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도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학은 인도의 역사, 문화, 언어, 종교, 철학 등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고대 그리스의 메가스테네스와 이슬람 시대의 알 비루니의 연구를 시작으로, 18세기 후반 윌리엄 존스와 같은 학자들이 등장하며 학문 분야로 발전했다. 인도학은 문헌학, 종교학, 역사학, 철학, 인류학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며, 윌리엄 존스, 막스 뮐러, 모니엘 모니엘-윌리엄스와 같은 학자들이 연구에 기여했다. 현재는 로밀라 타파르, 아스코 파르폴라, 웬디 도니거 등 다양한 학자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미국 아시아학회, 세계 산스크리트 학회 등의 학술 단체와 다양한 학술지를 통해 연구 성과를 공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학 - 동남아시아학
    동남아시아학은 동남아시아 지역의 역사, 문화, 정치, 경제, 사회 등 다양한 측면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 ASEAN 회원국을 기준으로 연구가 진행되며, 냉전 시대를 거치며 여러 국가에서 발전해왔고, 최근에는 다른 아시아 지역과의 관계, 이주 현상, 한류 확산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 아시아학 - 완탄체
    완탄체는 1883년 등장한 서체로, 인종차별적 논란을 야기하며 애버크롬비 & 피치, 시카고 컵스, 뉴저지 공화당 등에서 특정 인종 혐오 표현으로 사용되어 비판받았다.
인도학

2. 역사

2. 1. 고대 및 이슬람 시대

메가스테네스(Μεγασθένηςgrc, 기원전 350년경 ~ 기원전 290년경)는 셀레우코스 제국고대 그리스 대사로, 마우리아 제국의 창시자인 찬드라굽타 마우리아(재위: 기원전 322년-298년)의 궁정에 파견되었다.[2] 메가스테네스는 인도에서의 삶을 바탕으로 4권으로 구성된 ''인디카''를 저술했는데, 그 조각들이 아직 남아 있으며, 아리아노스, 디오도로스, 스트라본과 같은 고전 지리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2]

이슬람 황금 시대의 학자인 알 비루니(973년–1048년)는 그의 저서 ''타리크 알-힌드(인도 연구)에서 인도의 정치 및 군사사를 기록하고, 인도의 문화, 과학, 사회, 종교 역사를 상세히 다루었다.[3] 그는 인도의 인류학을 연구하며, 다양한 인도 집단과 광범위한 참여 관찰을 수행하고, 그들의 언어를 배우고 주요 텍스트를 연구했으며, 객관성과 중립성을 가지고 교차 문화 비교를 통해 자신의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4]

2. 2. 학문 분야 성립 (18세기 후반 ~ 현재)

인도학은 일반적으로 연구자들에 의해 이해되듯이[5] 근대 초기에 시작되었으며, 비판적 자기 성찰, 디스임베딩 메커니즘 및 세계화, 지식의 반사적 전유 등 근대성의 필수적인 특징을 포함한다.[6] 18세기 후반에 시작된 인도학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벵골 아시아 학회와 같은 학술 단체의 창설, 그리고 ''왕립 아시아 학회 저널''과 ''반다르카 동양 연구소 연보''와 같은 학술 저널의 창간을 통해 학술적 의사 소통과 신뢰의 네트워크를 발전시킨 것이다.[7]

인도학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유럽 고전 연구 또는 "고전"에서 개발된 학술적 방법론을 남아시아의 언어, 문학 및 문화에 적용하는 것이다.

윌리엄 존스, 헨리 토마스 콜브룩같은 18세기 개척자들의 뒤를 이어 인도학은 영국령 인도의 맥락에서 낭만적인 오리엔탈리즘의 영향을 받은 일반적인 아시아학과 함께 19세기에 학문적 주제로 등장했다. 아시아 학회는 1784년 캘커타에서 설립되었고, 소시에테 아시아티크는 1822년, 왕립 아시아 학회는 1824년에 설립되었다.[8]

산스크리트 문학 연구에서 획기적인 사건은 1850년대부터 1870년대까지 상트페테르부르크 ''산스크리트-뵈르터부흐''의 출판이었다. 동방성전에 주요 힌두교 텍스트를 번역하는 작업은 1879년에 시작되었다. 오토 폰 뵈트링크가 편집한 파니니의 문법은 1887년에 출판되었다. 알브레히트 베버는 1849년에 획기적인 저널 ''인돌로기셰 슈투디엔''을 출판하기 시작했고, 1897년 세르게이 올덴부르크는 주요 산스크리트 텍스트의 체계적인 편집본인 "Bibliotheca Buddhica"를 시작했다.

