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은 김치선 목사가 설립한 대한신학교를 뿌리로 1961년 6월 21일 '대한예수교성경장로회'로 창립되었다. 이후 교단 분열과 통합 과정을 거쳐 '대신'으로 교단명을 변경했다. 2015년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과의 통합을 시도했으나 법원 판결로 무효화되었고, 현재 52개 노회와 약 1200개 교회, 198명의 선교사를 파송하고 있다. 총회는 교단의 최고 의결 기구이며, 대신총회신학연구원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1년 설립된 종교 단체 - 천주교 인천교구
    천주교 인천교구는 1846년 부천 소사 지역에서 시작되어 1961년 서울대목구에서 분리 설정되었으며, 인천광역시, 부천시, 김포시, 시흥시 일부, 안산시 대부동을 관할하고, 인천가톨릭대학교 등을 운영한다.
  • 1961년 설립된 종교 단체 - 천주교 타이난 교구
    천주교 타이난 교구는 1961년 타이완 타이난시에 설립되어 타이난시와 펑후현을 관할하며 2011년 기준 8,916명의 신자와 30개의 본당을 둔 로마 가톨릭 교구로서 루오꽝 주교를 시작으로 현재 황민청 주교가 교구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장로교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은 1959년 대한예수교장로회에서 분리된 장로교 교단으로, 세계교회협의회(WCC) 가입 문제로 분열되었으며 에큐메니칼 운동에 참여하고 칼 바르트의 변증법 신학에 기초한 복음주의적 성경 해석을 따르며 웨스트민스터 소교리문답을 채택하고,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공보, 한국장로교출판 등의 기관과 새문안교회, 영락교회, 소망교회 등을 산하에 두고 2024년에는 교회 세습 금지법 폐지 시도 등으로 논란이 된 바 있다.
  • 대한민국의 장로교 - 총신대학교
    총신대학교는 1901년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로 설립되어 일제강점기 폐교 후 재건, 1975년 현재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개혁주의 신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는 사립대학교이다.
  • 대한민국의 종교에 관한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은 1959년 대한예수교장로회에서 분리된 장로교 교단으로, 세계교회협의회(WCC) 가입 문제로 분열되었으며 에큐메니칼 운동에 참여하고 칼 바르트의 변증법 신학에 기초한 복음주의적 성경 해석을 따르며 웨스트민스터 소교리문답을 채택하고,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공보, 한국장로교출판 등의 기관과 새문안교회, 영락교회, 소망교회 등을 산하에 두고 2024년에는 교회 세습 금지법 폐지 시도 등으로 논란이 된 바 있다.
  • 대한민국의 종교에 관한 - 성공회대학교
    성공회대학교는 1914년 대한성공회가 설립한 성 미카엘 신학교에서 시작되어 서울 구로구에 위치하며, 1994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하면서 현재의 교명을 갖게 되었고, 민주주의, 사회 운동, 사회적 경제 분야 연구에 힘쓰는 대학교이다.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교단 정보
교단 명칭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한자 표기大韓예수敎長老會(大神)
로마자 표기Daehan yesugyo jangnohoe Daesin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Taehan yesugyo changnohoe Taesin
교단 정보
소속세계개혁교회협의회
웹사이트
주소개혁교회 및 기관 주소 데이터베이스
주소세계개혁교회협의회 회원 목록

2. 역사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의 역사는 크게 설립 배경, 분열과 교단명 변경, 교단 정비 및 성장, 백석과의 통합 시도와 무효화, 그리고 현재로 나눌 수 있다.


  • 분열과 "대신"으로의 교단명 변경 (1967년 ~ 1972년): 1967년 김치선 목사의 아들 김세창 목사가 대한신학교 교장직을 세습받으면서 마두원 선교사를 중심으로 한 ICCC 측과 갈등이 생겨 교단이 분열되었다.[3] 이후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으로 교인들이 대거 유출되자, 1972년 남은 인원들은 교단 이름을 "대신"으로 변경했다.[4]

  • 현재: 2015년 백석•대신 교단 통합 당시 통합 반대파인 수호측에 잔류했던 교회들이 중심이며, 2022년 현재 52개 노회와 약 1,200개 교회, 198명의 선교사가 파송되어 있다. 총회직영 신학기관으로 대신총회신학연구원이 있으며, 인준 교육기관은 안양대학교 대신신학대학원(MOU)이다.


