아일랜드 왕립 아시아 학회 회보''(1824-1834)였다.[30] 현재 ''저널''의 편집장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다우드 알리이며, 이중 심사 과정을 거친다.[31]1834년부터 기관지(현재는 계간. 1864년부터 New Series, 1991년부터 Third Series)를 발행하고 있다.
학회 도서관에는 8만 권의 장서가 있으며, 약 2000부의 사본 컬렉션이 있다. 저명한 동양학자의 원고도 소장하고 있다.
3. 3. 도서관 및 아카이브
도서관은 12세기부터 현재까지의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모든 학회 소장 자료는 런던에 있는 학회 사무실의 전용 열람실에서 공지된 개방 시간 동안 열람할 수 있다.[28] 학회는 또한 디지털 도서관을 운영하고 있다.[29]학회 도서관에는 8만 권의 장서와 약 2000부의 사본 컬렉션이 있으며, 저명한 동양학자의 원고도 소장하고 있다.
3. 4. 동양 번역 기금 (Oriental Translation Fund)
이 기금은 1828년에 처음 설립되었다.[32] 초기 자금 지원 프로젝트의 결과는 곧 발표되었다.[33] 이 기금은 번역물을 출판하거나, 역사적인 저작물을 재발행하거나, 상업 출판으로는 너무 전문적인 오리지널 책을 위탁하는 다수의 빅토리아 시대 구독 인쇄 클럽 중 하나가 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대부분 사라진 다른 단체들과 달리, 왕립 아시아 학회 동양 번역 기금의 작업은 "신 시리즈"와 학술 연구에 사용할 수 있는 "구 시리즈" 마이크로폼 카탈로그를 통해 21세기에도 계속되고 있다.[34]4. 주요 인물
- 토머스 웨이드 (1818-1895)
- 리처드 프랜시스 버튼 (1821-1890)
- 오렐 스타인 (1862-1943)
-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1861-1941)
5. 수상 및 연구 지원
- 연구 펠로우십: 마이클 윌리스, 피터 플뤼겔.
- 조지 스톤턴 경 상 - 아시아의 역사, 고고학, 문학, 언어, 종교, 인류학 및 예술과 관련된 논문에 대해 젊은 학자(박사 학위 과정 수료 또는 이전 5년 이내에 박사 학위 취득)에게 수여.
- 수리야 P. 수베디 상[36] - 네팔에 관한 출판물에 대해 매년 수여.
- 찰스 H. 노르치 상[37] - 아프가니스탄에 관한 책에 대해 매년 수여.
- 메리 보이스 교수 상 - 아시아의 종교 관련.
- 데이비드 모건 기념상 - 해당 연도에 왕립아시아학회 저널에 게재된 논문에 대해 수여. 최근 박사 학위 취득자에게 수여.
- 왕립아시아학회 신설 바위스-홀리데이 상 - 동아시아의 인류학, 예술, 역사, 문학 또는 종교에 관한 미발표 연구에 대해 수여.
- 왕립아시아학회 상 - 3년마다 수여; 아시아학 관련 (이 상은 왕립아시아학회 금메달을 대체).
- 리처드 버턴 경 메달 - 아시아 지역 학자 및 여행자에게 수여.
- 데니스 시노어 메달 - 내부 아시아 연구 관련.
- 제임스 J. 부수틸 메달 및 상[38] - 인권에 관한 책에 대해 매년 은메달과 상을 수여.
참조
[1]
웹사이트
King Charles III remains our Patron
https://royalasiatic[...]
2024-06-03
[2]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Abbreviations
Market House Books Ltd and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3]
서적
Debrett's Peerage and Baronetage 2011
Debrett's Peerage Ltd
2011
[4]
서적
The International Who's Who of Women 2002
Europa Publications
[5]
서적
Who's Who in Malaysia and Singapore
1973
[6]
논문
Report of the Proceedings of the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at Its First General Meeting, on the 15th of March, 1823
1824
[7]
DNB
[8]
간행물
The Asiatic Journal and Monthly Miscellany for April 1824, p. 473
https://books.google[...]
2008-01-28
[9]
웹사이트
Lectures & Events
https://royalasiatic[...]
2023-08-18
[10]
웹사이트
Royal Asiatic Society
http://backdoorbroad[...]
2023-08-18
[11]
웹사이트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Channel
https://www.youtube.[...]
2023-08-18
[12]
서적
Regulations for the Royal Asiatic Society
https://books.google[...]
2018-08-14
[13]
서적
Advertisement List for the Royal Asiatic Society's Journal
Trübner & Co.
2019-04-06
[14]
논문
Advertisement List for the Royal Asiatic Society's Journal
https://books.google[...]