3. 주요 연구 분야 및 방법론

3. 1. 문헌학

3. 2. 종교학

3. 3. 역사학

3. 4. 철학

3. 5. 인류학

4. 주요 학자

앙크틸 뒤페론(1731-1805)

윌리엄 존스(1746-1794)

찰스 윌킨스(1749-1836)

헨리 토마스 콜브루크(1765-1837)

아우구스트 빌헬름 슐레겔(1767-1845)

앙투안 레오나르 드 셰지(1773-1832)

호러스 헤이먼 윌슨(1786-1860)

제임스 프린세프(1799-1840)

크리스티안 라센(1800-1876)

외젠 뷔르누프(1801-1852)

아돌프 프리드리히 슈텐츨러(1807-1887)

테오도어 벤파이(1809-1881)

로버트 콜드웰(1814-1891)

오토 폰 뵈트링크(1815-1904)

모니엘 모니엘-윌리엄스(1819-1899)

루돌프 폰 로트(1821-1895)

비고 파우스벨(1821-1908)

프리드리히 막스 뮐러(1823-1900)

알브레히트 베버(1825-1901)

윌리엄 드와이트 휘트니(1827-1894)

게오르크 뷔hler(1837-1898)

토머스 윌리엄 리스 데이비즈(1843-1922)

파울 도이센(1845-1919)

리하르트 피셸(1849-1908)

난조 분유(1849-1927)

헤르만 야코비(1850-1937)

조지 에이브러햄 그리슨(1851-1941)

헤르만 올덴베르크(1854-1920)

아서 앤서니 맥도넬(1854-1930)

모리스 블룸필드(1855-1928)

빌헬름 가이거(1856-1943)

세르게이 올덴부르크(1863-1934)

실뱅 레비(1863-1935)

다카쿠스 준지로(1866-1945)

스텐 코노(1867-1948)

하인리히 뤼더스(1869-1943)

프랭클린 에저턴(1885-1963)

하인리히 짐머(1890-1943)

머레이 번슨 에메노(1904-2005)

얀 곤다(1905-1991)

파울 티메(1905-2001)

토머스 바로(1909-1986)

지셴린(1911-2009)

미셸 다니노(Michel Danino)[23][24][25][26]

게오르크 포이어슈타인(Georg Feuerstein)

한스 T. 바커(Hans T. Bakker)

4. 1. 역사적 학자

메가스테네스는 고대 그리스의 외교관이자 지리학자로, 마우리아 제국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알 비루니는 이슬람 황금 시대의 학자로, 인도의 종교, 문화, 과학에 대한 상세한 기록을 남겼다. 윌리엄 존스는 영국의 언어학자로, 인도-유럽어족 가설을 제시했다. 막스 뮐러는 독일의 언어학자이자 비교종교학자로, 리그베다를 영어로 번역했다. 모니에르 모니에르윌리엄스는 영국의 산스크리트어 학자로, 방대한 산스크리트어-영어 사전을 편찬했다. 표도르 시체르바츠코이는 러시아의 불교학자로, 인도 논리학 연구에 기여했다.