현황


2. 1. 설립 배경

예장대신은 김치선 목사가 세운 학교인 대한신학교에 그 뿌리가 있다. 김치선 목사는 본인이 소속되었던 예장승동(현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의 불공평한 처사 및 승동총회와의 신학적 견해 차이로 1961년 6월 21일 대한신학교(현재 안양대학교)를 중심으로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계동에서 '''대한예수교성경장로회''' 혹은 '''예장성장'''이라는 이름으로 총회를 조직하였다. 이는 당시 칼 매킨타이어가 이끌던 국제기독교협의회(ICCC)와 성경장로회의 재정적 도움이 필요했기 때문에 성경장로회의 한국 지부 역할을 함께 수행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국제기독교협의회 한국지부의 마두원 선교사의 조력도 받았다.

2. 2. 대한예수교성경장로회 창립 (1961년)

예장대신은 김치선 목사가 세운 학교인 대한신학교(현재 안양대학교)에 그 뿌리가 있다. 김치선 목사는 본인이 소속되었던 예장승동(현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의 불공평한 처사 및 승동총회와의 신학적 견해 차이로 1961년 6월 21일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계동에서 '''대한예수교성경장로회''' 혹은 '''예장성장'''이라는 이름으로 총회를 조직하였다. 이는 당시 칼 매킨타이어가 이끌던 국제기독교협의회(ICCC)와 성경장로회의 재정적 도움이 필요했기 때문에 성경장로회의 한국 지부 역할을 함께 수행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국제기독교협의회 한국지부의 마두원 선교사의 조력도 받았다.

2. 3. 분열과 "대신"으로의 교단명 변경 (1967년 ~ 1972년)

1967년 김치선 목사의 아들 김세창 목사가 ICCC계열 페이스신학교에서 커버넌트 신학교로 무단 전학한 뒤, 김치선 목사에 의해 대한신학교 교장직을 25세의 나이로 세습받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로써 마두원 선교사를 필두로 한 국내 ICCC측은 대한신학교를 비판하였다. 이후 갈등이 봉합되지 못하고 대한신학교 및 김세창을 지지하는 측(신학교측)과 ICCC측을 지지하는 측(선교부측)으로 교단이 분열되었다. 선교부측은 신앙신학교를 세웠으나 마두원 선교사가 교통사고로 사망한 후 세가 끊어졌다.[3]

그러나 이후 교회 구성원 대부분이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으로 유출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1969년 신학교측 성경장로회에서 분열된 총회를 안정시키기 위해 예장합동 연구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이때 위원으로 있던 김완섭 목사는 1970년 제5회 총회와 1971년 제6대 총회에서 총회장으로 당선되었다. 김완섭 목사는 "보류되었던 교단합동은 재추진"하기로 하였으며, 1971년 예장합동 평양노회에 40여 교회와 함께 가입신청을 하고 1972년 4월에 26개 교회, 27명의 목사가 가입 승낙을 받게 되었다. 제6회 총회에 참석한 인원이 24명이었기 때문에 40여 교회는 교세에 비해 대단히 많은 수가 유출된 것이다. 이후 남은 인원들은 총회 이름을 성경장로회에서 "대신"으로 바꾸었다.[4]

2. 4. 교단 정비 및 성장

예장대신으로 이름을 바꾼 교단은 체제를 정비하고 총회신학연구원도 설립하였다. 이후 1990년대에는 마두원 선교사의 죽음 이후 공중에 뜬 성경장로회총회와 합동하고,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를 설립하였다. 2014년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를 중심으로 일부 교회들이 분리되어 나가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석수) 교단을 형성하였으며,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를 가져갔다. 2015년 9월 14일 경기도 화성시 라비돌리조트에서 제50회 총회를 개최해 총회장 전광훈 목사 주도로 예장합동에서 갈라져나온 교단인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과의 통합을 결의하였다.[5] 그러자 '대신개혁협의회'를 중심으로 통합에 반대하는 교회들이 "과 원칙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밀어붙였다"고 반발하면서 총회결의무효확인의 소를 제기하였다.[6]