2019-04-06
[15]
간행물
Journal and Proceedings of the Asiatic Society of Bengal
Asiatic Society
1921
[16]
간행물
The Journal of the Ceylo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1957
[17]
논문
The Astronomical Observatories of Jai Singh. By G. R. Kaye, F.R.A.S. Published by the Calcutta Superintendent Printing, India, 1918. Price Rs. 14·12 or 23s.
https://www.cambridg[...]
2019-04-11
[18]
논문
Chinese Secret Societies in Malaya. A Survey of the Triad Society from 1800 to 1900. By Leon Comber B.A., F.R.A.S. pp. viii + 324, Map. Published for the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by J. J. Augustin, Locust Valley, New York, 1959. $6.50.
https://www.cambridg[...]
2019-04-11
[19]
서적
The Charter and Rules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https://books.google[...]
2018-08-14
[20]
논문
Anniversary Meeting
1967-10
[21]
웹사이트
Charter, Byelaws and Standing Orders
https://royalasiatic[...]
Royal Asiatic Society
2018-08-13
[22]
웹사이트
Members of the School of History
https://web.archive.[...]
Institute of Historical Research
2019-04-05
[23]
웹사이트
The Governing Council
https://web.archive.[...]
British Institute of Persian Studies
2019-04-05
[24]
논문
Editor's Foreword
https://www.cambridg[...]
[25]
논문
Anniversary Meeting
2000-11
[26]
웹사이트
About Us – Royal Asiatic Society
http://royalasiatics[...]
2023-08-18
[27]
웹사이트
RASBJ
https://rasbj.org/
2023-08-18
[28]
웹사이트
Library & Archives
https://royalasiatic[...]
2023-08-18
[29]
웹사이트
Digital Library
https://royalasiatic[...]
2023-08-18
[30]
웹사이트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https://www.jstor.or[...]
2018-08-13
[31]
웹사이트
The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JRAS)
https://royalasiatic[...]
2023-08-18
[32]
논문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Report and Accounts for the Year Ending 31 December 2003
[33]
웹사이트
00introlee
http://www.columbia.[...]
2007-06-25
[34]
웹사이트
Search Result
http://www.microform[...]
2018-04-04
[35]
웹사이트
https://royalasiatic[...]
2023-08-18
[36]
웹사이트
The Surya P. Subedi Prize
https://royalasiatic[...]
2023-08-18
[37]
웹사이트
The Charles H. Norchi Prize
https://royalasiatic[...]
2024-11-01
[38]
웹사이트
The James J. Busuttil Medal and Prize for Human Rights
https://royalasiatic[...]
2024-12-10
[39]
웹사이트
Anniversary General Meeting 2024
https://royalasiatic[...]
2024-10-24
[40]
웹사이트
Affiliated Scholars
https://www.s-asian.[...]
2024-10-24
[41]
웹사이트
Dr Gordon Johnson - Wolfson College Cambridge
http://www.wolfson.c[...]
2018-04-04
[42]
웹사이트
Anthony John Stockwell - Royal Holloway, University of London
https://www.royalhol[...]
2018-04-04
[43]
웹사이트
Report and Financial Statements for the Year Ended 31 December 2012
http://royalasiatics[...]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44]
저널
Frank Steele, OBE
[45]
웹사이트
Obituary: Prof. Sir Harold Bailey
http://georgehewitt.[...]
[46]
웹사이트
AIM25 collection description
https://web.archive.[...]
2018-04-04
[47]
웹사이트
The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1937
https://archive.org/[...]
2018-04-23
[48]
저널
Sir Edward Maclagan K.C.S.I., K.C.I.E.
[49]
서적
Modern Hindu Personalism: The History, Life, and Thought of Bhaktisiddhanta .
[50]
서적
Dictionary of Indian Biography
[51]
저널
Royal Asiatic Society. Proceedings of the Fifty-Third Anniversary Meeting of the Society, Held on the 29th of May, 1876
1877-04-04
[52]
서적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 Ireland
[53]
서적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 Ireland
[54]
간행물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간행물
Manuscripts
http://royalasiatics[...]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56]
간행물
Archives
http://royalasiatics[...]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57]
문서
秋山(2003) p.71
[58]
문서
The Oxford Dictionary of Abbreviations, 2nd edition, Market House Books Ltd and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ed. Judy Pearsall, Sara Tulloch et. al., p. 175
[59]
문서
Debrett's Peerage and Baronetage 2011, Debrett's Peerage Ltd, p. 26
[60]
서적
International Who's Who in Poetry 2005
http://dx.doi.org/10[...]
Routledge
2004-08-02
[61]
저널
Summers, Mark John, (born 17 Dec. 1973), QC 2014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14-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