이 외에도 가스통 로랑 쿠르두, 앙케틸 뒤페롱, 찰스 윌킨스, 콜린 매켄지, 디미트리오스 갈라노스, 헨리 토마스 콜브룩, 장-앙투안 뒤부아, 아우구스트 빌헬름 슐레겔, 제임스 밀, 호레이스 헤이먼 윌슨, 프란츠 보프, 덩컨 포브스 (언어학자), 제임스 프린셉, 헤르만 그라스만, 존 뮤어 (인도학자), 에드워드 발푸어, 로버트 콜드웰, 알렉산더 커닝햄, 헤르만 군데르트, 오토 폰 보트링크, 헨리 율, 루돌프 로스, 테오도어 아우프레히트, 알브레히트 베버, 랄프 T. H. 그리피스, 윌리엄 드와이트 휘트니, 페르디난트 키텔, 에드윈 아놀드, 요한 헨드릭 카스파르 케른, 구스타프 솔로몬 오페르트, 게오르크 뷜러, 친타만 비나야크 바이디야, 라마크리슈나 고팔 반다르카, 아서 코크 버넬, 율리우스 에겔링, 파울 도이센, 빈센트 아서 스미스, 제임스 다르메스테터, 헤르만 야코비, 카시나트 트림바크 텔랑, 알로이스 안톤 퓌러, 야코프 바케르나겔, 아서 앤서니 매크도넬, 헤르만 올덴베르크, 모리스 블룸필드, E. 훌츠슈, 마크 아우렐 스타인, P. T. 스리니바사 아이엥가르, 모리츠 빈터니츠, F.W. 토마스, 자두나트 사르카르, S. 크리슈나스와미 아이엥가르, 퍼시 브라운, 존 허버트 마셜, 아서 베리데일 키스, 판두랑 바만 카네, 피에르 요한스, 안제이 가브론스키, 빌리발트 키르펠, 요하네스 노벨, 베티 하이만, 앨리스 보너, 하인리히 짐머, 에르빈 박타이, 모티머 휠러, B. R. 암베드카르, K. A. 닐라칸타 사스트리, 마하판디트 라훌 상크리티아야안, 바수데브 비슈누 미라시, V. R. 라마찬드라 딕시타르, 다샤라타 샤르마, 샤크티 M. 굽타, S. 스리칸타 사스트리, 조지프 캠벨, 머레이 반슨 에메노, 얀 곤다, 파울 티에메, 장 필리오자, 알랭 다니엘루, F B J 쿠이퍼, 토머스 버로우, 자그디쉬 찬드라 자인, 람찬드라 나라얀 단데카르, 아서 르웰린 배샴, 리처드 드 스멧, P. N. 푸슈프, 아흐마드 하산 다니, 프랭크-리처드 햄, 마들렌 비아르도, 아와드 K. (AK) 나라얀, V. S. 파탁, 카밀 즈벨레빌, J. A. B. 판 부이트넨, 타티야나 엘리자렌코바, 베티나 바우머, 안찰로트 에슈만, 윌리엄 달림플, 아르빈드 샤르마, 하릴랄 드루브, 람 스와루프, 미하일 콘스탄티노비치 쿠드랴프체프, 다니엘 H. H. 인걸스 1세, 시타 람 고엘, 나탈리아 로마노브나 구세바, 람 샤란 샤르마, 바드리지라크리슈나무르티, 피다 하스나인, 하인리히 폰 슈티텐크론, 이라바탐 마하데반, 스탠리 울퍼트, 카렐 베르너, 디트마 로더문트, 반나네 고빈다차르야, 스탠리 인슬러, 제라르 푸스만 등이 인도학 연구에 기여했다.

  • 미셸 다니노(Michel Danino)[23][24][25][26]
  • 게오르크 포이어슈타인(Georg Feuerstein)
  • 한스 T. 바커(Hans T. Bakker)
  • 앙크틸 뒤페론(1731-1805)
  • 윌리엄 존스(1746-1794)
  • 찰스 윌킨스(1749-1836)
  • 헨리 토마스 콜브루크(1765-1837)
  • 아우구스트 빌헬름 슐레겔(1767-1845)
  • 앙투안 레오나르 드 셰지(1773-1832)
  • 호러스 헤이먼 윌슨(1786-1860)
  • 제임스 프린세프(1799-1840)
  • 크리스티안 라센(1800-1876)
  • 외젠 뷔르누프(1801-1852)
  • 아돌프 프리드리히 슈텐츨러(1807-1887)
  • 테오도어 벤파이(1809-1881)
  • 로버트 콜드웰(1814-1891)
  • 오토 폰 뵈트링크(1815-1904)
  • 모니엘 모니엘-윌리엄스(1819-1899)
  • 루돌프 폰 로트(1821-1895)
  • 비고 파우스벨(1821-1908)
  • 프리드리히 막스 뮐러(1823-1900)
  • 알브레히트 베버(1825-1901)
  • 윌리엄 드와이트 휘트니(1827-1894)
  • 게오르크 뷔hler(1837-1898)
  • 토머스 윌리엄 리스 데이비즈(1843-1922)
  • 파울 도이센(1845-1919)
  • 리하르트 피셸(1849-1908)
  • 난조 분유(1849-1927)
  • 헤르만 야코비(1850-1937)
  • 조지 에이브러햄 그리슨(1851-1941)
  • 헤르만 올덴베르크(1854-1920)
  • 아서 앤서니 맥도넬(1854-1930)
  • 모리스 블룸필드(1855-1928)
  • 빌헬름 가이거(1856-1943)
  • 세르게이 올덴부르크(1863-1934)
  • 실뱅 레비(1863-1935)
  • 다카쿠스 준지로(1866-1945)
  • 스텐 코노(1867-1948)
  • 하인리히 뤼더스(1869-1943)
  • 프랭클린 에저턴(1885-1963)
  • 하인리히 짐머(1890-1943)
  • 머레이 번슨 에메노(1904-2005)
  • 얀 곤다(1905-1991)
  • 파울 티메(1905-2001)
  • 토머스 바로(1909-1986)
  • 지셴린(1911-2009)