그 후 2017년 수원지방법원 안양지원이 통합 결의는 무효라고 판결하자 일부에서는 예장대신 교회 3/4 이상의 찬성이 없었기 때문에 통합 결의 무효 판결이 나왔다는 주장이 있지만[7] 사실이 아니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총회헌법 5.정치 제12장 제95조에서 정한 총회의 개회 요건이 결여된 상태에서의 통합 결의는 정의 관념에 현저히 반한다"며 그 위법성을 인정하였다. 의결에 필요한 정족수는 이미 미달된 까닭에 구성원들의 사전 동의절차의 흠결까지 판단하지는 않았다.[8] 통합측은 항소를 진행하면서도 교단 명칭을 둘러싸고 백석과 대신 간의 내홍이 빚어졌다. 결국 잠정적으로 대신 명칭을 유지하되 패소가 확정되면 다시 임시총회를 열고 대신은 모든 권한을 내려놓기로 합의하였다. 수호측은 통합측에 대신 명칭을 사용하지 말라고 요청했다.[9]

2015년 백석•대신 교단 통합 당시 통합 반대파인 수호측에 잔류했던 교회들이며, 2022년 현재 52개 노회와 약 1200개 교회, 198명의 선교사가 파송되어 있다. 총회직영 신학기관으로 대신총회신학연구원이 있으며, 인준 교육기관은 안양대학교 대신신학대학원(MOU)이다.

현황


2. 5. 백석과의 통합 시도와 무효화 (2015년 ~ 2017년)

2015년 9월 14일, 경기도 화성시 라비돌리조트에서 열린 제50회 총회에서 총회장 전광훈 목사의 주도로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과의 통합이 결의되었다.[5]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에서 갈라져 나온 교단이다. 그러나 '대신개혁협의회'를 중심으로 통합에 반대하는 교회들은 "과 원칙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밀어붙였다"며 반발했고, 총회결의무효확인의 소를 제기하였다.[6]

2017년 수원지방법원 안양지원은 통합 결의가 무효라고 판결했다.[7]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총회헌법 5.정치 제12장 제95조에서 정한 총회의 개회 요건이 결여된 상태에서의 통합 결의는 정의 관념에 현저히 반한다"며 그 위법성을 인정했다. 의결에 필요한 정족수 미달로 인해 구성원들의 사전 동의 절차 흠결까지는 판단하지 않았다.[8] 통합측은 항소를 진행하면서도 교단 명칭을 둘러싸고 백석과 대신 간의 내홍이 빚어졌다. 결국 잠정적으로 대신 명칭을 유지하되 패소가 확정되면 다시 임시총회를 열고 대신은 모든 권한을 내려놓기로 합의하였다. 수호측은 통합측에 대신 명칭을 사용하지 말라고 요청했다.[9]

2. 6. 현재

예장대신으로 이름을 바꾼 교단은 체제를 정비하고 총회신학연구원도 설립하였다. 이후 1990년대에는 마두원 선교사의 죽음 이후 공중에 뜬 성경장로회총회와 합동하고,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를 설립하였다. 2014년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를 중심으로 일부 교회들이 분리되어 나가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석수) 교단을 형성하였으며,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를 가져갔다. 2015년 9월 14일 경기도 화성시 라비돌리조트에서 제50회 총회를 개최해 총회장 전광훈 목사 주도로 예장합동에서 갈라져나온 교단인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과의 통합을 결의하였다.[5] 그러자 '대신개혁협의회'를 중심으로 통합에 반대하는 교회들이 "과 원칙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밀어붙였다"고 반발하면서 총회결의무효확인의 소를 제기하였다.[6]