4. 2. 현대 학자

로밀라 타파르는 인도의 역사학자로, 자와할랄 네루 대학교 명예 고대사 교수를 지냈으며 고대 인도사 연구에 권위자이다. 아스코 파르폴라는 헬싱키 대학교 인도학과 및 남아시아학 명예교수로 재직했으며, 인더스 문명 연구에 기여했다. 마이클 위첼은 하버드 대학교 웨일스 산스크리트어 교수로, 베다 연구에 권위자이다. 웬디 도니거는 시카고 대학교 신학부 미르체아 엘리아데 종교사 석좌교수로, 힌두교 신화 연구에 기여했다.

그 외에도 헤르만 쿨케는 킬 대학교 역사학과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사 교수를, 패트릭 올리벨은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아시아학 명예교수를[17], 로널드 인덴은 시카고 대학교 역사학, 남아시아 언어 및 문명 명예교수를[18], 조지 L. 하트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타밀어 명예교수를[19], 스테파니 제이미슨은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아시아 언어 및 문화 및 인도유럽 연구 석좌교수를[20], 알렉시스 샌더슨은 올 소울스 칼리지, 옥스퍼드 명예 연구원 및 전 동양 종교 및 윤리학 스팔딩 교수를[21], 마이클 D. 윌리스는 대영 박물관에서, 토마스 트라우트만은 전 미시간 대학교 남아시아 연구 센터장, 카필 카푸어는 영문학, 언어학, 파니니 문법, 산스크리트 예술 및 미학 학자이자 인도 고등 연구소 소장, 슈리바차 고스와미는 바라나시 힌두 대학교 힌두 철학 및 예술 인도 학자이자 가우디야 바이슈나바 종교 지도자[22], 에드윈 브라이언트는 러트거스 대학교에서 활동했다. 미셸 다니노는 프랑스계 인도 작가이자 역사 수정주의자로 알려져 있다.[23][24][25][26]

게오르크 포이어슈타인, 한스 T. 바커 등도 현대 인도학 연구에 기여한 학자들이다.

5. 관련 기관 및 학술지

인도학자들은 일반적으로 미국 아시아학회, 미국 동양학회 연례 회의, 세계 산스크리트 학회 및 영국, 독일, 인도, 일본, 프랑스 등지에서 열리는 국가별 회의에 참석한다.

이들은 정기적으로 ''인도-이란 저널'',[9] ''왕립 아시아 학회 저널'',[10] ''미국 동양학회 저널'',[11] ''아시아 저널'',[12] ''독일 동양학회 저널''(ZDMG),[13] ''빈 남부 아시아 연구 저널'',[14] ''인도 철학 저널'',[15] ''반다르카 동양 연구소'', ''인도 및 불교 연구 저널''(인도학 불교학 연구), ''프랑스 극동 학교 회보'',[16] 등과 같은 저널을 읽고 기고할 수 있다.

이들은 미국 동양학회, 영국 및 아일랜드 왕립 아시아 학회, 아시아 학회, 독일 동방 학회 등과 같은 전문 단체의 회원일 수 있다.

5. 1. 관련 기관

인도학자들은 일반적으로 미국 아시아학회, 미국 동양학회 연례 회의, 세계 산스크리트 학회 및 영국, 독일, 인도, 일본, 프랑스 등지에서 열리는 국가별 회의에 참석한다.[9][10][11][12][13][14][15][16] 이들은 ''인도-이란 저널'', ''왕립 아시아 학회 저널'', ''미국 동양학회 저널'', ''아시아 저널'', ''독일 동양학회 저널''(ZDMG), ''빈 남부 아시아 연구 저널'', ''인도 철학 저널'', ''반다르카 동양 연구소'', ''인도 및 불교 연구 저널''(인도학 불교학 연구), ''프랑스 극동 학교 회보'' 등과 같은 저널을 읽고 기고할 수 있다. 또한 미국 동양학회, 영국 및 아일랜드 왕립 아시아 학회, 아시아 학회, 독일 동방 학회 등과 같은 전문 단체의 회원일 수 있다.

주요 연구 기관으로는 바라나시 힌두 대학교 산스크리트 비드야 다르마 비그얀 학부, 아디야르 도서관 및 연구 센터, 반다르카 동양학 연구소, 마이소르 동양학 연구소, 티루바난타푸람 동양학 연구소 & 원고 도서관, 랄바이 달파트바이 인도학 연구소와 랄바이 달파트바이 박물관, 미국 인도학 연구소, 퐁디셰리 프랑스 연구소, 옥스퍼드 힌두 연구 센터 등이 있다.

5. 2. 학술지

인도학자들은 미국 아시아학회, 미국 동양학회 연례 회의, 세계 산스크리트 학회 및 영국, 독일, 인도, 일본, 프랑스 등지에서 열리는 국가별 회의에 참석한다.[9][10][11][12][13][14][15][16]

이들은 ''인도-이란 저널'', ''왕립 아시아 학회 저널'', ''미국 동양학회 저널'', ''아시아 저널'', ''독일 동양학회 저널''(ZDMG), ''빈 남부 아시아 연구 저널'', ''인도 철학 저널'', ''반다르카 동양 연구소'', ''인도 및 불교 연구 저널''(인도학 불교학 연구), ''프랑스 극동 학교 회보'' 등의 저널을 읽고 기고한다.

또한, 미국 동양학회, 영국 및 아일랜드 왕립 아시아 학회, 아시아 학회, 독일 동방 학회 등과 같은 전문 단체의 회원으로 활동하기도 한다.

6. 한국의 인도학

6. 1. 연구 현황

6. 2. 비판과 과제

6. 3. 발전 방향

참조

[1] 웹사이트 'Indology | Definition of Indology by Lexico' https://web.archive.[...]
[2] 논문 The Historical Setting of Megasthenes' Indic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04
[3] 논문 al-Biruni and the Political History of India Brill
[4] 논문 Al-Beruni: The First Anthropologist Royal Anthropological Institute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1984-02
[5] 서적 Einführung in die Indologie: Stand, Methoden, Aufgaben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93
[6] 서적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Polity Press 1991
[7] 서적 Personal knowledge: towards a post-critical philosoph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5
[8] 웹사이트 The Japanese Association of Indian and Buddhist Studies https://web.archive.[...] 2011-11-20
[9] 간행물 International Publisher Science, Technology, Medicine https://archive.toda[...] Springer 2011-11-20
[10] 간행물 R A S –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http://www.royalasia[...] 2011-11-20
[11] 간행물 JAOS Front Matter http://www.umich.edu[...] 2011-11-20
[12] 간행물 Journal Asiatique http://poj.peeters-l[...] 2011-11-20
[13] 웹사이트 Zeitschrift der Deutschen Morgenländischen Gesellschaft (ZDMG) http://www.dmg-web.d[...]
[14] 간행물 Wiener Zeitschrift für die Kunde Südasiens (WZKS) Vienna Journal for Indian Studies http://epub.oeaw.ac.[...] 2011-11-20
[15] 간행물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https://www.springer[...] 2011-11-20
[16] 간행물 Bulletin de l'EFEO http://www.maisonneu[...] 2011-11-20
[17] 웹사이트 Patrick Olivelle https://www.britanni[...]
[18] 웹사이트 Ronald Inden https://history.uchi[...]
[19] 웹사이트 Redefining the Classics at Harvard https://www.thecrims[...] 2016
[20] 웹사이트 Professor Stephanie Jamison FBA https://www.thebriti[...]
[21] 웹사이트 Professor Alexis Sanderson https://www.asc.ox.a[...]
[22] 서적 The Divine Consort: Rādhā and the Goddesses of India https://books.google[...] Graduate Theological Union
[23] 웹사이트 The Sarasvati was more sacred than Ganga http://news.rediff.c[...] 2011-08-08
[24] 논문 Negotiating Evidence: History, Archaeology and the Indus Civilisation 2005
[25] 논문 Conjuring a river, imagining civilisation: Saraswati, archaeology and science in India 2011-02-01
[26] 논문 Dharmo rakshati rakshitah : Hindutva movements in the UK 2000-01-01
[27] 문서 ヤン・ホンダ選集、第六巻 1994-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