그 후 2017년 수원지방법원 안양지원은 통합 결의가 무효라고 판결하였다. 일부에서는 예장대신 교회 3/4 이상의 찬성이 없었기 때문에 통합 결의 무효 판결이 나왔다는 주장이 있지만[7] 사실이 아니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총회헌법 5.정치 제12장 제95조에서 정한 총회의 개회 요건이 결여된 상태에서의 통합 결의는 정의 관념에 현저히 반한다"며 그 위법성을 인정하였다. 의결에 필요한 정족수는 이미 미달된 까닭에 구성원들의 사전 동의절차의 흠결까지 판단하지는 않았다.[8] 통합측은 항소를 진행하면서도 교단 명칭을 둘러싸고 백석과 대신 간의 내홍이 빚어졌다. 결국 잠정적으로 대신 명칭을 유지하되 패소가 확정되면 다시 임시총회를 열고 대신은 모든 권한을 내려놓기로 합의하였다. 수호측은 통합측에 대신 명칭을 사용하지 말라고 요청했다.[9]

3. 조직 및 기구

(입력 소스가 비어있으므로, 조직 및 기구에 대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4. 주요 인물

대수이름소속 교회기타
제1, 2대김치선대한신학교(현재 안양대학교) 설립자, 대한예수교성경장로회(현재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창립자.
제3, 4대황영도
제5, 6대김완섭
제7, 8대최순직
제9대김상묵
제10, 11대이의완
제12대신현기문화교회
제13대이의완청파중앙교회협동목사, 세계선교전도협회 한국 대표, 대한신학교 교장, 예장대신 총회장, 안양대학교 학장 등을 역임
제14대김준삼뉴저지 양지교회백석대학교 이사장
제15대이장우가락본동교회
제16, 17, 18대김세창김치선 목사의 아들이며, 세계전도선교회(WME) 한국 선교부 총재 역임. 미국 캘리포니아주 크리스천대학교(CSCU) 설립.
제19대박기수선민교회
제20대최헌대광교회
제21, 22대문영기효성동교회
제23, 24대양용주청파중앙교회
제25, 26대최복규한국중앙교회
제27대문영기효성동교회
제28대김연신일심교회
제29대구주회신월중앙교회
제30대황만재화양동교회
제31대이경성동부중앙교회
제32대김백수
제33대이경운수원중앙장로교회
제34대김재규성수교회
제35대김춘국충심교회2000년 11월 한국장로교총연합회장 당선
제36대이무웅우이제일교회
제37대김요셉선린교회
제38대김상록군산성실교회
제39대유덕식영진교회
제40대최복수동산교회
제41대구문회오산수청교회
제42대고창곤인천영락교회
제43, 44대김명규은평교회
제45대박재열동선교회
제46대강경원예일교회
제47대황수원대신교회한교연 가입 결의
제48대최순영두란노교회
제49대전광훈사랑제일교회백석-대신 교단 통합
제50대(무효)유충국제자교회법원 결정으로 제50대 총회 및 교단 통합 무효화되었음.
제50대박종근서울모자이크교회법원 판결로 대신의 정통성 인정
제51대양치호인천성광교회
제52대김동성화성중앙교회
제53대안태준인천등대교회
제54대황형식장항성일교회
제55대이상재함께하는교회한교총 가입 결의
제56대이정현소망교회


참조

[1] 웹사이트 Address data base of Reformed churches and institutions http://www.reformier[...]
[2] 웹사이트 Members http://wcrc.ch/membe[...]
[3] 논문 고봉 김치선 목사의 신학사상이 한국교회에 끼친 영향
[4] 서적 총회 50년사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출판국
[5] 뉴스 '대신'으로 통합, 총회장은 장종현 목사 http://www.newsnjoy.[...] 뉴스앤조이 2015-09-14
[6] 뉴스 “2015년 백석과 대신, 통합 결의는 무효”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7-06-20
[7] 뉴스 예장대신과 예장백석 통합 결의 무효 판결…'대신' 이름 사용 못해 http://www.christian[...] 기독일보 2017-06-19
[8] 법원문서 수원지방법원 2015가합104232
[9] 뉴스 예장대신, 교단 명칭 변경 없이 그대로 쓴다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7-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